KR20110007369A -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7369A
KR20110007369A KR1020090064863A KR20090064863A KR20110007369A KR 20110007369 A KR20110007369 A KR 20110007369A KR 1020090064863 A KR1020090064863 A KR 1020090064863A KR 20090064863 A KR20090064863 A KR 20090064863A KR 20110007369 A KR20110007369 A KR 20110007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gear
hook
locking
spur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4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5971B1 (ko
Inventor
서송원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090064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5971B1/ko
Publication of KR20110007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5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5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0Hook fastenings; Fastenings in which a link engages a fixed hook-like member
    • E05C19/12Hook fastenings; Fastenings in which a link engages a fixed hook-like member pivotally mounted around an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는, 창틀에 구비된 걸림수단과, 상기 걸림수단에 걸림결합된 창문을 잠그는 잠금수단과, 상기 잠금수단의 잠금 상태를 고정시키는 회전방지수단을 포함하는 록킹(locking)부; 및 상기 록킹부의 회전방지수단을 구동시키는 전동구동부와, 상기 전동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창호의 닫힘 시 잠금 상태로 자동 전환됨과 동시에 자력감지센서가 닫힘 상태를 감지하여 창호의 잠금 상태를 지속 및 유지시키고, 창호용 핸들에 터치 스위치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창호용 핸들을 파지할 경우, 창호의 잠금 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창호를 개방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창호의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를 위한 별도의 동작을 취할 필요가 없어 창호의 잠금 및 해제가 간편하고, 이로 인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창호가 닫힘과 동시에 잠금 설정으로 전환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외출 시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도난, 외부인 침입 등 가정 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창호의 수동 조작이 가능하여 전원의 방전 또는 기타 고장 시 수동으로 창호의 조작이 가능하고,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된 창호의 상태가 표시됨으로써 창호의 작동 상황을 사용자에게 식별 또는 인지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본체부, 전동구동부, 제어부, 터치 스위치, 수동조절부

Description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Digital locking device for window}
본 발명은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창틀과 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문으로 이루어지는 창호의 닫힘 시 잠금 상태로 자동 전환됨과 동시에 창호의 잠금 상태를 지속 및 유지시키고, 창호의 개방 시 사용자가 창호용 핸들을 파지함과 동시에 터치 스위치에 의해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창호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주택의 창 또는 거실 등에 설치되는 창의 종류는 개/폐 방법에 따라 미닫이 창, 미서기 창, 여닫이 창, 회전 창, 붙박이 창, 겹창, 기타 특수한 창 등이 있다.
여기서, 미서기 창(Double Sliding Window)은 창틀에 설치되는 창문들이 좌, 우로 슬라이딩 개/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미서기 창은 일반적으로 창문의 갯수에 따라 2짝, 4짝 등으로 이루어져 창틀에 설치되며, 2짝으로 이루어질 경우, 통상 내부 창문이 사용자 측에 근접 되게 위치하고, 외부 창문이 사용자 측에 멀리 위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 및 형태로 이루어지는 미서기 창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미서기 창(10)의 창틀(11)에 창문(30)이 설치되되, 상기 창문(30)은 내부 창문(36)과 외부 창문(3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 창문(36)과 외부 창문(31)의 전면 일측에 사용자가 파지한 후 내부 창문(36) 또는 외부 창문(31)을 개/폐하기 위한 창호용 핸들(37, 32)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창호용 핸들(37, 32)의 회전에 의하여 내부 창문(36)과 외부 창문(31)이 창틀(11)에 잠금/해제된다.
이러한 미서기 창의 창틀과 이에 슬라이딩되는 창문에는 통상 창호용 잠금장치가 설치되고, 창틀에 창문을 닫은 후 상기 창호용 잠금장치를 잠금 상태로 작동시킴으로써 미서기 창의 잠금 상태를 설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창틀에 창문을 닫은 후 창틀과 창문에 설치된 창호용 잠금장치를 잠금 상태로 작동시켜 미서기 창을 잠금 상태로 설정할 경우, 실내 거주자의 외출 시 거주자가 실내의 모든 미서기 창을 닫은 후 별도로 창호용 잠금장치를 잠금 상태로 작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거주자가 미서기 창을 닫은 후 창호용 잠금장치를 잠금 상태로 작동시키지 않고 외출을 할 경우, 도난사고를 예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미서기 창을 닫은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설정하지 않을 경우, 창틀과 창문 사이에 공간 및 틈새가 발생되어 외부로부터 실내로 소음이나, 미세 먼지 등이 실내로 전달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음 및 방풍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창호의 닫힘 시 잠금 상태로 자동 전환됨과 동시에 자력감지센서가 닫힘 상태를 감지하여 창호의 잠금 상태를 지속 및 유지시킬 수 있는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창호용 핸들에 터치 스위치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창호용 핸들을 파지할 경우, 창호의 잠금 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창호를 개방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창호의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를 위한 별도의 동작을 취할 필요가 없어 창호의 잠금 및 해제가 간편하고, 이로 인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창호가 닫힘과 동시에 잠금 설정으로 전환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외출 시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도난, 외부인 침입 등 가정 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창호의 수동 조작이 가능하여 전원의 방전 또는 기타 고장 시 수동으로 창호의 조작이 가능하고,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된 창호의 상태가 표시됨으로써 창호의 작동 상황을 사용자에게 식별 또는 인지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창틀에 구비된 걸림수단과, 상기 걸림수단에 걸림결합된 창문을 잠그는 잠금수단과, 상기 잠금수단의 잠금 상태를 고정시키는 회전방지수단을 포함하는 록킹(locking)부; 및 상기 록킹부의 회전방지수단을 구동시키는 전동구동부와, 상기 전동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창문의 외부에 설치되어 창문의 내부를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하부에 구비되며, 그 중심에 구비되는 힌지부재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의 일측 단부에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스위치의 일측면에 탄성을 갖는 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의 하면에 다수의 걸림 기어홈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힌재부재의 외주연 일측에는, 상기 걸림 기어홈에 치합되는 다수의 걸림기어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방지수단은, 후크 스토퍼와;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샤프트 기어와; 상기 샤프트 기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후크 스 토퍼의 내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회전 방지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후크 스토퍼는 내측면 가장자리에 수직방향으로 경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후크 스토퍼의 일측에는 탄성을 갖는 스프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 방지블럭은, 그 일측에 상기 후크 스토퍼의 경사홈에 맞닿아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기 위한 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일측 단부에 해제편이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 방지블럭의 외면 양 단부에는, 상기 회전 방지블럭의 수직방향 이동을 원활히 하기 위한 반원형상의 레일편이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샤프트 기어의 외주연 일측에는, 상기 회전 방지블럭의 일측면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고정 기어홈에 치합되는 고정기어가 다수개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전동구동부는, 샤프트 구동 평기어와; 상기 샤프트 구동 평기어에 연결되는 수동조절부(Knob)와; 상기 수동조절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 구동 평기어는 상기 회전방지수단의 샤프트 기어에 연결바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샤프트 구동 평기어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샤프트 기어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수동조절부의 후면에는 수동구동 평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수동구동 평기어는 상기 샤프트 구동 평기어에 치합되어 있어서, 상기 수동조절부 및 상기 수동구동 평기어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수동구동 평기어에 치합된 샤프트 구동 평기어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모터의 상부 일측에는 모터용 베벨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모터용 베벨기어는 상기 수동조절부의 수동구동 평기어에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전동구동부는,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로 이루어지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수동조절부는, 수동조절부의 작동 상태를 사용자에게 식별 또는 인식시키기 위한 작동표시 램프를 복수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동구동부에 연결된 인쇄회로기판(PCB)과; 상기 PCB에 연결되어 자력을 감지하는 자력감지센서와; 상기 창틀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자력감지센서에 의해 그 접근 및 위치가 감지되는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부의 일측 가장자리에 사용자가 파지한 후 상기 창문을 폐쇄 또는 개방시키는 창호용 핸들이 설치되고, 상기 창호용 핸들에 사용자의 터치를 인지 및 감지하기 위한 터치 스위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는, 상기 PCB에 연결되어 상기 창문의 잠금 설정 및 잠금 해제를 디스플레이하는 상태표시 램프가 복수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창호의 닫힘 시 잠금 상태로 자동 전환됨과 동시에 자력감지센서가 닫힘 상태를 감지하여 창호의 잠금 상태를 지속 및 유지시킨다.
둘째, 창호용 핸들에 터치 스위치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창호용 핸들을 파지할 경우, 창호의 잠금 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창호를 개방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창호의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를 위한 별도의 동작을 취할 필요가 없어 창호의 잠금 및 해제가 간편하고, 이로 인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셋째, 창호가 닫힘과 동시에 잠금 설정으로 전환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외출 시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도난, 외부인 침입 등 가정 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
넷째, 창호의 수동 조작이 가능하여 전원의 방전 또는 기타 고장 시 수동으로 창호의 조작이 가능하고,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된 창호의 상태가 표시됨으로써 창호의 작동 상황을 사용자에게 식별 또는 인지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에 있어서의 록킹(locking)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록킹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에 있어서의 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체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본체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본체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후측 사시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가 창틀 및 창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1)는 크게 록킹부(100)와 본체부(200)를 포함하 여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록킹부(100)는 창틀(5)에 구비되는 걸림수단(110)과, 상기 걸림수단(110)에 걸림결합된 창문(7)을 잠그는 잠금수단(130)과, 상기 잠금수단(130)의 잠금 상태를 고정시키는 회전방지수단(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걸림수단(110)은 창틀(5)의 일측면에서 상기 잠금수단(130)과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스트라이커(Striker, 111)와, 상기 스트라이커의 내부에 형성되는 후크 걸림홈(113)을 포함한다.
상기 잠금수단(130)은 상기 창문(7)에 구비되되, 창문의 외부에 일정부분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창문(7)의 내부를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스위치(switch)(131)와, 상기 스위치의 하부에 구비되되, 그 중심에 구비되는 힌지부재(136)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후크(hook)(1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위치(131)는 일측면에 스프링(도면 부호 미도시)이 구비되고, 하면에 다수의 걸림 기어홈(132)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힌재부재(136)의 외주연 일측에는 상기 걸림 기어홈(132)에 치합되는 다수의 걸림기어(137)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여 상기 스위치(131)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걸림 기어홈(132)에 걸림기어(137)로 치합되는 후크(135)가 상기 힌지부재(136)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즉, 창문(7)의 일측면에서 외부를 향하여 일정부분 노출된 스위치(131)가 창문(7)의 폐쇄 시 창틀(5)의 스트라이커(111)에 맞닿으면서 창문(7)의 내부를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걸림 기어홈(132)에 걸림기어(137)로 치합되는 후크(135)가 힌지부재(136)를 중심으로 회동하고, 이로 인해 상기 후크(135)가 상기 걸림수단(110)의 후크 걸림홈(113)에 걸림결합되며, 상기 창문(7)의 개방 시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스위치(131)가 외부를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후크(135)의 일측 단부에 걸림홈(139)이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수단(110)의 후크 걸림홈(113)에 걸림결합되는 후크(135)의 일측 단부에 걸림홈(139)이 요입(凹入)형성된다.
상기 회전방지수단(150)은 상기 후크(135)의 하부에 위치하되, 후크(135)의 회동 시 걸림홈(139)에 걸림결합되어 후크(135)를 고정시키기 위한 후크 스토퍼(stopper)(151)와,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샤프트 기어(153)와, 상기 샤프트 기어(153)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후크 스토퍼(151)의 내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회전 방지블럭(15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후크 스토퍼(151)는 상기 후크(135)의 일측면이 맞닿는 그 내측면 가장자리에 수직방향으로 경사홈(15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후크 스토퍼(151)의 일측에는 탄성을 갖는 스프링(155)이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스프링(155)의 탄성에 의하여 후크 스토퍼(151)의 내측면이 상기 후크(135)의 일측면을 가압함과 아울러 가압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회전 방지블럭(156)은 상기 후크 스토퍼(151)의 내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후크(135)와 후크 스토퍼(151)의 걸림결합을 해제함과 동시에 회동된 상태의 후크(135) 후측면을 지지하여 후크(135)의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회전 방지블럭(156)은 후크 스토퍼(151)의 경사홈(152)에 맞닿아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기 위한 슬라이딩 레일(159)이 그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딩 레일(159)의 일측 단부에 해제편(159a)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해제편(159a)이 상기 경사홈(152)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후크(135)에 걸림결합된 후크 스토퍼(151)를 해제한다.
즉, 상기 회전 방지블럭(156)의 수직방향 이동 시 상기 해제편(159a)이 경사홈(152)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후크(135)의 걸림홈(139)에 걸림결합된 후크 스토퍼(151)를 후크(135)의 일측면에서 외측으로 회동시켜 후크(135)와 후크 스토퍼(151)의 걸림결합을 해제함으로써, 후크 스토퍼(151)에 의한 후크(135)의 고정 및 지지를 해제함과 동시에 후크(135)의 후측면에 회전 방지블럭(156)이 위치되어 후크(135)의 고정을 지지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여 후크 스토퍼(151)가 후크(135)의 걸림홈(139)에 걸림결합되어 후크(135)를 1차적으로 고정 및 지지하고, 상기 회전 방지블럭(156)이 후크(135)와 상기 후크(135)의 걸림홈(139)에 걸림결합된 후크 스토퍼(151)를 해제함과 동시에 후크(135)의 후측면에 위치하여 후크(135)를 2차적으로 고정 및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 방지블럭(156)의 외면 양 단부에는 반원형상의 레일편(158) 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레일편(158)에 의하여 상기 회전 방지블럭(156)의 수직방향 이동이 마찰을 줄인 상태로서 부드럽게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샤프트 기어(153)의 외주연 일측에 다수의 고정기어(154)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회전 방지블럭(156)의 일측면에 순차적으로 다수의 고정 기어홈(157)이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 기어(153)의 고정기어(154)가 상기 회전 방지블럭(156)의 고정 기어홈(157)에 치합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여 샤프트 기어(153)가 회전될 경우, 상기 샤프트 기어(153)의 고정기어(154)에 고정 기어홈(157)으로 치합되는 회전 방지블럭(156)이 수직되게 상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본체부(200)는 상기 록킹부(100)의 회전방지수단(150)에 연결되되, 상기 회전방지수단(150)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동구동부(210)와, 상기 전동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동구동부(210)는 상기 회전방지수단(150)에 연결되는 샤프트 구동 평기어(211)와, 상기 샤프트 구동 평기어(211)에 연결되는 수동조절부(Knob, 214) 와, 상기 수동조절부(214)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2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샤프트 구동 평기어(211)는 상기 회전방지수단(150)의 샤프트 기어(153)에 연결바(212)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샤프트 구동 평기어(211)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회전 방지블럭(156)의 샤프트 기어(153)가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동조절부(214)의 후면에는 수동구동 평기어(215)가 구비되고, 상기 수동구동 평기어(215)는 상기 샤프트 구동 평기어(211)에 치합되며, 이에 따 라 수동조절부(214) 및 상기 수동구동 평기어(215)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수동구동 평기어(215)에 치합된 샤프트 구동 평기어(211)가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217)의 상부 일측에는 모터용 베벨기어(218)가 구비되고, 상기 모터용 베벨기어(218)는 상기 수동조절부(214)의 수동구동 평기어(215)에 치합되며, 이로 인해 상기 구동모터(217)의 구동 시 모터용 베벨기어(218)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모터용 베벨기어(218)에 치합되는 수동구동 평기어(215)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여 상기 구동모터(217)의 구동에 따라 모터용 베벨기어(218)가 회전할 경우, 상기 모터용 베벨기어(218)에 수동구동 평기어(215)로 치합되는 수동조절부(214)가 회전하고, 상기 수동조절부(214)의 수동구동 평기어(215)에 치합되는 샤프트 구동 평기어(211)가 회전하며, 상기 샤프트 구동 평기어(211)에 연결바(212)로 연결되는 회전방지수단(150)의 샤프트 기어(153)가 회전하며, 이로 인해 상기 샤프트 기어(153)의 고정기어(154)에 고정 기어홈(157)으로 치합되는 회전 방지블럭(156)이 수직방향으로 상, 하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전동구동부(210)는 상기 구동모터(217)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구동모터(217)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도면부호 미도시)로 이루어지는 전원공급부(219)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수동조절부(214)에는 동작 시 수동조절부의 작동 상태를 사용자에게 식별 또는 인식시키기 위한 작동표시 램프(216)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작동표시 램프(216)는 적색 및 녹색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창문(7)의 폐쇄 시 수동조절부(214)의 작동표시 램프(216)가 적색으로 발광하고, 창문(7)의 개방 시 수동조절부의 작동표시 램프(216)가 녹색으로 발광되어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고, 간편하게 창호의 개방 상태 또는 폐쇄 상태를 식별 및 인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전동구동부(210)에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하게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PCB;Printed Circuit Board, 231)과, 상기 PCB(231)에 연결되어 자력을 감지하는 자력감지센서(232)와, 창틀(5)의 일측면에 설치되되, 상기 자력감지센서(232)에 의해 그 접근 및 위치가 감지되는 자석(233)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200)의 일측 가장자리에 사용자가 파지한 후 창문(7)을 폐쇄 또는 개방하도록 이루어지는 창호용 핸들(235)이 설치되며, 상기 창호용 핸들(235)에 사용자의 터치를 인지 및 감지하기 위한 터치 스위치(236)가 구비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여 창문(7)이 슬라이딩 이동되어 창틀(5)에 맞닿았을 경우, 상기 제어부(230)의 자력감지센서(232)가 창틀(5)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자석(233)의 자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데이터를 PCB(231)에 제공하여 창호가 폐쇄되었음을 알린다.
이후, 상기 PCB(231)가 구동모터(217)를 구동시켜서 상기 모터용 베벨기어(218)에 수동구동 평기어(215)로 치합되는 수동조절부(214)를 회전시키고, 상기 수동조절부(214)의 수동구동 평기어(215)에 치합되는 샤프트 구동 평기어(211)를 회전시키며, 상기 샤프트 구동 평기어(211)에 연결바로 연결되는 샤프트 기어(153)를 회전시키고, 상기 샤프트 기어(153)의 고정기어(154)에 고정 기어홈(157)으로 치합되는 회전 방지블럭(156)을 상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회동된 후크(135)를 고정시키며, 이로 인해 창틀(5)과 창문(7)의 잠금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상기 본체부(200)의 전면에는 PCB(2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창문(7)의 잠금 설정 및 잠금 해제를 디스플레이하는 상태표시 램프(238a, 238b)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상태표시 램프(238a, 238b)는 잠금 설정과 잠금 해제를 사용자에게 식별 및 인지시키기 위하여 2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각각의 상태표시 램프(238a, 238b)는 적색과 녹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상태표시 램프(238a, 238b)의 갯수 및 상태표시 램프에서 발광되는 색상을 이에 한정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1)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창틀(5)과 상기 창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문(7)에 본 발명에 의한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1)가 설치된 후 창틀(5)상에 창문(7)이 개방되어 있을 경우,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1)의 잠금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창틀(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문(7)을 창틀(5)의 단부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이때, 스위치(131)가 창틀(5)의 스트라이커(111)에 맞닿으면서, 창문(7)의 내부로 이동되고, 상기 스위치(131)가 창문(7)의 내부로 수평방향 이동됨과 동시에 스위치(131)의 걸림 기어홈(132)에 걸림기어(137)로 치합되는 후크(135)가 힌지부재(136)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창문(7)을 계속적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창틀(5)에 맞닿게 폐쇄시킬 경우, 창틀(5)의 스트라이커(111)에 맞닿은 스위치(131)가 계속적으로 창문(7)의 내부로 수평이동됨과 동시에 스위치(131)의 걸림 기어홈(132)에 걸림기어(137)로 치합되는 후크(135)가 힌지부재(136)를 중심으로 계속적으로 회동되어 창틀(5)에 형성된 후크 걸림홈(113)에 걸림결합된다.
이때, 상기 후크(135)가 후크 걸림홈(113)에 걸림결합될 경우, 스프링(155)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후크(135)의 일측면을 가압하는 후크 스토퍼(151)의 단부가 상기 후크(135)의 걸림홈(139)에 걸림결합되어 회동된 후크(135)를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후크(135)의 일측면을 가압하던 후크 스토퍼(151)의 내측면 단부가 후크(135)의 걸림홈(139)에 걸림결합되어 후크(135)의 회동을 고정 및 지지할 경우, 이와 동시에 자력감지센서(232)가 창틀(5)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자석(233)을 감지하여 창틀(5)에 창문(7)이 완전하게 페쇄되었음을 감지한 후 전동구동부(210)의 구동모터(217)를 구동시켜 회전방지수단(150)을 동작시킨다.
즉, 상기 스위치(131)가 스트라이커(111)에 맞닿음과 동시에 창문(7)에 설치되는 본체부(200)가 창틀(5)의 단부측을 향하여 이동되어 창틀(5)의 단부측에 창문(7)이 맞닿을 경우, 자력감지센서(232)가 창틀(5)에 설치된 자석(233)의 자력을 감지하고, 이로 인해 자력감지센서(2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PCB(231)가 창틀(5)에 창문(7)이 완전하게 폐쇄되었음을 감지함과 동시에 구동모터(217)를 구동시켜 회전방지수단(150)을 동작시킨다.
이때, 상기 PCB(231)가 구동모터(217)를 작동시킬 경우, 상기 모터용 베벨기 어(218)에 수동구동 평기어(215)로 치합되는 수동조절부(214))가 회전하고, 상기 수동구동 평기어(215)에 치합되는 샤프트 구동 평기어(211)가 회전하며, 상기 샤프트 구동 평기어(211)에 연결바(213)로 연결되는 샤프트 기어(15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샤프트 기어(153)의 고정기어(154)에 고정 기어홈(157)으로 치합되는 회전 방지블럭(156)이 수직되게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후크 걸림홈(113)에 걸림결합된 후크(135)의 후측면에 위치하게 되며, 이로 인해 후크(135)의 회동을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217)의 작동에 의해 회전 방지블럭(156)이 수직되게 상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회전 방지블럭(156)의 슬라이딩 레일(159) 및 상기 슬라이딩 레일(159)에 돌출형성된 해제편(159a)이 후크 스토퍼(151)에 형성되는 경사홈(152)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후크(135)의 걸림홈(139)에 걸림결합되어 후크(135)를 가압하는 후크 스토퍼(151)를 외측으로 회동시켜서 후크(135)와의 결합을 해제함과 동시에 후크(135)의 후측면에 위치하는 회전 방지블럭(136)이 회동된 상태의 후크(135)를 고정 및 지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1)는 후크(135)의 회동된 상태를 고정 및 지지하는 후크 스토퍼(151)와, 상기 후크(135)에 걸림결합되는 후크 스토퍼(151) 및 후크(135)의 걸림결합을 해제함과 동시에 후크(135)의 후측면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회동된 상태의 후크(135)를 고정 및 지지하는 회전 방지블럭(156)으로 이루어짐으로서 후크(135)의 회동된 상태를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2중 회전 방지구조로 이루어진다.
창호가 잠금 상태로 설정될 경우, 상기 수동조절부(214)가 회전될 뿐만 아니라, 수동조절부(214)에 구비되는 작동표시 램프(216)는 창호가 잠금 상태로 설정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식별 또는 인식시키기 위하여 발광하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본체부(200)의 전면에 구비되는 상태표시 램프(238a, 238b)가 도어가 잠금 상태로 설정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식별 또는 인식시키기 위하여 발광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창틀(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문(7)의 잠금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창틀(5)상에 창문(7)이 폐쇄되어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1)의 열림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본체부(200)의 창호용 핸들(235)을 파지한다. 이때, 상기 창호용 핸들(235)에 구비된 터치 스위치(236)가 사용자의 파지를 감지한 후 제어부(230)의 PCB(231)에 사용자의 파지에 따른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PCB(231)는 사용자가 창틀(5)에서 창문(7)을 개방시키려 함을 감지함과 동시에 구동모터(217)를 작동시켜서 상기 모터용 베벨기어(218)에 수동구동 평기어(215)로 치합되는 수동조절부(214)를 회전시키고, 상기 수동조절부(214)의 수동구동 평기어(215)에 치합되는 샤프트 구동 평기어(211)를 회전시키며, 상기 샤프트 구동 평기어(211)에 연결바(212)로 연결되는 샤프트 기어(15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217)의 구동 시 상기 수동조절부(214)가 회전될 뿐만 아니라, 수동조절부(214)에 구비된 작동표시 램프(216)는 창호가 잠금해제 상태로 설정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식별 또는 인식시키기 위하여 발광하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샤프트 구동 평기어(211)를 회전시켜서 샤프트 기어(15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샤프트 기어(153)의 고정기어(154)에 고정 기어홈(157)으로 치합되는 회전 방지블럭(156)이 수직되게 하방향으로 이동되며, 이로 인해 창틀(5)의 후크 걸림홈(113)에 걸림결합된 후크(135)의 후방측에 자유 공간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창호용 핸들(235)을 파지할 경우, 상기 터치 스위치(236)가 이를 감지하고, 제어부(230)를 통해 상기 회전방지수단(150)을 최초의 위치로 변경시킴과 동시에 창문(7)이 창틀(5)에서 개방되어진다.
이때, 상기 잠금수단(130)의 후크(135)가 회동되면서 그 단부가 후크 걸림홈(113)에서 외측으로 이탈되고, 상기 후크(135)가 계속적으로 회동될 경우, 힌지부재(136)의 외주연에 돌출형성되는 걸림기어(137)에 걸림 기어홈(132)으로 치합되는 스위치(131)가 창틀(5)의 내부에서 외부로 수평이동되면서 상기 스위치(131)가 최초의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창틀(5)에 창문(7)이 개방되어 잠금해제 상태로 설정될 경우, 상기 본체부(200)의 전면에 구비되는 상태표시 램프(238a, 238b)는 창호가 잠금해제 상태로 설정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식별 또는 인식시키기 위하여 발광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동구동부(210)의 전원공급부(219)가 방전되거나, 고장 시에 본 발명에 의한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1)의 잠금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창문(7)을 창틀(5)의 단부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창문(7)에 구비되는 스위치(131)를 창문(7)의 내부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스위치(131)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 기어홈(132)에 걸림기어(137)로 치합되는 후크(135)를 힌지부재(136)를 중심으로 회동시켜 후크(135)를 후크 걸림홈(113)에 걸림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후크(135)의 회동 시 후크의 걸림홈(139)에 후크 스토퍼(151)의 단부가 걸림결합되어 회동된 후크(135)를 고정 및 지지한다.
다음, 사용자가 수동조절부(214)를 파지한 후 회전시켜 상기 수동조절부(214)의 수동구동 평기어(215)에 치합되는 샤프트 구동 평기어(211)를 회전시키고, 상기 샤프트 구동 평기어(211)에 연결바(212)로 연결되는 샤프트 기어(153)를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상기 샤프트 기어(153)의 고정기어(154)에 고정 기어홈(157)으로 치합되는 회전 방지블럭(156)을 수직되게 상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렇게 사용자가 상기 수동조절부(214)를 조작 및 회전시켜 회전 방지블럭(156)을 수직되게 상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상기 회전 방지블럭(156)의 슬라이딩 레일(159) 및 상기 슬라이딩 레일(156)에 돌출형성된 해제편(159a)이 후크 스토퍼(151)에 형성되는 경사홈(152)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기 후크(135)의 걸림홈(139)에 걸림결합되어 후크(135)를 가압하는 후크 스토퍼(151)를 후크(135)의 일측면에서 외측으로 회동시켜 후크(135)와 후크 스토퍼(151)의 결합을 해제함과 동시에 후크(135)의 후측면에 위치하는 회전 방지블럭(156)에 의해 후크(135)를 고정 및 지지함으로써 창틀(5)에서의 창문이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창틀(5)상에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창문(7)을 개방시 킬 경우, 먼저 사용자가 본체부(200)에 구비되는 수동조절부(214)를 조작 및 회전시켜 상기 수동조절부(214)의 수동구동 평기어(215)에 치합되는 샤프트 구동 평기어(211)를 회전시키고, 상기 샤프트 구동 평기어(211)에 연결바(212)로 연결되는 샤프트 기어(15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상기 샤프트 기어(153)의 고정기어(154)에 고정 기어홈(157)으로 치합되는 회전 방지블럭(156)을 수직되게 상방향으로 이동시켜 후크(135)의 후측면에 위치하는 회전 방지블럭(156)을 최초의 위치로 위치시킨 후 창틀(5)에서 창문(7)을 개방한다.
이에 따라, 상기 잠금수단(130)의 후크(135)가 회동되면서 그 단부가 후크 걸림홈(113)에서 외측으로 이탈되고, 상기 후크(135)가 계속적으로 회동될 경우, 힌지부재(136)의 외주연에 돌출형성되는 걸림기어(137)에 걸림 기어홈(132)으로 치합되는 스위치(131)가 창틀(5)의 내부에서 외부로 수평이동되면서 상기 스위치(131)가 최초의 위치에 위치함과 동시에 창문(7)이 창틀(5)에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를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미서기 창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에 있어서의 록킹(locking)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록킹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에 있어서의 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체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본체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본체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후측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가 창틀 및 창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5 : 창틀,
7 : 창문, 100 : 록킹(locking)부,
110 : 걸림수단, 111 : 스트라이커,
113 : 후크 걸림홈, 130 : 잠금수단,
131 : 스위치, 132 : 걸림 기어홈,
135 : 후크, 136 : 힌지부재,
137 : 걸림기어, 139 : 걸림홈,
150 : 회전방지수단, 151 : 후크 스토퍼,
152 : 경사홈, 153 : 샤프트 기어,
154 : 고정기어, 155 : 스프링,
156 : 회전 방지블럭, 157 : 고정 기어홈,
158 : 레일편, 159 : 슬라이딩 레일,
159a : 해제편, 200 : 본체부,
210 : 전동구동부,
211 : 샤프트 구동 평기어, 212 : 연결바,
214 : 수동조절부, 215 : 수동구동 평기어,
216 : 작동표시 램프, 217 : 구동모터,
218 : 모터용 베벨기어, 219 : 전원공급부,
230 : 제어부, 231 : PCB,
232 : 자력감지센서, 233 : 자석,
235 : 창호용 핸들, 236 : 터치 스위치,
238a, 238b : 상태표시 램프.

Claims (16)

  1. 창틀에 구비된 걸림수단과, 상기 걸림수단에 걸림결합된 창문을 잠그는 잠금수단과, 상기 잠금수단의 잠금 상태를 고정시키는 회전방지수단을 포함하는 록킹(locking)부; 및
    상기 록킹부의 회전방지수단을 구동시키는 전동구동부와, 상기 전동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창문의 외부에 설치되어 창문의 내부를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하부에 구비되며, 그 중심에 구비되는 힌지부재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의 일측 단부에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의 일측면에 탄성을 갖는 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의 하면에 다수의 걸림 기어홈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힌재부재의 외주연 일측에는,
    상기 걸림 기어홈에 치합되는 다수의 걸림기어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수단은,
    후크 스토퍼와;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샤프트 기어와;
    상기 샤프트 기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후크 스토퍼의 내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회전 방지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후크 스토퍼는 내측면 가장자리에 수직방향으로 경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후크 스토퍼의 일측에는 탄성을 갖는 스프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용 디지털 잠금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방지블럭은,
    그 일측에 상기 후크 스토퍼의 경사홈에 맞닿아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기 위한 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일측 단부에 해제편이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방지블럭의 외면 양 단부에는,
    상기 회전 방지블럭의 수직방향 이동을 원활히 하기 위한 반원형상의 레일편이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기어의 외주연 일측에는,
    상기 회전 방지블럭의 일측면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고정 기어홈에 치 합되는 고정기어가 다수개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구동부는,
    샤프트 구동 평기어와;
    상기 샤프트 구동 평기어에 연결되는 수동조절부(Knob)와;
    상기 수동조절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 구동 평기어는 상기 회전방지수단의 샤프트 기어에 연결바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샤프트 구동 평기어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샤프트 기어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조절부의 후면에는 수동구동 평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수동구동 평기어는 상기 샤프트 구동 평기어에 치합되어 있어서,
    상기 수동조절부 및 상기 수동구동 평기어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수동구동 평기어에 치합된 샤프트 구동 평기어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의 상부 일측에는 모터용 베벨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모터용 베벨기어는 상기 수동조절부의 수동구동 평기어에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구동부는,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로 이루어지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조절부는,
    수동조절부의 작동 상태를 사용자에게 식별 또는 인식시키기 위한 작동표시 램프를 복수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동구동부에 연결된 인쇄회로기판(PCB)과;
    상기 PCB에 연결되어 자력을 감지하는 자력감지센서와;
    상기 창틀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자력감지센서에 의해 그 접근 및 위치가 감지되는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일측 가장자리에 사용자가 파지한 후 상기 창문을 폐쇄 또는 개방시키는 창호용 핸들이 설치되고,
    상기 창호용 핸들에 사용자의 터치를 인지 및 감지하기 위한 터치 스위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16.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는,
    상기 PCB에 연결되어 상기 창문의 잠금 설정 및 잠금 해제를 디스플레이하는 상태표시 램프가 복수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KR1020090064863A 2009-07-16 2009-07-16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KR101145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863A KR101145971B1 (ko) 2009-07-16 2009-07-16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863A KR101145971B1 (ko) 2009-07-16 2009-07-16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369A true KR20110007369A (ko) 2011-01-24
KR101145971B1 KR101145971B1 (ko) 2012-05-15

Family

ID=43613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4863A KR101145971B1 (ko) 2009-07-16 2009-07-16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59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3861A1 (ko) * 2015-09-11 2017-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849386B1 (ko) * 2017-03-29 2018-04-16 주식회사 대현상공 잠금식별과 방범기능을 갖는 창호용 잠금장치
KR20220091254A (ko) * 2020-12-23 2022-06-30 (주)엘엑스하우시스 창호용 잠금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269B1 (ko) 2012-07-27 2014-06-24 김용범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
KR101463600B1 (ko) * 2013-09-02 2014-11-20 (주)성광창호디자인 마그네틱센서의 자석이 삽입된 미서기 방충창용 락킹 핸들
KR101575900B1 (ko) 2015-06-09 2015-12-08 (주)성광유니텍 도어락 기능을 갖는 방범창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5886A (ko) * 1999-02-05 1999-06-25 김건철 자석을이용한창문자동잠금장치
KR200401167Y1 (ko) 2005-08-27 2005-11-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창호 잠금장치
KR200440269Y1 (ko) 2007-03-28 2008-06-03 이재민 창문잠금장치
KR100946577B1 (ko) * 2008-02-29 2010-03-12 이재민 윈도우 디지탈 락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3861A1 (ko) * 2015-09-11 2017-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1199033B2 (en) 2015-09-11 2021-12-1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1849386B1 (ko) * 2017-03-29 2018-04-16 주식회사 대현상공 잠금식별과 방범기능을 갖는 창호용 잠금장치
KR20220091254A (ko) * 2020-12-23 2022-06-30 (주)엘엑스하우시스 창호용 잠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5971B1 (ko) 2012-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5158B2 (ja) 建具用デジタルロック装置
KR101145971B1 (ko)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KR20160137922A (ko) 차량 도어용 손잡이 어셈블리
KR20220002185A (ko) 잠금 여부 표시 기능이 구비된 창호용 잠금장치
US9771751B2 (en) Hinge device for an automated door
US11199042B2 (en) Multifunction lock unit
KR101918809B1 (ko) 전자잠금장치와 개방유지장치를 구비한 반자동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P2669452A2 (en) Safety device for door-window handles
KR101089470B1 (ko)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JP2006219956A (ja) 自動ゲート開閉システム
KR101383289B1 (ko)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
JP2020056151A (ja) 建具及び建具用の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
JP3946204B2 (ja) ドアロック装置
JP5108626B2 (ja) 扉装置
JP5158749B2 (ja) 窓戸開閉管理システム、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および施錠ユニット
KR101089467B1 (ko)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KR101127749B1 (ko)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KR101057529B1 (ko) 투 포인트 타입 도어 로킹 장치
KR101502779B1 (ko) 도어 로크핸들용 인디케이터장치
JP2007070932A (ja) 鎌付電気扉錠
JPH0886133A (ja) 非常用扉開閉装置
JP2006233658A (ja) 遊技機の施錠装置
JP2018009445A (ja) 停電施錠型のオートロック装置
JP4522834B2 (ja) 天板に備えられた蓋体のロック制御装置
JP4218049B2 (ja) 打掛け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