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7749B1 -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7749B1
KR101127749B1 KR1020080026373A KR20080026373A KR101127749B1 KR 101127749 B1 KR101127749 B1 KR 101127749B1 KR 1020080026373 A KR1020080026373 A KR 1020080026373A KR 20080026373 A KR20080026373 A KR 20080026373A KR 101127749 B1 KR101127749 B1 KR 101127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locking
gear
shaf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6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0872A (ko
Inventor
서송원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080026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7749B1/ko
Priority to CN200980108576.7A priority patent/CN101970781B/zh
Priority to JP2010550609A priority patent/JP5345158B2/ja
Priority to DE112009000459T priority patent/DE112009000459B4/de
Priority to PCT/KR2009/001450 priority patent/WO2009116843A2/ko
Publication of KR20090100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0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7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7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 E05B47/0607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the detent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5Output elements of actuators
    • E05B2047/0017Output elements of actuators with rotary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05B2047/0068Door closed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어의 닫힘 시 도어가 잠금상태로 전환됨과 동시에 자력 센서가 닫힘상태를 감지한 후 구동 모터를 구동시켜 자동으로 잠금상태를 유지시키고, 도어의 개방 시 간단한 버튼 조작으로 잠금상태가 해제되도록 이루어져 사용이 간편하고, 외출 시 도어가 닫힘과 동시에 잠김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창틀에 구비되는 걸림수단과, 상기 걸림수단에 걸림결합되어 창틀에 설치되는 창문을 잠금시키기 위한 잠금수단 및 상기 걸림수단에 걸림결합된 잠금수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회전 방지수단을 포함하는 록킹부; 상기 록킹부에 연결되되, 록킹부의 회전 방지수단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와, 상기 회전 방지수단을 수동으로 조작하되,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에 회전 기어로 치합되는 연결 샤프트가 연결되는 수동작동 조그다이얼과, 상기 회전 방지수단을 구동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 버튼을 포함하는 전동 구동부; 및 상기 전동 구동부에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하게 연결되되, PCB와 상기 PCB에 연결되는 자력 센서를 포함하는 제어부;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록킹부, 전동 구동부, 제어부, 자력 센서

Description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Digital locking device of window}
본 발명은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창틀과 이에 슬라이딩되는 창문으로 이루어지는 도어의 닫힘 시 도어가 잠금상태로 전환됨과 동시에 자력 센서가 닫힘상태를 감지하여 도어의 잠금상태를 유지시키고, 도어의 개방 시 간단한 버튼 조작에 의해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주택의 창 또는 거실 등에 설치되는 창의 종류는 개/페 방법에 따라 미닫이 창, 미서기 창, 여닫이 창, 회전 창, 붙박이 창, 겹창, 기타 특수한 창 등이 있다.
여기서, 미서기 창(Double Sliding Window)은 창틀에 설치되는 창문들이 좌, 우로 슬라이딩 개/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미서기 창은 일반적으로 창문의 갯수에 따라 2짝, 4짝 등으로 이루어져 창틀에 설치되며, 2짝으로 이루어질 경우, 통상 외부 창문이 사용자 측에 근접되게 위치하고, 내부 창문이 사용자 측에 멀리 위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 및 형태로 이루어지는 미서기 창은 도 1에서 도시하 고 있는 바와 같이, 미서기 창(10)의 창틀(11)에 창문(30)이 설치되되, 상기 창문(30)은 내부 창문(31)과 외부 창문(3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 창문(31)과 외부 창문(36)의 전면 일측에 사용자가 파지한 후 내부 창문(31) 또는 외부 창문(36)을 개/폐하기 위한 창호용 핸들(32, 37)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창호용 핸들(32, 37)의 회전에 의하여 내부 창문(31)과 외부 창문(36)이 창틀(11)에 잠금/해제된다.
이러한 미서기 창의 창틀과 이에 슬라이딩되는 창문에는 통상 창호용 잠금장치가 설치되고, 창틀에 창문을 닫은 후 창호용 잠금장치를 잠금상태로 작동시킴으로써 미서기 창의 잠금상태를 설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창틀에 창문을 닫은 후 창틀과 창문에 설치된 창호용 잠금장치를 잠금상태로 작동시켜 미서기 창을 잠금상태로 설정할 경우, 실내 거주자의 외출 시 거주자가 실내의 모든 미서기 창을 닫은 후 별도로 창호용 잠금장치를 잠금상태로 작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거주자가 미서기 창을 닫은 후 창호용 잠금장치를 잠금상태로 작동시키지 않고 외출을 할 경우, 도난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미서기 창을 닫은 상태에서 잠금상태로 설정하지 않을 경우, 창틀과 창문 사이에 공간 및 틈새가 발생되어 외부로부터 실내로 소음이나, 미세 먼지 등이 실내로 전달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음 및 방풍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창틀과 이에 슬라이딩되는 창문으로 이루어지는 도어의 닫힘 시 도어가 잠금상태로 전환됨과 동시에 자력 센서가 닫힘상태를 감지한 후 구동 모터를 구동시켜 자동으로 도어의 잠금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이루어지고, 도어의 개방 시 간단한 버튼 조작에 의해 잠금상태가 해제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도어의 잠금 또는 개방을 위한 작동동작과 도어의 잠금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별도의 동작을 취할 필요가 없어 도어의 사용 및 잠금이 간편한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창틀과 이에 슬라이딩되는 창문으로 이루어지는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을 해제시키기 위한 창호용 잠금장치에 있어서, 창틀에 구비되는 걸림수단과, 상기 걸림수단에 걸림결합되어 창틀에 설치되는 창문을 잠금시키기 위한 잠금수단 및 상기 걸림수단에 걸림결합된 잠금수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회전 방지수단을 포함하는 록킹부; 상기 록킹부에 연결되되, 록킹부의 회전 방지수단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와, 상기 회전 방지수단을 수동으로 조작하되,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에 회전 기어로 치합되는 연결 샤프트가 연결되는 수동작동 조그다이얼과, 상기 회전 방지수단을 구동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 버튼을 포함하는 전동 구동부; 및 상기 전동 구동부에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하게 연결되되, PCB와 상기 PCB에 연결되는 자력 센서를 포함하는 제어부;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수단은 창틀에 구비되되, 상기 잠금수단에 맞닿는 스트라이커(Striker)와, 상기 스트라이커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후크 걸림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잠금수단은 창문에 구비되되,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하부면에 구비되되, 그 중심에 구비되는 힌지부재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스위치의 하부면에 다수개의 걸림 기어홈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크의 힌지부재 외주연 일측에 다수개의 걸림 기어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후크의 걸림 기어가 상기 스위치의 걸림 기어홈에 치합된다.
한편, 상기 회전 방지수단은 상기 잠금수단의 하측에 위치하는 지지체과, 상기 지지체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샤프트 기어와, 상기 샤프트 기어의 일측에 구비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회전 방지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 기어의 외주연 일측에 다수개의 고정 기어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회전 방지블록의 일측면에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고정 기어홈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 기어의 고정 기어가 상기 회전 방지블록의 고정 기어홈에 치합된다.
이때, 상기 회전 방지블록의 각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가 구비된 다.
그리고, 상기 수동작동 조그다이얼의 내측에 연결 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전동 모터의 하부에 구동 기어가 구비되며, 상기 수동작동 조그다이얼의 연결 기어가 상기 전동 모터의 구동 기어에 치합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창틀의 일측면에 설치되되, 상기 전동 구동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자력 센서에 의해 접근 및 위치가 감지되는 자석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창틀과 이에 슬라이딩되는 창문으로 이루어지는 도어의 닫힘 시 도어가 잠금상태로 전환됨과 동시에 자력 센서가 닫힘상태를 감지한 후 구동 모터를 구동시켜 자동으로 도어의 잠금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이루어지고, 도어의 개방 시 간단한 버튼 조작에 의해 잠금상태가 해제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도어의 잠금 또는 개방을 위한 작동동작과 도어의 잠금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별도의 동작을 취할 필요가 없어 도어의 사용 및 잠금이 간편하고, 외출 시 또는 부재 중일 경우, 도어가 닫힘과 동시에 자동으로 잠김으로써 가정 내에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 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록킹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전동 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전동 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가 창틀 및 창문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 도 7, 도 8,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작동 및 구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계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1)는 록킹부(100)와 전동 구동부(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록킹부(100)는 창틀(5)에 구비되는 걸림수단(110)과 상기 걸림수단(110)에 걸림결합되어 창틀(5)에 설치된 창문(7)을 잠금시키기 위한 잠금수단(130) 및 상기 걸림수단(110)에 걸림결합된 잠금수단(130)의 잠금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한 회전 방지수단(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걸림수단(110)은 창틀(5)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잠금수단(130)에 맞닿는 스트라이커(Striker, 111)와 상기 스트라이커(111)의 내부에 형성되는 후크 걸림홈(113)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잠금수단(130)은 창문(7)에 구비되되, 외부를 향하여 일정부분 노출되게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스위치(131)와 상기 스위치(131)의 하부면에 구비되되, 그 중심에 구비되는 힌지부재(136)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후크(1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131)의 단부에는 스프링(미도시)이 구비되어 스위치(131)가 외측을 향하게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며, 그 하부면에는 다수개의 걸림 기어홈(132)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크(135)의 힌재부재 외주연 일측에 다수개의 걸림 기어(137)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후크(135)의 걸림 기어(137)가 상기 스위치(131)의 걸림 기어홈(132)에 치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 및 형태에 의하여 상기 스위치(131)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스위치(131)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걸림 기어홈(132)에 걸림 기어(137)로 치합되는 후크(135)가 힌지부재(136)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즉, 창문(7)의 일측면에 설치되되, 외부를 향하여 일정부분 노출된 스위치(131)가 창문(7)의 폐쇄 시 창틀(5)의 스트라이커(111)에 맞닿으면서 창문(7)측을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스위치(131)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걸림 기어홈(132)에 걸림 기어(137)로 치합되는 후크(135)가 힌지부재(136)를 중심으로 회동하고, 이로 인해 상기 후크(135)가 상기 걸림수단(110)의 후크 걸림홈(113)에 걸림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위치(131)의 수평방향 이동에 따라 후크(135)가 회동되어 후크 걸림홈(113)에 걸림결합됨으로써 창틀(5)에 창문(7)의 폐쇄 시 잠금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스위치(131)의 수평방향 이동 에 따라 회동되어 창틀(5)에 창문(7)의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면, 상기 후크(135)화 스위치(131)의 결합 구조가 기타 다양하게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회전 방지수단(150)은 상기 잠금수단(130)의 후크(135) 하측에 위치하는 지지체(151)과 상기 지지체(151)의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샤프트 기어(153)와 상기 샤프트 기어(153)의 일측에 구비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회전 방지블럭(15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 기어(153)의 외주연 일측에 다수개의 고정 기어(154)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회전 방지블럭(156)의 일측면에 순차적으로 다수개의 고정 기어홈(157)이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 기어(153)의 고정 기어(154)가 상기 회전 방지블럭(156)의 고정 기어홈(157)에 치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 및 형태에 의하여 상기 샤프트 기어(153)가 회전될 경우, 상기 샤프트 기어(153)의 고정 기어(154)에 고정 기어홈(157)으로 치합되는 회전 방지블럭(156)이 수직되게 상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잠금수단(130)의 후크(135)가 회동되어 창틀(5)의 후크 걸림홈(113)에 걸림결합될 경우, 샤프트 기어(153)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샤프트 기어(153)의 고정 기어(154)에 고정 기어홈(157)으로 치합되는 회전 방지블럭(156)이 수직되게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회전 방지블럭(156)이 후크(135)의 후측면에 맞닿으면서 후크(135)의 회동을 고정시켜 창틀(5)과 창문(7)의 폐쇄에 따른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 기어(153)의 회전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상, 하 이동되 는 회전 방지블럭(156)의 각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158)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샤프트 기어(153)의 회전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상, 하 이동되는 회전 방지블럭(156)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창문(7)의 내측면에 맞닿는 회전 방지블럭(156)의 일측면 상, 하 및 회동된 후크(135)의 후측면에 맞닿는 회전 방지블럭(156)의 타측면에 롤러(158)가 다수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동 구동부(200)는 상기 회전 방지수단(150)의 샤프트 기어(153)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샤프트(233)와 상기 샤프트(233)의 상측에 구비되되, 상기 샤프트(233)에 치합되어 샤프트(233)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기어(211)를 갖는 구동 모터(210)와 상기 샤프트(233)의 전방측에 구비되되, 샤프트(233)를 회전시키기 위한 수동작동 조그다이얼(230)과 상기 수동작동 조그다이얼(230)의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구동 기어(211)에 치합되는 연결 기어(2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동 구동부(200)의 샤프트(233)는 상기 회전 방지수단(150)의 샤프트 기어(153)에 연결되기 위하여 그 단부측에 회전 기어(235)를 갖는 연결 샤프트(237)가 치합되고, 상기 연결 샤프트(237)가 샤프트 기어(153)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구동 모터(210)의 구동 또는 수동작동 조그다이얼(230)의 조작에 의해 상기 샤프트(233)가 회전되고, 이로 인해 회전 기어(235)를 갖는 연결 샤프트(237)가 회전됨과 동시에 샤프트 기어(153)가 회전되어 회전 방지블럭(156)이 수직방향으로 상, 하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동 구동부(200)의 샤프트(233)가 연결 샤프트(237)의 회전 기어(235)에 치합되고, 상기 연결 샤프트(237)가 회전 방지수 단(150)의 샤프트 기어(153)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샤프트(233)의 회전에 의해 연결 샤프트(237) 및 상기 연결 샤프트(237)에 연결되는 샤프트 기어(153)가 회전되고, 상기 회전 방지블럭(156)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후크(135)의 후측면에 위치시킴으로써 후크(135)를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전동 구동부(200)의 샤프트(233)의 회전 및 구동에 의하여 상기 회전 방지수단(150)의 샤프트 기어(153)가 반시계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면 상기 전동 구동부(200)의 샤프트(233)와 회전 방지수단(150)의 샤프트 기어(153)가 기타 다양한 구조 및 형태로 상호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전동 구동부(200)에는 상기 회전 방지블럭(156)의 수직방향 고정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 버튼(240)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 모터(210)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구동 모터(2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도번 미도시)로 이루어지는 전원 공급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전동 구동부(200) 내부에 구비되되, 전동 구동부(200)에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하게 연결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 310)와 상기 PCB(310)에 연결되는 자력 센서(320) 및 창틀(5)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자력 센서(320)에 감지되는 자석(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자력 센서(320)는 상기 전동 구동부(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동 구동부(200)가 설치되는 창문(7)이 슬라이딩 이동되어 창틀(5)에 접근하여 창틀(5)에 창문(7)이 맞닿아 도어가 폐쇄될 경우, 창틀(5)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자석(330)을 감지하여 창틀(5)상에 창문(7)의 폐쇄를 감지한다.
이로 인해, 상기 제어부(300)의 자력 센서(320)에 의해 도어가 폐쇄되었음이 감지되고, 감지된 신호가 상기 자력 센서(320)에 연결되는 PCB(310)에 의해 감지되고, 상기 PCB(310)가 구동 모터(210)를 구동시켜 구동 모터(210)에 구동 기어(211)로 연결되는 샤프트(233)를 회전시키고, 상기 샤프트(233)에 회전 기어(235)로 연결되는 연결 샤프트(237) 및 상기 연결 샤프트(237)가 결합되는 샤프트 기어(153)가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샤프트 기어(153)에 치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회전 방지블럭(156)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로 인해 회동된 후크(135)를 고정 및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켜 도어의 잠금상태를 유지시킨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1)의 작동 및 구동과정을 설명한다.
여기서, 창틀(5)과 상기 창틀(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문(7)에 본 발명에 의한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1)가 설치된 후 창틀(5)상에 창문(7)이 개방되어 있을 경우,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1)의 잠금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창틀(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문(7)을 창틀(5)의 단부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이때,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스위치(131)가 창틀(5)의 스트라이커(111)에 맞닿으면서, 창문(7)측으로 수평방향 이동됨과 동시에 스위치(131)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걸림 기어홈(132)에 걸림 기어(137)로 치합되는 후크(135)가 힌지부재(136)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창문(7)을 계속적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창틀(5)에 맞닿게 폐쇄시킬 경우, 창틀(5)의 스트라이커(111)에 맞닿은 스위치(131)가 계속적으로 창문(7)측으로 수평이동됨과 동시에 스위치(131)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걸림 기어홈(132)에 걸림 기어(137)로 치합되는 후크(135)가 힌지부재(136)를 중심으로 계속적으로 회동되어 창틀(5)에 형성되는 후크 걸림홈(113)에 걸림결합된다.
이렇게 창틀(5)에 설치되는 잠금수단(130)의 후크(135)가 걸림수단(110)의 후크 걸림홈(113)에 걸림결합될 경우, 상기 창문(7)의 전동 구동부(200) 내에 구비되되, PCB(3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자력 센서(320)가 창틀(5)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자석(330)의 자력을 감지하여 창틀(5)에 창문(7)이 완전하게 폐쇄되었음을 감지한 후 전동 구동부(200)의 구동 모터(210)를 구동시켜 회전 방지수단(150)을 구동시킨다.
즉, 상기 잠금수단(130)의 스위치(131)가 걸림수단(110)의 스트라이커(111)에 맞닿음과 동시에 전동 구동부(200)가 창틀(5)의 단부측을 향하여 이동되어 창틀(5)의 단부측에 창문(7)이 맞닿을 경우, 창문(7)의 전동 구동부(200) 내에 구비되는 자력 센서(320)가 창틀(5)에 설치되는 자석(330)의 자력을 감지하고, 이로 인해 상기 자력 센서(3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PCB(310)가 창틀(5)에 창문(7)이 완전하게 폐쇄되었음을 감지함과 동시에 구동 모터(210)를 구동시켜 상기 회전 방지수단(150)을 구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어부(300)의 PCB(310)의 제어에 의하여 구동 모터(210)를 구동시킬 경우, 상기 구동 모터(210)의 구동 기어(211)에 연결 기어(231)로 치합되는 수동작동 조그다이얼(230)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수동작동 조그다이얼(230)이 회전함에 따라 이에 연결되는 샤프트(233)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샤프트(233)의 단부에 회전 기어(235)로 치합되는 연결 샤프트(237) 및 상기 연결 샤프트(237)에 결합되는 샤프트 기어(15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샤프트 기어(153)의 고정 기어(154)에 고정 기어홈(157)으로 치합되는 회전 방지블럭(156)이 수직되게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후크 걸림홈(113)에 걸림결합된 후크(135)의 후측면에 위치하게 되며, 이로 인해 후크(135)의 회동을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회전 방지블럭(156)의 양 측면에 구비되는 롤러(158)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회전 방지블럭(156)이 보다 용이하게 상, 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창틀(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문(7)의 잠금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창틀(5)상에 창문(7)이 폐쇄되어 잠금상태를 유지할 경우,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1)의 열림을 개방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전동 구동부(200)에 구비되는 해제 버튼(240)을 누른다.
이렇게 상기 전동 구동부(200)의 해제 버튼(240)을 누를 경우, 제어부(300)의 PCB(310)가 구동 모터(210)를 구동시켜 상기 구동 모터(210)의 구동 기어(211)에 연결 기어(231)로 치합되는 수동작동 조그다이얼(230)을 회전시키고, 상기 수동작동 조그다이얼(230)에 연결되는 샤프트(233) 및 상기 샤프트(233)에 회전 기 어(235)로 치합되는 연결 샤프트(237) 및 상기 연결 샤프트(237)에 연결되는 샤프트 기어(153)를 회전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233)를 회전시켜 샤프트 기어(15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샤프트 기어(153)의 고정 기어(154)에 고정 기어홈(157)으로 치합되는 회전 방지블럭(156)이 수직되어 하방향으로 이동되며, 이로 인해 창틀(5)의 후크 걸림홈(113)에 걸림결합된 후크(135)의 후방측에 자유 공간이 형성된다.
이렇게 사용자가 해제 버튼(240)을 눌러 상기 회전 방지수단(150)을 최초의 위치로 변경시킨 다음, 창문(7)을 창틀(5)에서 개방시킨다.
이때, 상기 잠금수단(130)의 후크(135)가 회동되면서 그 단부가 후크 걸림홈(113)에서 외측으로 이탈되고, 상기 후크(135)가 계속적으로 회동될 경우, 힌지부재(136)의 외주연에 돌출형성되는 걸림 기어(137)에 걸림 기어홈(132)으로 치합되는 스위치(131)가 창문(7)측에서 창틀(5)측으로 수평이동되면서 상기 스위치(131)가 최초의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131)의 단부에 구비되는 스프링(미도시)의 가압력에 의해 스위치(131)가 창틀(5)측으로 수평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동 구동부(200)에 구비되는 전원 공급부(220)의 방전 또는 유사 시에 본 발명에 의한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1)의 잠금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창문(7)을 창틀(5)의 단부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창문(7) 에 구비되는 스위치(131)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스위치(131)의 걸림 기어홈(132)에 걸림 기어(137)로 치합되는 후크(135)를 회동시키고, 이로 인해 후크(135)를 후크 걸림홈(113)에 걸림결합시킨다.
그 다음, 사용자가 전동 구동부(200)에 구비되는 수동작동 조그다이얼(230)을 파지한 후 회전시켜 상기 수동작동 조그다이얼(230)에 연결되는 샤프트(233)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샤프트(233)에 연결되는 연결 샤프트(237) 및 샤프트 기어(153)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샤프트 기어(153)의 고정 기어(154)에 고정 기어홈(157)으로 치합되는 회전 방지블럭(156)을 수직되게 상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렇게 사용자가 전동 구동부(200)에 구비되는 수동작동 조그다이얼(230)을 조작 및 회전시켜 창틀(5)의 후크 걸림홈(113)에 걸림결합된 창문(7)의 후크(135) 후측면에 회전 방지블럭(156)을 위치시킴으로써 창틀(5)에서의 창문(7)이 잠금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창틀(5)상에 잠금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창문(7)을 개방시킬 경우, 먼저 사용자가 전동 구동부(200)에 구비되는 수동작동 조그다이얼(230)을 조작 및 회전시켜 상기 수동작동 조그다이얼(230)에 연결되는 샤프트(233)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샤프트(233)에 연결되는 연결 샤프트(237) 및 샤프트 기어(15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샤프트 기어(153)의 고정 기어(154)에 고정 기어홈(157)으로 치합되는 회전 방지블럭(156)을 수직되게 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전동 구동부(200)에 구비되는 수동작동 조그다이얼(230)을 조작 및 회전시켜 후크(135)의 후측면에 위치하는 회전 방지블럭(156)을 최초의 위치로 위치시킨 후 창틀(5)에서 창문(7)을 개방하면, 상기 잠금수단(130)의 후크(135)가 회동되면서 그 단부가 후크 걸림홈(113)에서 외측으로 이탈되고, 상기 후크(135)가 계속적으로 회동될 경우, 힌지부재(136)의 외주연에 돌출형성되는 걸림 기어(137)에 걸림 기어홈(132)으로 치합되는 스위치(131)가 창틀(5)의 내부에서 외부로 수평이동되면서 상기 스위치(131)가 최초의 위치에 위치함과 동시에 창문(7)이 창틀(5)에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미서기 창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록킹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전동 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전동 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가 창틀 및 창문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6, 도 7, 도 8,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작동 및 구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5 : 창틀,
7 : 창문, 100 : 록킹부,
110 : 걸림수단, 111 : 스트라이커,
113 : 후크 걸림홈, 130 : 잠금수단,
131 : 스위치, 132 : 걸림 기어홈,
135 : 후크, 136 : 힌지부재,
137 : 걸림 기어, 150 : 회전 방지수단,
151 : 지지체, 153 : 샤프트 기어,
154 : 고정 기어, 156 : 회전 방지블럭,
157 : 고정 기어홈, 158 : 롤러,
200 : 전동 구동부, 210 : 구동 모터,
211 : 구동 기어, 220 : 전원 공급부,
230 : 수동작동 조그다이얼, 231 : 연결 기어,
233 : 샤프트, 235 : 회전 기어,
237 : 연결 샤프트, 240 : 해제 버튼,
300 : 제어부, 310 : PCB,
320 : 자력 센서, 330 : 자석.

Claims (9)

  1. 창틀(5)과 이에 슬라이딩되는 창문(7)으로 이루어지는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을 해제시키기 위한 창호용 잠금장치에 있어서,
    창틀(5)에 구비되는 걸림수단(110)과, 상기 걸림수단(110)에 걸림결합되어 창틀(5)에 설치되는 창문(7)을 잠금시키기 위한 잠금수단(130) 및 상기 걸림수단(110)에 걸림결합된 잠금수단(130)을 고정시키기 위한 회전 방지수단(150)을 포함하는 록킹부(100);
    상기 록킹부(100)에 연결되되, 록킹부(100)의 회전 방지수단(15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210)와, 상기 구동 모터(2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220)와, 상기 회전 방지수단(150)을 수동으로 조작하되,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샤프트(233) 및 상기 샤프트(233)에 회전 기어(235)로 치합되는 연결 샤프트(237)가 연결되는 수동작동 조그다이얼(230)과, 상기 회전 방지수단(150)을 구동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 버튼(240)을 포함하는 전동 구동부(200); 및
    상기 전동 구동부(200)에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하게 연결되되, PCB(310)와 상기 PCB(310)에 연결되는 자력 센서(320)를 포함하는 제어부(300);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110)은 창틀(5)에 구비되되, 상기 잠금수단(130)에 맞닿는 스트라이커(Striker, 111)와, 상기 스트라이커(111)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후크 걸림홈(11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130)은 창문(7)에 구비되되,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스위치(131)와, 상기 스위치(131)의 하부면에 구비되되, 그 중심에 구비되는 힌지부재(136)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후크(13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131)의 하부면에 다수개의 걸림 기어홈(132)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크(135)의 힌지부재(136) 외주연 일측에 다수개의 걸림 기어(137)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후크(135)의 걸림 기어(137)가 상기 스위치(131)의 걸림 기어홈(132)에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방지수단(150)은 상기 잠금수단(130)의 하측에 위치하는 지지체(151)과, 상기 지지체(151)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샤프트 기어(153)와, 상기 샤프트 기어(153)의 일측에 구비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가 능하게 이루어지는 회전 방지블럭(15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기어(153)의 외주연 일측에 다수개의 고정 기어(154)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회전 방지블럭(156)의 일측면에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고정 기어홈(157)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 기어(153)의 고정 기어(154)가 상기 회전 방지블럭(156)의 고정 기어홈(157)에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방지블럭(156)의 각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158)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작동 조그다이얼(230)의 내측에 연결 기어(231)가 구비되고, 상기 전동 모터의 하부에 구동 기어(211)가 구비되며, 상기 수동작동 조그다이얼(230)의 연결 기어(231)가 상기 전동 모터의 구동 기어(211)에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0)는 창틀(5)의 일측면에 설치되되, 상기 전동 구동부(2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자력 센서(320)에 의해 접근 및 위치가 감지되는 자석(3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KR1020080026373A 2008-03-21 2008-03-21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KR101127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373A KR101127749B1 (ko) 2008-03-21 2008-03-21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CN200980108576.7A CN101970781B (zh) 2008-03-21 2009-03-20 用于窗和门的数字锁定装置
JP2010550609A JP5345158B2 (ja) 2008-03-21 2009-03-20 建具用デジタルロック装置
DE112009000459T DE112009000459B4 (de) 2008-03-21 2009-03-20 Digitale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Fenster und Türen
PCT/KR2009/001450 WO2009116843A2 (ko) 2008-03-21 2009-03-20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373A KR101127749B1 (ko) 2008-03-21 2008-03-21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0872A KR20090100872A (ko) 2009-09-24
KR101127749B1 true KR101127749B1 (ko) 2012-03-23

Family

ID=41358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6373A KR101127749B1 (ko) 2008-03-21 2008-03-21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774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5169U (ko) * 1996-12-12 1998-09-15 이종학 창문의 잠금장치
KR20020017890A (ko) * 2000-10-12 2002-03-07 민용 창문 잠금장치
KR20020078553A (ko) * 2001-04-04 2002-10-19 이병노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5169U (ko) * 1996-12-12 1998-09-15 이종학 창문의 잠금장치
KR20020017890A (ko) * 2000-10-12 2002-03-07 민용 창문 잠금장치
KR20020078553A (ko) * 2001-04-04 2002-10-19 이병노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0872A (ko) 200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5158B2 (ja) 建具用デジタルロック装置
US5626039A (en) Electronic safety-lock
KR100766404B1 (ko) 창문의 자동 및 수동 겸용 잠금장치
KR101145971B1 (ko)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CN101331288B (zh) 锁舌联锁装置的成套门锁
CN104196399A (zh) 翻斗式保险箱面板装置
US11220845B2 (en) Powered sash lock and control systems therefor
KR20170081886A (ko) 미닫이창용 열림 보조장치
CN107690503B (zh) 用于滑动窗的打开辅助装置
KR200423328Y1 (ko) 패 닉 기능이 내장된 모 티 스 장치
KR101127749B1 (ko)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JP2006125149A (ja) 引き違いサッシ
KR101089467B1 (ko)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KR200428164Y1 (ko) 구동모타를 내장한 도어록 모티스
JP2014118780A (ja) 扉錠
KR101383289B1 (ko)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
JP5108626B2 (ja) 扉装置
JP3113541U (ja) ドアのオートロック装置
KR101826692B1 (ko) 디지털 도어 록 장치
JP2001073614A (ja) ドアのオートロック装置
JP2013091995A (ja) サッシ
KR101891782B1 (ko) 양방향 패닉 구조체를 구비한 도어록 모티스
KR101089470B1 (ko)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JPH07217315A (ja) ダイアル錠付き金庫の操作装置
JP2007070932A (ja) 鎌付電気扉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