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8553A -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8553A
KR20020078553A KR1020010018087A KR20010018087A KR20020078553A KR 20020078553 A KR20020078553 A KR 20020078553A KR 1020010018087 A KR1020010018087 A KR 1020010018087A KR 20010018087 A KR20010018087 A KR 20010018087A KR 20020078553 A KR20020078553 A KR 20020078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window
cam plate
housing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8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1692B1 (ko
Inventor
이병노
Original Assignee
이병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노 filed Critical 이병노
Priority to KR10-2001-0018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1692B1/ko
Publication of KR20020078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8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1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16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3/2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 E05C3/3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in the form of a hoo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5/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otherwise than only rectilinearly and only pivotally or rotative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5/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otherwise than only rectilinearly and only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2005/005Pivoting bolts or catches being able to move in an additional direction, e.g. by sliding or by pivoting about an additional axis, in order to allow closing of the wing even if the bolt or catch is in its locked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이 닫힌 상태에서는 외부에서 창문을 임의로 열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조를 개선하여 걸고리와 걸림고리를 설치하지 않고도 창문을 닫기만 하면 자동으로 창문이 잠기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침입자가 창문을 통해 침입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창문프레임(1)의 내부에 설치되는 하우징(9)과, 상기 하우징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걸림돌기(10) 및 스토퍼면(11)이 구비된 래치(12)와,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래치(12)를 회동시키는 래치회동수단과, 상기 래치의 하측에 핀(19)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통공(9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거나, 하우징내에 수용되며 걸림돌기가 수용되는 걸림홈(15) 및 잠금쇠가 수용되는 록킹홈(17)이 구비된 캠판(18)과, 상기 하우징과 캠판사이에 연결된 코일스프링(20)과, 창틀프레임(4) 또는 대응되는 창문프레임(1)에 고정되어 캠판(18)의 록킹홈(17)내에 끼워져 창문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잠금쇠(16)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omitted}
본 발명은 창문이 닫힌 상태에서는 외부에서 창문을 임의로 열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벽면에는 실내의 환기 등을 목적으로 미닫이 창문이 설치되고, 이에 따라 창문을 통해 외부의 침입자가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장치의 설치가 반드시 요구된다.
도 1은 종래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종단면도로서, 창문프레임(1)에 걸림고리(2)가 스크류(3)로 고정되어 있고 이와 대응되는 창틀프레임(4) 또는 창문에는 브라켓(5)이 또 다른 스크류(6)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에는 반달형의 걸고리(7)가 회동가능하게 스크류(8)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의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에서는 창문이 닫혀있더라도 걸고리(7)가 걸림고리(2)로부터 해제되어 있어 창문을 개방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창문을 잠그고자 할 경우에는 걸고리(7)를 화살표방향으로 회동시켜 일점쇄선과 같이 걸림고리(2)에 끼워지도록 하면 창문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외부에서 창문을 열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창문이 닫힌 상태에서 반드시 걸고리(7)를 걸림고리(2)에 걸어주어야만 창문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부주의로 창문이 닫힌 상태에서 걸고리를 걸림고리에 걸지 않고 외출을 하거나, 취침을 할 경우 외부에서 침입자가 침입할 수 있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미닫이 창문에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창문의 개폐동작이 불편한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구조를 개선하여 걸고리와 걸림고리를 설치하지 않고도 창문을 닫기만 하면 자동으로 창문이 잠기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침입자가 창문을 통해 침입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창문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걸림돌기 및 스토퍼면이 구비된 래치와,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래치를 회동시키는 래치회동수단과, 상기 래치의 하측에 핀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거나, 하우징내에 수용되며 걸림돌기가 수용되는 걸림홈 및 잠금쇠가 수용되는 록킹홈이 구비된 캠판과, 상기 하우징과 캠판사이에 연결된 코일스프링과, 창틀프레임 또는 대응되는 창문프레임에 고정되어 캠판의 록킹홈내에 끼워져 창문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잠금쇠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잠금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a 및 도 4c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로서,
도 4a는 창문이 열린 상태도
도 4b는 창문이 록킹된 상태도
도 4c는 창문의 잠금상태가 해제된 상태도
도 5a 및 도 5b는 래치회동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창문프레임 4 : 창틀프레임
9 : 하우징 10 : 걸림돌기
11 : 스토퍼면 12 : 래치
13 : 손잡이 15 : 걸림홈
16 : 잠금쇠 17 : 록킹홈
18 : 캠판 20 : 코일스프링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로서, 본 발명은 창문프레임(1)의 내부에 하우징(9)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내에는 외주면에 걸림돌기(10)가 구비된 래치(12)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래치가 창문의 닫힘시 자동으로 회동하거나, 래치회동수단에 의해 인위적으로 일방향으로만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래치회동수단으로는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3 및 도 4와 같이 래치(12)의 중심점이 되는 축(14)을 창문 프레임(1)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연장하여 상기 축의 일단에 손잡이(13)를 고정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타입은 창틀프레임(4)에 접속되는 창문프레임(1)상에 본 발명을 설치할 경우에 용이하게 적용 가능하지만, 이 경우에는 통상 2개로 구성되는 창문프레임(1)에 본 발명을 각각 설치하여야 된다.
그러나 창문프레임의 접속부위에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에는 1개만 설치하여도 되지만, 상기 창문프레임은 상호 어긋나 있어 이들의 접속부위에 잠금쇠(16)가 설치되므로 인해 래치회동수단의 구성을 일 실시예와는 달리 손잡이를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래치회동수단의 구성을 달리하여야 된다.
도 5a 및 도 5b는 래치회동수단의 구성을 각각 달리 나타내고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이 설치되는 창문프레임(1)의 일측면에 푸쉬버튼(11)을 진퇴 가능하게 스프링(21)으로 탄력 설치하고 상기 래치(12)의 일단에는 푸쉬버튼의 선단이 접속되는 돌기(22)를 형성하여 푸쉬버튼(11)의 누름동작에 따라 래치(12)가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b는 창문프레임(1)의 전면에 푸쉬버튼(11)을 진퇴가능하게 스프링(21)으로 탄력 설치하되, 상기 푸쉬버튼의 선단부가 테이퍼면(11a)을 갖도록 구성하고 래치(12)에는 테이퍼면이 접속되는 절결부(12c)를 형성하여 창문프레임(1)의 전면에서 푸쉬버튼(11)을 누름에 따라 래치(12)가 일정 각도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래치(12)에 형성되는 절결부(12c)는 창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테이퍼면(11a)이 래치(12)의 회동방향면과 접속되어야 되고, 푸쉬버튼(11)을 누름에 따라 래치(12)가 일방향으로 회동되더라도 절결부(12c)의 다른 일면이 간섭을 받지 않도록 절결부(12c)의 길이(L)를 설정하여야 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12)의 하측에 걸림돌기(10)가 수용되는 걸림홈(15) 및 잠금쇠(16)가 수용되는 록킹홈(17)이 구비된 캠판(18)이 핀(19)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통공(9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거나, 하우징(9)내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하우징(9)과 캠판(18)사이에는 코일스프링(20)이 연결되어 있어 상기 걸림홈(15)내에 걸림돌기(10)가 끼워져 있지 않을 경우에는 코일스프링(20)의 복원력에 의해 도 4a와 같이 캠판(18)의 일부가 통공(9a)을 통해 하우징(9)의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코일스프링(20)의 일단은 래치(12)에 고정되어 있고 다른 일단은 캠판(18)에 고정되어 있어 캠판의 회전시 코일스프링(20)이 인장되어 복원력을 갖게 된다.
그리고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3 및 도 4와 같이 창틀프레임(4) 또는 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도 5와 같이 창문프레임(1)의 접속면 중 어느 일면에는 창문이 닫힌 상태에서 캠판(18)의 록킹홈(17)내에 끼워져 창문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잠금쇠(16)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래치(12)에 형성된 걸림돌기(10)를 이루는 제 1 경사면(12a) 및 캠판(18)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경사면에 접속되는 제 2 경사면(18a)은 이들이 접속된 상태에서 캠판(18)이 핀(19)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캠판(18)의 곡률반경(R1)과 일치되게 형성되어 있고 래치(12)에 형성된 다른 일측의 제 3 경사면(12b) 및 캠판(18)에 형성되어 상기 제 3 경사면(12b)이 접속되는 제 4 경사면(18b)은 이들이 접속된 상태에서 래치(12)가 축(14)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래치(12)의 곡률반경(R2)과 일치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 래치회동수단으로 손잡이(13)를 래치(12)에 축(14)으로 결합한 상태를 일 예로 하여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a와 같이 창문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래치(12)에 형성된 걸림돌기(10)가 캠판(18)에 형성된 걸림홈(15)으로부터 이탈되어 있어 캠판(18)이 코일스프링(20)의 복원력에 의해 핀(19)을 중심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최대한 회동상태를 유지하여 캠판의 일부가 통공(9a)을 통해 하우징(9)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캠판(18)에 형성된 록킹홈(17)이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창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창문의 외부로 노출된 손잡이(13)를 파지한 상태에서 창문을 닫아 하우징(9)의 외부로 노출된 록킹홈(17)상에 창틀프레임(4)에 고정된 잠금쇠(16)가 닫기 시작하면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있던 캠판(18)이 코일스프링(20)을 압축시키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캠판(18)이 잠금쇠(16)에 의해 회동되기 시작하면 캠판(18)에 형성된 제 2 경사면(18a)이 동일한 곡률반경(R2)으로 이루어진 래치(12)에 형성된 제 1 경사면(12a)을 따라 회동하게 된다.
계속되는 창문의 닫힘동작으로 잠금쇠(16)에 의해 캠판(18)가 완전히 회동되고 나면 도 4b와 같이 캠판(18)에 형성된 걸림홈(15)내에 래치(12)의 걸림돌기(10)가 끼워짐과 동시에 캠판(18)에 형성된 록킹홈(17)내에 잠금쇠(16)가 끼워지게 되므로 창문의 잠금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창문을 닫는 동작으로 창문의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외부에서 창문을 통해 침입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창문을 개방하기 위해 손잡이(13)를 파지한 다음 창문의 열림방향으로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래치(12)에 형성된 제 3 경사면(12b) 및 캠판(18)의 걸림홈(15)에 형성된 제 4 경사면(18b)이 동일한 곡률반경(R2)으로 이루어져 있어 래치(12)가 축(14)을 중심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약간 회동하여 걸림돌기(10)가 캠판(18)의 걸림홈(15)에서 이탈되므로 코일스프링(20)을 인장시키면서 핀(19)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있던 캠판(18)이 도 4c와 같이 반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잠금쇠(16)의 걸림상태를 자동으로 해제하게 되므로 창문을 개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열려 있던 창문을 닫기만 하면 걸림쇠가 캠판의 록킹홈에 걸리고 캠판은 래치에 지지되어 창문의 잠금상태가 자동으로 유지되므로 창문이 닫힌 상태에서 외부의 침입자가 창문을 통해 침입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또한, 창문의 개방시 래치와 캠판의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어 창문의 개폐동작이 훨씬 수월해지게 된다.
또, 그 구조가 간단함과 아울러 두께 또한 얇아 비교적 폭이 좁은 창문 프레임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4)

  1. 창문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걸림돌기 및 스토퍼면이 구비된 래치와,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래치를 회동시키는 래치 회동수단과, 상기 래치의 하측에 핀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거나, 하우징내에 수용되며 걸림돌기가 수용되는 걸림홈 및 잠금쇠가 수용되는 록킹홈이 구비된 캠판과, 상기 하우징과 캠판사이에 연결된 코일스프링과, 창틀 프레임 또는 대응되는 창문프레임에 고정되어 캠판의 록킹홈내에 끼워져 창문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잠금쇠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회동수단은 래치에 축으로 결합된 손잡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회동수단으로는 창문프레임의 일측면에 푸쉬버튼을 진퇴가능하게 스프링으로 탄력 설치하고 상기 래치의 일단에는 푸쉬버튼의 선단이 접속되는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회동수단으로는 창문프레임의 전면에 푸쉬버튼을 진퇴가능하게 스프링으로 탄력 설치하되, 상기 푸쉬버튼의 선단부가 테이퍼면을 갖도록 구성하고 래치에는 테이퍼면이 접속되는 절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
KR10-2001-0018087A 2001-04-04 2001-04-04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 KR100421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8087A KR100421692B1 (ko) 2001-04-04 2001-04-04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8087A KR100421692B1 (ko) 2001-04-04 2001-04-04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9696U Division KR200241031Y1 (ko) 2001-04-06 2001-04-06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8553A true KR20020078553A (ko) 2002-10-19
KR100421692B1 KR100421692B1 (ko) 2004-03-18

Family

ID=27699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8087A KR100421692B1 (ko) 2001-04-04 2001-04-04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16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031B1 (ko) * 2007-08-29 2008-10-30 (주)다이룸 창문용 잠금장치
KR101127749B1 (ko) * 2008-03-21 2012-03-23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CN109083904A (zh) * 2018-09-17 2018-12-25 合肥工业大学 一种搭扣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944B1 (ko) 2005-02-18 2007-0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미닫이식 창호의 업다운 메카니즘
KR20210037914A (ko) 2019-09-30 2021-04-07 (주)에스엔시 창문 안전 잠금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671B1 (ko) * 1999-07-28 2002-06-22 서종달 미닫이식 도어와 창문의 자동해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031B1 (ko) * 2007-08-29 2008-10-30 (주)다이룸 창문용 잠금장치
KR101127749B1 (ko) * 2008-03-21 2012-03-23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CN109083904A (zh) * 2018-09-17 2018-12-25 合肥工业大学 一种搭扣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1692B1 (ko) 2004-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52486A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KR100421692B1 (ko)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
US5150591A (en) Norden double door lock
KR200456588Y1 (ko) 창호용 자동 잠금장치
KR200241031Y1 (ko)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
KR100832263B1 (ko) 창문용 자동 잠금장치
KR100720192B1 (ko) 도어 로크장치
JP4127712B2 (ja) 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JPH08218703A (ja) 錠装置
KR102211878B1 (ko) 누름타입의 방충망용 이중 잠금장치
GB2201448A (en) Security device
JP2004143819A (ja) 引き違い戸のロック装置
KR100826475B1 (ko) 도어잠금장치
JP3085878B2 (ja) 両開き戸の施錠装置
KR200218009Y1 (ko) 미닫이 창문의 자동잠금장치
JP3119790B2 (ja) 両開戸の施錠装置
JP7343165B2 (ja) 補助錠
KR200339903Y1 (ko)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
KR100611563B1 (ko) 도어록 장치
JP3548895B2 (ja) 窓用クレセント
KR19980065803A (ko) 록킹부의 방향 교환이 용이한 도어의 언록킹 장치
GB2200944A (en) A fastener for a sash window or door
JP3343654B2 (ja) 引き違い戸用用心錠
KR100314258B1 (ko) 도어용 보조키의 해정 방지장치
JP2004204467A (ja) 防犯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