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7890A - 창문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창문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7890A
KR20020017890A KR1020000059950A KR20000059950A KR20020017890A KR 20020017890 A KR20020017890 A KR 20020017890A KR 1020000059950 A KR1020000059950 A KR 1020000059950A KR 20000059950 A KR20000059950 A KR 20000059950A KR 20020017890 A KR20020017890 A KR 20020017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or
locking
locking means
typ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9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용
Original Assignee
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용 filed Critical 민용
Priority to KR1020000059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7890A/ko
Publication of KR20020017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7890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3/0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bolt
    • E05C3/1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bolt the handle or member moving essentially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wing 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3/165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handle or member moving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wing 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3/167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latch pivo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에서 잠금 해제조작이 불가능하여 외부침입자의 침범을 확실하게 예방하도록 하는 버튼식 창문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들은 잠금쇠가 회동 원점을 중심으로 어느 한쪽방향에서 회동되어 외측 창문측에 걸어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인입된 반대방향인 하방에서 잠금자를 밀어올리면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외부 침입에 대한 안전도가 현저히 결여되고, 체결조작시 힘을 써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외측 창틀(11)에 부여되고, 걸림홈(111)이 상하에 대칭으로 형성되는 걸림수단(100)과; 내측 창틀(12)에 부여되며, 상기 걸림수단(100)의 상하 걸림홈(111)에 상하 양방에서 집게발 잠금쇠(210)가 인입체결되기 위한 집게발식 잠금수단(200)으로 구성되되,
상기 집게발식 잠금수단(200)은, 상기 걸림수단 상하 걸림홈(111)의 상하 방향에서 인입체결되는 집게발과, 상기 집게발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후술하는 하우징(260)에 핀고정되는 피동톱니(212)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집게발 잠금쇠(210)와; 상기 잠금쇠(210)의 피동톱니(212)와 치합되어 잠금쇠를 회동시키기 위한 조작톱니(220)와; 상기 조작톱니(220)를 이동시켜 결국 잠금장치를 체결 또는 해제토록 하는 조작자(230)와; 상기 조작자(230)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일방향기어(251)와 상기 일방향기어(251)에 대응하는 스프링발톱(252) 및 그 버튼(253)을 포함하는 조작자 저지수단(250)과; 상기 잠금쇠(210)와 조작톱니(220) 및 조작자저지수단(250)을 내부 공간에 수용하며 조작자(230)를 지지하고, 창틀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공(261)을 구비한 하우징(2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임.

Description

창문 잠금장치{A LOCKING APPARATUS FOR WINDOW}
본 발명은 창문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에서 잠금 해제조작이 불가능하여 외부침입자의 침범을 확실하게 예방하도록 하는 버튼식 창문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닫이식 창문 잠금장치는 여러 스타일이 사용되고 있으며,
도 12 및 도 13은 그 중에 대표적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에 잠금상태의 평단면도가 도시된 종래 기술Ⅰ의 창문잠금장치(20)는 외측 창틀(11)에 걸림체(21)를 부여하고, 내측 창틀(12)에 상기 걸림체(21)에 걸려 체결되기 위한 반원형의 잠금자(22)를 회전조작하여 잠금 또는 잠금해제되도록 하는 구성이며,
도 13에 잠금상태의 평단면도가 도시된 종래 기술 Ⅱ의 창문잠금장치(30)는 외측 창틀(11)에 수직홈(31)을 형성하고, 내측 창틀(12)에 상기 수직홈(31)에 인입체결되기 위한 반원판형의 잠금자(32)를 형성한 것으로서, 이 잠금자(32)를 상기 수직홈(31)에 끼워지도록 회전 조작하여 창문을 잠금, 잠금해제되도록 하는 회전잠금장치이다.
상기 종래 기술들은 잠금쇠가 회동 원점을 중심으로 어느 한쪽방향에서 회동되어 외측 창문측에 걸어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인입된 반대방향인 하방에서 잠금자를 밀어올리면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구조로 이루어져있다.
즉, 외측 창틀과 내측 창틀 사이에는 틈새가 있기 마련인데, 이 틈새로 침입자가 외부에서 예컨대 얇은 판상의 칼같은 것으로 잠금자를 밀어올리게 되면 쉽게 잠금이 해제되는 허점을 가지고 있어,
잠금장치의 생명인 외부 침입에 대한 안전도가 현저히 결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은 그 체결조작시 힘을 들여 회전시켜 주어야 하므로서, 특히 어린이 또는 노약자에게는 문단속 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잠금쇠가 회동하여 걸림체에 걸려 잠금이 이루어지되,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는 한쌍의 집게발을 갖는 집게발식 잠금수단를 부여하여, 외부에서는 결코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없도록 구성됨으로써,
외부 침입자로 부터의 안전성이 확보되는 신뢰성 있는 창문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잠금장치의 잠금 조작이 용이하여 어린이나 노약자까지도 방범 신뢰성이 높은 문단속을 쉽게 하도록 하는 창문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장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로서,
a도는 잠금상태,
b도는 잠금 해제상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의 집게발식 잠금수단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종단면도.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 실시예의 집게발식 잠금수단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걸림수단의 종단면도.
도 12는 종래 기술 일 실시예의 평단면 구성도.
도 13은 종래 기술 다른 실시예의 평단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외측 창틀 12: 내측 창틀
100: 걸림수단 110; 걸림체
111: 걸림홈 112: 스프링 장착공간
113: 고정체 습동공간 120: 고정체
121: 삽지부 122: 고정공
123: 나사공 130: 스프링
140: 볼트 200: 집게발식 잠금수단
201: 버튼식 잠금수단 202: 다이얼식 잠금수단
203: 바 타입 잠금수단 210: 집게발 잠금쇠
211: 집게발 212: 피동톱니
220: 조작톱니 221: 랙
222: 본 기어 222a: 종동기어
230: 조작자 231: 버튼 타입 조작자
232: 다이얼 타입 조작자 233: 바 타입 조작자
233a: 랙 240: 스프링
250: 조작자 저지수단 251: 일방향기어(Ratchet)
251a: 일방향 랙 252: 스프링 발톱
253: 버튼 260: 하우징
261: 고정공 262: 집게발 통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 잠금장치는,
외측 창틀에 부여되고, 걸림홈이 상하에 대칭으로 형성되는 걸림수단과;
내측 창틀에 부여되며, 상기 걸림수단의 상하 걸림홈에 상하 양방에서 집게발 잠금쇠가 인입체결되기 위한 집게발식 잠금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집게발식 잠금수단은, 상기 걸림수단 상하 걸림홈의 상하 방향에서 인입체결되는 집게발과 상기 집게발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후술하는 하우징에 핀고정되는 피동톱니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집게발 잠금쇠와;
상기 잠금쇠의 피동톱니와 치합되어 잠금쇠를 회동시키기 위한 조작톱니와;
상기 조작톱니를 이동시켜 결국 잠금장치를 체결 또는 해제토록 하는 조작자와;
상기 조작자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일방향기어와 상기 일방향기어에 대응하는 스프링발톱 및 그 버튼을 포함하는 조작자 저지수단과;
상기 잠금쇠와 조작톱니 및 조작자 저지수단을 내부 공간에 수용하며 조작자를 지지하고, 창틀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공을 구비한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집게발식 잠금수단의 상기 조작자는 버튼 타입 조작자로 형성되며;
상기 조작톱니는 직선상으로 형성되는 랙으로 상하 양방에 조작자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하 랙 사이의 내부 공간에는 잠금쇠의 풀림이 방지되기 위한 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에 일방향랙을 형성하고, 상기 일방향랙에 치합되는 스프링발톱을 상기 조작자에 핀 고정하며, 그 버튼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조작자 이동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버튼 타입 조작자를 눌러주어 집게발 잠금쇠가 조작되는 버튼식 잠금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집게발식 잠금수단의 상기 조작자는 다이얼 타입 조작자로 형성되고;
상기 조작톱니는 상기 다이얼 타입 조작자와 동축상에 일체로 회동되는 본 기어와 상기 본 기어에 피동되는 종동기어로 형성되며;
상기 다이얼 타입 조작자 내측 대응 위치의 하우징에는 일방향기어를 상기 다이얼 조작자와 동축선상에 고정 구비하고, 상기 일방향기어에 입출되는 스프링발톱을 조작자에 핀고정하며, 그 버튼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조작자 회동 저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다이얼 타입 조작자를 회동시켜 집게발 잠금쇠가 조작되는 다이얼식 잠금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집게발식 잠금수단의 상기 조작자는 일측에 랙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일방향랙이 형성되며, 일단부에는 스프링이 장착되고, 상하단이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는 바 타입 조작자로 형성되고;
상기 조작톱니는 상기 바 타입 조작자의 랙에 치합되는 본 기어와 상기 본 기어에 피동되는 종동기어로 형성되며;
상기 바 타입 조작자의 일방향랙에 입출되는 스프링발톱을 하우징에 핀고정하며, 그 버튼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조작자 저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바 타입 조작자를 눌러주어 집게발 잠금쇠가 조작되는 바 타입 잠금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상기 걸림수단은,
걸림홈이 상하에 형성되고, 내부에 스프링 장착공간과 고정체 습동공간을 구비한 걸림체와;
상기 걸림체를 삽지 습동시키기 위한 걸림체 삽지부와, 창틀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공과, 볼트 체결나사공을 구비하는 고정체와;
상기 걸림체의 스프링 장착공간에 부여되는 스프링과;
상기 걸림체 및 스프링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체에 체결되는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창문 잠금장치에 대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창문 잠금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장착상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창문 잠금장치는,
외측 창틀(11)에 부여되고, 걸림홈(111)이 상하에 대칭으로 형성되는 걸림수단(100)과;
내측 창틀(12)에 부여되며, 상기 걸림수단(100)의 상하 걸림홈(111)에 상하 양방에서 잠금쇠(210)가 인입체결되기 위한 집게발식 잠금수단(200)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집게발식 잠금수단(200)은, 상기 걸림수단 상하 걸림홈(111)의 상하 방향에서 인입체결되는 집게발(211)과 상기 집게발(211)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후술하는 하우징(260)에 핀고정되는 피동톱니(212)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집게발 잠금쇠(210)와,
상기 잠금쇠(210)의 피동톱니(212)와 치합되어 잠금쇠를 회동시키기 위한 조작톱니(220)와,
상기 조작톱니(220)를 이동시켜 결국 잠금장치를 체결 또는 해제토록 하는 조작자(230)와,
상기 조작자(230)의 이동을 저지하기 조작자 저지수단(250)과;
상기 잠금쇠(210)와 조작톱니(220) 및 조작자 저지수단(250)을 내부 공간에 수용하며 조작자(230)를 지지하고, 창틀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공(261)과 상기 집게발 잠금쇠(210)의 입출회동이 자유롭기 위한 집게발 통로(262)를 구비한 하우징(2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260)은 부품조립을 위하여 분할 조립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로서 상기 조작자 저지수단을 중심으로잠금상태(a) 및 해제상태(b)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자가 저절로 움직이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저지수단(250)으로서, 상기 하우징(260)에 일방향(Ratchet)랙(251a)을 형성하고, 상기 일방향랙(251a)에 치합되는 스프링발톱(252)을 상기 조작자(231)에 핀 고정하며, 상기 스프링발톱(252)을 조작하기 위한 버튼(253)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집게발식 잠금수단(200)은 상기 조작자(230)를 버튼 타입 조작자(231)로 형성하여 이 버튼 타입 조작자(231)를 눌러주어 집게발 잠금쇠(210)가 개폐조작되는 버튼식 잠금수단(201)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버튼식 잠금수단(201)에서는,
상기 조작톱니(220)는 직선상으로 형성되는 랙(221)으로 상하 양방에 버튼 타입 조작자(231)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하 랙(221) 사이의 내부 공간에는 잠금쇠(210)의 풀림이 방지되기 위한 스프링(240)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260)에 일방향랙(251a)을 형성하고, 상기 일방향랙(251a)에 치합되는 스프링발톱(252)을 상기 조작자(231)에 핀 고정하며, 그 버튼(253)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조작자 이동저지 수단(25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의 잠금수단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A-A선 상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의 잠금수단은 상기 조작자(230)를 다이얼 타입 조작자(232)로 형성하고, 상기 다이얼 타입 조작자(232)를 회동시켜 집게발 잠금쇠(210)가 개폐조작되는 다이얼식 잠금수단(202)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다이얼식 잠금수단(202)에서는
상기 조작톱니(220)는 상기 다이얼 타입 조작자(232)와 동축상에 일체로 회동되는 본 기어(222)와 상기 본 기어(222)에 피동되는 종동기어(222a)로 형성되며,
상기 다이얼 타입 조작자(232) 내측 대응 위치의 하우징(260)에는 일방향기어(251b)를 상기 다이얼 조작자(232)와 동축선상에 고정 구비하고, 상기 일방향기어(251b)에 입출되는 스프링발톱(252)을 조작자(232)에 핀고정하며, 그 버튼(253)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조작자 회동 저지수단(25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다이얼 타입 조작자(232)의 외주면에는 통상의 미끄럼방지 요철(232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 실시예의 잠금수단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 실시예의 잠금수단은 상기 조작자(230)를 일측에 랙(233a)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일방향(Ratchet)랙(251c)이 형성되며, 일단부에는 스프링(240)이 장착되고, 상하단이 하우징(260) 외부로 돌출되는 바 타입 조작자(233)로 형성하여, 상기 바 타입 조작자(233)를 눌러주어 집게발 잠금쇠(210)가 개폐조작되는 바 타입잠금수단(203)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바 타입 잠금수단(203)에서는,
상기 조작톱니(220)는 상기 바 타입 조작자(233)의 랙(233a)에 치합되는 본 기어(223)와 상기 본 기어(223)에 피동되는 종동기어(223a)로 형성되며,
상기 바 타입 조작자(233)의 일방향랙(251c)에 입출되는 스프링발톱(252)을 하우징(260)에 핀고정하며, 그 버튼(253)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조작자 저지수단(25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걸림수단(100)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상기 걸림수단(100)은, 걸림홈(111)이 상하에 형성되고, 내부에 스프링 장착공간(112)과 고정체 습동공간(113)을 구비한 걸림체(110)와;
상기 걸림체(110)를 삽지 습동시키기 위한 걸림체 삽지부(121)와, 창틀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공(122)과, 볼트 체결나사공(123)을 구비하는 고정체(120)와;
상기 걸림체가 장력을 갖기 위해 상기 걸림체(110)의 스프링 장착공간(112)에 부여되는 스프링(130)과;
상기 걸림체(110) 및 스프링(130)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체(120)에 체결되는 볼트(1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을 지닌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살펴본다.
본 발명은 외측 창틀에 고정되는 걸림수단(110)에 걸림홈(111)이 상하 양방으로 형성되고, 여기에 양방에서 회동 인입되어 체결되는 한 쌍의 집게발 걸림쇠(210)가 본 발명의 핵심이다.
상기 집게발 걸림쇠(210)는 일단에 핀 고정으로 형성된 피동톱니(212)의 회동으로 상하 대칭으로 회동되어 상기 걸림체(110)의 걸림홈(111)에 집게발(211)이 상하방에서 인입 체결되게 되는데,
상기 버튼식 잠금수단(201)을 채용한 예로서 그 작동과정을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본다.
먼저 잠금상태에서의 해제작동은, 버튼 타입 조작자(231)를 눌러주면 조작자 저지수단(250)의 저지를 받지 않으면서 조작자(231)가 진입되어 이와 일체로 상하에 형성된 조작톱니(220)인 랙(221)이 이동되면서 상기 집게발 잠금쇠(210)의 피동톱니(212)를 회동시켜 집게발(211)을 하우징 내부로 불러들이고, 결국 잠금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이 때에 조작톱니(220)인 랙(221)이 일체로 형성된 조작자(231)는 후퇴하는 방향으로 스프링(240)의 탄력을 받지만, 조작자 저지수단(250)으로 하여 그 위치에 머무르게 된다.
한편,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의 잠금작동은, 버튼 타입 조작자(231)에 구비된 조작자 저지수단의 버튼(253)을 눌러주면, 지금까지 조작자(231)를 받쳐주고 있던 스프링발톱(252)이 하우징(260)에 고정형성된 일방향(Ratchet)랙(251a)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조작자가 스프링(240)의 탄력으로 후퇴하게 되고 따라서, 조작톱니인 랙(221)이 일체로 후퇴됨으로써 집게발 잠금쇠(210)를 회동시켜 걸림수단의걸림홈(111)의 상하방으로 인입 체결된다.
이 때, 상기 걸림수단의 걸림체(110)는 살짝 눌러준 상태에서 체결되면, 내부에 장착된 스프링(130)의 탄력으로 소정의 장력을 받게되어 잠금쇠(210)의 체결이 더욱 견고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인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상기 다이얼식 잠금수단(202)은 조작자(230)가 다이얼 타입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다이얼 타입 조작자(232)를 회동시키면 조작자(232)와 동축상에 일체로 결합된 조작톱니인 본 기어(222)가 회동되고, 상부 집게발 잠금쇠(210)를 회동시켜 개폐조작한다.
동시에, 회전방향을 바꾸어 주기 위해 상기 본 기어(222)에 맞물린 종동기어(222a)가 하부 집게발 잠금쇠(210)를 상부와 대응 회동시켜 개폐조작이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조작자 저지수단(250)의 하우징(260)에 고정된 일방향 기어(Ratchet)(251)와 조작자(232)에 핀고정된 스프링발톱(252)에 의하여 잠금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고, 버튼(253)을 누른 상태에서 다이얼 타입 조작자(232)를 돌리면 역방향회전이 가능하여 잠금이 해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인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상기 바 타입 잠금수단(203)은 조작자(230)가 일측에는 조작톱니(223)를 움직이기 위한 랙(233a)을, 타측에는 저지수단(250)의 일방향랙(251c)을 형성한 바 타입(233)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잠금상태에서 상기 바 타입 조작자(233)를 위에서 눌러 주면 조작톱니(220)인 본 기어(223)와 종동기어(223a)가 회동되어 상하 집게발(211)을 하우징 내부로 불러들여 잠금을 해제하고,
해제 상태에서의 잠금조작은, 조작자 저지수단(250)의 버튼(253)을 눌러주면 스프링(240)의 탄력으로 바 타입 조작자(233)가 수직 상승하면서 결국 상기 집게발 잠금쇠(210)를 체결방향으로 회동시켜 집게발(211)이 걸림체(110)의 요입홈(111)에 인입되어 스프링(240)의 탄력을 받으며 견고하게 잠금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하에 요입홈(111)이 형성된 걸림수단(100)의 상하부에서 집게발 잠금쇠(110)가 조여들어 오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창틀 사이의 틈을 이용한 외부에서의 잠금 해제조작이 불가능하다.
즉, 외부에서 예컨대 칼 같이 얇은 것을 창틀 사이에 끼워넣어 잠금쇠를 밀어올리거나 밀어내려 잠금을 풀려 할 경우, 상하 양방에 형성된 집게발의 잠금 체결을 더욱 견고하게 할 뿐이어서, 외부에서의 침입을 확실히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제예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문 잠금장치는,
상하에 요입홈이 형성된 걸림수단의 상하부에서 집게발 잠금쇠가 조여들어 오는 구조로서, 창틀 사이의 틈을 이용한 외부에서의 잠금 해제조작이 불가능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인 외부에서의 침입이 확실히 방지되어 문단속에 있어서만큼은 안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조작방법이 버튼 또는 조작자를 가볍게 눌러 주거나 돌려주어 개폐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어린이, 노약자라도 힘들이지 않고, 간단하게 방범 안전성이 확실한 문단속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대단히 유익한 기술이다.

Claims (6)

  1. 외측 창틀(11)에 부여되고, 걸림홈(111)이 상하에 대칭으로 형성되는 걸림수단(100)과;
    내측 창틀(12)에 부여되며, 상기 걸림수단(100)의 상하 걸림홈(111)에 상하 양방에서 집게발 잠금쇠(210)가 인입체결되기 위한 집게발식 잠금수단(20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잠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발식 잠금수단(200)은, 상기 걸림수단 상하 걸림홈(111)의 상하 방향에서 인입체결되는 집게발(211)과, 상기 집게발(211)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후술하는 하우징(260)에 핀고정되는 피동톱니(212)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집게발 잠금쇠(210)와;
    상기 잠금쇠(210)의 피동톱니(212)와 치합되어 잠금쇠를 회동시키기 위한 조작톱니(220)와;
    상기 조작톱니(220)를 이동시켜 결국 잠금장치를 체결 또는 해제토록 하는 조작자(230)와;
    상기 조작자(230)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일방향기어(251)와 상기 일방향기어(251)에 대응하는 스프링발톱(252) 및 그 버튼(253)을 포함하는 조작자저지수단(250)과;
    상기 잠금쇠(210)와 조작톱니(220) 및 조작자 저지수단(250)을 내부 공간에 수용하며 조작자(230)를 지지하고, 창틀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공(261)을 구비한 하우징(2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잠금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발식 잠금수단(200)의 상기 조작자(230)는 버튼 타입 조작자(231)로 형성되며;
    상기 조작톱니(220)는 직선상으로 형성되는 랙(221)으로 상하 양방에 조작자(231)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하 랙(221) 사이의 내부 공간에는 잠금쇠(210)의 풀림이 방지되기 위한 스프링(240)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260)에 일방향랙(251a)을 형성하고, 상기 일방향랙(251a)에 치합되는 스프링발톱(252)을 상기 조작자(231)에 핀 고정하며, 그 버튼(253)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조작자 이동저지 수단(251)을 구비하고;
    상기 버튼 타입 조작자(231)를 눌러주어 집게발 잠금쇠(210)가 조작되는 버튼식 잠금수단(201)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잠금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발식 잠금수단(200)의 상기 조작자(230)는 다이얼 타입 조작자(232)로 형성되고;
    상기 조작톱니(220)는 상기 다이얼 타입 조작자(232)와 동축상에 일체로 회동되는 본 기어(222)와 상기 본 기어(222)에 피동되는 종동기어(222a)로 형성되며;
    상기 다이얼 타입 조작자(232) 내측 대응 위치의 하우징(260)에는 일방향기어(251b)를 상기 다이얼 조작자(232)와 동축선상에 고정 구비하고, 상기 일방향기어(251b)에 입출되는 스프링발톱(252)을 조작자(232)에 핀고정하며, 그 버튼(253)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조작자 회동 저지수단(250)을 구비하고;
    상기 다이얼 타입 조작자(232)를 회동시켜 집게발 잠금쇠(210)가 조작되는 다이얼식 잠금수단(20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잠금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발식 잠금수단(200)의 상기 조작자(230)는 일측에 랙(233a)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일방향랙(251c)이 형성되며, 일단부에는 스프링(240)이 장착되고, 상하단이 하우징(260) 외부로 돌출되는 바 타입 조작자(233)로 형성되고;
    상기 조작톱니(220)는 상기 바 타입 조작자(233)의 랙(233a)에 치합되는 본 기어(223)와 상기 본 기어(223)에 피동되는 종동기어(223a)로 형성되며;
    상기 바 타입 조작자(233)의 일방향랙(251c)에 입출되는 스프링발톱(252)을하우징(260)에 핀고정하며, 그 버튼(253)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조작자 저지수단(250)을 구비하고;
    상기 바 타입 조작자(233)를 눌러주어 집게발 잠금쇠(210)가 조작되는 바 타입 잠금수단(20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잠금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100)은, 걸림홈(111)이 상하에 형성되고, 내부에 스프링 장착공간(112)과 고정체 습동공간(113)을 구비한 걸림체(110)와;
    상기 걸림체(110)를 삽지 습동시키기 위한 걸림체 삽지부(121)와, 창틀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공(122)과, 볼트 체결나사공(123)을 구비하는 고정체(120)와;
    상기 걸림체(110)의 스프링 장착공간(112)에 부여되는 스프링(130)과;
    상기 걸림체(110) 및 스프링(130)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체(120)에 체결되는 볼트(1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잠금장치.
KR1020000059950A 2000-10-12 2000-10-12 창문 잠금장치 KR200200178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9950A KR20020017890A (ko) 2000-10-12 2000-10-12 창문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9950A KR20020017890A (ko) 2000-10-12 2000-10-12 창문 잠금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4563U Division KR200214121Y1 (ko) 2000-08-30 2000-08-30 창문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7890A true KR20020017890A (ko) 2002-03-07

Family

ID=19693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9950A KR20020017890A (ko) 2000-10-12 2000-10-12 창문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789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156B1 (ko) * 2006-08-17 2008-03-06 이재민 슬라이딩 도어 잠금장치
KR101127749B1 (ko) * 2008-03-21 2012-03-23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CN111255293A (zh) * 2018-12-03 2020-06-09 亚萨合莱新西兰有限公司 锁组件
KR102478406B1 (ko) * 2022-05-27 2022-12-20 주식회사 한일윈 IoT모듈을 이용한 화재 대응 배연창 및 방범 방충망 열림 시스템
KR20230109796A (ko) * 2022-01-13 2023-07-21 주식회사 로뎀창호건축기술 테라스 방범방충망용 손잡이겸용 수동 잠금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156B1 (ko) * 2006-08-17 2008-03-06 이재민 슬라이딩 도어 잠금장치
KR101127749B1 (ko) * 2008-03-21 2012-03-23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CN111255293A (zh) * 2018-12-03 2020-06-09 亚萨合莱新西兰有限公司 锁组件
US11549285B2 (en) 2018-12-03 2023-01-10 Assa Abloy New Zealand Limited Lock assembly
KR20230109796A (ko) * 2022-01-13 2023-07-21 주식회사 로뎀창호건축기술 테라스 방범방충망용 손잡이겸용 수동 잠금장치
KR102478406B1 (ko) * 2022-05-27 2022-12-20 주식회사 한일윈 IoT모듈을 이용한 화재 대응 배연창 및 방범 방충망 열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38047C (en) Joint rod lock
US4617810A (en) Sliding glass door lock
EP3497028B1 (en) A key-releasable securing device
CA2895850C (en) Latch mechanism for an exit device
KR20020017890A (ko) 창문 잠금장치
KR200214121Y1 (ko) 창문 잠금장치
KR100752053B1 (ko) 미닫이 창문용 자동 잠금장치
KR100421692B1 (ko)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
KR102302406B1 (ko) 조합식 잠금장치를 이용한 출구 장치 도깅
KR100773299B1 (ko) 슬라이딩 창문의 잠금장치
KR200352130Y1 (ko) 출입문용 안전 도어록 장치
KR200271104Y1 (ko) 창문자동잠금장치의 구조
DE50102893D1 (de) Schloss mit Falle und Riegel
KR960005230Y1 (ko) 도어용 보조 자물쇠
KR200165815Y1 (ko) 셔터용 잠금장치의 안전장치
RU2077647C1 (ru) Замок
KR200241031Y1 (ko) 미닫이 창문의 잠금장치
JPH0737013Y2 (ja) グレーチング蓋用施錠装置
KR200182624Y1 (ko) 슬라이딩도어용 잠금장치
JP2006144386A (ja) 面付錠の取付構造及びそれに用いる面付錠取付板
JP2003038809A (ja) 遊技機の扉開閉安全装置
KR200198740Y1 (ko) 미닫이 창호의 자동 잠금장치
KR200166849Y1 (ko) 출입문잠금장치의잠금구
KR19990078540A (ko) 자석을이용한창문자동잠금장치
JPH0737014Y2 (ja) グレーチング蓋用施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