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9093B1 - 알에프를 이용한 기계경호 경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알에프를 이용한 기계경호 경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9093B1
KR100739093B1 KR1020060036772A KR20060036772A KR100739093B1 KR 100739093 B1 KR100739093 B1 KR 100739093B1 KR 1020060036772 A KR1020060036772 A KR 1020060036772A KR 20060036772 A KR20060036772 A KR 20060036772A KR 100739093 B1 KR100739093 B1 KR 100739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urity
emergency signal
motor
signal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6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양우
Original Assignee
(주) 코리아파킹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코리아파킹시스템 filed Critical (주) 코리아파킹시스템
Priority to KR1020060036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90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9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9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2Mechanical actuation of the alarm, e.g. by the breaking of a wi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에프를 이용한 기계경호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보안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비상신호를 발생시키는 휴대용 송신기와 상기 송신기로부터 전송된 비상신호를 수신하여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수신기로 구성되는 송수신장치와, 상기 송수신장치로부터 비상신호를 수신하거나 보안장치로부터 비상신호 또는 해제신호가 수신되면, 구동장치를 제어하여 비상신호 또는 해제신호에 따른 보안조치를 수행하는 제어장치 및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비상신호 또는 해제신호에 따른 보안조치를 직접 수행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알에프를 이용한 기계경호 경보 시스템이 제공된다.
알에프(RF), 보안조치, 비상신호, 해제신호, 보안시스템

Description

알에프를 이용한 기계경호 경보 시스템{The machine escort alert system which uses a RF}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알에프를 이용한 기계경호 경보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 중 주차장에 설치되는 바리게이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 중 출입문 또는 창문에 설치되는 보안창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송수신장치 110 : 송신기
120 : 수신기 200 : 제어장치
300 : 구동장치 310,410 : 모터
320,420 : 리미트스위치 330 : 벨트
340 : 솔(SOL) 350 : 바리게이트
460 : 보안창문 470 : 스크루우기어
480 : 보안창틀
본 발명은 알에프를 이용한 기계경호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주차장, 은행, 편의점 등에서 납치 또는 범죄 등의 위급상황에서 휴대용 송신기로 비상신호를 전송하게 되면 상기 비상신호를 수신하여 자동적으로 바리게이트 또는 보안창문 등을 개폐하여 1차적인 보안조치(기계경호 또는 경보)를 수행하고, 상기 위급상황을 경비실, 경찰서 또는 보안관련 업체에 신속하게 알릴 수 있는 알에프를 이용한 기계경호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회가 발달하고 다원화함에 따라 고도의 보안이나 경비를 유지해야 하는 객체, 예컨대, 중요시설, 사업시설, 공공시설, 사무소, 흥행장, 주택, 창고, 행사자, 유원지, 항공기, 기타 등등에서 많은 보안사고가 발생하고 있고, 상기와 같이 경비를 요하는 시설 및 장소에서의 도난, 화재, 납치 등을 방지하기 위해 통상 침입검출 경보시스템이나 보안시스템을 구축하여 활용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경보설비 시스템들은 침입자의 수법이 다양해짐에 따라 과학적으로 다양해졌는데, 과거에는 잠금장치 정도로도 만족하였으나 최근에는 비상용 벨이나 적외선 경보장치 등 첨단화되어 가고 있으며,
특히, 사무실, 주차장, 은행 또는 가정뿐만 아니라 상가 등 각소에서 외부인 의 침입을 방지하거나 기밀유지, 납치 및 범죄 등에 따른 보안관리의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폐쇄회로 시스템(CCTV)기술과 경비관련 보안시스템 기술은 따로따로 분리되어 있었는데, 일부 통합된 기술마저도 개인들이 갑작스러운 위험에 처한 상태를 알리거나 위험요소가 있는 상황을 알더라도 개인들을 상대로 한 경비업무를 일일이 지원받을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여 개인들의 신변을 스스로 책임져야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기 때문에 폐쇄회로시스템은 별도의 법규 상황에 준한 단순 시스템으로 설치되었고, 설사 완벽한 시스템을 설치하려면 기존의 설치 기준에 몇 배 또는 몇십 배 증설 설치를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완벽히 사각지대를 없앤 증설 설치라도 경비원이 모니터 화면을 24시간 보며 짧은 시간 내에 일어나는 범법 행위를 감지할 수 없어서 그 대안으로 사설 경비관련 보안 시스템을 통해 급작스러운 범법 행위에 노출된 위험상황을 일부나마 도움을 요청받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사무실, 주차장, 은행 또는 편의점 등에서 납치, 범죄 등의 위급상황이 발생할 때, 휴대용 송신기로 비상신호를 전송하게 되면 상기 비상신호를 수신기가 수신하여 자동적으로 바리게이트 또는 보안창문 등을 개폐하여 1차적인 보안조치(기계 경호 또는 경보)를 수행하고, 위급상황을 경찰서, 경비실 또는 보안관련 업체 등에게 알려 2차적인 보안조치를 수행할 수 있는 알에프를 이용한 기계경호 경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은, 보안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비상신호를 발생시키는 휴대용 송신기와 상기 송신기로부터 전송된 비상신호를 수신하여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수신기로 구성되는 송수신장치와, 상기 송수신장치로부터 비상신호를 수신하거나 보안장치로부터 비상신호 또는 해제신호가 수신되면, 구동장치를 제어하여 비상신호 또는 해제신호에 따른 보안조치를 수행하는 제어장치 및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비상신호 또는 해제신호에 따른 보안조치를 직접 수행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알에프를 이용한 기계경호 경보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알에프를 이용한 기계경호 경보 시스템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알에프를 이용한 기계경호 경보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알에프를 이용한 기계경호 경보 시스템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은 송수신장치(100), 제어장치(200), 구동장치(300) 및 보안장치(4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송수신장치(100)는 휴대용 송신기(110)와 수신기(120)로 구성되는데,
상기 휴대용 송신기(110)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는 송신기로서 리모컨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사무실, 주차장, 은행, 편의점 등에서 납치 또는 범죄 등의 위급상황에 맞춰 상기 휴대용 송신기의 특정버튼을 일정시간(예, 3초 이상) 누름으로써 비상신호인 알에프(RF)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수신기(12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상기 알에프(RF)신호 대신에 최근 근거리 무선통신인 지그비(Zigbee) 통신 또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지그비통신 또는 블루투스 통신 영역안에서 특정버튼을 누름으로써 비상신호를 발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수신기(120)는 사무실, 주차장, 은행 등의 천장 또는 벽면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휴대용 송신기(110)로부터 전송된 비상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장치(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경광등 또는 사이렌 등과 같은 알람기능을 포함하여 비상신호가 수신됨과 동시에 경광등 또는 사이렌 등으로 위급상황을 알리게 된다.
특히, 상기 수신기(120)는 상기와 같이 단순히 비상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장치(200)로 전송할 수도 있지만, 상기 보안장치(400)와 유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신된 비상신호를 제어장치(200)를 거치지 않고 직접 보안장치(400)로 전송하여 위급상황을 알리고, 상기 보안장치(400)로부터 해제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위급상황에 따른 보안조치를 해제할 수도 있고, 또한, 상기 수신기(120)에 다수 개의 특정버튼을 제공하여 사용자 또는 은행직원들로부터 직접 비밀번호와 함께 특정버튼을 누름으로써 상기 위급상황에 따른 보안조치를 해제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장치(200)는 상기 수신기(120)로부터 비상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보안장치(400)로 전송하고, 상기 수신기(120)로부터 비상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보안장치(400)로부터 비상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구동장치(300)를 제어하여 위급상황에 따라 바리게이트를 설치하거나 또는 보안창문을 닫고 경광등, 사이렌 등을 통하여 외부로 위급상황을 알리는 등 1차적인 보안조치를 수행하고,
상기 보안장치(400)로부터 해제신호가 수신되면, 경광등 또는 사이렌 등을 꺼고 상기 구동장치(300)를 제어하여 해제신호에 따른 바리게이트를 원위치시키거나 또는 보안창문을 여는 등의 1차적인 보안조치를 해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주차장에 설치된 경우는 차량의 출입을 제한하는 주차차단기의 감지기와 연결되어 상기 비상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주차차단기의 감지기를 제어하여 주차차단기가 오픈(Open)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출차를 저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장치(300)는 사무실, 주차장, 은행 등의 출입구, 출입문 또는 창문 등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장치(200)의 제어에 따라 납치 또는 범죄를 저지른 차량의 출차를 저지하기 위하여 경광등 또는 사이렌 등을 통하여 외부로 알리고, 자동적으로 바리게이트를 설치하거나 범인이 도주하지 못하도록 출입문 및 창문 등에 설치된 보안창문을 강제로 닫히도록 하는 등의 1차적 보안조치를 직접적으로 수행한다.
또한, 상기 해제신호에 따라 바리게이트나 출입문 또는 창문 등에 설치된 보안창문을 원위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구동장치(300)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 중 주차장에 설치되는 바리게이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경비실 또는 경찰서에 설치되는 보안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와 도 4a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에 설치되는 바리게이트와 그 동작원리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인 알에프를 이용한 기계경호 경보 시스템을 주차장에 설치하여 납치 또는 범죄를 저지른 차량의 출차를 저지할 경우,
상기 구동장치(300)는 모터(310), 리미트스위치(320), 벨트(330), 솔(340) 및 바리게이트(3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모터(310)는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순방향 또는 역방향의 회전에 따라 상기 벨트(330)가 상기 바리게이트의 회전축을 회전시키게 되어 상기 바리게이트를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모터(310)는 상기 납치 또는 범죄를 저지른 차량의 출차를 저지하기 위하여 180도를 기준으로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다수 개의 철침이 박힌 바리게이트를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상기 모터의 회전을 위하여 감속기 및 브레이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미트스위치(320)는 두 개의 리미트스위치로 구성되어 상기 모터의 순방향의 회전각도(예, 180도)를 감지하거나 역방향의 회전각도(예, 180도)을 감지한 후 그 정보를 상기 제어장치(200)로 전송하게 되고, 상기 제어장치(200)는 상기 정보를 수신하여 구동중인 모터(310)를 감속기와 브레이크를 이용하여 정지시켜 180도 순방향 또는 180도 역방향의 회전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벨트(330)는 상기 모터(310)와 바리게이트(350)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순방향 또는 역방향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바리게이트(350)를 직접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바리게이트(350)는 뾰족한 다수 개의 철침이 박혀있는 부분이 지상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모터(310)에 연결된 벨트(330)에 의해 180도 순방향 또는 180도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납치 또는 범죄 등 차량의 타이어를 펑크냄으로써 출차를 저지하게 된다.
상기 솔(340)은 상기 바리게이트의 회전축에 삽입되어 상기 모터(310)에 의해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된 바리게이트(350)를 단단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4a에 도시된 보안장치(400)는 경비실, 경찰서 또는 보안관련 업체에 설치될 수 있는 장치로써, 사용자에 의해 비상신호가 수신되면 자동적으로 1차적인 보안조치(기계경호 또는 경보)가 수행되거나 상기 경비실, 경찰서 또는 보안관련 업체에서 비상버튼을 눌렀을 경우 자동적으로 1차적인 보안조치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고, 경비원, 경찰 또는 보안업체 인원이 현장으로 즉시 출동할 수 있도록 알리는 2차적인 보안조치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경비실, 경찰서 또는 보안관련 업체에서 해제버튼을 눌렀을 경우만 상기 자동적으로 수행된 1차적인 보안조치(기계경호 또는 경보)를 해제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알에프를 이용한 기계경호 경보 시스템을 주차장에 설치하였을 경우 그 동작원리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가 납치 또는 범죄의 목적으로 위급상황에 처하게 되면,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휴대용 송신기(110)를 일정시간(예, 3초 이상) 누르게 되면,
상기 휴대용 송신기(110)는 비상신호인 알에프(RF) 신호를 발생시켜 주차창 각층마다 설치된 상기 수신기(120)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수신기(120)는 비상신호인 알에프(RF)신호를 수신하여 경광등 또는 사이렌 등의 알람기능을 이용하여 외부로 위급상황임을 알리고 상기 제어장치(200)로 비상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상기 제어장치(200)는 상기 구동장치(300)를 제어하여 바리게이트를 설치하여 차량의 출차를 저지하는 1차적인 보안조치를 수행하고,
다시 경비실 또는 경찰서 등에 설치된 보안장치(400)로 상기 비상신호를 전송하여 경광등 또는 사이렌 등을 통하여 위급상황이 발생되었음을 경비원 또는 경찰 등의 외부인에게 알리게 된다.
상기 제어장치(200)는 1차적인 보안조치를 수행하기 위하여 구동장치의 모터(310)를 순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은 벨트(330)에 의해 상기 다수 개의 철침으로 구성된 바리게이트(350)의 회전축으로 전달되어 상기 바리게이트(350)가 순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회전중인 모터의 180도 순방향 회전각도를 리미트스위치(320)가 감지하여 그 정보를 제어장치(200)로 전송하면 상기 제어장치(200)는 감속기와 브레이크를 이용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모터(310)는 순방향으로 180도만 회전하게 되고, 마찬가지로 상기 벨트에 의해 회전하던 다수 개의 철침으로 구성된 바리게이트(350)는 180도 순방향으로 회전 후 정지하게 되고,
상기 정지된 바리게이트(350)는 바리게이트의 회전축에 삽입되는 솔(340)에 의해 단단하게 고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상기 바리게이트(350)의 철침은 지상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단단히 고정되고, 바리게이트에 포함된 다수 개의 철침들은 납치 또는 범죄를 저지른 차량의 타이어를 펑크냄으로써 출차를 저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200)는 주차차단기의 감지기를 제어하여 주차차단기의 오픈(Open)기능을 하지 못하도록 제어하여 차량의 출차도 저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비상신호에 따른 1차적인 보안조치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비실 또는 경찰서 등에 설치된 보안장치(400)의 해제버튼을 통해 해제할 수가 있다.
상기 보안장치(400)의 해제버튼을 누르게 되면,
상기 제어장치(200)는 바리게이트의 회전축에 삽입되는 솔(340)을 빼내고 구동장치의 모터(31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모터의 회전은 벨트(330)에 의해 상기 다수 개의 철침으로 구성된 바리게이트(350)의 회전축으로 전달되어 상기 바리게이트(35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회전중인 모터의 180도 역방향 회전각도를 리미트스위치(320)가 감지하여 그 정보를 제어장치(200)로 전송하면 상기 제어장치(200)는 감속기와 브레이크를 이용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모터(310)는 역방향으로 180도만 회전하게 되고, 마찬가지로 상기 벨트에 의해 회전하던 다수 개의 철침으로 구성된 바리게이트(350)는 180도 역방향으로 회전 후 정지하게 되고,
상기 바리게이트(350)가 완전히 해제되면, 경광등 또는 사이렌 등의 알람기 능을 이용하여 외부로 알리던 수신기(120)도 그 작동을 멈추고, 상기 제어장치(220)는 주차차단기의 감지기를 해제하여 주차차단기가 동작할 수 있도록 원상복구시키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 중 출입문 또는 창문에 설치되는 보안창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경비실 또는 경찰서에 설치되는 보안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과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은행 또는 편의점 등에 설치되는 보안창문과 그 동작원리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인 알에프를 이용한 기계경호 경보 시스템을 은행 또는 편의점 등에 설치하여 납치 또는 범죄를 저지르는 범인을 저지할 경우,
상기 구동장치는 모터(410), 리미트스위치(420), 스크루우 기어(470), 보안창문(460), 보안창틀(480) 및 열림 방지용 락(도시안됨)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모터(410)는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되고, 상기 순방향 또는 역방향의 구동에 따라 상기 스크루우 기어(470)로 그 힘을 보안창문(460)으로 전달하여 상기 보안창문(460)의 개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리미트스위치(420)는 4 개의 리미트스위치로 구성되어 상기 모터의 순방향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보안창문(460)을 감지하거나 역방향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보안창문(460)을 감지한 후 그 정보를 상기 제어장치(200)로 전송하게 되고, 상기 제어장치(200)는 상기 정보를 수신하여 구동중인 모터(410)를 감속기와 브레이크를 이용하여 정지시켜 순방향 또는 역방향의 회전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스크루우 기어(470)는 상기 모터(410)와 보안창문의 상하 일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410)가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보안창문(460)을 개폐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스크루우 기어(470)는 보안창문의 형태와 은행 또는 편의점 등의 위치에 따라 스큐우 기어, 베벨기어, 하이포드 기어, 워엄과 워엄기어 등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보안창문(460)은 상기 스크루우 기어(470)와 연결되어, 상기 납치 또는 범죄를 저지르는 범인을 저지하기 위하여 사무실, 은행 등의 입구 및 창문에 설치되는 철창문으로 상기 모터의 회전과 스크루우 기어(470)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보안창틀(480)은 상기 보안창문(460)을 가이드를 따라 움직이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도하여 용이하게 보안창문(460)이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창틀이다.
상기 보안창틀(480)에는 열림 방지 락(도시안됨)을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여 상기 보안창문(460)을 고정시켜 상기 납치 또는 범죄를 저지른 범인이 강제적으로 상기 보안창문(460)을 열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b에 도시된 보안장치(400)는 경비실, 경찰서 또는 보안관련 업체에 설치될 수 있는 장치로써,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전송된 비상신호를 유선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한 후 비상신호가 발생된 해당 위험지역을 표시하고, 비상신호에 따른 해당 지역의 보안조치를 수행하고, 상기 수행된 보안조치를 직접 해제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제어버튼을 제공하는 디코더와, 상기 비상신호를 경광등 또는 싸이렌 등으로 외부로 알리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여 경비원, 경찰, 보안요원 등이 현장으로 출동할 수 있도록 2차적인 보안조치를 수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알에프를 이용한 기계경호 경보 시스템은 은행에 설치하였을 경우 그 동작원리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금융기관(예, 은행)에 강도가 침입한 위급상황에 처하게 되면, 사용자 또는 직원들이 휴대하고 있는 휴대용 송신기(110)를 일정시간(예, 3초 이상) 누르게 되면,
상기 휴대용 송신기(110)는 비상신호인 알에프(RF) 신호를 발생시켜 은행의 벽면 일측에 설치된 상기 수신기(120)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수신기(120)는 비상신호인 알에프(RF)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장치(200)로 비상신호를 전송함과 동시에 경광등 또는 사이렌 등을 통하여 위급상황을 외부로 알리고, 상기 제어장치(200)는 비상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장치(300)를 제어하여 출입문 또는 창문에 설치된 철창문인 보안창문을 강제로 닫는 1차적인 보안조치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20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통신망(예, 전화망 : PSTN)을 통해 경비실 또는 경찰서 등에 설치된 보안장치(400)(예, 디코더)로 상기 비상신호를 전송하여 경광등 또는 사이렌 등을 통하여 위급상황이 발생되었음을 경비원, 경찰 등의 외부인에게 알리어 출동하도록 하게 된다.
물론, 상기 수신기(120)가 직접 유선통신망(예, 전화망 : PSTN)을 통해 경비실 또는 경찰서 등에 설치된 보안장치(400)(예, 디코더)로 직접 비상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장치(200)는 구동장치의 모터(410)를 순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은 스크루우 기어(430)에 의해 상기 보안창문(460)으로 전달되고 상기 보안창문(460)은 보안창틀(480)을 따라 이동하여 닫히게 된다.
상기 보안창문(460)은 상기 리미트스위치(420 : LS2)에 의해 감지가 되면, 상기 리미트스위치(420 : LS2)는 상기 정보를 제어장치(200)로 전송하게 되고, 상기 제어장치(200)는 감속기 및 브레이크를 이용하여 모터(410)의 회전을 멈추게 함으로써 출입문 또는 창문을 상기 보안창문(460)이 막게 되는 것이다.
상기 닫히고 있는 보안창문(460)은 상기 보안창틀(480)에 구비된 다수 개의 열림 방지 락에 의해 역방향 이동을 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상기 철창문인 보안창문(460)는 단단히 고정되어 강도들의 도주를 저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비상신호에 따른 1차적인 보안조치는,
경비실 또는 경찰서 등에 설치된 보안장치(400)에서 금융기관의 고유번호에 해당하는 해제버튼을 누름으로써 해제하거나 상기 수신기(120)에 직접 비밀번호와 해제버튼을 눌러 해제할 수가 있다.
상기 보안장치(400)에서 금융기관의 고유번호에 해당하는 해제버튼을 누르거나 직원들이 수신기(120)의 키패드를 통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해제버튼을 누르게 되면,
경광등 또는 사이렌 등의 알람기능을 이용하여 외부로 알리던 수신기(120)도 그 작동을 멈추고, 상기 제어장치(200)는 구동장치의 모터(41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은 스크루우 기어(430)에 의해 상기 보안창문(460)으로 전달되고 상기 보안창문(460)은 보안창틀(480)을 따라 역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동 중인 상기 보안창문(460)은 상기 리미트스위치(420 : LS1)에 의해 감지가 되면, 상기 리미트스위치(420 : LS1)는 상기 정보를 제어장치(200)로 전송하게 되고, 상기 제어장치(200)는 감속기 및 브레이크를 이용하여 모터(410)의 회전을 멈추게 함으로써 출입문 또는 창문을 닫고 있던 상기 보안창문(460)이 열리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 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인 알에프를 이용한 자동 차단 보안 시스템은, 사무실, 주차장, 은행, 편의점 등에서 납치, 범죄 등의 위급상황이 발생할 때, 휴대용 송신기로 비상신호를 전송하여 자동적으로 바리게이트 또는 보안창문 등으로 1차적인 보안조치를 수행하고 위급상황을 경찰서, 경비실, 보안관련 업체 등에게 알려 2차적인 보안조치를 수행함으로써, 납치 또는 범죄 등의 위급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보안장치, 송수신장치, 제어장치 및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보안 시스템에 있어서,
    지그비 통신 또는 블루투스 통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비상신호를 발생시키는 휴대용 송신기와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전송된 비상신호를 수신하여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수신기로 구성되는 송수신장치;
    상기 송수신장치로부터 비상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보안장치로부터 비상신호 또는 해제신호가 수신되면, 구동장치를 제어하여 비상신호 또는 해제신호에 따른 보안조치를 수행하는 제어장치; 및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비상신호 또는 해제신호에 따른 보안조치를 직접 수행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구동장치는 감속기와 브레이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되어 바리게이트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순방향 또는 역방향의 회전각도을 감지한 후 그 정보를 상기 제어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모터를 정지시켜 모터의 순방향 또는 역방향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하는 다수 개의 리미트스위치와, 상기 모터와 바리게이트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바리게이트를 직접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벨트와, 상기 벨트에 의해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차량의 출입을 제한하도록 다수 개의 철침을 구비한 바리게이트 및 상기 바리게이트의 회전축에 삽입되어 순방향 또는 역방향의 바리게이트를 고정시키는 솔(SOL)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프를 이용한 기계경호 경보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보안장치와 유선통신으로 연결되어 비상신호를 직접 전송하고 해제신호를 수 신받거나 직접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보안조치를 해제할 수 있는 특정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프를 이용한 기계경호 경보 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되어 보안창문을 개폐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의 순방향 또는 역방향의 회전에 이동하는 보안창문을 감지한 후 그 정보를 상기 제어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모터를 정지시켜 모터의 순방향 또는 역방향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하는 다수 개의 리미트스위치;
    상기 모터와 보안창문의 상하측 측면에 연결되어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보안창문을 개폐시키는 스크루우 기어;
    상기 벨트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지는 보안창문;
    상기 보안창문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도하여 보안창문이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보안창틀; 및
    상기 보안창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보안창문을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 개의 열림 방지용 락;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알에프를 이용한 기계경호 경보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장치는
    유선통신망을 통하여 수신된 비상신호에 따라 해당 위험지역을 표시하고, 비상신호에 따른 해당 지역의 보안조치를 수행하고, 상기 보안조치를 직접 해제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제어버튼을 제공하는 디코더; 및
    상기 비상신호를 경광등 또는 싸이렌 등으로 외부로 알리는 알람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알에프를 이용한 기계경호 경보 시스템.
KR1020060036772A 2006-04-24 2006-04-24 알에프를 이용한 기계경호 경보 시스템 KR100739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772A KR100739093B1 (ko) 2006-04-24 2006-04-24 알에프를 이용한 기계경호 경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772A KR100739093B1 (ko) 2006-04-24 2006-04-24 알에프를 이용한 기계경호 경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9093B1 true KR100739093B1 (ko) 2007-07-13

Family

ID=38504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6772A KR100739093B1 (ko) 2006-04-24 2006-04-24 알에프를 이용한 기계경호 경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90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419U (ko) 2015-10-12 2017-04-20 (주) 비전에프에이 시트형 압력센서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447A (ko) * 1997-06-20 1999-01-15 김영환 자동 도어 잠금 및 해제장치
KR20030058229A (ko) * 2001-12-29 2003-07-07 김호섭 자동 차단제어 장치
KR20030083926A (ko) * 2002-04-23 2003-11-01 나상윤 원격조정 바리케이드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447A (ko) * 1997-06-20 1999-01-15 김영환 자동 도어 잠금 및 해제장치
KR20030058229A (ko) * 2001-12-29 2003-07-07 김호섭 자동 차단제어 장치
KR20030083926A (ko) * 2002-04-23 2003-11-01 나상윤 원격조정 바리케이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419U (ko) 2015-10-12 2017-04-20 (주) 비전에프에이 시트형 압력센서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5903B1 (en) Alarm system armed and disarmed by a deadbolt on a door
CA2503352C (en) Alarm system armed and disarmed by a door contact
CA2567561C (en) System for deterring persons from actuating an escape door of an evacuation route
KR101858538B1 (ko) 공사 현장용 전자 안전 펜스
US6786005B1 (en) Emergency release burglar bars actuated by smoke alarm
CN105847098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智慧社区管理系统
GB2494229A (en) A fastening device with remote monitoring
US5070320A (en) Alarm system
JP5014657B2 (ja) 入退出監視システム
KR101918809B1 (ko) 전자잠금장치와 개방유지장치를 구비한 반자동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739093B1 (ko) 알에프를 이용한 기계경호 경보 시스템
JP2009059085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2005248452A (ja) 施錠システム
US7319391B2 (en) Centralised security closure
JP3202131B2 (ja) 警備装置及び警備システム
KR20020038909A (ko) 비상시 문을 자동으로 무선원격조정 개폐하는 수단
KR20120009253A (ko) 열차 역사용 비상게이트 자동개폐시스템 및 개폐방법
KR100855125B1 (ko) 도주 방지용 방범 기능이 내장된 디지털 도어락을 이용한보안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20220068068A1 (en) Security access
JP2001355361A (ja) 警備装置
KR100346301B1 (ko) 엘리베이터용스토킹시스템
KR200428678Y1 (ko) 비상 알림장치를 구비한 금고비
CA2383407C (en) Alarm system armed and disarmed by a deadbolt on a door
KR102055360B1 (ko) IoT 적용 전국 공동주택 원격점검용 수신기 및 수신기 관제시스템
KR200208367Y1 (ko) 침입자 감지 및 경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