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116Y1 - 방화겸용 도난방지문 - Google Patents

방화겸용 도난방지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116Y1
KR200285116Y1 KR2020010030392U KR20010030392U KR200285116Y1 KR 200285116 Y1 KR200285116 Y1 KR 200285116Y1 KR 2020010030392 U KR2020010030392 U KR 2020010030392U KR 20010030392 U KR20010030392 U KR 20010030392U KR 200285116 Y1 KR200285116 Y1 KR 2002851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oor
main body
control means
fire
electrically conn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03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희섭
Original Assignee
원희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희섭 filed Critical 원희섭
Priority to KR20200100303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1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1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116Y1/ko

Links

Landscapes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화겸용 도난방지문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화재와 같은 긴급상황이 발생되었을 때 자동, 수동 또는 원격으로 출입구를 차단하는 동시에 문의 하단 틈도 차단하여 문의 하단 틈을 통하여 화기 또는 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평상시에 문에 대한 이상이 감지되었을 때 그 이상신호를 관제실에 송신함과 동시에 자동으로 설정된 단말기에 이상발생을 알려 도난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방화겸용 도난방지문을 제공하는 것이며, 그 구성은 출입구를 개폐하는 방화문 본체와; 판스프링으로 제작되어 양단부가 각기 상기 방화문 본체의 일측면과 출입구의 일측면부에 고정부착되어 방화문 본체를 닫힘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복수개의 탄성힌지부재와; 상기 방화문 본체의 하단면 자유단측에 수직으로 내장되어 방화문 본체의 열림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닫힘저지부재와; 상기 방화문 본체의 하단부에 상하조절가능하게 내장되어 방황문 본체의 하단부 틈을 차단하기 위한 틈차단장치와; 상기 닫힘저지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닫힘저지부재를 ON/OFF하여 방화문 본체의 열림유지 또는 담힘상태를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방화문 본체에 장착되어 필요시에 조작하여 방화문 본체를 닫는 수동차단버튼과; 상기 제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출입구 주변에 장착되어 열기 또는 가스의 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방화문 본체를 닫는 화재감지수단과; 상기 제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필요시에 방화문 본체의 닫힘작동을 원격제어하는 중앙관제부로 구성되는 방화문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에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방화문 본체 또는 방화문 본체 주위의 벽체 등에 설치되어 이상상태를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수단에 송신하는 이상감지수단과; 상기 제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방화문 본체 또는 방화문 본체 주위의 벽체 등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싸이렌과; 상기 방화문 본체 또는 방화문 본체 주위의 벽체 등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경보광을 발광하는 경광등과; 상기 제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중앙관제부에 설치되어 각 지점의 이상유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와; 상기 제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상이 발생되어 있을 때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셋팅된 단말기로 이상발생을 자동으로 알리는 송신처리수단과; 상기 제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방화문 본체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셋팅된 비밀번호의 입력시 해당위치의 실행중인 경비모드를 해제하는 경비모드해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화겸용 도난방지문{A fire and burglarproof door}
본 고안은 방화겸용 도난방지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와 같은 긴급상황이 발생되었을 때 자동, 수동 또는 원격으로 출입구를 차단하는 동시에 문의 하단 틈도 차단하여 문의 하단 틈을 통하여 화기 또는 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평상시에 문에 대한 이상이 감지되었을 때 그 이상신호를 관제실에 송신함과 동시에 자동으로 설정된 단말기에 이상발생을 알려 도난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 방화겸용 도난방지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화재시 화기가 다른 공간으로 옮겨가 화재구역이 확대되거나 화재에 의해 발생되는 가스가 다른 구역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축물내에 구획된 공간의 비상구를 방화문으로 개폐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화문은 열려진 문을 항상 닫히도록 하기 위하여 방화문 및 비상구 상단에 자동닫힘유닛을 장착하여 방화문이 항상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으며, 방화문을 열린상태로 유지시키고자 할 때에는 열린상태에서 방화문의 하단부에 굄목을 끼워고정시키고 있다.
또한, 비상구는 대피시 문턱에 걸려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문턱을 설치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방화문과 바닥 사이에는 틈이 생기게됨으로 화재시 가스등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화문의 하단부에 직물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된 유연성이 있는 판을 부착하여 틈을 막아 화재시 가스 등의 누출을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화문은 각문 마다 고가의 자동담힘유닛을 장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고가일 뿐만 아니라 방화문에 굄목을 끼워 열림상태로 되어 있을 때에는 화재시 일일이 수작업에 의해 굄목을 제거한 후 방화문을 닫아야 함으로 방화문을 닫는데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고, 제때에 비상구를 차단할 수 없어 화재가 확산될 수 있음은 물론 타공간까지 가스에 의해 오염될 수 있으며, 방화문의 하단 틈이 확실히 차단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년간 다양한 시도를 하였으며, 그 결과로써 2001년 3월 7일자에 대한민국 특허청에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01-6071호로 실용신안등록 출원하고, 2001년 7월 18일자에 실용신안등록 제 240315 호로 등록된 "방화문"(이하, "선등록"이라 칭함)을 개발하였습니다.
상기 선등록의 구성은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듯이, 출입구를 개폐하는 방화문 본체와; 판스프링으로 제작되어 양단부가 각기 상기 방화문 본체의 일측면과 출입구의 일측면부에 고정부착되어 방화문 본체를 닫힘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복수개의 탄성힌지부재와; 상기 방화문 본체의 하단면 자유단측에 수직으로 내장되어 방화문 본체의 열림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닫힘저지부재와; 상기 방화문 본체의 하단부에 상하조절가능하게 내장되어 방화문 본체의 하단부 틈을 차단하기 위한 틈차단장치와; 상기 닫힘저지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닫힘저지부재를 ON/OFF하여 방화문 본체의 열림유지 또는 담힘상태를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방화문 본체에 장착되어 필요시에 조작하여 방화문 본체를 닫는 수동차단버튼과; 상기 제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출입구 주변에 장착되어 열기 또는 가스의 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방화문 본체를 닫는 화재감지수단과; 상기 제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필요시에 방화문 본체의 닫힘작동을 원격제어하는 중앙관제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등록은 화재와 같은 긴급상황이 발생되었을 때 자동, 수동 또는 원격으로 출입구를 차단하는 동시에 문의 하단 틈도 차단하여 문의 하단 틈을 통하여 화기 또는 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는 있으나, 도난방지에 대한 기능은 전혀 없어 평상시엔 제한공간에 별도의 도난방지용 도어 및 경비시스템을 설치하여야 함으로 설치 및 유지비용이 매우 고가임은 물론 이상 신호를 감시하였더라도 경비순찰차량이 현장에 도착하는데 10분 내지 20분 정도가 소요됨으로 도난사실을 일찍 알 수 있을 뿐 실질적으로 도난을 방지하는 확률이 매우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선등록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그 목적은 화재와 같은 긴급상황이 발생되었을 때 자동, 수동 또는 원격으로 출입구를 차단하는 동시에 문의 하단 틈도 차단하여 문의 하단 틈을 통하여 화기 또는 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평상시엔 별도의 유지비용 없이 도난방지를 확실히 할 수 있는 방화겸용 도난방지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출입구를 개폐하는 방화문 본체와; 판스프링으로 제작되어 양단부가 각기 상기 방화문 본체의 일측면과 출입구의 일측면부에 고정부착되어 방화문 본체를 닫힘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복수개의 탄성힌지부재와; 상기 방화문 본체의 하단면 자유단측에 수직으로 내장되어 방화문 본체의 열림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닫힘저지부재와; 상기 방화문 본체의 하단부에 상하조절가능하게 내장되어 방화문 본체의 하단부 틈을 차단하기 위한 틈차단장치와; 상기 닫힘저지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닫힘저지부재를 ON/OFF하여 방화문 본체의 열림유지 또는 담힘상태를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방화문 본체에 장착되어 필요시에 조작하여 방화문 본체를 닫는 수동차단버튼과; 상기 제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출입구 주변에 장착되어 열기 또는 가스의 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방화문 본체를 닫는 화재감지수단과; 상기 제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필요시에 방화문 본체의 닫힘작동을 원격제어하는 중앙관제부로 구성되는 방화문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방화문 본체 또는 방화문 본체 주위의 벽체 등에 설치되어 이상상태를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수단에 송신하는 이상감지수단과; 상기 제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방화문 본체 또는 방화문 본체 주위의 벽체 등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싸이렌과; 상기 방화문 본체 또는 방화문 본체 주위의 벽체 등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경보광을 발광하는 경광등과; 상기 제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중앙관제부에 설치되어 각 지점의 이상유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와; 상기 제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상이 발생되어 있을 때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셋팅된 단말기로 이상발생을 자동으로 알리는 송신처리수단과; 상기 제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방화문 본체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셋팅된 비밀번호의 입력시 해당위치의 실행중인 경비모드를 해제하는 경비모드해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겸용 도난방지문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12는 선등록 고안에 따른 방화문의 구성 및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방화겸용 도난방지문의 구성 및 상호 연결상태를 도시한 계통도.
도 14 및 도 15는 이상이 발생되었을 때 본 고안에 따른 방화겸용 도난방지문의 모니터에 이상발생상태 또는 경비모드해제/설정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방화문 11: 방화문 본체
12: 탄성힌지부재 13: 닫힘저지부재
14: 틈차단부재 15: 제어수단
16: 수동차단버튼 17: 화재감지수단
18: 중앙관제부 20: 이상감지수단
21: 경보싸이렌 22: 경광등
23: 모니터 24: 송신처리수단
25: 경비모드해제수단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화겸용 도난방지문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2는 선등록 고안에 따른 방화문의 구성 및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방화겸용 도난방지문의 구성 및 상호 연결상태를 도시한 계통도이며, 도 14 및 도 15는 이상이 발생되었을 때 본 고안에 따른 방화겸용 도난방지문의 모니터에 이상발생상태 또는 경비모드해제/설정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방화겸용 도난방지문(10)은 방화문 본체(11)와, 다수개의 탄성힌지부재(12)와 닫힘저지부재(13)와, 틈차단부재(14)와, 제어수단(15)과, 수동차단버튼(16)과, 화재감지수단(17)과, 중앙관제부(18)와, 이상감지수단(20)과, 경보싸이렌(21)과, 경광등(22)과, 모니터(23)와, 송신처리수단(24)과, 경비모드해제수단(25)으로 구성된다.
상기 방화문 본체(11)는 비상구를 개폐하는 것으로써, 하단부에 틈차단장치(14)를 조립하기 위한 조립홈(11a)과 일측면 하단부측에 상기 조립홈(11a)과 연통되게 관통형성되는 볼트공(11b)과, 하단면 일측에 상기 담힘저지부재(13)의 액추에이터가 작동되는 작동공을 구비하고, 상기 탄성힌지부재(12)에의해 비상구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상기 다수개의 탄성힌지부재(12)는 판스프링으로 제작되는데 중간부가 원형으로 절곡되어 양단부가 평행하게 맞닿도록 형성되어 일단부는 상기 방화문 본체의 일측면에 고정부착되고, 타단부는 비상구의 일측면에 고정부착되어 방화문 본체(11)를 닫혀지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상기 닫힘저지부재(13)는 상기 방화문 본체(11)의 하단면 자유단측에 수직으로 내장되어 방화문 본체(11)의 열림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바람직하게는 솔레노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이때 상기 탄성힌지부재(12)의 탄성력과 솔레노이드의 액추에이터의 저지력이 같거나 또는 커야한다.
상기 틈차단장치(14)는 상기 방화문 본체(11)의 하단부에 상하조절가능하게 내장되어 방화문 본체(11)의 하단부 틈을 차단하여 화재시 화기 또는 유독가스가 방화문 본체(11)의 하단부틈을 통하여 타구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써, 일 실시예는 틈차단부재(14a)와 스토퍼(14b)로 구성된다.
상기 틈차단부재(14a)는 상단부는 소정 폭을 갖는 막대 형상을 갖고 하단부는 쿠션이 있는 재질로 제작된 것으로써 상단부는 상기 방화문 본체(11)의 조립홈(11a)에 상하작동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스토퍼(14b)는 헤드부상에 드라이버홈이 있는 볼트로써 상기 방화문 본체(11)의 나사공(11b)에 나사조립되어 상기 틈차단부재(14a)의 일측면을 눌러 틈차단부재(14a)를 고정시킨다.
즉, 틈차단부재(14a)를 방화문 본체(11)의 하단부 틈에 맞도록 상하조절한후 상기 스토퍼(14b)를 돌려 틈차단부재(14a)를 고정시킴으로써 방화문 본체(11)가 닫혔을 때 항상 방화문 본체(11)의 하단부 틈을 확실히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틈차단장치(14)의 다른 실시예는 틈차단부재(14a)와 하나이상의 솔레노이드(14c)와 ON/OFF스위치(14d)로 구성된다.
상기 틈차단부재(14a)는 상술된 실시예의 틈차단부재(14a)와 동일하며, 단지 상면부에 상기 솔레노이드(14c)의 액추에이터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구를 구비한다.
상기 솔레노이드(14c)는 상기 틈차단부재(14a)의 결합구에 액추에이터가 결합되어 상기 방화문 본체(11)의 내측에 수직으로 내장된다.
상기 ON/OFF스위치(14d)는 푸시버튼으로써 상기 방화문 본체(11)의 자유단의 측면부에 장착되어 상기 솔레노이드(14c)로 통전되는 전원을 단속한다. 즉, 방화문 본체(11)가 열린 상태일 때에는 솔레노이드(14c)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고, 방화문 본체(11)가 닫혀졌을 때에는 전력을 통전시켜 상기 솔레노이드(14c)의 액추에이터를 신장시켜 상기 틈차단부재(14a)가 하강하여 방화문 본체(11)의 하단부 틈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틈차단장치(14)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틈차단부재(14a)와, 다수개의 전자석(14e)과 ON/OFF스위치(14d)로 구성된다.
상기 틈차단부재(14a)는 상술된 실시예의 틈차단부재(14a)와 동일하며, 단지 상면부에 상기 전자석(14e)과 착탈가능한 금속면을 갖는다.
상기 다수개의 전자석(14e)은 상기 방화문 본체(11)의 조립홈(14a)의 상면부에 장착되고, 상기 ON/OFF스위치(14d)는 푸시버튼으로써, 상기 방화문 본체(11)의 자유단의 측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전자석(14e)으로 통전되는 전원을 단속한다. 즉, 방화문 본체(11)가 열린 상태일 때에는 전자석(14e)에 전력을 통전시켜 자력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틈차단부재(14a)가 전자석(14e)의 자력에 의해 상면부가 전자석(14e)에 부착되어 방화문 본체(11)의 하단부 틈이 열려지고, 방화문 본체(11)가 닫혀졌을 때에는 상기 ON/OFF스위치(14d)가 전자석(14e)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여 전자석(14e)의 자력을 소멸시킴으로써 상기 틈차단부재(14a)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방화문 본체(11)의 하단부 틈을 차단하는 것이다.
상기 이상감지수단(20)은 경비모드시 방화문 본체(11)의 이상유무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수단(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방화문 본체(11) 또는 방화문 본체(11)의 주변 벽체 등에 설치되는데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마그네틱센서, 적외선센서, 진동감지센서, 음파감지센서 등 어떤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상기 경보싸이렌(21)은 통상의 경보싸이렌으로써, 경비모드시에 이상이 감지되었을 때 경보음을 울려 침입자가 달아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어수단(1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방화문 본체(11) 또는 방화문 본체(11)의 주변 벽체 등에 설치된다.
상기 경광등(22)은 통상의 경광등으로써, 경비모드시에 이상이 감지되었을 때 경광을 발광시켜 침입자가 달아나도록 하는 동시에 이상발생 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 시켜주어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수단(1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방화문 본체(11) 또는 방화문 본체(11)의 주변 벽체 등에 설치된다.
상기 모니터(23)는 상기 이상감지수단(20)에서 이상을 감지하였을 때 이상이 감지된 위치 및 현재상태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관리자가 어느 장소에서 이상이 감지되었는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하여 현장에 바로 출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중앙관제부(18)에 설치된다.
상기 송신처리수단(24)은 이상이 발생했을 때 자동으로 미리 셋팅된 단말기로 이상발생사실을 알려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어수단(1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수단(15)의 제어에 따라 이상발생 메시지를 해당 단말기로 송신한다.
상기 경비모드해제수단(25)은 일반적인 전자식의 번호입력방식의 잠금해제기로써 경비모드시에 통행자가 셋팅된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그 문에 해당되는 경비모드가 해제되도록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어수단(1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방화문 본체(11)의 소정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제어수단(15)은 상기 닫힘저지부재(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닫힘저지부재(13)를 ON/OFF하여 방화문 본체(11)의 열림유지 또는 담힘상태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상기 이상감지수단(20), 경보싸이렌(21), 경광등(22), 모니터(23), 송신처리수단(24) 및 경비모드해제수단(25)과 각기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경비모드시에 만약 상기 이상감지수단(20)으로부터 이상감지신호가 수신되었다면 상기 경보싸이렌(21)과 경광등(22)을 작동시켜 침입자를 달아나게 하고 이상이 발생된 위치를 주위에 알림과 동시에 상기 모니터(23)에 이상발생 위치 및 상태를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관리자가 즉시 현장으로 출동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송신처리수단(24)을 제어하여 이상이 발생된 위치에 해당되는 단말기로 즉시 이상발생 메시지를 송신한다.
만약 경비모드시에 통행자가 상기 경비모드해제수단(25)으로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해당되는 문의 경비모드가 해제됨으로 통행자는 별도의 통제를 받지 않고, 문을 열고 통과할 수 있으며, 통과 후 재차 경비모드해제수단(25)을 조작하여 경비모드를 설정하면 해당되는 문은 다시 경비모드로 전환될 수 있는데 이때 이러한 일련의 조작상태는 상기 모니터(23)상에 디스플레이됨으로 관리자는 통행자가 문을 통과하고 경비모드가 해제 및 설정되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수동차단버튼(16)은 상기 제어수단(1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방화문 본체(11)에 장착되어 필요시에 수동으로 조작하여 상기 닫힘저지부재(13)를 ON/OFF시킴으로써 방화문 본체(11)를 열거나 닫는다.
상기 화재감지수단(17)은 온도 및 가스감지기로써 상기 제어수단(1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출입구 주변에 장착되어 이상열기 또는 가스의 발생시 이를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수단(15)으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제어수단(15)이 상기 닫힘저지부재(13)를 OFF시켜 방화문 본체(11)를 닫는다.
상기 중앙관제부(18)는 상기 제어수단(1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필요시에 상기 담힘저지부재(13)를 원격으로 ON/OFF시킴으로써 방화문 본체(11)의 닫힘작동을 원격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방화겸용 도난방지문(10)은 고가의 자동닫힘유닛이나 별도의 경비시스템을 설치함이 없이 상술한 구성요소를 구비함으로써, 비상시 수동 및 원격은 물론 화재를 자동감지하여 방화겸용 도난방지문(10)을 닫고, 하단부 틈을 확실히 차단하여 타구역으로 유독 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가의 유지비용 없이도 경비모드에 의해 외부침입여부를 확실히 감시하고, 외부침입이 발생하였을 때 건물이나 단지내에 있는 관리자가 바로 현장으로 출동하게됨으로 신속하게 침입자를 퇴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화재와 같은 긴급상황이 발생되었을 때 자동, 수동 또는 원격으로 출입구를 차단하는 동시에 문의 하단 틈도 차단하여 문의 하단 틈을 통하여 화기 또는 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평상시엔 별도의 유지비용 없이 도난방지를 확실히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출입구를 개폐하는 방화문 본체와; 판스프링으로 제작되어 양단부가 각기 상기 방화문 본체의 일측면과 출입구의 일측면부에 고정부착되어 방화문 본체를 닫힘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복수개의 탄성힌지부재와; 상기 방화문 본체의 하단면 자유단측에 수직으로 내장되어 방화문 본체의 열림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닫힘저지부재와; 상기 방화문 본체의 하단부에 상하조절가능하게 내장되어 방화문 본체의 하단부 틈을 차단하기 위한 틈차단장치와; 상기 닫힘저지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닫힘저지부재를 ON/OFF하여 방화문 본체의 열림유지 또는 담힘상태를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방화문 본체에 장착되어 필요시에 조작하여 방화문 본체를 닫는 수동차단버튼과; 상기 제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출입구 주변에 장착되어 열기 또는 가스의 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방화문 본체를 닫는 화재감지수단과; 상기 제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필요시에 방화문 본체의 닫힘작동을 원격제어하는 중앙관제부로 구성되는 방화문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방화문 본체(11) 또는 방화문 본체(11)의 주위 벽체 등에 설치되어 이상상태를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수단(15)에 송신하는 이상감지수단(20)과; 상기 제어수단(1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방화문 본체(11) 또는 방화문 본체(11)의 주위 벽체 등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수단(15)의 제어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싸이렌(21)과; 상기 방화문 본체(11) 또는 방화문 본체(11)의 주위 벽체 등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수단(15)의 제어에 따라 경보광을 발광하는 경광등(22)과; 상기 제어수단(1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중앙관제부(18)에 설치되어 각 지점의 이상유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23)와; 상기 제어수단(1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상이 발생되어 있을 때 제어수단(15)의 제어에 따라 셋팅된 단말기로 이상발생을 자동으로 알리는 송신처리수단(24)과; 상기 제어수단(1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방화문 본체(11)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셋팅된 비밀번호의 입력시 해당위치의 실행중인 경비모드를 해제하는 경비모드해제수단(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겸용 도난방지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감지수단(20)은 마그네틱센서, 적외선센서, 진동감지센서, 음파감지센서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겸용 도난방지문.
  3. 삭제
KR2020010030392U 2001-10-05 2001-10-05 방화겸용 도난방지문 KR2002851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392U KR200285116Y1 (ko) 2001-10-05 2001-10-05 방화겸용 도난방지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392U KR200285116Y1 (ko) 2001-10-05 2001-10-05 방화겸용 도난방지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116Y1 true KR200285116Y1 (ko) 2002-08-13

Family

ID=73069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392U KR200285116Y1 (ko) 2001-10-05 2001-10-05 방화겸용 도난방지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11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410B1 (ko) * 2018-03-30 2019-09-02 김남훈 비상구 도어 자동 개폐장치
KR102098659B1 (ko) * 2019-06-04 2020-04-08 주식회사 삼진인프라 도어용 연기 차폐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410B1 (ko) * 2018-03-30 2019-09-02 김남훈 비상구 도어 자동 개폐장치
KR102098659B1 (ko) * 2019-06-04 2020-04-08 주식회사 삼진인프라 도어용 연기 차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5268E (en) Door security system
US7237655B2 (en) Elevator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unauthorized hoistway access
EP0033740B1 (en) Timing apparatus for delaying opening of doors
KR100734925B1 (ko)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
KR101242115B1 (ko) 원자력 시설의 물리적 방호를 위한 보안문 시스템
KR200427720Y1 (ko) 비상문 자동 개폐장치
US8471676B1 (en) Security door control system
KR200285116Y1 (ko) 방화겸용 도난방지문
KR20170092021A (ko) 전자잠금장치와 개방유지장치를 구비한 반자동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030106583A1 (en) General-purpose thermally-sensitive safety apparatus
JP2005248452A (ja) 施錠システム
KR200410354Y1 (ko) 방화문 개방유지 및 폐쇄장치
KR200419727Y1 (ko) 방화문 개방유지 및 폐쇄장치.
US7319391B2 (en) Centralised security closure
US6278367B1 (en) Article displacement indication
WO2012085606A1 (en) Electronic home protection apparatus
KR200251041Y1 (ko) 비상문 잠금해제 제어시스템
JP4913413B2 (ja) 施錠装置および施錠方法
KR200401735Y1 (ko)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
JP2001355361A (ja) 警備装置
KR200240315Y1 (ko) 방화문
JP7384589B2 (ja) 防災監視システム用受信機
KR100739093B1 (ko) 알에프를 이용한 기계경호 경보 시스템
US7363969B2 (en) Casing vent security device
JP3821578B2 (ja) エレベーターの点検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