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1041Y1 - 비상문 잠금해제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상문 잠금해제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1041Y1
KR200251041Y1 KR2020010014822U KR20010014822U KR200251041Y1 KR 200251041 Y1 KR200251041 Y1 KR 200251041Y1 KR 2020010014822 U KR2020010014822 U KR 2020010014822U KR 20010014822 U KR20010014822 U KR 20010014822U KR 200251041 Y1 KR200251041 Y1 KR 2002510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locking
unlocking
locking device
do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48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우
Original Assignee
이병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우 filed Critical 이병우
Priority to KR20200100148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10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10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1041Y1/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에 구비된 다수의 비상문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기 위한 비상문 잠금해제 제어시스템을 개시한 것으로서,
상기 다수의 비상문(2)들에 설치되어 비상문(2)의 잠금 및 잠금해제를 작동하는 록킹장치(40)와, 상기 다수의 비상문(2)들에 설치된 각각의 록킹장치(40)를 개별적으로 잠금해제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신호를 발생하는 다수의 비상문 스위치(BT1∼BTn)와, 상기 록킹장치(40)가 잠금해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작동하는 록킹방지기(50)와, 상기 록킹장치(40)의 잠금해제 상태를 감지하는 작동확인감지센서(MS 또는 SR2)와, 상기 각각의 비상문 스위치(BT1∼BTn)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각각의 비상문(2)이 잠금해제되도록 상기 비상문(2)들 각각에 설치된 록킹장치(40)를 개별적으로 제어하고, 통상적으로 건물에 구비된 화재수신반(12)의 화재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각각의 비상문(2)들이 통합적으로 잠금해제되어 개방되도록 상기 비상문(2)들에 설치된 다수의 록킹장치(40)를 통합 제어하며, 상기 각각의 비상문(2)에 설치된 록킹장치(40)를 잠금해제되게 작동시킨 제어상태와, 상기 잠금해제를 감지하는 작동확인감지센서의 감지상태의 비교에 의해 상기 록킹장치(40)의 작동오류를 판단하여 이를 표시할 수 있는 수단으로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비상문 잠금해제 제어시스템{A control system for emergency door}
본 고안은 빌딩이나 유흥업소 등에서 화재 등의 비상의 경우에 비상문들을 통합적 혹은 개별적으로 열릴 수 있도록 비상문의 잠금 해제를 제어할 수 있고 작동이상이 있는 경우에 이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비상문 잠금해제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많이 상주하는 건물이나 백화점 또는 각종의 업소 등에는 평시에 거의 사용하지 않는 비상문들이 구비되어 있는데, 비상문 제어장치는 화재 발생시에 소방서로 화재발생 상황을 전송하는 화재수신반으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인가받아 평시 잠기어져 있던 건물의 비상문들이 모두 통합적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자동 잠금해제(unlocking)하여 줌으로써 건물 출입구 폐쇄로 인한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비상문 자동 개폐장치는 화재시에는 열감지센서에서 화재 열을 감지한 신호에 의해 화재수신반으로부터 화재상황시의 신호를 인가받은 제어장치가 건물에 구비된 모든 비상문들에 장착된 록킹장치들을 작동시켜 비상문들의 잠금상태가 자동 해제되어지도록 제어하게 된다.
그러나, 열감지센서에 인접한 위치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화재 열을 감지한 시점이 화재 초기가 아니라 화재가 상당히 진행된 후인 경우이기 때문에 화재수신반의 신호에 의해 비상문이 개방된 후에는 재난자들이 가스에 질식되거나 화염에 부상을 당한 이후인 경우가 많다.
또한, 열감지센서나 화재수신반의 작동 오류시에는, 사람이 인위적으로 비상문의 잠금상태를 해제하여 개방시켜 주어야 하나 비상문에 접근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할 수도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어느 한 위치에서 원격조작에 의해 잠기어져 있던 비상문을 열 수 있어야 하는데 종래에는 그러하지 못하였던 바, 화재 발생시에 화염과 연기로 인해 출구나 비상문을 열지 못한 많은 사상자나 중상자가 발생하곤 하였다.
또한, 화재가 발생된 곳만의 부분적인 개방과 함께 화염 확산을 막기 위해 불필요한 곳의 부분적인 폐쇄가 필요할 경우에도 이를 인의적으로 조작할 수 없는 등, 비상문에 관련하여 개별적인 제어가 어려워 인명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상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화재사고시 인명 대피와 아울러 화재 진압 및 확산 방지 등을 위해 건물에 다수 구비된 비상문들을 통합적 및 개별적으로 잠금해제하여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개방된 비상문의 닫힘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하여 재해로 인한 인명 사고로부터 안전대책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비상문 잠금해제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려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관련된 시스템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시스템 구성을 보인 회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록킹장치 및 록킹방지기의 구조를 묘사한 사시도,
도 4 및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시스템의 사용자 수조작시와 화재발생시의 동작을 각각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비상문 12-화재수신반
30-마이크로 프로세서 40-록킹장치
50-록킹방지기 BT1∼BTn-비상문 스위치
MS-마이크로 스위치 SP-스피커
L1∼Ln-비상문 잠금해제 표시램프 BS1-경보정지 스위치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건물에 구비된 다수의 비상문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기 위한 비상문 잠금해제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비상문에 설치되어 비상문의 잠금 및 잠금해제를 작동하는 록킹장치;
상기 다수의 비상문에 설치된 각각의 록킹장치를 개별적으로 잠금해제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신호를 발생하는 다수의 비상문 스위치;
상기 록킹장치가 잠금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작동하는 록킹방지기;
상기 록킹장치의 잠금해제 상태를 감지하는 작동확인감지센서;
상기 각각의 비상문 스위치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각각의 비상문이 잠금해제되도록 상기 비상문 각각에 설치된 록킹장치를 개별적으로 제어하고, 통상적으로 건물에 구비된 화재수신반의 화재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각각의 비상문들이 통합적으로 잠금해제되도록 상기 비상문 각각에 설치된 록킹장치를 통합 제어하며, 상기 각각의 비상문에 설치된 록킹장치를 잠금해제되게 작동시킨 제어상태와, 이를 감지하는 작동확인감지센서의 감지 상태의 비교에 의해 상기 록킹장치(40)의 작동오류를 판단하여 이를 표시할 수 있는 수단으로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구성과 아울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출력에 따라 상기 록킹장치 및 록킹방지기의 비정상적 작동 감지 상태와, 상기 화재수신반에서 화재감지신호의 인가시나 사용자의 인위적 조작시와 같이 화재 발생을 알리는 상태를 서로 구별될 수 있는 경보음으로 출력하는 스피커수단;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출력에 따라 다수의 비상문에 설치된 각각의 록킹장치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램프;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상기 스피커수단의 경보음을 해제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조작하는 경보정지 스위치가 포함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관련된 시스템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시스템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록킹장치 및 록킹방지기의 구조를 묘사한 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시스템의 사용자 수조작시와 화재발생시의 동작을 각각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고안의 비상문 제어시스템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관리실이나 로비현관 등의 적당한 위치에 콘트롤박스(100)로서 함체상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건물마다 구비된 통상적인 화재수신반(12)과, 건물의 비상문(2)들에 설치한 본 고안의 구성 요소인 록킹장치(40), 록킹방지기(50) 및 마이크로스위치(MS)들에 배선 연결되어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다수의 비상문(2)들에 설치되어 비상문(2)의 잠금 및 잠금해제를 작동하는 록킹장치(40)와, 상기 다수의 비상문(2)들에 설치된 각각의 록킹장치(40)를 개별적으로 잠금해제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신호를 발생하는 다수의비상문 스위치(BT1∼BTn)와, 상기 록킹장치(40)가 잠금해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작동하는 록킹방지기(50)와, 상기 록킹장치(40)의 잠금해제 상태를 감지하는 작동확인감지센서(MS 및 SR2 중의 어느 하나)와, 상기 각각의 비상문 스위치(BT1∼BTn)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각각의 비상문(2)이 잠금해제되도록 상기 비상문(2)들 각각에 설치된 록킹장치(40)를 개별적으로 제어하고, 통상적으로 건물에 구비된 화재수신반(12)의 화재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각각의 비상문(2)들이 통합적으로 잠금해제되어 개방되도록 상기 비상문(2)들에 설치된 다수의 록킹장치(40)를 통합 제어하며, 상기 각각의 비상문(2)에 설치된 록킹장치(40)를 잠금해제되게 작동시킨 제어상태와, 상기 잠금해제를 감지하는 작동확인감지센서의 감지상태를 비교하여 상기 록킹장치(40)의 작동오류를 판단하고 필요 제어대상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0)로 구성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구성과 아울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0)의 출력에 따라 상기 록킹장치(40) 및 록킹방지기(50)의 작동오류 상태와, 상기 화재수신반(12)에서 화재감지신호의 인가시나 사용자의 인위적 조작시와 같이 화재 발생을 알리는 상태를 서로 구별될 수 있는 경보음으로 출력하는 스피커수단(SP)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0)의 출력에 따라 다수의 비상문(2)에 설치된 각각의 록킹장치(40)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비상문 잠금해제 표시램프(L1∼Ln)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0)로 상기 스피커수단(SP)의 경보음을 해제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조작하는 경보정지 스위치(BS1)가 포함된다.
부호설명 안한 BS2,BS3,BS4는 테스트 혹은 인위적인 수조작을 위해 구비된것으로서, 그 각각이, 모든 비상문(2)들을 일제히 개방시키기 위해 조작하는 비상문 통합 개방 스위치, 록킹방지기(40)의 작동을 인위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록킹방지기 작동스위치, 스피커수단(SP)을 통해 경보음을 인위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한 비상벨 스위치이다.
또, 도면에서 C1∼C15 및 R1∼R15 는 신호중에 섞인 리플을 차단할 수 있도록 커플링해주는 캐패시터 및 레지스터이고, Q1∼Q17 중, 마이크로 프로세서(30)의 입력측에 구비된 것(Q1∼Q9)은 베이스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디지털 논리신호를 출력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30)의 출력측에 구비된 것(Q10∼Q17)은 베이스로 인가되는 신호를 전류증폭해 주는 역할을 담당하는 트랜지스터들이다.
상기 마이크로스위치(MS1∼MSn), 록킹장치(40; 40-1∼40-n), 비상문개방(잠금해제) 표시램프(L1∼Ln) 및 록킹방지기(50; 50-1∼50-n)는 각기 비상문(2)의 개수만큼 구비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록킹장치(40)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어 흡인되는 플런저(44)를 갖는 전자석 액츄에이터(42)와, 상기 플런저(44)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플런저(44)의 신축시에 가이드(47)를 따라 비상문(2)의 문틀(4)에 설치된 부재(62)의 잠금구멍에 삽탈되며 걸림턱(46a)를 형성하도록 단차가 형성된 가동로드(46)로 구성된다. 도면부호 43은 스프링이다.
또, 상기 록킹방지기(50)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기어드모터(M)와, 상기 기어드모터(M)의 구동축에 축결된 캠(52)과, 상기캠(52)의 회전에 따라 힌지축(56)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상기 캠(52)과 접하는 일측의 반대측에 스프링(57) 탄지되며 상기 스프링(57) 탄지력에 의해 상기 가동로드(46)의 걸림턱(46a)에 걸리거나 상기 캠(52)의 작용에 의해 상기 걸림턱(46a)으로부터 걸림 해제되는 걸림편(54a)을 갖는 작동자(54)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0)에서 상기 기어드모터(M)를 제어하기 위한 기초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캠(52)이 정해진 위치에서 회전 정지하도록 캠(52)의 회전위치를 감지한 신호를 발생하는 캠감지센서(52)로 구성된다.
만일, 상기 록킹장치(40)가 잠금 해제된 상태에서 비상문(2)이 자동 개방되도록 하는 통상적인 유압 오프너가 비상문에 설치된 경우라면, 상기 작동확인감지센서는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마이크로스위치(MS)이면 족하나, 오프너가 설치되지 않아 상기 록킹장치(40)가 잠금 해제된 상태에서도 인력으로 비상문을 개방하여야 하는 경우라면, 상기 작동확인감지센서는 록킹장치(40)의 잠금해제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적당한 위치에 별도 설치한 잠금해제 감지센서(SR2)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잠금해제 감지센서(SR2)는 가동로드가 신장된 상태에서 가동로드(47)의 걸림턱(46a)으로부터 하부 돌출된 평탄부분에 작동자(54)의 걸림편(54a)의 단부가 눌려지면서 회동된 작동자(54)의 압력을 받고 가동로드가 축소된 상태에서 작동자의 압력을 받지 않게 되므로 잠금상태 및 잠금해제 상태의 구분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록킹장치(40) 및 록킹방지기(50)는 도 3 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하나의 케이스 몸체(200) 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여기에는 키로 록킹상태를개폐할 수 있는 개폐기(70)가 포함된다. 이러한 록킹장치(40) 및 록킹방지기(50) 및 개폐기(70)가 구비된 케이스 몸체(200)는 통상적으로 실내측에 설치하고 실외에서 키를 사용하여 열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평상시에는 업소 등에서 손님의 도주를 방지하다가 화재발생시나 필요시에는 본원 제어시스템에 의해 개방되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수동 조작시와 화재시의 두가지 경우에 작동하게 된다.
먼저, 수동조작시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제어시스템에 전원이 켜 있는 상태에서 비상문 스위치(BT1∼BTn)이 조작되었는지에 따라 록킹장치를 작동시켜 비상문(2)이 개방되게 한다(S1∼S4). 이와 동시에 록킹방지기(50)가 작동되어 록킹장치(40)의 잠금이 방지되어진다.
이때, 비상문(2)이 개방(또는 잠금해제)되지 않아 작동확인감지센서(잠금해제 감지센서(SR2) 또는 마이크로스위치(MS))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스피커(SP)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하여 상황감시자가 비상문(2)이 닫혀 잠긴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S5,S6), 상황감시자가 경보정지 스위치(BS1)를 누르지(S7,S8) 않으면 계속해서 경보음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화재발생시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제어시스템에 전원이 켜 있는 상태에서 화재수신반(12)으로부터 마이크로프로세서(30)에 화재감지신호를 전송받게 되면, 록킹장치(S3)를 온하여 잠금해제시킴으로써 비상문(2)이 개방되게하며(S1∼S4), 이때 비상문(2) 개방에 문제가 있는 경우 전술한 수동 조작시의 단계(S5∼S8와 동일하게 경보음을 발생하게 된다. 이때에도, 록킹방지기(50)가 작동되어 비상문이 잠기지 않도록 한다.
물론, 마이크로 프로세서(30)의 출력신호에 따라 화재 발생시에 스피커(SP)를 통해 출력되는 경보음과, 비상문 개방에 문제가 있어 스피커(SP)를 통해 출력되는 경보음은 상황감시자가 상황 파악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상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당업계의 통상적인 지식에 의해 응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해 상기 각종 조작 스위치들을 조작한 때와 마찬가지로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원격 조작신호가 입력되게 하여 비상문 개방 등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건물에 구비된 다수의 비상문들이 화재수신반으로부터 신호를 전송받거나 비상문 통합 개방 스위치를 조작하였을 때는 일제히 잠금해제되고 화재 초기 등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개별 비상문 스위치를 조작하였을 때는 개별적으로 잠금 해제되므로 화재시에 발생할 수 있는 인명사고를 예방 더욱이 본 고안은 비상문의 잠금해제와 동시에 잠금 방지되도록 작동하기 때문에 비상문 개방에 대한 안전 신뢰성이 높아 화재시에 효과적이고,
또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인위적으로 조작하여 다수의 비상문을 각기 개별적으로 또는 통합적으로 잠금 해제하여 개방시킬 수 있게 되므로 화재수신반과 연계된 열감지센서의 감지 이전인 화재 초기에도 비상문 개방이 가능하여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건물에 구비된 다수의 비상문들의 잠금해제를 제어하기 위한 비상문 잠금해제 제어시스템으로서,
    상기 다수의 비상문(2)들에 설치되어 비상문(2)의 잠금 및 잠금해제를 작동하는 록킹장치(40)와, 상기 다수의 비상문(2)들에 설치된 각각의 록킹장치(40)를 개별적으로 잠금해제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신호를 발생하는 다수의 비상문 스위치(BT1∼BTn)와, 상기 록킹장치(40)가 잠금해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작동하는 록킹방지기(50)와, 상기 록킹장치(40)의 잠금해제 상태를 감지하는 작동확인감지센서(MS 또는 SR2)와, 상기 각각의 비상문 스위치(BT1∼BTn)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각각의 비상문(2)이 잠금해제되도록 상기 비상문(2)들 각각에 설치된 록킹장치(40)를 개별적으로 제어하고, 통상적으로 건물에 구비된 화재수신반(12)의 화재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각각의 비상문(2)들이 통합적으로 잠금해제되어 개방되도록 상기 비상문(2)들에 설치된 다수의 록킹장치(40)를 통합 제어하며, 상기 각각의 비상문(2)에 설치된 록킹장치(40)를 잠금해제되게 작동시킨 제어상태와, 상기 잠금해제를 감지하는 작동확인감지센서의 감지상태의 비교에 의해 상기 록킹장치(40)의 작동오류를 판단하여 이를 표시할 수 있는 수단으로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문 잠금해제 제어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0)의 출력에 따라 상기 록킹장치(40) 및 록킹방지기(50)의 작동오류 상태와, 상기 화재수신반(12)에서 화재감지신호의 인가시나 사용자의 인위적 조작시와 같이 화재 발생을 알리는 상태를 서로 구별될 수 있는 경보음으로 출력하는 스피커수단(SP)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0)의 출력에 따라 상기 다수의 비상문(2)에 설치된 각각의 록킹장치(40)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램프(L1∼Ln)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0)의 출력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0)로 상기 스피커수단(SP)의 경보음을 해제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조작하는 경보정지 스위치(BS1)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문 잠금해제 제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장치(40)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어 흡인되는 플런저(44)를 갖는 전자석 액츄에이터(42)와, 상기 플런저(44)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플런저(44)의 신축시에 가이드(47)를 따라 비상문(2)의 문틀(4)에 설치된 부재(62)의 잠금구멍에 삽탈되며 걸림턱(46a)를 형성하도록 단차가 형성된 가동로드(46)로 구성되고,
    상기 록킹방지기(50)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기어드모터(M)와, 상기 기어드모터(M)의 구동축에 축결된 캠(52)과, 상기 캠(52)의 회전에 따라 힌지축(56)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상기 캠(52)과 접하는 일측의 반대측에 스프링(57) 탄지되며 상기 스프링(57) 탄지력에 의해 상기 가동로드(46)의 걸림턱(46a)에 걸리거나 상기 캠(52)의 작용에 의해 상기 걸림턱(46a)으로부터 걸림 해제되는 걸림편(54a)을 갖는 작동자(54)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0)에서 상기 기어드모터(M)를 제어하기 위한 기초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캠(52)이 정해진 위치에서 회전 정지하도록 캠(52)의 회전위치를 감지한 신호를 발생하는 캠감지센서(5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문 잠금해제 제어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장치(40)가 잠금 해제된 상태에서 비상문(2)이 자동 개방되도록 하는 통상적인 유압 오프너가 비상문에 설치된 경우, 상기 작동확인감지센서는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마이크로스위치(M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문 잠금해제 제어시스템.
  5. 삭제
KR2020010014822U 2001-05-21 2001-05-21 비상문 잠금해제 제어시스템 KR2002510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822U KR200251041Y1 (ko) 2001-05-21 2001-05-21 비상문 잠금해제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822U KR200251041Y1 (ko) 2001-05-21 2001-05-21 비상문 잠금해제 제어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1355A Division KR20020088404A (ko) 2002-08-29 2002-08-29 비상문 잠금해제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1041Y1 true KR200251041Y1 (ko) 2001-11-16

Family

ID=73065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4822U KR200251041Y1 (ko) 2001-05-21 2001-05-21 비상문 잠금해제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104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186A (ko) * 2002-01-31 2003-08-06 주식회사 아이레보 화재 감시용 도어 제어 장치
KR20040018033A (ko) * 2002-08-24 2004-03-02 이영세 건물의 비상문 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459434Y1 (ko) * 2009-06-23 2012-03-23 강병두 화재 대피용 라이딩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186A (ko) * 2002-01-31 2003-08-06 주식회사 아이레보 화재 감시용 도어 제어 장치
KR20040018033A (ko) * 2002-08-24 2004-03-02 이영세 건물의 비상문 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459434Y1 (ko) * 2009-06-23 2012-03-23 강병두 화재 대피용 라이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9375B2 (en) Seismic switch
EP0024173A1 (en) Timing apparatus for delaying opening of doors
KR100761023B1 (ko) 지하철 승강장 스크린도어에 구비된 안전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200251041Y1 (ko) 비상문 잠금해제 제어시스템
US6317041B1 (en) Refuge bay monitoring system
CN210828942U (zh) 一种具有警报功能的防火的监控设备
KR20020088404A (ko) 비상문 잠금해제 제어시스템
JP2776420B2 (ja) 出入口における自動ドアの開閉管理装置
KR200182344Y1 (ko) 화재시 자동 개방되는 비상자동 도어록 장치
KR200185266Y1 (ko) 소화설비용 수동 조작함
JP3860855B2 (ja) 消火器のロック自動解錠装置
JP3020335B2 (ja) 盗難防止システム
KR200285116Y1 (ko) 방화겸용 도난방지문
NO321206B1 (no) Fremgangsmate for styring av heiser ved brann eller lignende farer
JP4283364B2 (ja) 消火用セレクション弁
JP2001355361A (ja) 警備装置
JP3172853B2 (ja) 二酸化炭素消火設備の安全装置
KR200304264Y1 (ko) 방화문 자동 개폐장치
CN2847403Y (zh) 一种紧急逃生控制器
JPH09253233A (ja) ガス系消火設備
KR102050768B1 (ko) 공동주택의 통신 시설을 이용한 소방 안전 장치
KR100329171B1 (ko) 도어잠금장치
JPH0622358Y2 (ja) ガス系消火設備の制御回路
KR200241032Y1 (ko) 비상구 자동 개폐 장치
KR200232389Y1 (ko) 비상구자동개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