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8033A - 건물의 비상문 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건물의 비상문 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8033A
KR20040018033A KR1020020050327A KR20020050327A KR20040018033A KR 20040018033 A KR20040018033 A KR 20040018033A KR 1020020050327 A KR1020020050327 A KR 1020020050327A KR 20020050327 A KR20020050327 A KR 20020050327A KR 20040018033 A KR20040018033 A KR 20040018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mergency door
power
switching means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0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세
김관영
Original Assignee
이영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세 filed Critical 이영세
Priority to KR1020020050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8033A/ko
Publication of KR20040018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8033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6Magnets
    • E05Y2201/462Electro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1Feedback to user, e.g. tactile
    • E05Y2400/818Visual
    • E05Y2400/822Light emitters, e.g. light emitting diodes [L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5Emergency conditions
    • E05Y2800/252Emergency conditions the elements functioning only in case of emergenc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4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high or low temperatures
    • E05Y2800/416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high or low temperatures against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industrial building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에 설치되어 화재의 유무를 감지하는 화재감지기와 연동하여 상기 화재감지기로부터 화재시에 비상문을 유도하는 유도등에 보내지는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작동하는 자동개폐제어기가 구비됨으로서 비상문을 자동개폐 하는 건물의 비상문 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건물에 설치되어 화재감지센서를 통하여 화재의 유무를 감지하는 화재감지기에 있어서, 화재시에 상기 화재감지기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받아 빛을 발하여 비상문을 유도하는 유도등과; 상기 비상문에 장착되어 평시에 전기가 통전되어 상기 비상문을 잠금상태로 유지하고 화재시에 전기가 차단되어 상기 비상문을 열림상태로 하는 전자석 개폐기와; 상기 유도등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평시에 상기 전자석 개폐기에 전기를 통전시키고 화재시에 상기 화재감지기로부터 받는 상기 유도등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상기 전자석 개폐기의 전기를 차단시켜 상기 비상문을 열리게 하는 자동개폐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개폐제어기는 상기 화재감지기로부터 트랜스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연결하는 제 1스위칭 수단과 상기 트랜스로부터 전원을 받아 상기 전자석 개폐기를 작동시키는 제 2스위칭 수단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건물의 비상문 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An Emergency door Open Control Device Of A Building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에 자동으로 개방되는 건물의 비상문 개방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에 설치되어 화재의 유무를 감지하는 화재감지기와 연동하여 상기 화재감지기로부터 화재시에 비상문을 유도하는 유도등에 보내지는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작동하는 자동개폐제어기가 구비됨으로서 비상문을 자동개폐 하는 건물의 비상문 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에 설치되는 비상문은 건물의 화재에 대비하여, 바람직하게는 개방이 되어 있어야 하나 보안 및 도난 등의 이유로 평소에는 잠겨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건물관리상 상시 옥상비상출입문은 개방시켜야 하나 외부인이 출입하는등 혹은 불미스러운 사고가 발생될 수 있어 건물주는 대개 비상문을 폐쇄시키므로 화재시 많은 인명사고가 비상문앞에서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비상문은 관리자가 직접 열쇠를 수동으로 회전시켜 상기 비상문을 개폐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화재가 발생하면 사람들은 당황하고 공포감에 휩싸여, 평소와는 달리판단력을 잃고 혼란스럽게 된다. 또한, 소수의 관리자가 화재시에 각각의 비상문을 직접 다니며 열기란 무리가 있으며, 상기 관리자도 사람인지라 당황하고 공포감에 휩싸여 의무를 충실히 수행하기란 어렵다.
그리고, 비상시에는 사람들이 당황한 나머지 간단히 손잡이를 돌려서 개방할 수 있는 비상문을 힘으로 밀기만 하거나, 당겨야 열리는 문을 민다거나 하여 화재시 발생하는 연소가스 등에 질식되어 사망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더욱이, 많은 사람들이 문앞으로 몰리게 되어 열쇠를 갖고 있는 관리자가 문앞에 도달하기까지 더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되기도 한다.
이러한 시간적인 지연은 비상시에 상황을 악화시키는 가장 큰 요인으로서, 화재 발생시 발생하는 유독가스는 매우 짧은 시간에 건물 내부에서 수직으로 상승하면서 대피자들이 비상문에 이르기도 전에 유독가스에 질식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 건물에 설치된 화재감지기를 제거하고, 화재시에 비상문이 오픈되게 하는 기능이 부가된 화재감지기로 교체하는 경우도 종종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많은 교체비용과 정상적인 작동을 하고 있는 기존의 화재감지기를 폐기해야 하므로 많은 경제적인 손실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화재감지기의 교체없이 종래의 화재감지기와 연동하여 화재시에 비상문을 오픈시킬 수 있는 자동개폐제어기를 더 구비함으로서 경제적 손실없이 화재시 비상문을 오픈시킬 수 있는 비상문 개방제어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화재시 화재감지기에 의하여 작동하는 유도등 on/off의 신호를 받아 작동하는 자동개폐제어기를 구비하여 경제적 손실없이 화재시 비상문을 오픈시킬 수 있는 건물의 비상문 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상기 자동개폐제어기가 화재시 유도등의 on/off 신호를 받아 비상문의 전자석 개폐기를 제어하여 항상 비상문을 개방 시키지 않아도 소방법상 문제가 없고 외부인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어 건물관리에 안전을 기여 할 수 있는 건물의 비상문 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건물에 설치되어 화재감지센서를 통하여 화재의 유무를 감지하는 화재감지기에 있어서,
화재시에 상기 화재감지기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받아 빛을 발하여 비상문을 유도하는 유도등과;
상기 비상문에 장착되어 평시에 전기가 통전되어 상기 비상문을 잠금상태로 유지하고 화재시에 전기가 차단되어 상기 비상문을 열림상태로 하는 전자석 개폐기와;
상기 유도등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평시에 상기 전자석 개폐기에 전기를 통전시키고 화재시에 상기 화재감지기로부터 받는 상기 유도등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상기 전자석 개폐기의 전기를 차단시켜 상기 비상문을 열리게 하는 자동개폐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비상문 개방제어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자동개폐제어기는 상기 화재감지기로부터 트랜스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연결하는 제 1스위칭 수단과 상기 트랜스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전자석 개폐기를 작동시키는 제 2스위칭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 1스위칭 수단 또는 제 2스위칭 수단은 전류의 의해 작동하여 회로를 개폐하는 릴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동개폐제어기는 상기 트랜스와 제 2스위칭 수단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회로내에 직렬 연결되어 전류의 흐름을 수동으로 on/off하는 수동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동스위치는 자동개폐제어기를 구성하는 케이스내에 구비되고 상기 수동스위치가 위치한 상기 케이스의 전면부에 플라스틱 재질의 비상커버가 구비되어 상기 비상커버를 소정강도 이상으로 누를시에 상기 비상커버가 상기 케이스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수동스위치가 off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화재시에 화재감지기를 통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단계;
상기 화재감지기로 부터 화재감지 신호를 받아 유도등의 전원을 밧데리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유도등의 전원이 밧데리의 전원으로 전환되는 동작에 따라 제 1스위칭 수단의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
상기 제 1스위칭 수단의 전원이 차단되어 R1접점의 단속으로 트랜스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
상기 트랜스 전원의 차단으로 제 2스위칭 수단의 전원이 차단되는 단계; 및
상기 제 2스위칭 수단의 전원이 차단되어 R2접점의 단속으로 전자석 개폐기의 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전자석 개폐기를 오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비상문 개방제어방법에 의하여도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스위칭 수단의 전원이 차단되는 단계는 수동스위치를 수동으로 off시킴으로서 상기 제 2스위칭 수단의 전원을 수동으로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비상문 개방제어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비상문 개방제어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품의 결선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비상문 개방제어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품의 회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제어기 케이스의 뚜껑이 닫힌 상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제어기 케이스의 뚜껑이 열린 상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비상문 개방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화재감지기20 : 유도등
30 : 비상문40 : 전자석 개폐기
50 : 자동개폐제어기55 : 케이스
56 : 뚜껑57 : 비상커버
60 : 제 1릴레이65 : R1접점
70 : 제 2릴레이75 : R2접점
80 : 트랜스90 : 수동스위치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비상문 개방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비상문 개방제어장치는 화재시에 건물의 비상문(30)을 자동으로 개방제어하는 것으로 특히 건물 옥상으로 출입할 수 있는 비상문(30)등에 설치된다.
건물의 옥상으로 출입하는 비상문(30)은 평상시에는 안전사고나 도난이나 외부인의 출입을 통제하여야 하기 때문에 잠긴 상태이어야 하지만 화재시에는 오픈되는 기능을 갖고 있어야 한다.
건물에 설치된 화재감지센서를 통하여 화재의 유무를 감지하는화재감지기(10)가 화재시에 화재경보를 울리고 비상문(30)으로 사람들을 유도시키는 유도등(20)을 제어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처럼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비상문 개방제어장치는 상기 화재감지기(10)에 전기적으로 유도등(20)이 연결 구성되고 상기 유도등(20)에 자동개폐제어기(5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자동개폐제어기(50)는 비상문(30)에 구비된 전자석 개폐기(40)와 연결되어 화재시에 상기 화재감지기(10)가 상기 유도등(20)을 제어한다. 이 때, 상기 유도등(20)의 동작신호를 받아 상기 자동개폐제어기(50)가 상기 전자석 개폐기(40)의 전기를 차단시켜 비상문(30)을 오픈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비상문 개방제어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품의 결선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비상문 개방제어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품의 회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작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자동개폐제어기(50)는 상기 유도등(20)의 동작신호를 받아 작동하는 제 1스위칭 수단과 고전압에서 저전압으로 전압을 강하시키는 트랜스(80)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트랜스(80)로부터 전자석 개폐기(40)로 흐르는 전원을 on/off하는 제 2스위칭 수단과 상기 트랜스(80)에서 상기 제 2스위칭 수단으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는 수동스위치(9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자동개폐제어기(50)는 상기 유도등(20)과 상기 제 1스위칭 수단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스위칭 수단에 의하여 전자석 개폐기(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1스위칭 수단과 제 2스위칭 수단은 전류에 의해 작동하여 회로를 개폐하는 릴레이로서 각각 R1과 R2의 접점(65, 75)을 컨트롤하여 전류의 흐름을 접속하거나 단속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전자석 개폐기(40)를 작동시키는 전류의 흐름은 상기 화재감지기(10)로 부터 상기 유도등(20)으로 흐르는 전류를 이용하게 된다.
평시에 상기 유도등(20)을 점등시키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 1스위칭 수단인 제 1릴레이(60)에 전원이 인가되어 R1접점(65)이 접속된다. 이로써 트랜스(80)의 1차 코일(82)에 전류가 흐르고 이 때, 2차 코일(84)에 전류가 유도되어 상기 제 2스위칭 수단인 제 2릴레이(70)에 전원이 인가된다.
상기 제 2릴레이(70)에 전류가 흐르는 회로의 중간에는 수동스위치(90)가 구비되어 평시에는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on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상기 제 2스위칭 수단인 제 2릴레이(70)에 전원이 인가됨으로서 R2접점(75)이 접속되어 상기 전자석 개폐기(40)는 작동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전자석 개폐기(40)의 작동은 비상문(30)을 잠금 상태로 유지하게 되어 평시에 상기 비상문(30)은 잠겨 있게 된다.
평시에 이상과 같은 상태를 유지하다가 화재가 발생시 상기 화재감지기(10)는 상기 유도등(20)으로 흐르는 전원을 차단하게 되고 이 때 유도등(20)은 밧데리의 전원으로 전환되는 작동을 한다.
상기 유도등(20)이 밧데리의 전원으로 전환되는 동작에 따라 상기 제 1스위칭 수단인 제 1릴레이(60)로 흐르는 전류가 차단되어 상기 R1접점(65)이 단속된다. 이에 따라 상기 트랜스(80)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됨으로서 연쇄적으로 상기 R2접점(75)이 단속되어 상기 전자석 개폐기(40)는 잠금 상태를 해제시켜 상기 비상문(30)이 열림 상태로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과정은 3선식 유도등(20)에서 이루어지는 일실시예를 설명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2선식 유도등(20)으로 평시 off상태에서 화재시 on상태로 전환되는 경우는 상기 전자석 개폐기(40)의 동작을 반대로 전환하면 된다. 즉 상기 전자석 개폐기(40)를 전원이 없는 상태에서 잠김 상태를 유지하다가 전원이 인가되면 오픈되는 동작의 전자석 개폐기(40)를 이용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제어기 케이스의 뚜껑이 닫힌 상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제어기 케이스의 뚜껑이 열린 상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제어기(50)는 케이스(55)내에 상기 제 1스위칭 수단, 제 2스위칭 수단, 트랜스(80) 및 수동스위치(9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 상기 수동스위치(90)가 위치한 상기 케이스(55)의 전면부에는 플라스틱 재질의 비상커버(57)가 구비되어 상기 비상커버(57)를 소정강도 이상으로 누를시에 상기 비상커버(57)가 상기 케이스(55)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수동스위치(90)를 off시키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비상커버(57)는 투명재질로 하여 내측의 수동스위치(90)가 보이도록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55)는 열쇠를 이용하여 뚜껑(56)을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조로 관리자가 상기 케이스(55)를 열고 곧바로 상기 수동스위치(90)를 조작할 수 있는 특징을 구비하고 있다.
이는 평시에 관리자가 상기 비상문(30)을 출입할 경우에 주로 이용하게 되며 상기 수동스위치(90)를 토글 스위치로 하여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비상문(30) 개방제어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비상문 개방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비상문 개방제어방법을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 발생시를 통하여 설명한다. 화재시에 화재감지기(10)를 통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단계(S100)를 거치면 상기 화재감지기(10)로부터 화재감지 신호를 받아 유도등(20)의 전원을 밧데리로 전환하는 단계(S110)가 된다.
상기 유도등(20)의 전원이 밧데리의 전원으로 전환되는 동작에 따라 제 1스위칭 수단의 전원이 차단하는 단계(S120)가 되고, 상기 제 1스위칭 수단의 전원이 차단되어 R1접점(65)의 단속으로 트랜스(80) 전원이 차단되는 단계(S130)가 된다.
그리고, 상기 트랜스(80) 전원의 차단으로 제 2스위칭 수단의 전원이 차단되는 단계(150)를 거쳐 R2접점(75)의 단속으로 전자석 개폐기(40)의 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전자석 개폐기(40)를 오픈하는 단계(S160)로 비상문(30)이 열리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2스위칭 수단의 전원이 차단되는 단계(S150)는 수동차단을 하고 싶은 경우에(S140) 수동스위치(90)를 수동으로 off시킴으로서 상기 제 2스위칭 수단의 전원을 수동으로 차단하는 단계(S145)를 더 갖는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제어기(50)는 유도등(20)의 동작신호 뿐만 아니라 비상벨이 울리는 신호에 의하여 동작될 수 있으며, 상기 화재감지기(10)로부터 상기 유도등(20)이나 비상벨을 동작시키는 신호에 의하여 직접 동작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비상문 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화재시 화재감지기에 의하여 작동하는 유도등 on/off의 신호를 받아 작동하는 자동개폐제어기를 구비하여 경제적 손실없이 화재시 비상문을 오픈시킬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상기 자동개폐제어기가 화재시 유도등의 on/off 신호를 받아 비상문의 전자석 개폐기를 제어하여 항상 비상문을 개방 시키지 않아도 소방법상 문제가 없고 외부인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어 건물관리에 안전을 기여 할 수 있는 건물의 비상문 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 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7)

  1. 건물에 설치되어 화재감지센서를 통하여 화재의 유무를 감지하는 화재감지기(10)에 있어서,
    화재시에 상기 화재감지기(1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받아 빛을 발하여 비상문(30)을 유도하는 유도등(20)과;
    상기 비상문(30)에 장착되어 평시에 전기가 통전되어 상기 비상문(30)을 잠금상태로 유지하고 화재시에 전기가 차단되어 상기 비상문(30)을 열림상태로 하는 전자석 개폐기(40)와;
    상기 유도등(2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평시에 상기 전자석 개폐기(40)에 전기를 통전시키고 화재시에 상기 화재감지기(10)로부터 받는 상기 유도등(20)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상기 전자석 개폐기(40)의 전기를 차단시켜 상기 비상문(30)을 열리게 하는 자동개폐제어기(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비상문 개방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개폐제어기(50)는 상기 화재감지기(10)로부터 트랜스(8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연결하는 제 1스위칭 수단과 상기 트랜스(8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전자석 개폐기(40)를 작동시키는 제 2스위칭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비상문 개방제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스위칭 수단 또는 제 2스위칭 수단은 전류의 의해 작동하여 회로를 개폐하는 릴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비상문 개방제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개폐제어기(50)는 상기 트랜스(80)와 제 2스위칭 수단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회로내에 직렬 연결되어 전류의 흐름을 수동으로 on/off하는 수동스위치(9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비상문 개방제어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스위치(90)는 자동개폐제어기(50)를 구성하는 케이스(55)내에 구비되고 상기 수동스위치(90)가 위치한 상기 케이스(55)의 전면부에 플라스틱 재질의 비상커버(57)가 구비되어 상기 비상커버(57)를 소정강도 이상으로 누를시에 상기 비상커버(57)가 상기 케이스(55)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수동스위치(90)가 off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비상문 개방제어장치.
  6. 화재시에 화재감지기(10)를 통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단계(S100);
    상기 화재감지기(10)로 부터 화재감지 신호를 받아 유도등(20)의 전원을 밧데리로 전환하는 단계(S110);
    상기 유도등(20)의 전원이 밧데리의 전원으로 전환되는 동작에 따라 제 1스위칭 수단의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S120);
    상기 제 1스위칭 수단의 전원이 차단되어 R1접점(65)의 단속으로 트랜스(80)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S130);
    상기 트랜스(80) 전원의 차단으로 제 2스위칭 수단의 전원이 차단되는 단계(S150); 및
    상기 제 2스위칭 수단의 전원이 차단되어 R2접점(75)의 단속으로 전자석 개폐기(40)의 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전자석 개폐기(40)를 오픈하는 단계(S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비상문 개방제어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스위칭 수단의 전원이 차단되는 단계(S150)는 수동스위치(90)를 수동으로 off시킴으로서 상기 제 2스위칭 수단의 전원을 수동으로 차단하는 단계(S14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비상문 개방제어방법.
KR1020020050327A 2002-08-24 2002-08-24 건물의 비상문 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180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327A KR20040018033A (ko) 2002-08-24 2002-08-24 건물의 비상문 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327A KR20040018033A (ko) 2002-08-24 2002-08-24 건물의 비상문 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5287U Division KR200294542Y1 (ko) 2002-08-24 2002-08-24 건물의 비상문 개방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8033A true KR20040018033A (ko) 2004-03-02

Family

ID=37323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0327A KR20040018033A (ko) 2002-08-24 2002-08-24 건물의 비상문 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803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12755A (zh) * 2022-06-28 2022-09-06 宜昌鹏海智能机器人有限公司 智能安防全自动海底隧道安全门及其使用方法
KR20220132320A (ko) * 2021-03-23 2022-09-30 에이모스주식회사 소방관 진입창호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929Y1 (ko) * 1986-06-30 1989-03-27 동화과학 주식회사 농구대용 링
KR200241032Y1 (ko) * 2001-04-09 2001-10-11 서을수 비상구 자동 개폐 장치
KR20010100154A (ko) * 2001-10-17 2001-11-14 안명훈 비상문 자동개폐 시스템 및 방법
KR200251041Y1 (ko) * 2001-05-21 2001-11-16 이병우 비상문 잠금해제 제어시스템
KR200268301Y1 (ko) * 2001-09-11 2002-03-16 민윤홍 도어의 개폐 제어장치
JP2002190070A (ja) * 2000-12-22 2002-07-05 Ki Denshi Kk ライフガードシステム
KR200287459Y1 (ko) * 2002-05-10 2002-09-05 송재익 보안 겸용의 비상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929Y1 (ko) * 1986-06-30 1989-03-27 동화과학 주식회사 농구대용 링
JP2002190070A (ja) * 2000-12-22 2002-07-05 Ki Denshi Kk ライフガードシステム
KR200241032Y1 (ko) * 2001-04-09 2001-10-11 서을수 비상구 자동 개폐 장치
KR200251041Y1 (ko) * 2001-05-21 2001-11-16 이병우 비상문 잠금해제 제어시스템
KR200268301Y1 (ko) * 2001-09-11 2002-03-16 민윤홍 도어의 개폐 제어장치
KR20010100154A (ko) * 2001-10-17 2001-11-14 안명훈 비상문 자동개폐 시스템 및 방법
KR200287459Y1 (ko) * 2002-05-10 2002-09-05 송재익 보안 겸용의 비상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2320A (ko) * 2021-03-23 2022-09-30 에이모스주식회사 소방관 진입창호
CN115012755A (zh) * 2022-06-28 2022-09-06 宜昌鹏海智能机器人有限公司 智能安防全自动海底隧道安全门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74055A (en) Toilet flushing device with overflow inhibitor
KR102206116B1 (ko) 모드선택 기능을 갖춘 옥내소화전
US5521585A (en) Protector
US10799879B2 (en) Kitchen waste disposal system
KR200427721Y1 (ko) 비상문 자동 개폐장치
KR200427720Y1 (ko) 비상문 자동 개폐장치
CN116205600A (zh) 一种实验室离岗安全管理系统
KR200294542Y1 (ko) 건물의 비상문 개방제어장치
KR20040018033A (ko) 건물의 비상문 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4754263A (en) Burglar alarm system
US2670466A (en) Burglar alarm system
KR200449176Y1 (ko) 솔레노이드 개폐 도어의 비상 탈출장치
JP2004170276A (ja) 電流表示装置
CA1127705A (en) Electric lighting installation
KR200268301Y1 (ko) 도어의 개폐 제어장치
KR100549210B1 (ko) 비상구 자동 개폐 장치 및 방법
KR100485665B1 (ko) 비상문 자동 개폐시스템
JP2001338566A (ja) 配線用遮断器および電気設備
CN111852300A (zh) 一种火灾逃生门控制系统
KR200241032Y1 (ko) 비상구 자동 개폐 장치
KR100378216B1 (ko) 비상구 자동 개폐 장치
CN217218136U (zh) 烟草生产设备的喂丝机防护门控制装置和喂丝机
CN103812085B (zh) 有源式电流压板有流防误闭锁装置
CN217655560U (zh) 一种应急疏散门禁联动控制及预警系统
KR0124346Y1 (ko) 파티션도어 자동동작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