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434Y1 - 화재 대피용 라이딩 장치 - Google Patents

화재 대피용 라이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434Y1
KR200459434Y1 KR2020090008115U KR20090008115U KR200459434Y1 KR 200459434 Y1 KR200459434 Y1 KR 200459434Y1 KR 2020090008115 U KR2020090008115 U KR 2020090008115U KR 20090008115 U KR20090008115 U KR 20090008115U KR 200459434 Y1 KR200459434 Y1 KR 2004594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building
opening
floor
evac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81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3028U (ko
Inventor
강병두
김동현
Original Assignee
강병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두 filed Critical 강병두
Priority to KR20200900081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434Y1/ko
Publication of KR201000130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0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4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4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2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sliding-ropes, sliding-poles or chutes, e.g. hoses, pipes, sliding-grooves, sliding-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상하 인접하는 층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터널라이드(10)와, 상기 터널라이드(10)의 상하 양끝단을 각각 상하부 층의 내부로 위치시켜 사람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입, 출구부(20, 30)와, 상기 입구부(20)와 출구부(30)에 각각 설치되어 화재 발생 시에만 열리도록 작동되는 개폐문(25, 35)과, 건물 내부의 각층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 시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부(50)와, 상기 센서부(50)에 화재 감지에 의해 상기 개폐문(25, 35)의 개폐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제어부(40)로 구성하여, 아파트나, 고층 건물의 상하 인접하는 층을 연결하도록 설치하여, 건물에 화재가 발생할 시 상부층의 사람이 화염이나, 연기를 피하여 인접하는 하부층을 통해 지상으로 단계적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재 대피용 라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슬라이딩, 화재감지센서, 완강기

Description

화재 대피용 라이딩 장치{Riding structure for using in escaping from fire}
본 고안은 아파트나, 고층 건물의 상하 인접하는 층을 연결하도록 설치하여, 건물에 화재가 발생할 시 상부층의 사람이 화염이나, 연기를 피하여 인접하는 하부층을 통해 지상으로 단계적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재 대피용 터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고층 건물은 화재의 발생 시 거주자의 대피가 매우 취약하여, 화재 발생 시 건물 아래로 추락하거나, 그대로 질식하여 사망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또한 현대로 오면서 아파트가 점점 고층화되어 화재 발생 시의 위험이 더욱 증가되고 있는 반면, 아파트 주변의 차량 증가와, 주차공간의 부족으로 화재 발생지로의 소방차의 신속한 진입이 어려운 상황이며, 이로 인해 화재의 초기 진압에 실패하여 더 많은 인명 피해의 우려가 점점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아파트 화재 시의 대피를 위한 종래의 대표적인 장치로서 완강기는 사람의 몸에 묶은 줄을 걸어서 건물 외부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며, 아파트 베란다의 비상탈출통로는 옆으로 상호 인접하는 벽부를 철거시켜 옆 세대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아파트에서 필수적으로 설치가 되고 있는 것이며, 이 외에도 화재 발생으로부터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기술들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완강기의 경우, 사람의 몸에 줄을 묶어 건물 외부로 대피하는 과정에서 추락의 위험이 있어 여성이나, 어린 아이, 노약자가 사용 시 큰 공포감을 느끼게 되는 것이며, 장치의 조작에 숙련성을 필요로 하고, 줄의 체결에 많은 시간을 소요하게 되는 등의 문제로 화재 발생 시의 긴급 대피용으로 무용지물에 가깝게 인식되고 있다.
또한 상기 비상탈출통로는 같은 층의 옆 세대로만 대피가 가능하여 건물 외부로 벗어나기 위한 하부 층으로의 이동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화재 발생 시 화염이나, 연기를 피하여 단계적으로 하부층으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의 초기 진화 실패 시에도 거주자가 보다 능동적이고, 신속하게 대피하여 건물 외부로 이탈 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는 화재 대피용 라이딩 장치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아파트, 고층건물 등에서 상호 인접하는 상하층을 연결하도록 설치하되, 상부층에 형성되는 입구부에서 수평 회전을 가지도록 하부층으로 이어져 출구부를 형성하여 사람이 내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터널라이드와, 상기 터널라이드의 입구부와, 출구부를 각각 개폐시키는 개폐문과, 상부층과, 하부층에 각각 설치되어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의해 화재 발생 시에만 상기 개폐문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대피용 라이딩 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화재 대피용 라이딩 장치에 의하면, 고층 건물의 화재 발생 시 상부층의 사람이 화염 또는 연기를 피해 하부층으로 단계적으로 안전하게 이동하여 보다 능동적이고, 신속한 대피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소중한 인명의 피해를 최소화 시키도록 하는 동시에 평상시에는 사람이 이동할 수 없도록 하여 범죄 수단으로 악용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용 라이딩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화재 대피용 라이딩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화재 대피용 라이딩 장치에 따르면 도 1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건물의 상하 인접하는 층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터널라이드(10)와, 상기 터널라이드(10)의 상하 양끝단을 각각 상하부 층의 내부로 위치시켜 사람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입, 출구부(20, 30)와, 상기 입구부(20)와 출구부(30)에 각각 설치되어 화재 발생 시에만 열리도록 작동되는 개폐문(25, 35)과, 건물 내부의 각층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 시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부(50)와, 상기 센서부(50)에 화재 감지에 의해 상기 개폐문(25, 35)의 개폐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제어부(40)로 대분 구성되어진다.
상기 터널라이드(1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바와 같이 건물의 상하 인접하는 층으로 둥굴게 회전하면서 하부로 완만한 경사로 이어지도록 구성하고, 내부로 사람이 슬라이딩하여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 1, 도 2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기 터널라이드(10)의 상부와, 하부 끝단은 인접하는 상, 하부층의 벽체부(60) 내측으로 각각 이어지도록 하여 사람이 출입할 수 있는 입구부(20)와, 출구부(30)를 형성하고, 상기 입구부(20)와, 출구 부(30)에 각각 화재 발생 시에만 작동이 되어 입구부(20)와, 출구부(30)를 각각 개폐시킬 수 있도록 작동하는 개폐문(25, 35)을 구비한다.
상기 개폐문(25, 35)은 제어부(40)에 의해 잠금이 해제될 시 대피자가 외측에서 손으로 잡고 열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70)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터널라이드(10)의 내부를 통과하여 하부층으로 나갈 수 있도록 하는 출구부(30)의 개폐문(35)은 대피자가 터널라이드(10) 내부에서 일정 압을 가하면 열리도록 구성이 된다.
즉, 상기한 화재 대피용 라이딩 장치를 건물 내부의 인접하는 상하부층에 각각 설치를 하면 도 1에서 보는바와 같이 벽체부(60) 상에 상부층으로부터 이어지는 터널라이드(10) 출구부(30)의 개폐문(35)과, 하부층으로 이어지는 입구부(20)의 개폐문(25)이 한 층에 각각 구비가 되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입구부(20)와, 출구부(30)는 건물의 베란다와 같이 외부로 통하는 위치에 설치토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건물 시공 시에 상기 터널라이드(10)의 평면 면적을 가지는 별도 공간을 마련하여 화재 시 대피를 전용으로 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 1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기 입구부(20)와, 출구부(30)가 설치되는 각층의 실내에는 화재 발생 및 실내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부(50)와, 상기 센서부(50)에 의해 측정된 정보에 의해 상기 터널라이드(10)의 개폐문(25, 35)을 작동시키도록 하는 제어부(40)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40)는 센서부(50)에서 측정한 온도가 설정된 기준 온도를 넘을 경우에만 화재로 판정을 하여 터널라이드(10)의 개폐문(25, 35)이 작동 가능하게 제어함으로써, 평상시에는 상부층의 사람이 터널라이드(10)를 통해 내려오지 못하도록 구성되어진다.
이하 상술한 구성에 따르는 화재 대피용 라이딩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도록 하면, 상기에서 언급한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상기 화재 대피용 라이딩 장치의 개폐문(25, 35)이 잠긴 상태로 유지가 되어 상부층에서 하부층으로 사람이 이동하여 범죄 등으로 악용할 수 있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건물 화재 발생 시에는 상기한 구성의 센서부(50)에서 화재에 의한 열을 감지하여 제어부(40)로 보내고, 상기 제어부(40)에서 이를 통해 화재 판정을 하여 상하 설치된 라이딩 장치의 개폐문(25, 35)의 잠금을 해제시켜 열고 닫을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화재 시의 화염이나, 연기를 피해 베란다로 이동한 사람이 상기 라이딩 장치의 개폐문(25, 35)을 열고 슬라이딩하여 하부층으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러한 단계를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1층의 지상까지 이동하거나, 또는 건물 화재의 특성 상 불이 번지기 쉬운 상부층으로부터 일정 하부층으로 신속하게 대피하여 화재의 영향이 적은 하부층의 비상계단이나, 구조대에 의한 구조 등 화재 시의 각 상황에 따라 다양한 대피 루트를 능동적으로 택할 수 있도록 하여 소중한 생명을 보호토록 하는 특유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라이딩 장치의 개폐문(25, 35)을 작동시키는 제어부(40)는 화재 발생 시 건물의 최상부층에서 최하부층으로 이어지는 각 층에 설치된 모든 개폐문(25, 35)을 통합적으로 열고 닫을 수 있는 상태로 제어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화재 발생 시 하부층의 센서부(50)에서 측정한 온도가 인접한 상부층 보다 높을 시에는 상부층 입구부(20)의 개폐문을 열리지 않게 제어하도록 설정하여, 대피자가 예상치 못한 더 위험한 상황에 처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용 라이딩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화재 대피용 라이딩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면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터널라이드 20: 입구부 30: 출구부
25, 35: 개폐문 40: 제어부 50: 센서부
60: 벽체부 70: 손잡이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아파트, 고층건물 등에서 상호 인접하는 상하층을 연결하도록 설치하되, 상부층에 형성되는 입구부에서 수평 회전을 가지도록 하부층으로 이어져 출구부를 형성하여 사람이 내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터널라이드와, 상기 터널라이드의 입구부와, 출구부를 각각 개폐시키는 개폐문과, 건물의 각 층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의해 화재 발생 시에만 상기 개폐문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부층 보다 하부층의 온도가 높게 측정될 경우 사람이 하부층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입구부의 개폐문이 열리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화재 대피용 라이딩 장치
KR2020090008115U 2009-06-23 2009-06-23 화재 대피용 라이딩 장치 KR2004594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115U KR200459434Y1 (ko) 2009-06-23 2009-06-23 화재 대피용 라이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115U KR200459434Y1 (ko) 2009-06-23 2009-06-23 화재 대피용 라이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028U KR20100013028U (ko) 2010-12-31
KR200459434Y1 true KR200459434Y1 (ko) 2012-03-23

Family

ID=44485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8115U KR200459434Y1 (ko) 2009-06-23 2009-06-23 화재 대피용 라이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4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2952B1 (ko) * 2017-08-02 2017-09-28 주식회사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물 옥상 화재 피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3103U (ja) * 1994-12-27 1995-07-11 綜合産業株式会社 螺旋降下型避難装置
JPH10127948A (ja) 1996-10-31 1998-05-19 Ishii Iron Works Co Ltd ガス放散塔兼用滑り台
KR200204644Y1 (ko) * 2000-05-17 2000-12-01 건우그린주식회사 비상탈출구
KR200251041Y1 (ko) * 2001-05-21 2001-11-16 이병우 비상문 잠금해제 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3103U (ja) * 1994-12-27 1995-07-11 綜合産業株式会社 螺旋降下型避難装置
JPH10127948A (ja) 1996-10-31 1998-05-19 Ishii Iron Works Co Ltd ガス放散塔兼用滑り台
KR200204644Y1 (ko) * 2000-05-17 2000-12-01 건우그린주식회사 비상탈출구
KR200251041Y1 (ko) * 2001-05-21 2001-11-16 이병우 비상문 잠금해제 제어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2952B1 (ko) * 2017-08-02 2017-09-28 주식회사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물 옥상 화재 피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028U (ko) 2010-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585B1 (ko) 층간 비상탈출장치
KR101863516B1 (ko) 화재감지 및 소화시스템
KR100757204B1 (ko)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
KR100661605B1 (ko) 아파트의 화재 비상탈출장치
JP6949147B2 (ja) 建築物での火災・災難避難施設
KR101615728B1 (ko)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KR101035081B1 (ko) 아파트의 난간을 이용한 완강기
KR101545524B1 (ko) 피난 장치
KR101119886B1 (ko) 건물의 층간 비상탈출장치
KR200459434Y1 (ko) 화재 대피용 라이딩 장치
JP5743320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2073356B1 (ko) 화재시 급기와 배기 조절 기능을 구비한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JP5292174B2 (ja) 袖扉連動防火防煙シャッター装置
KR20060036364A (ko) 세대간 발코니 격벽을 이용한 방화문
KR101093039B1 (ko) 건축물의 비상대피용 발코니 구조
CN109972728A (zh) 一种消防通道系统
KR20110087572A (ko) 회전식 구난 사다리가 부착된 안전 난간대
KR101044021B1 (ko) 제연구역 형성장치의 제어방법
KR101790693B1 (ko) 화재발생시 이웃 두 세대가 공동으로 대피할 수 있는 건축물의 소방용 피난실
KR20120100452A (ko) 건물용 비상탈출장치
KR101912079B1 (ko) 화재대피용 비상문
JP2005213996A (ja) 避難梯子装置
JPH08131569A (ja) 特別避難階段並びに非常用エレベーター用附室の加圧 給気装置
KR200372729Y1 (ko) 세대간 발코니 격벽을 이용한 방화문
KR100467994B1 (ko) 비상 탈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