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7994B1 - 비상 탈출 구조 - Google Patents

비상 탈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7994B1
KR100467994B1 KR10-2002-0021218A KR20020021218A KR100467994B1 KR 100467994 B1 KR100467994 B1 KR 100467994B1 KR 20020021218 A KR20020021218 A KR 20020021218A KR 100467994 B1 KR100467994 B1 KR 100467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cape structure
rise building
escape
emergency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1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2751A (ko
Inventor
손기택
Original Assignee
(주) 신동아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신동아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 신동아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2-0021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7994B1/ko
Publication of KR20030082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2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7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79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 건물과 연결된 상태로 고층 건물의 외부에 형성되어 위난 발생시 탈출 수단으로 기능하는 비상 탈출 구조에 관한 것으로, 고층 건물의 외부에 일정 거리를 이격하여 상기 고층 건물의 높이를 갖는 탈출 구조물이 설치되며, 상기 탈출 구조물은 상하 이동 가능한 탈출로부를 구비하고, 내화 소재로 구성되는 연결 통로부가 상기 고층 건물의 이동부와 상기 탈출 구조물 사이에 형성 설치되는 비상 탈출 구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위난이 발생한 고층 건물로부터 안전하고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상 탈출 구조{Escape structure for the emergency}
본 발명은 비상 탈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층 건물과 연결된 상태로 고층 건물의 외부에 형성되어 고층 건물에 위난이 발생하는 경우에탈출 수단으로 제공 가능한 비상 탈출 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재 한정된 공간의 효율적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주거용 및 업무용을 불문하고 고층 건물이 건축 및 공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고층 건물은 바닥면적에 비해 실사용 면적이 상당히 넓기 때문에 옥내에 많은 사람이 거주할 수 있는 형태이며, 따라서 건물내에 사고 등의 위난이 발생하는 경우에 건물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건물 외부로 신속하게 대피하지 못하게 되면 엄청난 인명피해를 동반하는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밖에 없는게 사실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고층 건물 등은 사고에 대비한 탈출 구조를 갖추고 있다. 건물내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일반적으로 계단 및 엘리베이터 등이 탈출 수단으로 제공되어 왔다. 그러나, 건물내에 위난이 발생하는 경우 건물을 서로 먼저 빠져 나가려고 하는 사람들이 일시에 계단 및 엘리베이터에 몰려 건물내가 순식간에 무질서해 짐으로써, 상기 계단 및 엘리베이터에 의한 건물 탈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즉, 일시에 많은 사람들이 계단 및 엘리베이터에 몰려드는 과정에서 압사 사고가 발생하거나, 신속한 탈출이 이루어지지 않아 미처 건물을 빠져 나가기도 전에 건물이 붕괴되거나 화염에 휩싸여 불의의 사고를 당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계단을 통해 화염이 빠른 속도로 번지게 됨에 따라 계단 이용이 불가능하였고, 더우기, 화재 발생 지점이 저층일 경우에는 상향 이동하는 화염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인해 상기 건물의 계단 및 엘리베이터에 전적으로 의존해 건물을 탈출한다는게 사실상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비상시에 위난이 발생한 고층 건물로부터 안전하고 용이하게 탈출 가능하도록 형성된 비상 탈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상시에 위난이 발생한 고층 건물로부터 인접한 안전한 타 고층 건물로 안전하고 용이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저비용으로 구성된 비상 탈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비상 탈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상 탈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상 탈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상 탈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고층 건물, 12...이동부,
14,15...개폐 수단, 30...탈출 구조물,
32...엘리베이터부, 34...계단부,
36...소화부, 42...연결수단,
50...연결 통로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층 건물의 탈출 구조에 있어서, 고층 건물의 외부에 일정 거리를 이격하여 상기 고층 건물과 대등한 높이를 갖는 탈출 구조물이 설치되며, 상기 탈출 구조물은 상하 이동 가능한 탈출로부를 구비하고, 내화 소재로 구성되는 연결 통로부가 상기 고층 건물의 이동부와 상기 탈출 구조물 사이에 형성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비상 탈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고층 건물(10), 상기 고층 건물(10)과 적어도 동등한 높이를 갖는 탈출 구조물(30) 및 상기 고층 건물(10)의 이동부(12)를 통하여 상기 탈출 구조물(30)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연결 통로부(50)로 구성된다.
상기 고층 건물(10)은 다층 건물(multi-story building)이며, 층간 이동 수단으로서 엘리베이터 및/또는 계단과 같은 이동부(12)가 구비된다. 도면에서는 20층 건물로 나타내었으나, 5층 이상의 건물에 적용하면 무방할 것이다.
또한, 상기 고층 건물(10)의 이동부(12)와 상기 연결 통로부(50)와의 인접 부분에는 조작을 통제할 수 있는 소정의 수동/자동 개폐 수단(14)이 구비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연결 통로부(50)로의 진입이 통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개폐 수단(14)에는 위난 감지 수단(미도시)이 제공되어, 상기 위난 감지 수단이 위난 상황을 자동 감지하여 상기 개폐 수단(14)을 제어하며, 개폐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개폐 감지 수단(미도시)이 상기 개폐 수단(14)에 제공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로써 상기 개폐 감지 수단이 상기 개폐 수단(14)의 개폐 상태를 체크하여 개폐 상태에 변경이 생긴 경우 통보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개폐 수단(14), 위난 감지 수단 및 개폐 감지 수단과 연결되는 통제부를 구비하여 고층 건물(10)의 내부 또는 외부 등 위난 상황에 크게 영향받지 않는 장소에 설치하고, 상기 통제부의 통제하에 상기 수단들이 관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에 상기 개폐 수단(14)은 평상시에는 닫힌 상태로 제공되고, 비상시에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 또는 감지 수단 등의 제어에 의한 자동 조작에 의해 열린 상태로 제공되어 상기 고층 건물(10)로부터 연결 통로부(50)로의 진입이 허가된다.
상기 탈출 구조물(30)은 상기 고층 건물(10)과 일정 거리를 이격하여 설치되어 고층 건물(10)내의 위난자로 하여금 비상시에 상기 고층 건물(10)을 벗어나 안전한 곳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돕는 수단으로서, 엘리베이터부(32) 및 계단부(34)와같은 탈출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콘크리트 또는 철골 구조물이다. 따라서 상기 연결 통로부(50)를 통하여 위난 상황에 있는 고층 건물(10)로부터 벗어난 위난자는 상기 탈출 구조물(30)에 설치된 상기 엘리베이터부(32) 및 계단부(34)를 통하여 안전지대로 이동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탈출 구조물(30)에는 고층 건물(10)의 높이 등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하여 상기 엘리베이터부(32) 및 계단부(34) 중 어느 하나만이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상기 엘리베이터부(32) 및 계단부(34) 모두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면에서는 탈출 구조물(30)의 우측에 엘리베이터부(32)가 설치되고, 좌측에 계단부(34)가 설치되며, 상기 엘리베이터부(32)와 계단부(34)가 분리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편의상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엘리베이터부(32) 및 계단부(34)는 탈출 구조물(30) 내의 적절한 공간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용이하게 이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된다. 후술하게 될 도 2의 관련 부분도 동일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상기 탈출 구조물(30)은 상기 고층 건물(10)의 화재 진압시에 사용할 수 있는 장치 및 설비가 구비되는 소화부(3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소화부(36)는 화재 발생 지점에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고층 건물(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개폐 수단, 위난 감지 수단, 개폐 감지 수단 및 통제부와 관련된 내용은 상기 탈출 구조물(3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개폐 수단(15)은 상기 연결 통로부(50)와 탈출 구조물(30)의 연접 부분에 설치되어 이동을 통제하는 수단으로 기능하며, 위난 감지 수단, 개폐 감지 수단 및 통제부 등과 함께 조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 통로부(50)는 내화 소재(fireproofing)로 구성되며, 상기 고층 건물(10)과 상기 탈출 구조물(30) 사이에 사람이 통행하기에 충분한 면적과 강도를 갖는 형태와 재질로써 형성된다. 즉, 상기 고층 건물(10)에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연결 통로부(50)에 화염이 이어지지 않도록 상기 연결 통로부(50)는 불에 강한 소재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 통로부(50)가 공중에 설치되고 이를 통해 위난자가 이동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즉, 위난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적절한 높이의 벽을 구비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 통로부(50)는 상기 고층 건물(10)의 최저층 및 일정 간격의 층마다 예컨대, 도면에서와 같이 5개 층에 하나씩 설치되어 비상시에 위난자를 분산시키며, 위난자가 위치하고 있는 층에서 위난의 상황에 따라 상방 또는 하방으로 과다하게 움직이지 않고도 상기 탈출 구조물(30)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고층 건물(10)에 위난이 발생하는 경우에 수동 또는 자동 조작에 의한 상기 개폐 수단(14,15)이 개방되어 상기 연결 통로부(50) 및 탈출 구조물(30)로의 진입이 허가되므로 고층 건물(10)내에 있는 위난자는 이동부(12) 및 인접한 연결 통로부(50)를 통하여 탈출 구조물(30)로 이동한 후,엘리베이터부(32) 및/또는 계단부(34)와 같은 적절한 이동 수단을 이용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상 탈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과는 상기 탈출 구조물(30)이 복수개의 상기 고층 건물(10,10')과 연결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상기 탈출 구조물(30)은 인접한 복수개의 고층 건물(10,10')과 연결되어 그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에서 탈출 구조물(30)의 우측에 엘리베이터부(32)가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여 엘리베이터부(32)가 좌측의 고층 건물(10)과 단절되는 듯이 보이나, 이는 편의상 도시한 것으로서, 양측 건물(10,10') 모두가 상기 엘리베이터부(32)와 연결됨은 물론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계단부(34)도 우측의 고층 건물(10')과 단절되는 듯이 보이나, 양측 건물(10,10') 모두와 연결됨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탈출 구조물(30)을 중심으로 양측에 고층 건물(10,10')이 위치하는 경우, 도면에서와 같이 우측 건물(10')의 연결 통로부(50)와 좌측 건물(10)의 연결 통로부(50)가 대응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필요하다면 엇갈리는 형태로 구성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는 복수개의 고층 건물(10,10')이 동일한 층수를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이한 층수를 갖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통로부(50)는 건물(10,10')간의 용이한 이동이 가능한 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으므로 프라이버시와 재산권 침해 등을 고려하여 비상시 외의 진입이 엄격히 통제되는 형태로 관리되어야 하며, 이는 상기 개폐 수단(14,15)의 작용을 통해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상 탈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복수개의 고층 건물(10,10')이 연결 통로부(50)에 의해서 직접 상호 연결되어 형성된다는 점에서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와 다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인접한 고층 건물(10') 자체가 탈출 구조물(30)의 역할을 한다. 이로써, 비상시에 연결 통로부(50)를 통해 타 건물(10')로 이동하여 타 건물(10')의 계단이나 엘리베이터와 같은 이동부(12)를 통해 안전한 곳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 통로부(50)를 매개로 인접한 고층 건물(10,10')의 옥상끼리 직접 연결시킴으로써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탈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연결 통로부(50)로의 진입은 상기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개폐 수단(14)으로 통제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의한 실시예의 변형 실시예에 의한 비상 탈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의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고층 건물(10,10') 각각의 층수가 상이하여 연결 통로부(50)가 상기에서 설명한 형태와 약간 다른 구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상이한 층수를 갖는 복수개의 고층 건물(10,10') 상호간의 관계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은 형태의 연결 통로부(50)에 의해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층수를 갖는 고층 건물(10)과 상대적으로 낮은 층수를 갖는 고층 건물(10')이 대등한 관계로 연결될 수 없으므로, 본 실시예에 의한 연결 통로부(50)는 연결 수단(42)을 이용해 상대적으로 낮은 층수를 갖는 고층 건물(10')의 모자라는 높이 만큼을 보충시켜 주는 형태로 구성되어야 한다. 도면에서는 상기 연결 수단(42)으로서 계단을 제공하였다.
한편, 연결 통로부(50) 전체가 계단으로써, 상기 연결 수단(42)과 일체화되어 'ㄱ'자 구조를 이루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연결 통로부(50) 및 연결 수단(42)으로의 진입은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으나, 상기 도 3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개폐 수단(14)으로 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비상 탈출 구조에 있어서, 비상시에 위난이 발생한 고층 건물로부터 안전하고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다.
또한, 고층 건물끼리 직접 연결됨으로써 저비용으로 탈출 구조를 제공할 수 있고, 비상시에 위난이 발생한 고층 건물로부터 인접한 안전한 타 고층 건물로 안전하고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Claims (9)

  1. 고층건물의 탈출구조에 있어서,
    고층건물의 외부에 일정거리를 이격하여 상기 고층건물과 대등한 높이를 갖는 탈출구조물이 설치되며, 상기 탈출구조물은 상하 이동가능한 탈출로부를 구비하고,
    내화소재로 구성되는 연결통로부가 상기 고층건물의 이동부와 상기 탈출구조물 사이에 형성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와 연결통로부와의 인접부분에는 위난감지수단이 설치되는 소정의 수동 또는 자동 개폐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탈출구조물은 화재 진압용 장치 및 설비가 구비되고 화재 발생지점에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소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통로부는 일정 간격을 가지고 복수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구조.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 구조물은 고층 건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 구조물을 중심으로 하여 복수개의 고층 건물의 이동부가 상기 연결통로부를 매개로 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 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로부는 엘리베이터 또는 계단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 구조.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로부는 엘리베이터 및 계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 구조.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통로부가 상기 고층 건물과 탈출 구조물의 최상단 옥상층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 구조.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 구조물이 상기 고층 건물보다 층수가 낮은 고층 건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 구조.
KR10-2002-0021218A 2002-04-18 2002-04-18 비상 탈출 구조 KR100467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1218A KR100467994B1 (ko) 2002-04-18 2002-04-18 비상 탈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1218A KR100467994B1 (ko) 2002-04-18 2002-04-18 비상 탈출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2751A KR20030082751A (ko) 2003-10-23
KR100467994B1 true KR100467994B1 (ko) 2005-01-26

Family

ID=32379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1218A KR100467994B1 (ko) 2002-04-18 2002-04-18 비상 탈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79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013B1 (ko) 2006-09-01 2006-11-30 문명숙 고층건물의 방화벽 소방층 구조
KR101221328B1 (ko) * 2012-07-20 2013-01-28 (주)칠칠공사 인명 대피용 옥상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03813B (zh) * 2020-06-15 2022-08-09 黄沪秀 一种预防火灾的安全应急逃生设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92099U (ko) * 1973-12-20 1975-08-02
JPS6036407U (ja) * 1983-08-19 1985-03-1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ビル間の避難装置
JPH04161569A (ja) * 1990-10-24 1992-06-04 Sekisui House Ltd 高層ビルディングにおける避難用塔構造
JPH0736971A (ja) * 1993-07-16 1995-02-07 Kajima Corp 現場のペーパーレス工事管理方式
KR200204644Y1 (ko) * 2000-05-17 2000-12-01 건우그린주식회사 비상탈출구
WO2001051129A2 (en) * 2000-01-10 2001-07-19 De Souza Baptista, Thales Helical ramp life-preserv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92099U (ko) * 1973-12-20 1975-08-02
JPS6036407U (ja) * 1983-08-19 1985-03-1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ビル間の避難装置
JPH04161569A (ja) * 1990-10-24 1992-06-04 Sekisui House Ltd 高層ビルディングにおける避難用塔構造
JPH0736971A (ja) * 1993-07-16 1995-02-07 Kajima Corp 現場のペーパーレス工事管理方式
WO2001051129A2 (en) * 2000-01-10 2001-07-19 De Souza Baptista, Thales Helical ramp life-preserver
KR200204644Y1 (ko) * 2000-05-17 2000-12-01 건우그린주식회사 비상탈출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013B1 (ko) 2006-09-01 2006-11-30 문명숙 고층건물의 방화벽 소방층 구조
KR101221328B1 (ko) * 2012-07-20 2013-01-28 (주)칠칠공사 인명 대피용 옥상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2751A (ko) 200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0261B1 (ko) 일체형 접이식 안전난간 및 옥외피난계단으로 활용되는 피난 대피장치
EP1892211B1 (en) Fire evacuation operation device for group-controlled elevators
JP2004203623A (ja) 建物の人の緊急避難方法およびシステム、および前記システムを用いた既存の建物の近代化方法
JP2012035922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およびその災害時の運転方法
KR100467994B1 (ko) 비상 탈출 구조
JP2008156017A (ja) エレベータ付き建物
JP4986193B2 (ja) 避難用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2156937B1 (ko) 비상 상황시 나타나는 미끄럼틀 타입의 대피통로
KR20210100000A (ko) 비상 탈출 구조를 가지는 공동주택
WO1991018820A1 (en) Lifting system installed in building which makes emergency stair unnecessary
JP4842163B2 (ja) エレベータ利用避難システム
CA2405858A1 (en) Stairwell pressurization system
KR102637799B1 (ko) 전이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의 대피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20210002834U (ko) 도시철도 승강장, 육교 등의 도시시설물과 단독주택용 승강기, 산업현장의 인화용 승강기의 수직 승강구(sailo, 이하 &#39;&#39;수직 승강구&#39;&#39;) 내 인화 추락사고 방지를 위한 추락방지 안전판.
KR101089345B1 (ko) 화재 발생시 구난 사다리로 변형되는 안전 난간대
Sumka Presently, elevators are not safe in fire emergencies.
JP7391654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100896868B1 (ko)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
JPH0326677A (ja) 仮設エレベータの乗場装置
KR102250610B1 (ko) 내화벽으로 구획된 2개의 직통계단 구조
KR102429721B1 (ko) 비상 탈출 및 소화를 위한 계단 장치
CN216341801U (zh) 可展开成逃生梯的防护栏
KR20020070028A (ko) 건물용 비상탈출기
US373587A (en) Elevator and fire-escape
JP2018076740A (ja) 集合住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