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1013B1 - 고층건물의 방화벽 소방층 구조 - Google Patents

고층건물의 방화벽 소방층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1013B1
KR100651013B1 KR1020060084082A KR20060084082A KR100651013B1 KR 100651013 B1 KR100651013 B1 KR 100651013B1 KR 1020060084082 A KR1020060084082 A KR 1020060084082A KR 20060084082 A KR20060084082 A KR 20060084082A KR 100651013 B1 KR100651013 B1 KR 100651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layer
firewall
floor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4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명숙
Original Assignee
문명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명숙 filed Critical 문명숙
Priority to KR1020060084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10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1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1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s
    • E04H9/06Structures arranged in or forming part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건물의 방화벽 소방층 구조에 관한 것으로 화재시 주민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 인명피해를 줄이고 불이 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수개의 연속된 층으로 이루어져 주민이 거주하는 거주층과; 화재시 주민이 대피할 수 있도록 주민이 거주하지 않고 비어있으며, 일측 또는 전후 양측에 불연성의 강화유리가 부설되고,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고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공급장치와 전원을 공급하는 자가발전기가 설치되는 방화벽 소방층;을 구비하되 상기 거주층과 방화벽 소방층을 교대로 적층하여 화재시 거주층의 주민이 인접한 방화벽 소방층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게 되며 이에따라 불이 번지는 것을 방지하고 주민이 신속하게 인접한 방화벽 소방층으로 대피할 수 있어 화재로 인한 인명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화재 고층건물 방화벽 대피 구조 유독가스

Description

고층건물의 방화벽 소방층 구조{structure of fire prevention floor}
도1 : 본 발명의 고층건물의 방화벽 소방층 구조에 따른 건물의 정면도
도2 : 방화벽 소방층의 평면도
본 발명은 고층건물의 방화벽 소방층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민이 거주하는 거주층 사이에 비어있는 방화벽 소방층을 형성하여 화재시 불이 번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주민이 인접한 방화벽 소방층으로 대피하여 구출을 기다릴 수 있도록 한 고층건물의 방화벽 소방층 구조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가 이루어지면서 도시로의 인구집중에 의해 택지가 부족하여 점점 고층건물을 건설하고 있다. 종래의 저층 아파트의 경우 화재 발생시 사다리차를 사용하여 주민을 구출할 수 있으나 최근 건설되고 있는 고층 아파트의 경우 사다리차의 높이가 제한되어 있어 상층에 거주하는 주민은 구출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고층건물의 경우 완강기나 화재시 대피할 수 있는 비상통로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완강기의 경우 사용법을 숙지하지 못한 주민의 경우 사용이 곤란하다. 또한 비상계단 등의 비상통로를 이용하여 대피하는 경우 아파트의 1층이나 옥상으로 이동하게 된다. 특히 화재가 저층에서 발생한 경우에는 옥상으로 대피하여 구조를 기다려야 하나 옥상까지 올라가는데 힘이 들어 신속하게 대피하기 어려우며 특히 화재시 발생하는 유독가스에 의해 이동중에 질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화재 발생시 방화벽으로 인해 불길을 차단할 수 있으며 주민이 신속하게 대피하여 구조가 이루어질 때까지 안전하게 대기할 수 있는 고층건물의 방화벽 소방층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주민들이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실내 공간을 형성하여 주민의 생활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고층건물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개의 연속된 층으로 이루어져 주민이 거주하는 거주층과; 화재시 주민이 대피할 수 있도록 주민이 거주하지 않고 비어있으며, 일측 또는 전후 양측에 불연성의 강화유리가 부설되고,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고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공급장치와 전원을 공급하는 자가발전기가 설치되는 방화벽 소방층;을 구비하되 상기 거주층과 방화벽 소방층을 교대로 적층하여 화재시 불이 방화벽 소방층을 통과하여 상하층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거주층의 주민이 인접한 방화벽 소방층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의 방화벽 소방층 구조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방화벽 소방층은, 내부에 산소를 공급하는 대형 산소통과 외부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장비와 내부를 촬영하여 외부로 전송하게되는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방화벽 소방층은, 소화기와 방독면과 개인용산소통 중 적어도 한가지 이상을 보관하게 되는 것을 특징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방화벽 소방층은, 외부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장비 또는 내부를 감시할 수 있는 카메라를 구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방화벽 소방층은, 상기 방화벽 소방층은, 일측에 화장실과 세면대를 구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고층건물의 방화벽 소방층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층건물의 방화벽 소방층(20) 구조에 따라 건설된 아파트의 정면도이다. 이에 따르면 아파트의 높이는 50층이 되며 10층과 20층과 30층과 40층 그리고 50층의 5개층에 화재시 대피할 수 있는 방화벽 소방층(20)을 형성하게 되며 나머지 45개층은 주민이 거주할 수 있는 거주층(10)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화벽 소방층(20)을 10층마다 설치하였으나 상기 간격은 건설시 상황에 따라 다르게 구성하는 것도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거주층(10)은 일반의 아파트에 있어서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고층건물의 방화벽 소방층(20) 구조는 아파트를 대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사무실로 사용되는 건물이나 주상복합건물 및 대형호텔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방화벽 소방층(20)은 거주층(10)의 주민이 화재시 대피할 수 있는 공간으로 내외부를 불연성 소재로 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방화벽 소방층(20)의 높이는 160 내지 170cm 정도로 형성하여 화재가 방화벽 소방층(20)을 지나 상하의 다른 층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방화벽 소방층(20)은 전면과 후면은 불연소강화유리(42)로 형성하여 외부에서 용이하게 내부를 확인하며 내부에서도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하며 구조시 상기 불연소강화유리(42)를 분리하거나 파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방화벽 소방층(20)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시 발생한 유독가스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내부에 공급하고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공급장치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 공기공급장치는 방화벽 소방층(20)의 일측에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펌프(40)를 설치하고 상기 방화벽 소방층(20)의 벽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36)와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38)를 형성하여 공기가 순환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방화벽 소방층(20)에는 대형의 산소통(24)을 구비하여 화재발생시 상기 대형의 산소통(24)이 자동으로 작동되어 방화벽 소방층(20) 내부에 산소를 공급하여 유독가스로 인한 질식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공기공급장치 또는 대형의 산소통(24)은 화재시 자동으로 작동하기 위해 화재감지기에 연결하여 화재가 감지되면 작동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관리실 이나 방화벽 소방층(20)내에서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방화벽 소방층(20)에는 외부에 통신을 할 수 있는 통신장비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통신장비로는 인터폰(30)이나 무전기 등을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천정이나 벽면에는 다수개의 폐쇄회로카메라(26)를 설치하여 외부에서 내부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방화벽 소방층(20)의 공기공급장치나 대형의 산소통(24) 그리고 통신장비 및 조명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방화벽 소방층(20) 내부에는 자가 발전기(22)가 설치된다. 상기 자가 발전기(22)는 화재감지시 또는 주민이나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작동되어 방화벽 소방층(20) 내부의 전기장치들을 작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방화벽 소방층(20)에는 주민이 화재시 개인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방독면(28)이나 소형의 개인용 산소통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방독면(28)이나 산소통은 상기 방화벽 소방층(20)으로 대피할 주민의 수에 맞춰 구비된다. 즉 20층에 설치된 방화벽 소방층(20)의 경우에는 15층에서 25층까지의 주민수에 맞춰 구비하여 방화벽 소방층(20)의 벽등에 거치하여 주민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소화기를 구비하게 된다.
화재발생후 구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므로 대피한 주민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방화벽 소방층(20)의 일측에는 화장실(32)과 세면대(34)를 설치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고층건물의 방화벽 소방층 구조의 작용과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고층건물을 건설할 때 10층마다 방화벽 소방층(2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방화벽 소방층(20)의 전면과 후면은 불연성의 강화유리(42)를 설치하여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불연성의 페인트로 내부를 마감하고 철재로 이루어진 선반을 벽면에 설치한 후 상기 선반에 방독면(28) 또는 개인용 산소통을 거치시킨다.
또한 벽에 통공을 형성하여 공기가 공급되는 유입구(36)와 공기가 배출되는 유출구를 형성한 후 펌프(40)를 결합한다. 그리고 천정에 다수개의 카메라(26)를 설치하고 일측에는 인터폰(30)을 설치하며 일측에 자가발전기(22)를 설치하고 조명과 펌프(40) 그리고 카메라(26)등에 연결한다. 상기 자가발전기(22)는 화재감지기와 연결하여 화재 감지시 가동되어 각 장치로 전원을 공급하여 각 장치가 작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방화벽 소방층(20)의 일측에는 화장실(32)과 세면대(34)를 구비하여 대피한 주민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거주층(10)에 거주하는 주민에게 화재시 대피할 방화벽 소방층(20)의 위치를 숙지시킨다. 상기 방화벽 소방층(20)은 화재발생시 외에는 주민의 문화공간으로 사용된다. 즉 불연재료로 이루어진 책상을 다수개 구비하여 자녀들이 공부할 수 있는 독서실로 운영하거나 운동이나 취미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꾸며 주민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건물의 15층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감지기가 작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방화벽 소방층(20)의 자가발전기(22)가 가동되어 각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어 작동된다. 화재감지기에서 발생하는 경고음을 확인한 15층 이하의 주민은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10층의 방화벽 소방층(20)으로 이동하거나 계속 아래로 내려가 입구를 통해 외부로 대피하게 된다. 그리고 나머지 층의 주민들은 정해진 방화벽 소방층(20)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16층에서 19층 및 21층에서 25층까지의 주민은 20층에 형성된 방화벽 소방층(20)으로 이동하게 되며 다른층의 주민들도 지정된 방화벽 소방층(20)으로 이동한다.
상기 방화벽 소방층(20)으로 이동한 주민들은 내부의 공기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외부의 공기로 호흡하게 되어 화재에 의해 발생하는 유독가스로 인한 질식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방화벽 소방층(20)내부로 유독가스가 스며들어오는 경우에는 내부에 구비된 방독면(28)이나 산소통을 착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유독가스로 인한 피해를 방지한 상태에서 외부의 관리자와 인터폰(30)을 통해 통신하여 구조를 요청하게 되며 외부의 구조자는 전후면의 유리(42)를 통하거나 내부에 설치된 폐쇄회로카메라(26)가 촬영한 영상을 통해 내부의 상태를 파악한 후 구조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화재발생시 인접한 방화벽 소방층(20)으로 이동하여 구조를 기다릴 수 있어 대피가 신속하며 내부에 유독가스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어 안전하게 대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화재가 번지는 경우에도 15층에서 시작된 화재는 19층까지 번진 후에는 20층의 방화벽 소방층(20)에 의해 21층이상으로 진행되는 것이 방지되며 11층까지 번진 후에 10층 이하로 내려가는 것은 10층의 방화벽 소방층(20)에 의해 방지되어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층건물의 방화벽 소방층 구조에 의하면 화재시 불길이 번지는 것을 억제하여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주민이 인접한 방화벽 소방층으로 대피할 수 있으므로 대피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대피후 화재시 발생하는 유독가스의 피해를 받지 않아 구조시 까지 안전하게 대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수개의 연속된 층으로 이루어져 주민이 거주하는 거주층과;
    불연성소재로 이루어지며 사용하지 않는 층으로 이루어지며 일측 또는 전후 양측에 불연성의 강화유리가 부설되고,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고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공급장치와 전원을 공급하는 자가발전기가 설치되는 방화벽 소방층;을 구비하되 상기 거주층과 방화벽 소방층을 교대로 적층하여 화재시 불이 방화벽 소방층을 통과하여 상하층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거주층의 주민이 인접한 방화벽 소방층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의 방화벽 소방층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벽 소방층은,
    내부에 산소를 공급하는 대형 산소통과 외부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장비와 내부를 촬영하여 외부로 전송하게되는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의 방화벽 소방층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벽 소방층은,
    소화기와 방독면과 개인용 산소통 중 적어도 한가지 이상을 보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의 방화벽 소방층 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벽 소방층은,
    외부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장비 또는 내부를 감시할 수 있는 카메라를 구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의 방화벽 소방층 구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벽 소방층은,
    일측에 화장실과 세면대를 구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의 방화벽 소방층 구조.
KR1020060084082A 2006-09-01 2006-09-01 고층건물의 방화벽 소방층 구조 KR100651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4082A KR100651013B1 (ko) 2006-09-01 2006-09-01 고층건물의 방화벽 소방층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4082A KR100651013B1 (ko) 2006-09-01 2006-09-01 고층건물의 방화벽 소방층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1013B1 true KR100651013B1 (ko) 2006-11-30

Family

ID=37714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4082A KR100651013B1 (ko) 2006-09-01 2006-09-01 고층건물의 방화벽 소방층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10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146Y1 (ko) 2011-07-04 2013-04-03 전기홍 화재대피시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4520A (ko) * 1998-03-12 1999-10-05 전승호 화장실 임시 대피소 장치
KR20040074657A (ko) * 2004-07-27 2004-08-25 손영석 테러방지용 최첨단 하이테크 디지털 기능성의 집
KR100467994B1 (ko) 2002-04-18 2005-01-26 (주) 신동아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비상 탈출 구조
KR20060001443A (ko) * 2004-06-30 2006-01-06 삼성물산 주식회사 첨단아파트 화재경보시스템 및 운영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4520A (ko) * 1998-03-12 1999-10-05 전승호 화장실 임시 대피소 장치
KR100467994B1 (ko) 2002-04-18 2005-01-26 (주) 신동아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비상 탈출 구조
KR20060001443A (ko) * 2004-06-30 2006-01-06 삼성물산 주식회사 첨단아파트 화재경보시스템 및 운영방법
KR20040074657A (ko) * 2004-07-27 2004-08-25 손영석 테러방지용 최첨단 하이테크 디지털 기능성의 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146Y1 (ko) 2011-07-04 2013-04-03 전기홍 화재대피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6151B1 (ko) 고층건물의 화재 대피공간용 화장실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JP6189404B2 (ja) ビル火災救命システムおよびビル火災救命システムの使用方法
CN106123195B (zh) 一种应用于高层建筑的送风系统及方法
KR100651013B1 (ko) 고층건물의 방화벽 소방층 구조
KR20100005316A (ko) 세대 경계벽을 이용한 보안강화형 수평탈출구
JPH09287787A (ja) 排煙制御システム
KR100804381B1 (ko) 제연 환기시스템
JP4117414B2 (ja) 高層建物
KR102027969B1 (ko) 방화기능을 가지는 공동주택용 피난 구조물
JP2007075170A (ja) 水幕型防火防煙設備及び防火防煙方法
CN212053924U (zh) 一种建筑单元及包含该建筑单元的汽车上楼的中高层住宅
KR101355175B1 (ko) 고층 건물 화장실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
KR20210100000A (ko) 비상 탈출 구조를 가지는 공동주택
KR102115610B1 (ko) 비상 탈출 시스템
JP2891859B2 (ja) 排煙及び火災避難施設を有する高層建築物
JPH1119237A (ja) 加圧式排煙方法および加圧式排煙装置
JP2001104499A (ja) 内部竪穴空間加圧排煙システム
CN215585278U (zh) 多层/高层建筑火灾逃生避难室
CN116591513B (zh) 一种高层建筑的避难层结构及施工方法
KR102409942B1 (ko) 공동주택의 소방용 대피시설 시스템
JP2992401B2 (ja) 階段室型の多層集合住宅
KR102423971B1 (ko) 화재시 소방용 제연장치
CN218961621U (zh) 一种高层建筑物的逃生装置
JP2018076740A (ja) 集合住宅
JP2004180840A (ja) 加圧排煙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