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5610B1 - 비상 탈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상 탈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5610B1
KR102115610B1 KR1020200001970A KR20200001970A KR102115610B1 KR 102115610 B1 KR102115610 B1 KR 102115610B1 KR 1020200001970 A KR1020200001970 A KR 1020200001970A KR 20200001970 A KR20200001970 A KR 20200001970A KR 102115610 B1 KR102115610 B1 KR 102115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wheel
variable
layer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1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숙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한 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한 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한 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00001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56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08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6Light shafts, e.g. for cella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2Extend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6Securing devices or hooks for parts of extensible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8Special construction of longitudinal members, or rungs or other tr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다층 건물의 옥상층으로부터 복수의 층을 관통하는 자연 채광 공간 구조체; 및 상기 자연 채광 공간 구조체에 가변형 사다리로 구현되는 비상 탈출 수단;을 포함하는 비상 탈출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비상 탈출 시스템{EMERGENCE ESCAPE SYSTEM}
본 발명은 비상 탈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층을 관통하여 옥상층으로 연결되는 자연 채광 구조가 형성된 건물에서 상기 자연 채광 구조를 이용하여 비상 시 옥상층 또는 다른층으로 탈출하기 위한 비상 탈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다층 건물에는 화재 발생시 불길을 진압하도록 소방설비가 갖춰져 있다.
이는 건물 화재를 진압하는 목적으로 설비된 것으로, 건물 내의 대피자들은 화염이 없는 건물의 옥상이나 하부층의 안전지대로 신속히 이동하기 위해서 설치되는데, 일반적으로 다양한 매스컴에서는 화재시에는 고열과 화염의 진행 상황을 파악할 수 없는 엘리베이터는 사용하지 말고 비상계단을 이용하라고 각인시키고 있다.
따라서 화재시에는 건물의 대피자들은 신속하게 비상구를 통해 비상계단을 이용하여야 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대규모의 고층아파트나 빌딩과 같은 건물의 화재시에 대형의 인명피해가 유발되는 것은 연소시 발생되는 연기가 주된 요인이 된다.
이러한 연기는 화염상태 및 연소 직후 발생되는 유독가스 보다는 상대적으로 인명피해의 직접적인 위험도는 적지만 화재시에 연기가 인명피해를 유발하는 주된 요인이 되는 것은 건물내의 공조기기 등의 덕트를 통해 건물의 실내구역은 물론이거니와 피난구역까지 빠르게 확산되기 때문에 이로 인하여 화재시 비상계단 등의 피난구역을 통해 신속한 대피가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종래의 다층 건물을 구성하는 비상계단은 자연환기 방식으로 맨 꼭대기에 환기창을 형성하고 자연스럽게 비상계단의 공기는 이를 통해 상부측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환기가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하면 자연스럽게 공기의 흐름에 따라 실내구역에서 발생되는 가스 및 연기는 비상계단으로 뜨거운 불과 함께 유입되어 상부로 퍼지게 된다.
이에 따라, 만약 화재가 6층에서 발생하였다고 가정한다면 6층 이하의 대피자들은 비상계단을 통한 탈출이 어느정도 가능하나 7층 이상의 대피자들은 유입되는 연기와 불로 인해 비상계단으로의 탈출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2007-0001065호에 '에어커튼기기를 이용한 제연방법 및 그 장치'라는 명칭으로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옥상에 급기용 외기취입구(61)를 가지며, 건물내측에 수직급기덕트(12) 및 수평급기덕트(12-1)를 가지며 고층건물의 각층에는 부속실(32)이 마련되고 제연구역경계(부속실출입문 내측 상단)에는 수평급기덕트(12-1)와 접속된 에어커튼기기(41)를 설치하여 화재시 에어커튼기기(41)가 작동하면 외기취입구(61)에서 취입된 옥외의 공기가 수직급기덕트(12) 및 수평급기덕트(12-1)를 통하여 에어커튼기기 토출구로 토출되며 이때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압에 의하여 형성되는 에어커튼(공기막)으로 화재층의 거실 또는 복도에서 발생되는 연기가 부속실(32)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직접차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및 업무용건물등 고층건물의 제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화재발생시 전원의 차단으로 각층에 설치되어 있는 에어커튼기기의 전원공급이 곤란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화재시 발생가능한 폭발로 인해 에어커튼기기에 화재가 발생되면 해당 층의 비상계단은 이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많은 대피자가 부속실이나 비상계단으로 몰려 문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비좁지 않고 넓게 설치시켜야 하는데, 그에 따라 발생되는 막대한 운용비가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외기취입구(61)와 배출용송풍기(21)가 근접하게 위치되기 때문에 화재발생시 에어커튼기기(41)에서 나오는 바람은 배출용송풍기(21)를 통해 외부 배출 유도된 유독가스와 연기가 포함되어 들어올 수 밖에 없으며, 이러한 유독가스와 연기를 포함한 공기는 부속실(32)로 들어와 부속실(32)로 대피한 사람들이 유독가스를 마시고 호흡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다층 건물의 옥상층으로부터 복수의 층을 관통하는 자연 채광 공간 구조체를 형성하여 상기 자연 채광 공간 구조체를 통한 비상 탈출을 도모하는 비상 탈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자연 채광 공간 구조체에 가변형 사다리를 마련하여 상기 가변형 사다리를 통한 비상 탈출을 도모하는 비상 탈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자연 채광 공간 구조체의 각 층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창 모듈의 자동 청소 모듈을 구비한 비상 탈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상 탈출 시스템은 다층 건물의 옥상층으로부터 복수의 층을 관통하는 자연 채광 공간 구조체; 및 상기 자연 채광 공간 구조체에 가변형 사다리로 구현되는 비상 탈출 수단;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자연 채광 공간 구조체는, 상기 다층 건물의 어느 층에 마련되는 바닥면; 상기 바닥면이 형성되는 층으로부터 상기 옥상층 까지의 복수의 층고를 갖는 다층 벽면; 상기 옥상층에 마련되는 개방면을 통해 상기 바닥면까지 상기 다층 벽면으로 둘러 쌓여 상기 다층 건물 외부와 연통되는 개방 공간; 및 상기 다층 벽면에서 각 층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각 층의 내부로부터 상기 개방 공간으로의 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창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비상 탈출 수단은, 한 쌍의 사다리 프레임이 형성되어 있고, 그 사이에 복수의 제1 발판이 구성되는 제1 사다리부; 상기 제1 사다리부에 상기 제1 사다리부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한 쌍의 사다리 프레임이 형성되어 있고 그 사이에 복수의 제2 발판이 구성되는 제2 사다리부; 상기 제1 사다리부에 상기 제2 사다리부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가변부; 상기 제2 사다리부에 힌지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사다리부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1 발판 중 어느 하나의 제1 발판을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2 사다리부가 상기 제1 사다리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부; 및 상기 제1 사다리부를 상기 바닥면에 설치하는 설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부는, 상기 제1 사다리부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1 바퀴부; 상기 제2 사다리부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2 바퀴부; 및 상기 제1 바퀴부 및 상기 제2 바퀴부에 감겨 있는 가변 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바퀴부는, 상기 제1 사다리부에 설치되는 제1 바퀴 프레임; 및 상기 제1 바퀴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 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퀴프레임은, 상기 제1 사다리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사다리부 측으로 상기 제1 바퀴의 설치를 위한 설치 공간을 형성하며, 그 중앙에 상기 가변 줄을 고정하기 위한 제1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바퀴부는, 상기 제2 사다리부에 설치되는 제2 바퀴 프레임; 및 상기 제2 바퀴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2 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퀴 프레임은, 상기 가변 줄을 고정하기 위한 제2 관통공이 형성된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다리부를 통해 상기 제2 사다리부에 설치되며,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다리부가 형성하는 공간에 상기 제2 바퀴가 설치되고, 상기 가변 줄은, 일단이 상기 제1 관통공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2 바퀴 및 상기 제1 바퀴에 차례로 감긴 상태로 마련되며, 타단이 잡아당겨지는 경우, 상기 제2 사다리부를 상방 이동시키고, 타단이 상기 제2 관통공에 매듭지어져 고정되며, 상기 설치부는, 상기 제1 사다리부의 하측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사다리부의 하측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와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 부를 형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 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 부를 기준으로 하여 서로 마주하는 측벽에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분사공 및 복수의 흡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 부는, 상기 복수의 분사공으로부터 압축 공기가 배출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흡입공으로 압축 공기가 흡입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분사공으로부터 배출되는 압축 공기 및 상기 복수의 흡입공으로 흡입되는 압축 공기에 의해 상기 제1 사다리부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창 모듈은, 창틀 프레임; 상기 창틀 프레임에 설치되는 유리면; 및 상기 창틀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유리면에 쌓인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청소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청소 모듈은, 상기 창틀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도록 한 쌍 마련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를 통해 상기 창틀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유리면에 쌓인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청소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소정의 모터 구동에 의해 동작하며 체인에 의해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 레일로 구현되고, 상기 청소부는, 반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동 블록을 통해 양 끝단이 상기 한 쌍의 회전 레일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회전 레일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창틀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고, 상기 청소부는, 상기 유리면과 맞닿도록 외주면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며, 세척수를 공급받아 상기 유리면 측으로 분사하는 분사부; 및 내부 공간에 상기 청소부의 중심 축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브러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외부 공간과 연통되는 자연 채광 공간 구조체를 통해 각 층에 자연 채광 및 자연 환기 효과를 달성함은 물론 비상 탈출을 가능하게 하여 안전성 또한 확보할 수 있으며, 비상 탈출 시 자연 환기가 이루어지는 환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가변형 사다리를 이용하여 자연 채광 공간 구조체를 통해 다른 층으로의 비상 탈출이 가능하게 하며, 사다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하여 평상 시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자연 채광 공간 구조체에 형성되는 창 모듈의 자동 청소 모듈을 포함하여, 창 모듈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하고, 유사 시 창 모듈의 상태로 인해 발생하는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연 채광 공간 구조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창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연 채광 공간 구조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비상 탈출 수단의 실 적용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비상 탈출 수단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가변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설치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 시스템은 자연 채광 공간 구조체(10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연 채광 공간 구조체(100)는 다층 건물에 있어서 복수의 층을 관통하여 옥상층(10)까지 연결되는 공간일 수 있다.
예컨대, 자연 채광 공간 구조체(100)는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4층의 소정 공간을 바닥면으로 하고, 4층 및 5층으로 이어지는 벽면을 층고로 하며, 바닥면과 대응하는 옥상층(10)의 소정 공간을 개방된 지붕으로 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연 채광 공간 구조체(100)는 다층 건물에 있어서 복수의 층마다 옥상층(10)을 통해 외부와 관통되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각 층에 자연 채광 및 자연 환기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 시스템은 자연 채광 공간 구조체(100)를 이용한 비상 탈출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 시스템에 따르면, 자연 채광 공간 구조체(100)를 통해 다른 층(예컨대, 4층에서 5층)으로 탈출하거나, 또는, 옥상층(10)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 시스템은 복수의 층을 관통하여 옥상층(10)까지 연결되는 자연 채광 공간 구조체(100)를 통해 각 층에 자연 채광 및 자연 환기 효과를 달성함은 물론 비상 탈출을 가능하게 하여 안전성 또한 확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연 채광 공간 구조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자연 채광 공간 구조체(100)는 다층 건물의 옥상층을 관통하는 개방 공간(101), 복수의 층으로 이어지는 다층 벽면(110) 및 다층 벽면(110)에 형성되는 창 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
개방 공간(101)은 옥상층에 마련되는 개방면을 통해 다층 건물의 어느 층에 마련되는 바닥면까지 다층 벽면(110)으로 둘러 쌓이는 공간을 의미한다. 즉, 개방 공간(101)은 건물 내부에 형성되는 외부와 연통되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개방 공간(101)은 건물 외부의 빛을 각 층으로 전달하는 채광 효과 및 각 층의 공기를 건물 외부로 순환시키는 자연 환기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다층 벽면(110)은 복수의 층고를 가지며, 다층 건물의 어느 층에 마련되는 바닥면과 함께 개방 공간(101)을 형성할 수 있다.
창 모듈(120)은 다층 벽면(110)에서 각 층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창 모듈(120)을 통해 각 층은 개방 공간(101)과 연통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창 모듈(120)을 개방하는 경우, 각 층은 개방 공간(101)을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외부 빛이 유입될 수 있다.
창 모듈(120)은 미닫이 또는 여닫이 창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특히, 바닥면을 형성하는 층에 대응하는 창 모듈(120)은 바닥면으로의 출입이 가능한 도어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창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창 모듈(120)은 청소 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창 모듈(120)의 일측은 다층 건물의 각 층의 내측을 향하고, 창 모듈(120)의 타측은 개방 공간(101) 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데, 이에, 창 모듈(120)의 타측의 경우 외부 공간과 맞닿는 것이므로 오염되기 쉬운 반면, 층고가 높아 청소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창 모듈(120)은 개방 공간(101)측을 향하는 타측에 청소 모듈(130)을 포함하여, 자동으로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창 모듈(120)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창틀 프레임(122) 및 창틀 프레임(122)에 설치되는 유리면(1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창틀 프레임(122)은 별도의 레일 등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개방될 수 있다.
청소 모듈(130)은 창틀 프레임(122)에 설치되어 유리면(121)에 쌓인 오염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청소 모듈(130)은 이동부(131) 및 청소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131)는 후술하는 청소부(132)를 창틀 프레임(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창틀 프레임(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도록 한 쌍 마련될 수 있다.
이동부(131)는 소정의 모터(131a) 구동에 의해 동작하는 회전 레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이동부(131)는 체인(131b)에 의해 연결되어 모터(131a)의 동작에 따라 연동하여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청소부(132)는 반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 끝단이 한 쌍의 이동부(131)에 각각 설치되어, 한 쌍의 이동부(131)를 따라 창틀 프레임(122)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청소부(132)는 한 쌍의 이동부(131)에 삽입되는 이동 블록(132a)을 통해 한 쌍의 이동부(131)에 설치되어, 이동부(131)가 회전하는 경우, 이동부(131)를 따라 창틀 프레임(122)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청소부(132)는 가장자리에 분사부(134)가 설치될 수 있다. 즉, 분사부(134)는 유리면(121)과 맞닿도록 청소부(132)의 외주면의 가장자리에 설치될 수 있다.
분사부(134)는 별도의 세척수 공급 탱크와 연결되어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복수의 분사 노즐(134a)이 형성되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즉, 분사부(134)는 유리면(121)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청소부(132)는 내부 공간에 브러쉬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브러쉬부(133)는 청소부(132)의 중심 축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청소부(132)의 내부 공간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별도의 모터 동작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청소 모듈(130)을 이용한 창 모듈(120)의 청소 방법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모터(131a)의 동작에 의해 이동부(131)가 회전하는 경우, 청소부(132)가 유리면(121)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하고, 이와 동시에 브러쉬부(133)가 회전하여 유리면(121)을 닦아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연 채광 공간 구조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연 채광 공간 구조체(100')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다층 건물의 옥상층을 관통하는 개방 공간(101), 복수의 층으로 이어지는 다층 벽면(110) 및 다층 벽면(110)에 형성되는 창 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연 채광 공간 구조체(100')는 비상 탈출 수단(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비상 탈출 수단(150)은 자연 채광 공간(100')의 바닥면으로부터 다층 벽면(110)을 따라 다른 층으로 이동하거나, 옥상층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으로, 가변형 사다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비상 탈출 수단(150)은 자연 채광 공간(100')의 바닥면에서 일측이 다층 벽면(110)과 맞닿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창 모듈(120)을 통해 자연 채광 공간(100')으로 이동하여 비상 탈출 수단(150)을 통해 다른 층으로 이동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비상 탈출 수단의 실 적용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비상 탈출 수단(150)은 상술한 것처럼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가변형 사다리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상 탈출 수단(150)은 다층 벽면(110)의 전체 층고와 대응하는 길이로 가변되거나, 또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하나의 층고에 대응하는 길이로 가변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비상 탈출 수단(150)의 길이를 가변하여 원하는 층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비상 탈출 수단(150)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가장 짧은 길이로 가변시켜 자연 채광 공간 구조체(100')의 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 시스템은 이와 같은 비상 탈출 수단(150)을 자연 채광 공간 구조체(100')를 포함하여 복수의 층의 중심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켜 자연 채광, 환기 등의 효과를 달성함은 물론 비상 시 다른 층으로의 탈출을 가능하게 한다.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비상 탈출 수단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비상 탈출 수단(150)은 설치부(151), 제1 사다리부(152), 제2 사다리부(153), 고정부(154) 및 가변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설치부(151)는 비상 탈출 수단(150)을 자연 채광 공간(100')의 바닥면에 설치할 수 있다.
제1 사다리부(152)는 설치부(151)를 통해 자연 채광 공간(100')의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사다리부(152)는 한 쌍의 사다리 프레임이 형성되어 있고, 그 사이에 복수의 제1 발판(152a)이 구성되는 일반적인 사다리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사다리부(153)는 가변부(155)를 통해 제1 사다리부(152)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사다리부(153)는 한 쌍의 사다리 프레임이 형성되어 있고, 그 사이에 복수의 제1 발판(153a)이 구성되는 일반적인 사다리로 구현될 수 있다.
가변부(155)는 제1 사다리부(152)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1 바퀴부(1552), 제2 사다리부(153)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2 바퀴부(1553) 및 제1 바퀴부(1552) 및 제2 바퀴부(1553)에 감겨 있는 가변 줄(155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변부(155)는 가변 줄(1555)의 조작에 의해 제2 사다리부(153)가 제1 사다리부(152)를 따라 상 하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가변 줄(1555)을 잡아당기는 경우 제2 사다리부(153)가 제1 사다리부(152)를 따라 상방 이동하여 전체 길이가 길어질 것이다.
고정부(154)는 제2 사다리부(153)에 힌지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 사다리부(152)에 포함되는 제1 발판(152a)을 파지할 수 있다.
고정부(154)는 제1 사다리부(152)에 포함되는 제1 발판(152a)을 파지하여, 제2 사다리부(153)가 슬라이딩 이동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가변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가변부(155)는 제1 바퀴부(1552), 제2 바퀴부(1553) 및 가변 줄(155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퀴부(1552)는 제1 사다리부(152)에 설치되는 제1 바퀴 프레임(1552a) 및 제1 바퀴 프레임(1552a)에 설치되는 제1 바퀴(1552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바퀴 프레임(1552a)은 제1 사다리부(152)에 볼트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설치될 수 있으며, 제2 사다리부(153) 측으로 제1 바퀴(1552c)의 설치를 위한 설치 공간을 형성하고, 그 중앙에 가변 줄(1555)을 고정하기 위한 제1 관통공(1552b)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바퀴부(1553)는 제2 사다리부(153)에 설치되는 제2 바퀴 프레임(1553c, 1553a) 및 제2 바퀴 프레임(1553c, 1553a)에 설치되는 제2 바퀴(1553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바퀴 프레임(1553c, 1553a)은 가변 줄(1555)를 고정하기 위한 제2 관통공(1553d)이 형성된 플레이트(1553c) 및 플레이트(1553c)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다리부(1553a)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바퀴(1553b)는 플레이트(1553c) 및 한 쌍의 다리부(1553a)가 형성하는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가변 줄(1555)은 일단이 제1 관통공(1552b)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제2 바퀴(1553b) 및 제1 바퀴(1552c)에 차례로 감긴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가변 줄(1555)은 타단이 제2 관통공(1553d)에 매듭지어져서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관통공(1553d)에 매듭지어진 가변 줄(1555)을 풀은 뒤 잡아당겨 제2 사다리부(153)를 원하는 높이로 상방 이동시킬 수 있으며, 고정부(154)를 조작하여 그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설치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설치부(151)는 바닥면에 제1 사다리부(152)를 설치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설치부(151)는 제1 사다리부(152)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다리부(152) 및 제2 사다리부(153)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여 그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제1 사다리부(152)의 하측면은 한 쌍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설치부(151)의 상측면은 이러한 제1 사다리부(152)의 하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 쌍의 홈 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사다리부(152)는 설치부(151)의 한 쌍의 홈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설치부(151)는 한 쌍의 홈부(151a)를 형성할 수 있으며, 한 쌍의 홈부(151a)는 각각 측벽에 서로 대향하는 분사공(151b) 및 흡입공(151c)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분사공(151b) 및 흡입공(151c)은 홈부(151a)를 기준으로 하여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는데, 각각 압축 공기 모듈과 연결되는 배관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압축 공기 모듈은 압축 공기를 배출하거나 흡입할 수 있다.
이때 분사공(151b)이 압축 공기를 배출하는 경우, 흡입공(151c)은 압축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홈부(151a)에 삽입되어 있는 제1 사다리부(152)는 분사공(151b)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및 흡입공(151c)으로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 홈부(151a)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옥상층
100: 자연 채광 공간 구조체

Claims (2)

  1. 다층 건물의 옥상층으로부터 복수의 층을 관통하는 자연 채광 공간 구조체; 및
    상기 자연 채광 공간 구조체에 가변형 사다리로 구현되는 비상 탈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자연 채광 공간 구조체는,
    상기 다층 건물의 어느 층에 마련되는 바닥면;
    상기 바닥면이 형성되는 층으로부터 상기 옥상층 까지의 복수의 층고를 갖는 다층 벽면;
    상기 옥상층에 마련되는 개방면을 통해 상기 바닥면까지 상기 다층 벽면으로 둘러 쌓여 상기 다층 건물 외부와 연통되는 개방 공간; 및
    상기 다층 벽면에서 각 층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각 층의 내부로부터 상기 개방 공간으로의 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창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비상 탈출 수단은,
    한 쌍의 사다리 프레임이 형성되어 있고, 그 사이에 복수의 제1 발판이 구성되는 제1 사다리부;
    상기 제1 사다리부에 상기 제1 사다리부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한 쌍의 사다리 프레임이 형성되어 있고 그 사이에 복수의 제2 발판이 구성되는 제2 사다리부;
    상기 제1 사다리부에 상기 제2 사다리부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가변부;
    상기 제2 사다리부에 힌지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사다리부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1 발판 중 어느 하나의 제1 발판을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2 사다리부가 상기 제1 사다리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부; 및
    상기 제1 사다리부를 상기 바닥면에 설치하는 설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부는,
    상기 제1 사다리부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1 바퀴부;
    상기 제2 사다리부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2 바퀴부; 및
    상기 제1 바퀴부 및 상기 제2 바퀴부에 감겨 있는 가변 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바퀴부는,
    상기 제1 사다리부에 설치되는 제1 바퀴 프레임; 및
    상기 제1 바퀴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 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퀴프레임은,
    상기 제1 사다리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사다리부 측으로 상기 제1 바퀴의 설치를 위한 설치 공간을 형성하며, 그 중앙에 상기 가변 줄을 고정하기 위한 제1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바퀴부는,
    상기 제2 사다리부에 설치되는 제2 바퀴 프레임; 및
    상기 제2 바퀴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2 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퀴 프레임은,
    상기 가변 줄을 고정하기 위한 제2 관통공이 형성된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다리부를 통해 상기 제2 사다리부에 설치되며,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다리부가 형성하는 공간에 상기 제2 바퀴가 설치되고,
    상기 가변 줄은,
    일단이 상기 제1 관통공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2 바퀴 및 상기 제1 바퀴에 차례로 감긴 상태로 마련되며, 타단이 잡아당겨지는 경우, 상기 제2 사다리부를 상방 이동시키고, 타단이 상기 제2 관통공에 매듭지어져 고정되며,
    상기 설치부는,
    상기 제1 사다리부의 하측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사다리부의 하측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와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 부를 형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 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 부를 기준으로 하여 서로 마주하는 측벽에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분사공 및 복수의 흡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 부는,
    상기 복수의 분사공으로부터 압축 공기가 배출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흡입공으로 압축 공기가 흡입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분사공으로부터 배출되는 압축 공기 및 상기 복수의 흡입공으로 흡입되는 압축 공기에 의해 상기 제1 사다리부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비상 탈출 시스템.
  2. 삭제
KR1020200001970A 2020-01-07 2020-01-07 비상 탈출 시스템 KR102115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970A KR102115610B1 (ko) 2020-01-07 2020-01-07 비상 탈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970A KR102115610B1 (ko) 2020-01-07 2020-01-07 비상 탈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5610B1 true KR102115610B1 (ko) 2020-05-26

Family

ID=70915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970A KR102115610B1 (ko) 2020-01-07 2020-01-07 비상 탈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561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544B1 (ko) * 2009-03-03 2009-10-27 (주)아이아크건축사사무소 실내환경 조절용 샤프트 시스템
KR100995220B1 (ko) * 2010-05-04 2010-11-17 박주휘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544B1 (ko) * 2009-03-03 2009-10-27 (주)아이아크건축사사무소 실내환경 조절용 샤프트 시스템
KR100995220B1 (ko) * 2010-05-04 2010-11-17 박주휘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5220B1 (ko) 비상계단용 화재 대피장치
JP6189404B2 (ja) ビル火災救命システムおよびビル火災救命システムの使用方法
KR101863067B1 (ko)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CN102886107A (zh) 一种高层建筑物消防救生装置
KR100841211B1 (ko) 건물용 화재피난장치
KR101306151B1 (ko) 고층건물의 화재 대피공간용 화장실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KR102035835B1 (ko) 다층 건물의 환기 및 화재 확산 방지 시스템
KR101119886B1 (ko) 건물의 층간 비상탈출장치
KR102115610B1 (ko) 비상 탈출 시스템
CN107419878A (zh) 逃生通道及楼房
KR20070024457A (ko) 고층 소방, 구조 및 건설 장비
KR20200036957A (ko) 건물의 비상계단 대피구조
KR101195437B1 (ko) 건물용 비상탈출장치
RU2355623C2 (ru) Подъем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обслуживания высотных сооружений (варианты)
KR101549219B1 (ko) 측면 가이드가 구비된 방연용 에어커튼 장치
CN102380174A (zh) 一种消防逃生系统
KR20090092853A (ko) 건물 설치용 살수 방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의 확산을방지하는 방법
KR102027969B1 (ko) 방화기능을 가지는 공동주택용 피난 구조물
CN207934390U (zh) 逃生通道及楼房
CN109821162B (zh) 一种用于高楼的外挂式逃生系统
KR100651013B1 (ko) 고층건물의 방화벽 소방층 구조
KR101766362B1 (ko) 제연기가 설치된 소방 방재장치
KR102126829B1 (ko) 아파트, 건축물 화재 시 공기 순환식 피난설비
CN115666046B (zh) 一种用于消防安全监控的监控设备及消防安全监控方法
KR102259133B1 (ko) 건물의 비상계단 대피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