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8760B1 - 건물의 화재피난장치 - Google Patents

건물의 화재피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8760B1
KR100838760B1 KR1020070057399A KR20070057399A KR100838760B1 KR 100838760 B1 KR100838760 B1 KR 100838760B1 KR 1020070057399 A KR1020070057399 A KR 1020070057399A KR 20070057399 A KR20070057399 A KR 20070057399A KR 100838760 B1 KR100838760 B1 KR 100838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building
vehicle
evacuation device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7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용섭
Original Assignee
한용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용섭 filed Critical 한용섭
Priority to KR1020070057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8760B1/ko
Priority to EP08766178A priority patent/EP2158005A1/en
Priority to PCT/KR2008/003216 priority patent/WO2008153295A1/en
Priority to CN200880020226A priority patent/CN101790401A/zh
Priority to US12/663,957 priority patent/US20100163339A1/en
Priority to JP2010512064A priority patent/JP2010528806A/ja
Priority to RU2009147468/12A priority patent/RU2009147468A/ru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8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8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건물의 화재피난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화재피난장치는 건물의 외벽면(100)에 소정의 층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가로이동 가이드레일(110); 상기 가로이동 가이드레일에 결합되어 동기구동하는 가로이동모터(132)의 구동으로 상기 가로이동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베이스(130); 상기 베이스에서 아래쪽으로 형성되는 상하이동 가이드레일(140)을 각각 갖고, 상하로 서로 결합되는 다수의 수직지지대(120); 및 피난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승강장치(160)를 통해 상기 상하이동 가이드레일들을 따라 승강하는 탑승장치(170);를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고층 집단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고층 집단건물 내부에서 외부로 신속히 대피하여 지상으로 안전하고 손쉽게 탈출할 수 있고, 화재발생시 탑승장치가 화재발생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한편, 탑승장치 쪽으로 화염이 발생할 경우에 화염을 제거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피난자가 신속하고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화재, 화재진압, 피난, 구난, 인명구조, 건물, 상하이동, 가로이동

Description

건물의 화재피난장치 {FIRE ESCAPE APPARATUS FOR BUILD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화재피난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화재피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화재피난장치가 건물의 모서리쪽에서 선회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화재피난장치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화재피난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화재피난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건물의 외벽면 110 : 가로이동 가이드레일
120 : 수직지지대 120a : 최하부 수직지지대
120c : 최상부 수직지지대 130 : 베이스
132 : 가로이동모터 140 : 상하이동 가이드레일
160 : 승강장치 161 : 윈치
162 : 와이어로프 163 : 안내롤러
170 : 탑승장치 180 : 문
181 : 실린더 182 : 계단
183 : 유도등 190 : 제어장치
200 : 리모콘 210 : 화재감지센서
220 : 경보수단 230 : 소화기
240 : 분무기 250 : 산소마스크
260 : 감시카메라 270 : 축전지
280 : 신축실린더
본 발명은 건물의 화재피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층아파트, 오피스텔, 학교, 병원, 고층빌딩 등의 고층 집단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고층 집단건물 내부에서 외부로 신속히 대피하여 지상으로 안전하고 손쉽게 탈출할 수 있는 건물의 화재피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아파트, 오피스텔, 학교, 병원, 고층빌딩 등의 고층 집단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고층부에서 고립될 경우, 불과 연기로 인하여 비상통로나 비상계단을 찾기 힘들 뿐만 아니라 연기에 질식되기 때문에, 비상통로나 비상계단을 통하여 탈출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게 되고, 탈출로를 확보하기 어렵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건물 외부로 탈출할 수 밖에 없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구조사다리나 완강기에 의한 구조, 소방구조대에 의한 구조, 헬리콥터에 의한 구조 등 을 하게 된다. 그런데, 소방구조대나 헬리콥터가 화재현장에 도달하기까지는 시간이 많이 소요리고, 구조과정의 시간이 많이 걸려, 모든 사람을 구조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고층일 경우, 구조사다리가 미치지 못해 구조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 일이 많고, 완강기를 이용하더라도 급박한 상황에서, 노약자나 일반인이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들것에 대응하는 것을 매달아 사용하거나, 로프와 훅을 이용하는 방법 등 여러 가지 방법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한 번에 여러 사람을 구조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을 낳게 된다. 또한, 헬리콥터로 구조할 경우에는, 바람이 강하게 불거나 야간에 구조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종래 다양한 화재피난장치가 제안되었다.
예컨대,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357390호에는, 고층아파트나 상가 등 건물의 각층 베란다에 형성하여, 곤돌라에 피난자가 탑승한 후 곤돌라를 하강시킴으로써, 피난자가 탈출하도록 하는 화재피난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화재피난장치의 경우에는, 베란다가 없는 건물에는 적용할 수 없고, 각 층마다 화재피난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곤돌라를 타고 하강하는 과정에서 곤돌라 쪽으로 화염이 접근할 경우에, 탈출이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고층 집단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고층 집단건물 내부에서 외부로 신속히 대피하여 지 상으로 안전하고 손쉽게 탈출할 수 있는 건물의 화재피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재발생시 탑승장치가 화재발생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한편, 탑승장치 쪽으로 화염이 발생할 경우에 화염을 제거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피난자가 신속하고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화재피난장치는, 건물의 외벽에 소정의 층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가로이동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로이동 가이드레일에 결합되고 동기구동하는 가로이동모터의 구동으로 상기 가로이동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서 아래쪽으로 형성되는 상하이동 가이드레일을 각각 가지고, 상하로 서로 결합되는 다수의 수직지지대와; 그리고, 화재피난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승강장치를 통해 상기 상하이동 가이드레일들을 따라 승강하는 탑승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다수의 수직지지대 중 최상부 수직지지대의 베이스에 형성되는 윈치와, 상기 윈치의 구동에 따라 권취 및 해권되고 하단이 상기 탑승장치의 상부에 연결되는 와이어로프와, 그리고 탑승장치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상하이동 가이드레일들을 따라 회전이 안내되는 다수의 안내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탑승장치에는, 열과 연기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 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가로이동모터들과 윈치를 구동하여 상기 탑승장치를 자동적으로 화재발생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거나, 수동으로 탑승장치를 조종하는 제어장치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승장치에는 화재발생시 상기 제어장치를 통해 작동되는 경보수단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승장치에는 실린더에 의해 개폐되는 문이 형성되고, 상기 문에는 계단이 형성되며, 상기 계단에는 유도등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승장치에는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화재진압수단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화재진압수단으로 예컨대, 소화기 및 분무기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승장치 내부에는 산소마스크가 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탑승장치 내부에는 감시카메라가 더 형성되고, 상기 감시카메라를 통해 나타나는 영상을 통하여 관리자가 탑승장치를 외부에서 원격으로 조종하는 리모콘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지지대들중 최하부 수직지지대에는 전원의 공급이 차단된 경우, 구동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축전지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하이동 가이드레일의 횡단면은 삼각형 또는 사각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건물의 모서리쪽에서 수직지지대들이 건물의 한 쪽 외벽면에서 다른 쪽 외벽면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건물의 모서리에 신축실린더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신축실린더의 타단에 최상부 수직지지대의 베이스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화재피난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화재피난장치는, 다수의 가로이동 가이드레일(110)과, 다수의 수직지지대(120)와, 그리고 탑승장치(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로이동 가이드레일(110)은 건물의 외벽면(100)에 소정의 층간격으로 형성되는데, 예컨대 격층(도 3 참조), 3층 또는 4층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로이동 가이드레일(110)은 건물의 외벽면(100)에 매립설치되거나 돌출설치될 수 있는데, 건물의 슬라브 철근보강재(102)를 이용하여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로이동 가이드레일(110)로, 예컨대 일측이 절개된 각종 중공 파이프, 표준레일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도 4a에는 일측이 절개된 사각단면의 중공파이프가 적용된 가로이동 가이드레일(110)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가로이동 가이드레일(110)의 절개된 개구방향은 건물의 바깥쪽을 향해야 한다.
상기 수직지지대(120)들은 상기 가로이동 가이드레일(110)에 대응하는 수만큼 상하로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로이동 가이드레일(110)에 따라 가로로 이동하도록 상기 가로이동 가이드레일(110)들에 형성되는데, 각각 베이스(130)와 상 하이동 가이드레일(140)을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130)는 수평 철골구조물로 형성되고, 상기 상하이동 가이드레일(140)은 트러스 형태의 수직 철골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베이스(130)의 하부에 상기 상하이동 가이드레일(1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하로 인접하는 수직지지대(120)들을 차례로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130)에는 결합홈(131)이 형성되고, 상기 상하이동 가이드레일(140)을 하부에는 상기 결합홈(131)에 결합되는 결합빔(14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130)의 결합홈(131)과 상하이동 가이드레일(140)의 결합빔(141)을 차례로 결합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지지대(120)들을 상하로 일직선으로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지지대(120)들중 최상부 수직지지대(120c)의 상부에는 보조수직지지대(15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보조수직지지대(150)는, 상기 최상부 수직지지대(120c)의 베이스(130)에 하단이 결합되는 보조 상하이동 가이드레일(151)과, 상기 보조 상하이동 가이드레일(151)의 상단에 형성되는 보조 베이스(1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 가이드레일(140)들과 상기 보조 상하이동 가이드레일(151)은 위에서 볼 때, 삼각형 또는 사각형의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여기서는 삼각형의 단면구조를 가진 것을 예시하였다.
상기 수직지지대(120)들을 지지하면서 가로이동 가이드레일(110)들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각 베이스(130)에는 가로이동모터(13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베이스(130)의 일측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로이동 가이드레일(110)에 삽입되어 상기 각 가로이동모터(132)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다수의 구동롤러(133)가 형성된다. 상기 각 가로이동모터(132)는 동기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가로이동모터(132)들의 동기구동에 의하여 각 베이스(130)의 구동롤러(133)들이 각 가로이동 가이드레일(110) 내부에서 회전주행함으로써, 수직지지대(120)들 상하로 일직선을 유지한 채, 가로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 4b에서와 같은 가로이동 가이드레일(110)이 적용될 수 있는데, 상기 가로이동 가이드레일(110)로 예컨대, 철근보강재(102)에 고정되는 고정레일봉이 적용되고, 베이스(130)의 끝단에는, 일측이 절개된 중공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레일봉 형태의 가로이동 가이드레일(110)의 둘레로 결합됨으로써, 자기부상에 의해 상기 가로이동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이동하는 자기부상레일(134)이 설치되면,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수직지지대(120)들이 상하로 일직선을 유지한 채, 가로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가로이동모터(132)들은 자기부상을 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이 적용된다.
한편, 상기 탑승장치(170)는 화재발생시 건물 내부의 피난자가 건물의 외벽면(100)쪽으로 이동하여 탑승하여 지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 탑승장치(170)는 승강장치(160)를 통해 상기 상하이동 가이드레일(140)들을 따라 승강하도록 설치된다.한편, 상기 탑승장치(170)는 화재발생시 건물 내부의 피난자가 건물의 외벽면(100)쪽으로 이동하여 탑승하여 지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 되어 있는데, 이 탑승장치(170)는 승강장치(160)를 통해 상기 상하이동 가이드레일(140)들을 따라 승강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탑승장치(170)는, 예컨대 사각박스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일측면이 실린더(181)에 의해 상하로 선회하여 개폐되는 문(18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문(180)은 탑승장치(170)가 화재발생위치(즉, 화재피난자 구조 위치)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제어될 수 있고, 탑승장치(170) 내부에서 후술하는 제어장치(190)를 통해 수동으로 제어되거나, 후술하는 리모콘(200)을 통해 외부에서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문(180)을 개방하면, 상기 문(180)이 건물의 창턱이나 베란다의 난간(104)(도 1 참조)에 걸치게 됨으로써, 건물 외벽면(100) 쪽으로 이동한 피난자가 문(180)을 딛고 탑승장치(170) 내부로 탑승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탑승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문(180)의 안쪽면(즉, 문(180)을 개방한 경우의 상면)에는 계단(18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야간이나 연기로 인하여 시야의 확보가 용이하지 않을 경우에, 피난자의 탑승을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계단(182)에는 유도등(183)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것처럼, 상기 탑승장치(170)는 승강장치(160)를 통해 상기 상하이동 가이드레일(140)들을 따라 승강하게 되는데, 상기 승강장치(160)는, 윈치(161)와, 와이어로프(162)와, 그리고 다수의 안내롤러(1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윈치(161)는 수직지지대(120)들중 최상부 수직지지대(120c)의 베이스(130)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윈치(161)의 구동으로 상기 와이어로프(162)가 권취 및 해권된다. 상기 와이어로프(162)는 윈치(161)에 감긴 채, 보조수직지지대(150)를 경유하여 아래쪽으로 형성되며, 그 하단이 탑승장치(170)의 상부에 연결된다. 와이어로프(162)의 원활한 권취 및 해권을 위하여, 상기 보조수직지지대(150)의 상부에 형성된 보조 베이스(152)에는 다수의 와이어로프(162)가 경유하는 다수의 지지롤러(15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롤러(163)는 탑승장치(170)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로 상하이동 가이드레일(140)들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탑승장치(170)의 일측면에 상기 상하이동 가이드레일(140)들을 따라 회전이 안내되도록 다수 개 형성된다. 예컨대, 탑승장치(170)의 일측면 사방에 안내롤러(163)가 형성되고, 이 안내롤러(163)들 사이에 상하이동 가이드레일(140)의 일측면에 삽입되도록 하면, 윈치(161)의 구동에 따라 권취 및 해권되는 와이어로프(162)에 의해 견인된 상태에서 탑승장치(170)가 상하이동 가이드레일(140)들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상하이동 가이드레일(140)들을 따라 승강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승강장치(160)로 랙과, 피니언이 적용될 수 있는데, 예컨대 상하이동 가이드레일(140)들을 따라 랙이 형성되고, 상기 탑승장치(170)의 측면에, 상기 랙에 결합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을 구동하는 모터를 형성하면, 전술한 승강장치(160)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내부에는 스프링클러 장치의 구성요소로 화재발생시 열과 연기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210)가 형성되는데, 상기 탑 승장치(170)에는, 상기 화재감지센서(210)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가로이동모터(132)들과 윈치(161)를 구동하여 상기 탑승장치(170)를 자동적으로 화재발생위치(구조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거나, 수동으로 탑승장치(170)를 조종하는 제어장치(190)가 형성될 수 있다. 무선신호수단으로 예컨대, RF(Radio Frequency)무선통신 모듈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하면 제어장치(190)에 의해 가로이동모터(132)들과 윈치(161)가 구동하여, 탑승장치(170)가 자동적으로 화재발생위치로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수동으로 탑승장치(170)를 제어할 경우에는, 구조자가 탑승장치(170)에 탑승하여 탑승장치(170)가 화재발생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장치(190)를 통해 탑승장치(170)를 조종하거나, 후술하는 리모콘(200)을 통해 원격으로 탑승장치(170)를 조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승장치(170)에는 화재발생시 상기 제어장치(190)를 통해 작동되는 경보수단(220)이 더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보수단(220)을 통하여 건물관리자나 거주민에게 화재발생사실을 신속하게 알림으로써, 인명구조 및 초기화재진화에 크게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경보수단(220)으로 예컨대, 경보싸이렌, 화재방송기, 경보등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승장치(170)에는 화염을 진화할 수 있는 화재진압수단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화재진압수단으로 예컨대, 소화기(230) 및 분무기(240)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소화기(230)는 휴대가능하게 탑승장치(170) 내부에 비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다. 또한, 상기 분무기(240)는, 상기 탑승장치(170)에 형성되어 방화수 나 특수방화액체가 내장되는 탱크(241)와, 상기 탱크(241)로부터 방화수나 특수방화액체를 펌핑하는 펌프(242)와, 그리고 상기 펌프(242)로부터 방화수나 특수방화액체를 분사하는 분사노즐(2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분무기(240)는 탑승장치(170) 내부에서 제어장치(190)를 통해 수동으로 작동되거나, 후술하는 리모콘(200)을 통해 외부에서 원격으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탑승장치(170)에 탑승한 피난자가 화염이나 연기로 인해 호흡이 곤란한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탑승장치(170) 내부에는 산소마스크(250)가 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탑승장치(170) 내부에는 탑승장치(170) 내부의 상황을 감시할 수 있는 감시카메라(260)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경우에, 상기 감시카메라(260)를 통해 나타나는 영상을 통하여 관리자가 탑승장치(170) 외부에서 리모콘(200)을 통해 원격으로 탑승장치(170)를 조종할 수 있다. 즉, 관리자는 감시카메라(260)를 통해 나타나는 영상에 따라 리모콘(200)을 조작하고, 그 조작신호가 제어장치(190)에 입력됨으로써, 가로이동모터(132)들, 윈치(161), 탑승장치(170)에 형성된 실린더(181), 펌프(242) 등의 각 구동부들을 제어함으로써, 탑승장치(170)를 적절하게 조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화재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화재피난장치에 전원공급이 불가능하게 될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화재피난장치에 축전지(270)가 더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전지(270)는, 예컨대 상기 수직지지대(120)들중 최하부 수직지지대(120a)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최하부 수직지지대(120a)의 하단에 보조 베이스(271)가 더 형성되고, 이 보조 베이스(271)의 상부에 축전지(270)와 직류전원변환장치(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건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화재피난장치로의 교류전원공급이 차단되더라도, 비상대기하고 있는 축전지(270)로부터 직류전원이 직류전원변환장치를 통해 교류로 전환되어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화재피난장치의 각 구동부에 공급될 수 있으므로, 탑승장치(170)를 조종하는데 있어서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화재피난장치는 건물의 외관을 해치지 않도록, 건물의 모서리쪽에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피난자의 피난 편의성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화재피난장치를 건물의 한 쪽 외벽면(100)에서 다른 쪽 외벽면으로 선회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모서리에 신축실린더(280)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신축실린더(280)의 타단에 최상부 수직지지대(120c)의 베이스(130)가 연결되면, 가로이동모터(132)들의 구동과, 상기 신축실린더(280)의 신축구동의 적절한 조합으로,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화재피난장치가 건물의 모서리중 한 쪽 외벽면(100)에서 다른 외벽면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 수직지지대(120)들의 선회시 구동롤러(133)들이 이탈되므로, 가로이동 가이드레일(110)들은 구동롤러(133)들이 삽탈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야 하며, 구동롤러(133)들이 삽입된 상태에서의 지지는 가로이동 가이드레일(110)들과 신축실린더(280)가 담당 하게 된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화재피난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화재피난장치가 형성된 건물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화염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고 건물 내부에 연기가 차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건물 내부의 화재감지센서(210)에 의하여 열과 연기가 설정치 이상으로 감지되고, 이 신호가 탑승장치(170)의 제어장치(190)로 입력되며, 상기 제어장치(190)에 의한 제어로 가로이동모터(132)와 윈치(161)가 구동된다.
상기 가로이동모터(132)들의 구동에 따라 가로이동 가이드레일(110)에 삽입된 구동롤러(133)들이 회전이동함으로써 수직지지대(120)들이 가로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윈치(161)의 구동에 따라 권취 또는 해권되는 와이어로프(162)에 의하여 탑승장치(170)가 수직지지대(120)들의 상하이동 가이드레일(140)들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탑승장치(170)가 임의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탑승장치(170)는 건물의 외벽면(100)에서 임의의 위치로 이동가능하므로, 화재발생위치(즉, 피난자 구조위치)로 자동적으로 신속하게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화재발생사실이 경보수단(220)을 통해 관리자나 거주자에게 전달된다.
탑승장치(170)의 자동 구동이 힘들거나 접근위치가 잘못될 경우에는, 예컨대 탑승장치(170)에 구조자가 탑승하여 제어장치(190)를 통해 탑승장치(170)를 조종하거나 관리자가 리모콘(200)을 통해 원격으로 탑승장치(170)를 조종할 수 있다.
탑승장치(170)가 구조위치에 도달하면, 문(180)이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개방되어 창턱이나 베란다 난간(104)에 걸치게 되며, 창턱이나 베란다 난간(104)으로 피난하는 피난자가 개방된 문(180)의 계단(182)을 밟고 탑승장치(170)로 탑승할 수 있다.
구조자가 탑승장치(170)에 탑승한 경우에는, 구조자가 탑승장치(170)에서 내려 피난자의 피난 및 탑승에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진압수단, 즉 소화기(230)나 분무기(240)에 의하여 화염의 접근을 차단하거나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다. 탑승자의 호흡이 곤란한 경우에는 구조자의 도움이나 피난자 스스로 산소마스크(250)를 착용하여 호흡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게 할 수 있다.
피난자의 탑승이 완료되면, 탑승장치(170)의 이동이 방해를 받지 않도록 문(180)을 닫고, 탑승장치(170) 내부에서의 제어장치(190) 조작이나 외부에서의 리모콘(200)을 통한 원격 조작으로 탑승장치(170)를 가로이동 및 하강이동시켜, 탑승장치(170)를 지상으로 도달시킨 다음, 문(180)을 열어 피난자를 지상으로 피난시킨다. 다음에, 탑승장치(170)를 다시 수동으로 조종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되풀이함으로써, 소방구조대가 도달하기 까지 초기화재진압과 인명구조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화재피난장치에 의하면, 화재 발생 초기에 인명구조위치로 탑승장치(170)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접근시켜, 인명을 손쉽게 구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발생위치로의 구조자의 접근이 손쉽 고, 탑승장치(170)에 비치된 화재진압수단을 통하여 초기화재진압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화재로 인한 재산피해 및 인명피해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화재발생사실을 경보수단(220)을 통해 초기에 거주자에게 알려 거주자가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므로, 인명피해를 더욱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건물의 외벽면(100)에서 임의의 위치로 탑승장치(170)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많은 수의 화재피난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화재피난장치의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다.

Claims (13)

  1. 건물의 외벽면(100)에 소정의 층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가로이동 가이드레일(110);
    상기 가로이동 가이드레일에 결합되어 동기구동하는 가로이동모터(132)의 구동으로 상기 가로이동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베이스(130);
    상기 베이스에서 아래쪽으로 형성되는 상하이동 가이드레일(140)을 각각 갖고, 상하로 서로 결합되는 다수의 수직지지대(120); 및
    피난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승강장치(160)를 통해 상기 상하이동 가이드레일들을 따라 승강하는 탑승장치(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화재피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160)는,
    상기 다수의 수직지지대(120) 중 최상부 수직지지대(120c)의 베이스(130)에 형성되는 윈치(161);
    ; 상기 윈치의 구동에 따라 권취 및 해권되고 하단이 상기 탑승장치(170)의 상부에 연결되는 와이어로프(162); 및 상기 탑승장치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상하이동 가이드레일(140)들을 따라 회전이 안내되는 다수의 안내롤러(1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화재피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장치(170)는,
    열과 연기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210)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가로이동모터(132)들과 윈치(161)를 구동시켜 상기 탑승장치를 자동적으로 화재발생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거나, 수동으로 상기 탑승장치를 조종하는 제어장치(19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화재피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장치(170) 내부에는 감시카메라(260)가 더 형성되고, 상기 감시카메라를 통해 나타나는 영상을 통하여 관리자가 상기 탑승장치를 외부에서 원격으로 조종하는 리모콘(2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화재피난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장치(170)에는 화재발생시 상기 제어장치(190)를 통해 작동되는 경보수단(220)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화재피난장치.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장치(170)에는 실린더(181)에 의해 개폐되는 문(180)이 형성되고, 상기 문에는 계단(18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화재피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182)에는 유도등(183)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화재피난장치.
  8.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장치(170)에는 화염을 진화할 수 있는 화재진압수단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화재피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진압수단은 소화기(230) 및 방화수나 특수방화액체를 분사하는 분무기(2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화재피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장치(170) 내부에는 산소마스크(250)가 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화재피난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대(120)들중 최하부 수직지지대(120a)에는 전원의 공급이 차단된 경우, 각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축전지(27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화재피난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 가이드레일(140)의 횡단면은 삼각형 또는 사각형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화재피난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건물의 모서리쪽에서 수직지지대(120)들이 건물의 한 쪽 외벽면(100)에서 다른 쪽 외벽면(100)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건물의 모서리에 신축실린더(280)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신축실린더의 타단에 상기 수직지지대(120)들중 최상부 수직지지대(120c)의 베이스(130)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화재피난장치.
KR1020070057399A 2007-06-12 2007-06-12 건물의 화재피난장치 KR100838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399A KR100838760B1 (ko) 2007-06-12 2007-06-12 건물의 화재피난장치
EP08766178A EP2158005A1 (en) 2007-06-12 2008-06-10 Fire escape apparatus for building
PCT/KR2008/003216 WO2008153295A1 (en) 2007-06-12 2008-06-10 Fire escape apparatus for building
CN200880020226A CN101790401A (zh) 2007-06-12 2008-06-10 用于建筑物的火灾逃离装置
US12/663,957 US20100163339A1 (en) 2007-06-12 2008-06-10 Fire escape apparatus for building
JP2010512064A JP2010528806A (ja) 2007-06-12 2008-06-10 建物の火災避難装置
RU2009147468/12A RU2009147468A (ru) 2007-06-12 2008-06-10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вакуации из зданий при пожар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399A KR100838760B1 (ko) 2007-06-12 2007-06-12 건물의 화재피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8760B1 true KR100838760B1 (ko) 2008-06-17

Family

ID=39771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7399A KR100838760B1 (ko) 2007-06-12 2007-06-12 건물의 화재피난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00163339A1 (ko)
EP (1) EP2158005A1 (ko)
JP (1) JP2010528806A (ko)
KR (1) KR100838760B1 (ko)
CN (1) CN101790401A (ko)
RU (1) RU2009147468A (ko)
WO (1) WO200815329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204B1 (ko) * 2019-03-21 2020-04-23 최진택 긴급 대피용 안전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41681B2 (en) * 2008-04-07 2012-03-27 Safeworks, Llc Tower climbing assist device
NO329597B1 (no) 2009-01-28 2010-11-22 Fobox As Drivanordning for en vindmolle
NO334466B1 (no) 2010-04-27 2014-03-10 Fobox As En drivanordning
US20110138699A1 (en) * 2010-06-29 2011-06-16 Thomas Niehues Rescue kit for a wind turbine, a wall for a wind turbine, and a portion of a compartment of a wind turbine
CN102240424A (zh) * 2011-04-21 2011-11-16 张晓冰 高层灭火救生维修机器人
CN102393297B (zh) * 2011-11-03 2013-12-18 浙江华电器材检测研究所 手拉葫芦无载动作试验省力装置
CN105133870A (zh) * 2014-10-13 2015-12-09 刘广 高层建筑火灾避险逃生系统的布置方法
CN107261347B (zh) * 2016-07-04 2019-12-17 中铁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超高层建筑消防救援及灭火系统
CN107244602A (zh) * 2017-06-07 2017-10-13 上海市机械施工集团有限公司 可载人升降救援装置及方法
TWM551933U (zh) * 2017-08-18 2017-11-21 zhen-xin Lin 防火升降移動設備
CN108969919A (zh) * 2018-07-11 2018-12-11 黄惠珍 一种公共安全防范救援逃生装置
GB2595867A (en) * 2020-06-08 2021-12-15 Mydek Ltd Balcony access apparatus, balcony access system and balcony access method
CN112915444A (zh) * 2021-02-01 2021-06-08 黄锦辉 一种智能建筑灾情报警监控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80699A (ko) 1973-11-21 1975-06-30
JPH0294564U (ko) * 1989-01-10 1990-07-27
WO1993017950A1 (en) 1992-03-11 1993-09-16 Laurutis Charles J High rise emergency elevator
US20050087393A1 (en) 2003-10-07 2005-04-28 Korchagin Pavel V. High-rise fire-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KR20070004492A (ko) * 2006-12-15 2007-01-09 주식회사 진영알앤에스 고층건물의 화재진압 및 인명구조용 엘리베이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12238A (en) * 1949-12-31 1952-09-30 Achilles F Angelicola Elevator system
US3658155A (en) * 1970-09-15 1972-04-25 William G Salter Elevator system
JPS525175B2 (ko) * 1972-02-15 1977-02-10
US3763617A (en) * 1972-04-03 1973-10-09 C M H Inc Tieback apparatus
US4347499A (en) * 1981-01-02 1982-08-31 Thomas F. Burkman, Sr. Emergency guidance system
JPS57173067A (en) * 1981-04-17 1982-10-25 Mitsui Shipbuilding Eng Escape apparatus during building fire
US4469198A (en) * 1982-04-16 1984-09-04 Crump Robert F Outside rescue elevator system for high-rise buildings
JPS62365A (ja) * 1985-06-26 1987-01-06 磯野 充浩 高層ビル用非常脱出装置兼外窓清掃装置
US4934629A (en) * 1987-07-21 1990-06-19 Harry Brant Rescue vehicle
US4865155A (en) * 1988-07-21 1989-09-12 Pegasus International, Inc. High-rise fire fighting and rescue system
JPH0294564A (ja) * 1988-09-30 1990-04-05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DE59306673D1 (de) * 1993-03-18 1997-07-10 Inventio Ag Vertikal-/Horizontal-Personenfördersystem
JPH09256626A (ja) * 1996-03-25 1997-09-30 Nihon Bisoh Co Ltd 建築物の外壁作業機の吊り下げ支持装置
US6814184B1 (en) * 2001-02-27 2004-11-09 Lawrence Blinn, Jr. High rigidity vertical column member and structure and hoist platform system
US20030213647A1 (en) * 2002-05-20 2003-11-20 Andre St-Germain Removable tower sleeve
US7036630B2 (en) * 2002-07-26 2006-05-02 Pavel V. Korchagin High-rise, fire-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US7096996B2 (en) * 2002-07-26 2006-08-29 Pavel V. Korchagin High-rise fire-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US7204344B2 (en) * 2002-07-26 2007-04-17 Pavel V. Korchagin High-rise, fire-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US7290640B2 (en) * 2002-07-26 2007-11-06 Korchagin Pavel V High-rise, fire-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JP2004203623A (ja) * 2002-12-23 2004-07-22 Inventio Ag 建物の人の緊急避難方法およびシステム、および前記システムを用いた既存の建物の近代化方法
TR200505388T1 (tr) * 2003-09-16 2006-11-21 Andrey Grigoryevich Tirskiy Yüksek binalarda yangın söndürme, kurtarma ve inşaat aracı
US7597175B2 (en) * 2004-03-24 2009-10-06 Waymon Burton Reed Reed's high-rise emergency rescue egress system
US7523517B2 (en) * 2005-07-07 2009-04-28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Window cleaning machin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80699A (ko) 1973-11-21 1975-06-30
JPH0294564U (ko) * 1989-01-10 1990-07-27
WO1993017950A1 (en) 1992-03-11 1993-09-16 Laurutis Charles J High rise emergency elevator
US20050087393A1 (en) 2003-10-07 2005-04-28 Korchagin Pavel V. High-rise fire-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KR20070004492A (ko) * 2006-12-15 2007-01-09 주식회사 진영알앤에스 고층건물의 화재진압 및 인명구조용 엘리베이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204B1 (ko) * 2019-03-21 2020-04-23 최진택 긴급 대피용 안전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528806A (ja) 2010-08-26
EP2158005A1 (en) 2010-03-03
US20100163339A1 (en) 2010-07-01
WO2008153295A1 (en) 2008-12-18
CN101790401A (zh) 2010-07-28
RU2009147468A (ru) 201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8760B1 (ko) 건물의 화재피난장치
KR100841211B1 (ko) 건물용 화재피난장치
KR200450338Y1 (ko) 고층건물용 비상탈출장치
KR20130123224A (ko) 화재시 인명구조 및 진압장치
KR20070004492A (ko) 고층건물의 화재진압 및 인명구조용 엘리베이터장치
KR200450122Y1 (ko) 베란다용 비상탈출 장치
CN203935529U (zh) 一种用于建筑的具有灭火救援功能的放绳设备
CN104906702A (zh) 一种具有灭火救援功能的放绳设备
KR20140133378A (ko) 고층 건물 화재 대비 비상용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형성하는 방법
RU2651656C1 (ru) Устройство экстренной эвакуации людей из высотных зданий
CN105056410A (zh) 一种具有灭火救援功能的系统
CN205031775U (zh) 一种具有灭火救援系统的建筑
CN203989530U (zh) 一种用于建筑的具有灭火救援功能的系统设备
CN204193333U (zh) 一种具有灭火救援功能的建筑
CN204193331U (zh) 一种具有灭火救援功能的建筑
CN220011791U (zh) 一种带有消防逃生窗的电梯轿厢
CN203989531U (zh) 一种用于建筑的具有灭火救援功能的系统
CN204193332U (zh) 一种具有灭火救援功能的建筑
CN203971217U (zh) 一种用于建筑的具有灭火救援功能的放绳设备
CN104922814A (zh) 一种具有灭火救援功能的放绳设备
CN204050698U (zh) 一种具有灭火救援功能的建筑
CN204193336U (zh) 一种具有灭火救援功能的建筑
CN105056412A (zh) 一种具有灭火救援功能的建筑
CN203989534U (zh) 一种用于建筑的具有灭火救援功能的系统设备
CN204815413U (zh) 一种具有灭火救援功能的放绳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