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969B1 - 방화기능을 가지는 공동주택용 피난 구조물 - Google Patents

방화기능을 가지는 공동주택용 피난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7969B1
KR102027969B1 KR1020190057753A KR20190057753A KR102027969B1 KR 102027969 B1 KR102027969 B1 KR 102027969B1 KR 1020190057753 A KR1020190057753 A KR 1020190057753A KR 20190057753 A KR20190057753 A KR 20190057753A KR 102027969 B1 KR102027969 B1 KR 102027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vacuation
space
shutter
verand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7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상만
Original Assignee
하상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상만 filed Critical 하상만
Priority to KR1020190057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9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08Water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4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connection with doors, windows, ventilators, partitions, or shutters, e.g. automatic clo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5Small buildings, arranged in other buildings
    • E04H1/1261Cubicles for fire-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시 화염, 열기 및 연기 등이 베란다 측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베란다측 화재에 대한 방화기능을 갖도록 구성된 방화기능을 가지는 공동주택용 피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베란다측 화재에 대한 방화기능을 갖는 셔터부를 제공함으로써 화재시 화염, 열기 및 연기 등이 베란다 측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피난 구조물의 구조함체 내에 설치되어 있는 승강시스템에 의해 피난자를 탑승한 상태로 피난공간내로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화재를 포함한 재난 발생시에 피난자가 안전하고 안심할 수 있게 구조 또는 피난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Description

방화기능을 가지는 공동주택용 피난 구조물{THE FIRE ESCAPE STRUCTURE FOR APARTMENT HOUSE WITH FIRE PROOF FUNCTION}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피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시 화염, 열기 및 연기 등이 베란다 측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베란다측 화재에 대한 방화기능을 갖도록 구성된 방화기능을 가지는 공동주택용 피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는 베란다와 다용도실과 같은 별도의 공간이 마련되고, 베란다에는 추락사고 방지를 위한 난간이 마련된다.
도 11은 일반적인 아파트 및 고층 건물에 설치된 베란다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베란다의 전면에는 다수의 파이프로 구성된 난간(1)이 소정 높이로 하여 베란다의 벽체(5)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난간(1)의 뒤쪽으로는 유리문(6)이 창틀샤시(4)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베란다가 설치된 건물에 있어서, 가스누설이나 누전 또는 방화나 실화 등의 원인에 의하여 불의의 화재가 발생할 경우, 초기 화재 발생으로부터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연기나 유독가스가 실내에 가득차게 되므로 사람들은 질식을 피하기 위하여 신선한 외부공기와 접할 수 있는 베란다쪽으로 피신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베란다 역시 탈출을 위한 완강기가 비치된 곳을 제외하고는 마땅한 피난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구조용 사다리차가 도착하기 전까지는 화염과 발생하는 유독가스로부터 거의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KR10-1080808)에는 베란다의 난간대에 설치된 화분대가 승강레일을 따라 승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위급시에 베란다로부터 피난할 수 있도록 하는 베란다의 난간대를 이용한 긴급 피난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긴급 피난장치는 다수의 파이프로 구성되고 파이프 간의 간격이 조밀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록크기구를 해제하는 방식으로 피난장치의 하부로의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피난자로 하여금 두려움 및 공포감을 유발할 수 있어, 심한 경우에는 베란다로부터의 피난이 불가능한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080808 B1 KR 10-0725381 B1 KR 10-0529859 B1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시 화염, 열기 및 연기 등이 베란다 측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베란다측 화재에 대한 방화기능을 갖도록 구성된 방화기능을 가지는 공동주택용 피난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방화기능을 가지는 공동주택용 피난 구조물에 의하면, 베란다측 화재에 대한 방화기능을 갖는 셔터부를 제공함으로써 화재시 화염, 열기 및 연기 등이 베란다 측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난 구조물의 구조함체 내에 설치되어 있는 승강시스템에 의해 피난자를 탑승한 상태로 피난공간내로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화재를 포함한 재난 발생시에 피난자가 안전하고 안심할 수 있게 구조 또는 피난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부수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구조함체로부터 베란다 창 공간을 향하여 물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피난자를 화재 등으로부터 추가로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시스템을 갖춘 공동주택용 피난 구조물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조함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승강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승강시스템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함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물분사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부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구성요소의 동작제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1은 일반적인 아파트 및 고층 건물에 설치된 베란다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시스템을 갖춘 공동주택용 피난 구조물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조함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승강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승강시스템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함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물분사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부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구성요소의 동작제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시스템을 갖춘 공동주택용 피난 구조물은 크게 구조함체(100), 승강시스템(200), 물분사부(300), 및 셔터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시스템을 갖춘 공동주택용 피난 구조물은, 베란다 창(S) 공간을 구성하는 벽체(W)와, 상기 벽체(W)의 외부에 설치되되, 베란다 창(S) 공간을 가로질러 설치된 메인 난간(10)에 걸쳐 좌우 폭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공동주택용 피난 구조물은 메인 난간(10)의 변경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메인 난간(10)의 프레임에 고정브라켓(도시안됨)을 사용하여 견고히 부착될 수 있는데, 안정성을 위해서는 공동주택용 피난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벽체(W)의 외부에 견고히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조함체(10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피난자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하고 있다.
구조함체(100)의 본체(102)는 전후좌우의 4개의 사각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사각 플레이트는 금속, 강화플라스틱제 등 다양한 소재로 제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구조함체(100)는 상부를 개폐하는 한 쌍의 덮개부(1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덮개부(104) 중 하나에는 화재시 연기 또는 가스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밀폐커버(10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덮개부(104)는 피난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도시안됨)와 협력하여 자동으로 양문 개폐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 난간(10)에는 적절한 위치에 인체감지센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인체감지센서에 의해 피난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덮개부(120)가 이후에 설명되는 덮개부 제어기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구성가능하다.
또한, 상기 구조함체(100)는 텍스트 또는 영상 메시지를 포함한 데이터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08)는 휴대단말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상기 프로그램의 구동에 따라 송신되는 데이터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08)에는 "화재발생! 구조요청! 10층 14호!!"와 같이 텍스트 메시지가 지속적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신속한 구조가 가능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구조함체(100)는 상기 승강시스템(200)의 측방에 주름 형상으로 형성된 보조 대피공간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대피공간부(130)는 피난자에게 심리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해줄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즉, 피난자가 승강시스템(200)을 이용하여 구조함체(100)의 피난공간으로 대피했지만, 여전히 불안한 경우, 좀더 낮은 위치의 보조 대피공간부(130)로 대피함으로써 안정감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보조 대피공간부(130)의 입구에는 별도의 덮개부(도시안됨)가 구비될수도 있다.
보조 대피공간부(130)는 평상시 절첩되어 있으며, 피난자가 진입하는 경우 중량에 의해 늘어나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보조 대피공간부(130)는 비상용품(예: 음료, 식품, 라디오 등)의 비치를 위한 공간으로 활용가능할 수 있다.
그 밖에, 구조함체(100)에는 환기를 위한 환기 시스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승강시스템(200)은 상기 구조함체(100)의 바닥에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1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에 설치된 승강수단(220)과, 상기 승강수단(220)에 의해 승하강되는 피난자의 탑승을 위한 탑승 플레이트(23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와 탑승 플레이트(230)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승강수단(220)의 승하강에 따라 절첩되도록 된 X자형 링크부재(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승강수단(220)은 유압 실린더일 수 있으며, 유압펌프(도시안됨)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신축되면서 X자형 링크부재(240)를 밀거나 당겨 탑승 플레이트(230)를 승하강시키게 된다. 미설명 부호 250은 X자형 링크부재(240)를 안내하는 안내부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도 5 참조), 승강시스템(200)의 탑승 플레이트(230) 일부에는 피난자가 탑승할 때 피난자의 신체부위(예: 다리, 엉덩이 등)에 가해질 수 있는 압력을 분산시킬 목적으로 그물망(232)이 설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도 6 참조), 상기 승강시스템(200)의 탑승 플레이트(230)의 일부에는 에어가 통과하는 에어홀(H)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시스템(200)의 탑승 플레이트(230)의 저면에는 에어홀(H)로 에어를 송풍하는 송풍팬(260)과, 상기 송풍팬(260)과 에어홀(H)을 연통시키는 덕트(262)가 설치되며, 상기 덕트(262) 내에서는 상기 송풍팬(260) 이외에 상기 송풍팬(260)을 향하여 향기를 발산하는 향발산부(264)가 구비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266은 덕트(160)의 말단에 연결되는 주름관으로,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향발산부(264)는 아로마, 허브, 송지, 피톤치드(phytoncide), 레몬(Lemon), 로즈(Rose)를 포함한 방향성 물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향발산부(264)는 구조함체(100)의 내부에 향기를 발산시켜 불쾌한 냄새를 제거하거나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할 목적으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피난자는 향발산부(264)로부터의 향기를 맡으며 심적 안정감을 느끼면서 구조를 기다릴 수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함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구조함체(100)를 구성하는 4개의 사각 플레이트 중 하나(예: 도면에서, 디스플레이부(108)가 구비된 플레이트의 반대편 플레이트)에는 관 형상이고 다수의 노즐구(114)가 형성된 분사 파이프(112)가 삽입되는 다수의 삽입홀(116)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되, 상기 플레이트의 삽입홈(116)에는 상기 분사 파이프(112)의 노즐구(114)와 연통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다수의 분사홈(118)이 형성될 수 있다. 미설명부호 120은 물공급관이다.
따라서, 구조함체(100)를 구성하는 사각 플레이트, 즉 본체(102)로부터 메인난간(10)을 향해 물을 분사할 수 있으므로, 화재시 피난자를 화재 등으로부터 추가적으로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물분사부(300)는 크게 이동바(310) 및 노즐블록(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동바(310)는 구조함체(100)의 상부측에 베란다 창(S) 공간을 가로 질러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노즐블록(320)은 상기 이동바(310)를 따라 수평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가능하다.
노즐블록(320) 상에는 다수의 노즐(322)들이 일렬로 배열되어 있으며, 각 노즐(322)들은 도면에서와 같이 별도로 제작된 노즐을 결합시킬 수도 있고, 노즐블록(320) 자체에 노즐을 형성시켜도 그 역할은 동일할 수 있다.
물분사부(300)의 구성은, 이후에 설멸될 셔터부(400)를 구성하는 셔터(404)의 슬랫(406)들이 상기 베란다 창(S)과 메인 난간(10) 사이의 공간으로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노즐블록(320)으로 하여금 상기 이동바(310)를 따라 수평으로 왕복이동하면서 노즐(322)들을 통해 셔터부(400)를 향하여 물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피난자를 화재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일례로, 이동바(310)는 스크류바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벽체(W)의 외부에 견고히 고정된 한 쌍의 베어링블록(312)에 체결되고, 일단에는 모터(314)가 체결되어, 모터 작동시 이동바(310)가 회전 구동되고, 그 회전 방향에 따라 노즐블록(320)이 이동바(310)를 따라 수평 이동하면서 노즐(322)들을 통해 베란다 창(S) 공간을 향하여 물분사를 수행하게 된다. 미설명 부호 324는 물을 공급하는 호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부의 측면도이다.
도 9을 참조하면, 셔터부(400)는 베란다 창(S) 공간을 가로 질러 베란다 창(S) 공간의 상부측에 설치되되, 모터(도시안됨)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동롤러(402)가 장착되고, 구동롤러(402)에 감겨진 셔터(404)의 슬랫(406)들이 상기 베란다 창(S)과 메인 난간(10) 사이의 공간으로 승하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셔터(404)의 슬랫(406)들은 내부에 공간부(408)가 형성되어 있으며, 공간부(408)는 에어층을 형성하여 방화 및 차열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셔터(404)는 난연성 시트로서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세라믹울, 암면, 실리카크로스, 유리크로스, 카본섬유, 내열성합성수지, 내열성합성섬유, 고분자 폴리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셔터(404)는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수지 20 내지 30 중량부,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수지 20 내지 30 중량부, 폐각(굴껍질) 30 내지 50 중량부, 난연제 10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난연제는 Al2O3 또는 Sb2O3가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우리나라는 세계적인 굴 생산국으로서 굴 생산과 더불어 필연적으로 발생히는 굴껍질(패각)의 양이 25만톤에 달한다. 하지만, 재활용을 통한 패각의 처리는 전체 발생량의 40%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 환경적 측면은 물론, 어민들의 패각 처리 해결책 요구 등 여러 사회적 문제 등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폐각을 셔터(404)의 재료 중 하나로서 적극 활용함으로써 한 가지의 패각 처리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구성요소의 동작제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시스템을 갖춘 공동주택용 피난 구조물은, 피난자의 휴대단말(500)과 NFC 근거리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활성시키는 NFC모듈(6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휴대단말(500)에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510)이 설치될 수 있으며, 휴대단말(500)에 설치된 프로그램(510)을 구동하고, 상기 프로그램의 구동에 따라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NFC모듈(610)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제어부(620)는 휴대단말(500)에 설치된 프로그램(510)을 이용하여 생성된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명령을 각 구성요소의 제어기(630), 예를 들면 덮개부 제어기(632), 승강시스템 제어기(634), 물분사부 제어기(636), 디스플레이 제어기(638), 분사파이프 제어기(633), 셔터부 제어기(635)로 전달한다. 이때, 덮개부 제어기(632)는 덮개부의 개폐를 제어하고, 승강시스템 제어기(6344)는 승하강시스템의 승하강을 제어하고, 물분사부 제어기(6366)는 분사 여부, 분사량 등을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부 제어기(638)는 디스플레이부에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분사파이프 제어기(633)는 분사파이프(112)를 통한 물분사를 제어하고, 셔터부 제어기(635)는 셔터부(400)의 승하강을 제어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휴대단말(500)에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각각의 프로그램이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단말(500)에는 디스플레이부(108)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별도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단말(50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108)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상기 프로그램의 구동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108)에 데이터, 이를테면 휴대단말(500)에서 직접 입력하거나 미리 설정되어 있는 텍스트 또는 영상 메시지를 포함한 데이터를 송신하여 디스플레이부(108)를 통해 외부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휴대단말(500) 분사 파이프(112)를 통한 물분사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별도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단말(500)에 설치된 분사 파이프(11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상기 프로그램의 구동에 따라 상기 분사 파이프(112)의 물분사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S : 베란다 창 W : 벽체
10 : 메인 난간 100 : 구조함체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덮개부
200 : 승강시스템 210 : 베이스 플레이트
220 : 승강수단 230 : 탑승 플레이트
240 : X자형 링크부재 300 : 물분사부
310 : 이동바 320 : 노즐블록
400 : 셔터부

Claims (7)

  1. 베란다 창 공간을 구성하는 벽체와, 상기 벽체의 외부에 설치되되, 베란다 창 공간을 가로질러 설치된 메인 난간에 걸쳐 좌우 폭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구조의 공동주택용 피난 구조물로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피난자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한 사각 형태의 구조함체;
    상기 구조함체의 바닥에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된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승하강되는 피난자의 탑승을 위한 탑승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탑승 플레이트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승강수단의 승하강에 따라 절첩되도록 된 X자형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승강시스템; 및
    베란다 창 공간을 가로 질러 베란다 창 공간의 상부측에 설치되되,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동롤러가 장착되고, 구동롤러에 감겨진 셔터의 슬랫들이 상기 베란다 창과 메인 난간 사이의 공간으로 승하강하도록 구성된 셔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기능을 가지는 공동주택용 피난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의 슬랫들이 상기 베란다 창과 메인 난간 사이의 공간으로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구조함체의 상부측에 베란다 창 공간을 가로 질러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된 이동바와, 상기 이동바를 따라 수평으로 슬라이딩하는 노즐블록을 포함하여, 상기 노즐블록으로 하여금 상기 이동바를 수평으로 왕복이동하면서 노즐들을 통해 상기 셔터를 향하여 물분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물분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기능을 가지는 공동주택용 피난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함체는 상기 승강시스템의 측방에 주름 형상으로 형성된 보조 대피공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기능을 가지는 공동주택용 피난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함체는 텍스트 또는 영상 메시지를 포함한 데이터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휴대단말과 NFC 근거리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활성시키는 NFC모듈을 더 포함하며, 휴대단말에 설치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상기 프로그램의 구동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기능을 가지는 공동주택용 피난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함체를 구성하는 4개의 사각 플레이트 중 하나에는 관 형상이고 다수의 노즐구가 형성된 분사 파이프가 삽입되는 다수의 삽입홀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되, 상기 플레이트의 삽입홈에는 상기 분사 파이프의 노즐구와 연통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다수의 분사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기능을 가지는 공동주택용 피난 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의 슬랫들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기능을 가지는 공동주택용 피난 구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수지 20 내지 30 중량부,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수지 20 내지 30 중량부, 폐각(굴껍질) 30 내지 50 중량부, 난연제 10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기능을 가지는 공동주택용 피난 구조물.
KR1020190057753A 2019-05-17 2019-05-17 방화기능을 가지는 공동주택용 피난 구조물 KR102027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753A KR102027969B1 (ko) 2019-05-17 2019-05-17 방화기능을 가지는 공동주택용 피난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753A KR102027969B1 (ko) 2019-05-17 2019-05-17 방화기능을 가지는 공동주택용 피난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7969B1 true KR102027969B1 (ko) 2019-10-02

Family

ID=68422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7753A KR102027969B1 (ko) 2019-05-17 2019-05-17 방화기능을 가지는 공동주택용 피난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9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73898A (zh) * 2020-08-07 2020-11-24 安徽信息工程学院 一种防盗窗逃生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859B1 (ko) 2003-05-19 2005-11-22 남준노 아파트 화재시의 탈출장치
KR100725381B1 (ko) 2007-01-10 2007-06-07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안전난간
KR101080808B1 (ko) 2009-07-03 2011-11-07 주식회사 에스엠텍 베란다의 난간대를 이용한 긴급 피난장치
KR101119886B1 (ko) * 2010-03-12 2012-02-29 주식회사 윈스피아 건물의 층간 비상탈출장치
KR101715373B1 (ko) * 2016-10-31 2017-03-13 (주)성우엔지니어링 화재 발생시 대피기능을 갖춘 소방용 공동주택 발코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859B1 (ko) 2003-05-19 2005-11-22 남준노 아파트 화재시의 탈출장치
KR100725381B1 (ko) 2007-01-10 2007-06-07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안전난간
KR101080808B1 (ko) 2009-07-03 2011-11-07 주식회사 에스엠텍 베란다의 난간대를 이용한 긴급 피난장치
KR101119886B1 (ko) * 2010-03-12 2012-02-29 주식회사 윈스피아 건물의 층간 비상탈출장치
KR101715373B1 (ko) * 2016-10-31 2017-03-13 (주)성우엔지니어링 화재 발생시 대피기능을 갖춘 소방용 공동주택 발코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73898A (zh) * 2020-08-07 2020-11-24 安徽信息工程学院 一种防盗窗逃生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1281B1 (ko) 승강시스템을 갖춘 공동주택용 피난 구조물
CN103933685A (zh) 一种建筑的供气系统
KR100841211B1 (ko) 건물용 화재피난장치
JP2010528806A (ja) 建物の火災避難装置
KR101396495B1 (ko) 연무 차단 장치
JP6189404B2 (ja) ビル火災救命システムおよびビル火災救命システムの使用方法
JP5628226B2 (ja) 実火災訓練装置
KR102027969B1 (ko) 방화기능을 가지는 공동주택용 피난 구조물
CN203154648U (zh) 一种建筑的火灾避难处
CN203160789U (zh) 一种建筑
KR102037262B1 (ko)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
CN103938910A (zh) 一种建筑
CN103938909A (zh) 一种建筑
CN203160399U (zh) 一种建筑的逃生通道
CN108261680A (zh) 一种具有供气管道的建筑
CN215585278U (zh) 多层/高层建筑火灾逃生避难室
CN203154649U (zh) 一种建筑的供气系统
KR100651013B1 (ko) 고층건물의 방화벽 소방층 구조
CN207822291U (zh) 一种高层建筑应急避难安全屋
CN112843512A (zh) 一种多层/高层建筑火灾逃生避难室
CN108261671A (zh) 一种建筑
CN108261640A (zh) 一种供气管道
CN108261630A (zh) 一种用于吸气的供气管道
CN108261700A (zh) 一种建筑
CN108261650A (zh) 一种供气管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