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9859B1 - 아파트 화재시의 탈출장치 - Google Patents

아파트 화재시의 탈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9859B1
KR100529859B1 KR10-2003-0031532A KR20030031532A KR100529859B1 KR 100529859 B1 KR100529859 B1 KR 100529859B1 KR 20030031532 A KR20030031532 A KR 20030031532A KR 100529859 B1 KR100529859 B1 KR 100529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escape
fire
frame
a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1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9521A (ko
Inventor
남준노
Original Assignee
남준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준노 filed Critical 남준노
Priority to KR10-2003-0031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9859B1/ko
Publication of KR20040099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9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9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98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17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with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5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 화재시의 탈출장치로서, 베란다의 난간 한쪽에 탈출사다리와 진입발판을 각각의 프레임에 축설해서 진입발판은 프레임의 상부로 회전하여 난간의 횡봉 상면에 수평으로 재치될 수 있게 하고 탈출사다리는 프레임의 하부로 회전하여 하부로 현수될 수 있도록 한것임.
화재시에 하층의 진입발판이 설치되면 탈출사다리를 타고 내려간 후 진입발판을 밟고 상부층으로부터 하층으로 진입하여 화재로부터 긴급피난 할 수 있음.

Description

아파트 화재시의 탈출장치{Escaping apparatus from the fire in the apartment}
본 발명은 아파트의 어느 한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여서 긴급하게 피난하는 경우에 이용할 수 있는 탈출장치에 관한것으로, 화재가 발생한 층의 베란다로부터 바로 직하부에 있는 층의 베란다쪽으로 안전하게 탈출하는데 이용되는 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의 어느층에서 가스누설이나 누전 또는 방화나 실화등의 원인에 의하여 불의의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화재가 발생한 단시간내에는 현관문을 통하여 피난할 수 있지만 어느정도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연기나 유독가스가 실내에 충만하게 되므로 사람들은 질식을 피하기 위하여 신선한 외부공기와 접할 수 있는 베란다쪽으로 피신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베란다쪽에 피신한 사람들은 외부로부터 사다리차에 의하여 구조를 받지 못할 경우에는 고층 아파트일 때 속수무책으로 재난을 당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아파트 화재시에 화재가 발생한 층의 베란다로부터 직하부 층의 베란다쪽으로 긴급하게 피난할 수 있게 해주는 탈출장치가 절실하게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파트의 화재시에 베란다로 통하여 직하부층으로 대피할 수 있게 해주는 탈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베란다의 난간에 설치되어서 난간의 외관을 크게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탈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기술적 과제를 두고 있다.
본 발명을 예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탈출장치의 분해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탈출사다리 (10), 진입발판(20), 발판의 프레임(30), 및 사다리의 프레임(40)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부호 50은 베란다의 바닥, 60은 난간의 횡봉이다.
탈출사다리(10)는 장방형의 프레임(11)에 발받침용 횡간(12)이 수개 일정간격으로 착설되어 있으며, 그 하단부의 양측에 연결간(13),(13')이 직각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연결간(13),(13')의 단부에는 연결공 (14),(14')이 천공되어 있다.
진입발판(20)은 장방형 프레임(21)의 표면에 철망(22)이 피복되어 있으며, 그 상단부의 양측에는 연결간(23),(23')이 직각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연결간(23),(23')의 단부에는 연결봉(24),(24')이 천공되어 있다.
발판의 프레임(30)은 하단부에 고정간(31),(31')이 외측으로 돌설되어 있으며, 그 상단부 양측에는 연결간(32),(32')이 안쪽으로 돌설되어 있고, 상기 연결간 (32),(32')의 단부에는 연결공(33),(33')이 천공되어 있다.
또 상기 발판 프레임(30)의 상부 횡간(34)에는 연결공(35),(35')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발판의 프레임(30)의 안쪽으로는 진입발판(20)이 평상시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끼워진다.
또 사다리의 프레임(40)은 하부 양측에 연결간(41),(41')이 외측으로 돌설되어 있으며 그 단부에는 연결공(42),(42')이 천공되어 있고, 상부 횡간(43)의 양측에는 연결공(44),(44')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사다리의 프레임(40)의 안쪽으로는 탈출사다리(10)가 평상시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끼워진다.
본 발명의 탈출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하여 사용한다.
먼저 발판의 프레임(30)의 고정간(31),(31')을 베란다의 바닥(50)에 앵커 (70)등을 이용해서 고정시켜서 발판의 프레임(30)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발판 프레임(30)의 상부 횡간(34)과 사다리 프레임(40)의 상부 횡간(43)을 나사봉(71)과 너트(72)로써 난간의 횡봉(60)의 양측면에 밀착시킨다.
다음에 진입발판(20)의 연결간(23),(23')을 발판의 프레임(30)의 연결간 (32),(32')에 나사봉(73)과 너트(74)로 연결시켜서 진입발판(20)이 나사봉(73)을 축으로 상부로 회전하여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재치될 수 있게 해준다.
이어서 탈출사다리(10)의 연결간(13),(13')을 사다리 프레임(40)의 연결간 (41),(41')에 나사봉(75)과 너트(76)로 연결시켜서 탈출용 사다리(10)가 나사봉 (75)을 축으로 하여 하부로 회전하여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현수될 수 있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서 탈출 사다리(10)의 한쪽 수직간(15)과 사다리 프레임(40)의 한쪽 돌기(45)에 축설한 손잡이봉(16)에는 수개의 횡간(17)의 양쪽 단부들이 축설되어서 비상탈출시에 손잡이봉(16)을 잡고 내려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탈출사다리(10)의 길이는 평상시 상층입주자가 하층으로 무단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그 길이를 짧게 제한해주는 것이 좋다.
그 이외의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같은 탈출장치의 구조와 동일하다.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이 사용된다.
화재가 발생해서 긴급탈출을 하려면 진입발판(20)을 위로 올려서 난간의 횡봉(60) 상면에 진입발판(20)를 수평으로 재치시킨 다음에 탈출 사다리(10)을 밀어서 하방으로 현수시킨다.
이어서 하층 입주자의 협조에 의해서 하층에도 마찬가지로 설치되어 있는 진입발판(20)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되면 탈출 사다리(10)의 횡간(12)을 서서히 밟고 내려와서 진입발판(20)으로 내려온 다음에 아래층으로 대피할 수 있다.
만일의 경우에 하층에 입주자가 부재중일 경우에는 탈출 사다리(10)에 의지해서 잠시 대기하면 사다리차에 의하여 안전하게 구조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아파트의 베란다 한쪽에 기존의 난간에 설치하는 것이므로 외관을 크게 해치지 않으며 설치하는 장소는 크게 점유하지도 않는다.
본 발명의 탈출장치는 구조가 매우 간단하므로 설치가 용이하며, 스텐레즈 스틸등 경량이며 고강도 재료로 제조하면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 설명도.

Claims (2)

  1. 베란다의 바닥(50)과 난간의 횡봉(60)사이에 고정시킨 발판 프레임(30)의 상부에 철망(22)을 피복한 진입발판(20)의 상부가 축설되어 있으며, 사다리 프레임 (40)의 상부 횡간(43)과 발판 프레임(30)의 상부 횡간(34)이 난간의 횡봉(60)을 사이로 연결되어 있으며, 사다리 프레임(40)의 하부에 수개의 발받침용 횡간(12)을 가진 탈출 사다리(10)의 하부가 축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화재시의 탈출장치.
  2. 청구항 1에서, 탈출사다리(10)의 수직간(15)과 사다리 프레임(40)에 축설시킨 손잡이봉(16)에는 수개의 횡간(17)의 양쪽 단부들이 축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화재시의 탈출장치.
KR10-2003-0031532A 2003-05-19 2003-05-19 아파트 화재시의 탈출장치 KR100529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1532A KR100529859B1 (ko) 2003-05-19 2003-05-19 아파트 화재시의 탈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1532A KR100529859B1 (ko) 2003-05-19 2003-05-19 아파트 화재시의 탈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521A KR20040099521A (ko) 2004-12-02
KR100529859B1 true KR100529859B1 (ko) 2005-11-22

Family

ID=37377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1532A KR100529859B1 (ko) 2003-05-19 2003-05-19 아파트 화재시의 탈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98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013B1 (ko) 2015-11-13 2016-08-10 주식회사 혜원까치종합건축사사무소 고층 건물의 베란다 난간 설치구조
KR102027969B1 (ko) 2019-05-17 2019-10-02 하상만 방화기능을 가지는 공동주택용 피난 구조물
KR102011281B1 (ko) 2019-05-17 2019-10-22 하상만 승강시스템을 갖춘 공동주택용 피난 구조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013B1 (ko) 2015-11-13 2016-08-10 주식회사 혜원까치종합건축사사무소 고층 건물의 베란다 난간 설치구조
KR102027969B1 (ko) 2019-05-17 2019-10-02 하상만 방화기능을 가지는 공동주택용 피난 구조물
KR102011281B1 (ko) 2019-05-17 2019-10-22 하상만 승강시스템을 갖춘 공동주택용 피난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521A (ko) 200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0401B1 (ko) 화재시 대피용 난간
US10260285B2 (en) Safety device and emergency escape device for high-rise building
KR102021931B1 (ko)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KR100952387B1 (ko) 건축물의 발코니 대피구조
KR101080808B1 (ko) 베란다의 난간대를 이용한 긴급 피난장치
KR100909447B1 (ko)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
KR20070060646A (ko) 비상시 건물 탈출용 사다리 구조
KR100529859B1 (ko) 아파트 화재시의 탈출장치
KR100613880B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 대피장치
KR101647013B1 (ko) 고층 건물의 베란다 난간 설치구조
KR101099765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JP2003199838A (ja) 緊急脱出用梯子ユニット
KR20050012603A (ko) 난간 대피장치
KR101080810B1 (ko) 화재 피난용 반원형 안전 난간대
KR101710468B1 (ko) 공동주택의 비상대피 구조
KR100596209B1 (ko) 비상대피가 용이한 건축용 난간 구조
KR100936899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200341256Y1 (ko) 베란다 난간용 화분거치대 겸용 비상 피난장치
KR200378175Y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 대피장치
CN219365890U (zh) 一种火灾后高层楼宇逃生待救系统
KR101043924B1 (ko) 화재 피난용 셔터형 안전 난간대
JP2003250918A (ja) 緊急避難装置
JP2004300910A (ja) 建造物
JP3097383U (ja) 建造物
GB2223260A (en) A support for a rope lad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