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4284B1 - 도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4284B1
KR102654284B1 KR1020230088984A KR20230088984A KR102654284B1 KR 102654284 B1 KR102654284 B1 KR 102654284B1 KR 1020230088984 A KR1020230088984 A KR 1020230088984A KR 20230088984 A KR20230088984 A KR 20230088984A KR 102654284 B1 KR102654284 B1 KR 102654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latch
door
locking groove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8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명호
홍석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신성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신성엘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신성엘텍
Priority to KR1020230088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2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2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2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 E05B47/026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the bolt moving rectilinear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 E05B47/0003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having a movable core
    • E05B47/0004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having a movable core said core being linearly mov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65Operating modes; Transformable to different operating modes
    • E05B63/0069Override systems, e.g. allowing opening from inside without the key, even when locked from out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37Powered actuators with automatic return to the neutral position by non-powered means, e.g. spr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도어 잠금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도어 잠금장치는,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서, 도어가 설치되는 문틀 또는 벽체에 설치되고, 전기를 인가하면 솔레노이드 스위치가 작동하여 잠금걸쇠가 내부로 수납되어 잠금 해제 상태가 되고, 전기를 차단하면 잠금걸쇠가 복원되면서 외부로 인출되어 잠금 상태가 되도록 하는 걸쇠모듈부; 및 상기 걸쇠모듈부와 대응되도록 도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잠금걸쇠가 인출되어 걸림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잠금걸쇠가 상기 걸림홈에 걸림됨으로써 도어 잠금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걸쇠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 잠금장치{DOOR LOCK DEVICE}
본 발명은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산업용 리프트 외부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서, 솔레노이드 스위치에 의해 잠금이 해제되고, 도어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전자적인 제어없이 수동으로 도어 닫힘이 가능하도록 하여 솔레노이드 스위치가 설치된 두 개의 도어가 정확히 정렬되지 않더라도 쉽고 안정적으로 도어 잠금이 가능하도록 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키고 안전사고 발생을 줄일 수 있는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리프트의 외부도어에는 인가되지 않은 외부인의 접근을 방지하고,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도어록이 설치되며, 이러한 도어록은 주로 열쇠를 이용하여 문을 해정시키는 수동방식과 전기 동력을 이용하는 전동방식인 전기정이 사용되고 있다.
이중 전기정의 경우에는, 전기 전자식 디지털 도어록이라 하는 것이 사용되고 있으며, 도어에 부가적으로 설치 사용되는 디지털 도어록은 잠금걸림쇠가 문짝외곽틀의 홈으로 삽입되면 문 잠김 상태가 유지되고 잠금걸림쇠가 문틀에 형성된 홈으로부터 벗어나면 문 잠김 상태가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종래 전기정의 구성을 살펴보면, 외측몸체에 형성된 버튼을 누름으로써 암호가 해제됨과 동시에 전원이 공급되어 작동되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축 연결키를 작동 및 해제시키는 키누름편이 형성된 키누름판 및 키누름해제편과, 구동축 연결키의 인출입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암을 갖는 구동축과, 구동암의 구동에 의해 당겨지고 리턴스프링에 의해 복귀되는 반달걸림쇠를 연결편으로 연결하여서 결합된 당김봉을 갖는 당김판과, 당김판의 일측에 설치되어 구동암의 구동에 의해 당겨지고 밀리는 수평유지구이동편이 구비되고 이동홈이 형성된 수평유지구와, 수평유지구에 형성된 이동홈에 위치되며 스토퍼축으로 고정되어 소정 각도로 회전 작동되는 스토퍼해체구 및 스토퍼와, 스토퍼의 걸림 및 해제에 의해 작동되는 해제구걸림편 및 해제구터치편을 갖는 걸림구해제구와, 구동암의 구동에 의해 연동되어 동작하는 연동암을 갖는 연동축과, 연동암의 연동에 의해 당겨지고 스프링에 의해 복귀되는 걸림쇠걸림턱을 갖는 잠금걸림쇠와, 잠금걸림쇠의 걸림과 해제를 하는 걸림쇠해제편 및 걸림쇠걸림편을 갖는 걸림구로 연결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이러한 종래의 전기정은 전기가 인가됨에 따라 잠금 및 해제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어가 닫힌 상태라고 하더라도 세팅된 설정시간(예: 10초) 동안에는 도어 오픈이 가능하게 되어 해당 시간동안에 외부인 출입이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써 보안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도어 잠금장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22600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솔레노이드 스위치에 의해 잠금이 해제되고, 도어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도어 닫힘과 동시에 전자적인 제어 없이도 즉시 도어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인의 출입을 즉각적으로 제한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는,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서, 도어가 설치되는 문틀 또는 벽체에 설치되고, 전기를 인가하면 솔레노이드 스위치가 작동하여 잠금걸쇠가 내부로 수납되어 잠금 해제 상태가 되고, 전기를 차단하면 잠금걸쇠가 복원되면서 외부로 인출되어 잠금 상태가 되도록 하는 걸쇠모듈부; 및 상기 걸쇠모듈부와 대응되도록 도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잠금걸쇠가 인출되어 걸림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잠금걸쇠가 상기 걸림홈에 걸림됨으로써 도어 잠금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걸쇠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쇠모듈부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솔레노이드 스위치; 상기 솔레노이드 스위치의 플런저와 연동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로 수납되거나 상기 하우징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걸림홈에 걸림되고,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잠금걸쇠; 상기 잠금걸쇠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게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 및 상기 하우징을 도어가 설치되는 문틀 또는 벽체에 설치하기 위한 제1설치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쇠걸림부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잠금걸쇠가 걸림되는 걸림홈이 형성된 상면부, 및 상기 상면부 일측에 수직되게 형성되는 측면부를 포함하는 걸림홈부재; 및 상기 측면부와 결합되어 상기 걸림홈부재를 도어 일측에 설치하기 위한 제2설치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면부 하측에는, 비상 시 인출된 상태의 상기 잠금걸쇠를 공구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상기 하우징 내부로 수납시키기 위해 공구를 삽입하는 공구삽입홈이 형성된 판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홈은, 상기 잠금걸쇠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홈이 타공되고, 상기 공구삽입홈은, 상기 걸림홈의 폭보다 좁게 홈이 타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쇠걸림부는, 상기 걸림홈부재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측면부에 타공된 적어도 하나의 장공; 및 상기 장공에 체결되는 체결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홈은, 상기 잠금걸쇠가 상기 걸림홈에 원활하게 안내되면서 진입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진입부 일측에 곡면의 진입가이드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잠금장치는, 상기 잠금걸쇠가 인출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완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잠금걸쇠에 구비되는 제1완충부 또는 상기 걸림홈부재에 구비되는 제2완충부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모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완충부는, 상기 잠금걸쇠 전면 측 내부에 수직되게 내장되는 제1스프링; 및 상기 잠금걸쇠 전면 측 외부에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걸림홈 일측에 걸림되면서 상기 제1스프링을 압축시키는 제1걸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걸림부재는, 상기 걸림홈 일측에 걸림되는 부분이 절곡 형성된 판스프링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걸림부재는, 상기 걸림홈 일측에 걸림되는 부분이 적어도 2번 반복되게 절곡 형성된 판스프링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완충부는, 상기 측면부 일측에 수직되게 설치되는 제2스프링; 및 상기 측면부 일측에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걸림홈에 상기 잠금걸쇠가 삽입되면 이를 지지하고 상기 제2스프링을 압축시키는 제2걸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걸림부재는, 상기 잠금걸쇠를 지지하는 부분이 절곡 형성된 판스프링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걸림부재는, 상기 잠금걸쇠를 지지하는 부분이 적어도 2번 반복되게 절곡 형성된 판스프링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는, 평상시 도어 잠금 상태에서 출입 인증이 완료된 후 솔레노이드 스위치에 의해 잠금이 해제되고, 도어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도어 닫힘과 동시에 전자적인 제어 없이도 즉시 도어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인의 출입을 즉각적으로 제한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평상시 잠금 상태에서 외부인이 강제로 잠금 해제하지 못하도록 제한하고, 정전 등 비상 상황 시 전기적인 작동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도어 오픈을 하고자 할 경우, 일시적으로 잠금을 해제할 수 있음으로써 도어 오픈을 가능케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 측면도.
도 3은 진입가이드홈이 구비된 걸림홈부재 평면도.
도 4 내지 도 6은 제1완충부가 구비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부분확대 측면도.
도 7 내지 도 9는 제2완충부가 구비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부분확대 측면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도어 잠금장치는, 솔레노이드 스위치에 의해 잠금이 해제되고, 도어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도어 닫힘과 동시에 전자적인 제어 없이도 즉시 도어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인의 출입을 즉각적으로 제한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10)는, 크게 걸쇠모듈부(100) 및 걸쇠걸림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걸쇠모듈부(100)는 도어(2)가 설치되는 문틀(1, 또는 벽체)에 설치되고, 전기를 인가하면 솔레노이드 스위치(120)가 작동하여 잠금걸쇠(130)가 내부로 수납되어 잠금 해제 상태가 되고, 전기를 차단하면 잠금걸쇠(130)가 복원되면서 외부로 인출되어 잠금 상태가 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기 걸쇠모듈부(100)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는 솔레노이드 스위치(120), 상기 솔레노이드 스위치(120)의 플런저(121)와 연동하여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수납되거나 상기 하우징(110)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걸림홈(212)에 걸림되고,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잠금걸쇠(130), 상기 잠금걸쇠(130)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게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140), 및 상기 하우징(110)을 도어(2)가 설치되는 문틀(1, 또는 벽체)에 설치하기 위한 제1설치판(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예: 강화플라스틱)로 이루어지고, 직사각형 박스 형태로서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고 양측에는 상기 제1설치판(150)을 통해 문틀(1, 또는 벽체)에 설치되기 위한 볼트홀이 형성된 플랜지(미부호)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 스위치(120)는 전자기 코일 내에서 플런저(121)의 움직임에 의해 개폐할 수 있도록 한 접점식 스위치로서, 전기를 인가하면 전자석이 작동하여 플런저(121)를 이동시키고, 전기 인가를 중단하면 최초 플런저(121)의 위치로 복원되는 스위치이다.
또한, 상기 플런저(121)는 상기 솔레노이드 스위치(120)의 동작에 따라 직선운동을 하는 부분으로, 상기 잠금걸쇠(130) 일측에 체결되어 상기 잠금걸쇠(130)의 동작을 제어하는 부분이다.
상기 잠금걸쇠(130)는 상기 하우징(110) 일측은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내장되어 상기 플런저(121)와 연동하여 직선운동하고, 타측은 상기 하우징(110) 외부로 노출되어 후술하는 걸림홈(212)에 걸림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잠금걸쇠(130)는 평평한 판형 구조로서 하단은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측면에서 봤을 때 앞쪽에서 뒤쪽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절단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부(140)는 일종의 압축스프링과 같은 탄성을 제공하는 부분으로, 도어 잠금장치(10)가 잠금 상태일 때, 상기 잠금걸쇠(130)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부분이다.
상기 탄성부(140)는 상기 플런저(121) 주변에 배치되도록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잠금걸쇠(130)를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스위치(120)로 전기가 인가되지 않은 도어 잠금장치(10)가 잠금 상태일 때에는 압축스프링이 신장되어 상기 잠금걸쇠(130)가 상기 하우징(110)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홈(212)에 걸림되도록 하고, 상기 솔레노이드 스위치(120)로 전기를 인가하여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압축스프링이 압축된 상태로서 상기 잠금걸쇠(130)가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수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설치판(150)은 상기 하우징(110) 및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내장된 구성들을 포함하여 문틀(1, 또는 벽체)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부분으로, 평평한 판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양측에는 볼트 체결을 위한 볼트홀(미부호)이 형성되며, 이러한 볼트홀은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설치판(150)이 문틀(1, 또는 벽체)에 밀착된 상태로 볼팅결합에 의해 상기 걸쇠모듈부(100)가 문틀(1, 또는 벽체)에 고정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걸쇠걸림부(200)는 상기 걸쇠모듈부(100)와 대응되도록 도어(2)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잠금걸쇠(130)가 인출되어 걸림되는 걸림홈(212)이 형성되며, 상기 잠금걸쇠(130)가 상기 걸림홈(212)에 걸림됨으로써 도어(2) 잠금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기 걸쇠걸림부(200)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잠금걸쇠(130)가 걸림되는 걸림홈(212)이 형성된 상면부(211), 및 상기 상면부(211) 일측에 수직되게 형성되는 측면부(213)를 포함하는 걸림홈부재(210) 및 상기 측면부(213)와 결합되어 상기 걸림홈부재(210)를 도어(2) 일측에 설치하기 위한 제2설치판(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면부(211)는 평평한 판형 구조로서, 도어(2)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잠금걸쇠(1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잠금걸쇠(130) 형상 및 위치에 대응하도록 걸림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면부(211)는 일단부분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는 도어(2)에 설치된 걸쇠걸림부(200)가 문틀(1, 또는 벽체)에 고정 설치된 상기 걸쇠모듈부(100)의 잠금걸쇠(130)에 인접하게 되면 잠금걸쇠(130)가 상면부(211)의 일측을 타고 자연스럽게 마찰되면서 잠금걸쇠(130)가 걸림홈(212)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잠금걸쇠(130) 하단부분의 경사부분과 상기 상면부(211)의 경사부분이 서로 마찰되어 접촉하게 됨으로써 상기 잠금걸쇠(130)가 걸림없이 상기 걸림홈(212)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면부(211)의 경사도는 상기 잠금걸쇠(130)의 하단 경사도와 유사하거나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면부(211) 하측에는 비상 시 인출된 상태의 상기 잠금걸쇠(130)를 공구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수납시키기 위해 공구를 삽입하는 공구삽입홈(231)이 형성된 판부재(23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정전 등 비상 상황 시 도어(2)를 오픈하려고 할 경우, 전기 인가가 불가능하여 솔레노이드 스위치(120) 작동이 불가할 경우, 상기 판부재(230)에 형성된 공구삽입홈(231)으로 별도의 공구를 삽입하여 가압함으로써 상기 잠금걸쇠(130)를 일시적으로 잠금 해제시킬 수 있다.
이때, 외부인이 쉽게 잠금걸쇠(130)의 잠금 해제할 수 없도록 상기 걸쇠걸림부(200)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시건장치가 마련된 케이스(미도시) 내에 수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걸림홈(212)은 상기 잠금걸쇠(130)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홈이 타공되고, 상기 공구삽입홈(231)은 상기 걸림홈(212)의 폭보다 좁게 홈이 타공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공구삽입홈(231)의 홈을 좁게 타공함으로써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서는 잠금걸쇠(130)를 가압하기 어렵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걸쇠걸림부(200)는 상기 걸림홈부재(210)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240)는 상기 측면부(213)에 타공된 적어도 하나의 장공(241) 및 상기 장공(241)에 체결되는 체결볼트(24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홈부재(210)는 도어(2)에 설치될 경우 상기 높이조절부(240)를 통해 상기 걸쇠모듈부(100) 및 잠금걸쇠(130)의 위치에 대응하여 높이가 조절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진입가이드홈이 구비된 걸림홈부재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걸림홈(212)은 다른 실시예로서, 여닫이 문 형태의 도어(2)에 걸쇠걸림부(200)가 설치될 경우, 상기 잠금걸쇠(130)가 상기 걸림홈(212)에 원활하게 안내되면서 진입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진입부 일측에 곡면의 진입가이드홈(212a)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진입가이드홈(212a)은 상기 상면부(211) 일부가 단턱지게 홈이 패인 형태로서, 도어(2)가 회동하면서 잠금걸쇠(130)와 마찰되는 경로를 따라 곡선을 그리 듯 홈이 패인 형태이며, 잠금걸쇠(130)가 걸림홈(212)까지 원활하게 안내되면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제1완충부가 구비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부분확대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 잠금장치(10)는 상기 잠금걸쇠(130)가 인출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완충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300)는 상기 잠금걸쇠(130)에 구비되는 제1완충부(310) 또는 상기 걸림홈부재(210)에 구비되는 제2완충부(320)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모두일 수 있다.
상기 제1완충부(310)는 상기 잠금걸쇠(130) 전면 측 내부에 수직되게 내장되는 제1스프링(311) 및 상기 잠금걸쇠(130) 전면 측 외부에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걸림홈(212) 일측에 걸림되면서 상기 제1스프링(311)을 압축시키는 제1걸림부재(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프링(311)은 상기 잠금걸쇠(130) 내부에 수직 상태로 일측이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걸림부재(312)는 상기 제1스프링(311)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스프링(311)으로부터 탄성을 제공받는다.
이러한 상기 제1완충부(310)는 상기 잠금걸쇠(130)가 상기 걸림홈(212)에 삽입될 때 이로 인한 발생되는 충격 및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함으로, 상기 잠금걸쇠(130) 일측에 돌출된 상기 제1걸림부재(312)가 상기 걸림홈(212) 일측 부분에 지지되면서 상기 제1스프링(311)을 통해 충격이 완화된 상태로 하강하도록 함으로써 충격 및 소음이 감소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솔레노이드 스위치(120)에 의해 상기 잠금걸쇠(130)가 걸림홈(212)으로부터 빠져 나와 상승할 경우 상기 제1걸림부재(312)는 상기 제1스프링(311)의 압축이 해제됨에 따라 최초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1걸림부재(312')는 상기 걸림홈(212) 일측에 걸림되는 부분이 절곡 형성된 판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걸림부재(312')는 일단이 '⊂'자 형상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걸림홈(212)과 접촉 시 그 충격을 보다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1걸림부재(312")는 상기 걸림홈(212) 일측에 걸림되는 부분이 적어도 2번 반복되게 절곡 형성된 판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걸림부재(312")는 일단이 '⊂'자 형상과 '⊃'자 형상이 반복되게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걸림홈(212)과 접촉 시 그 충격을 보다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 내지 도 9는 제2완충부가 구비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의 부분확대 측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2완충부(320)는 상기 측면부(213) 일측에 수직되게 설치되는 제2스프링(321) 및 상기 측면부(213) 일측에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걸림홈(212)에 상기 잠금걸쇠(130)가 삽입되면 이를 지지하고 상기 제2스프링(321)을 압축시키는 제2걸림부재(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스프링(321)은 상기 측면부(213) 일측에 수직 상태로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걸림부재(322)는 상기 제2스프링(321)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스프링(321)으로부터 탄성을 제공받는다.
이러한 상기 제2완충부(320)는 상기 잠금걸쇠(130)가 상기 걸림홈(212)에 삽입될 때 이로 인한 발생되는 충격 및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함으로, 상기 측면부(213) 일측에 돌출된 상기 제2걸림부재(322)에 상기 잠금걸쇠(130) 일측 부분이 지지되면서 상기 제2스프링(321)을 통해 충격이 완화된 상태로 하강하도록 함으로써 충격 및 소음이 감소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솔레노이드 스위치(120)에 의해 상기 잠금걸쇠(130)가 걸림홈(212)으로부터 빠져 나와 상승할 경우 상기 제2걸림부재(322)는 상기 제2스프링(321)의 압축이 해제됨에 따라 최초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2걸림부재(322')는 상기 잠금걸쇠(130)를 지지하는 부분이 절곡 형성된 판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2걸림부재(322')는 일단이 '⊂'자 형상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걸림홈(212)과 접촉 시 그 충격을 보다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2걸림부재(322")는 상기 잠금걸쇠(130)를 지지하는 부분이 적어도 2번 반복되게 절곡 형성된 판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2걸림부재(322")는 일단이 '⊂'자 형상과 '⊃'자 형상이 반복되게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걸림홈(212)과 접촉 시 그 충격을 보다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도어 잠금장치(10)는 일 예로서 여닫이문의 도어 형태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미닫이문의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잠금걸쇠(130)가 90° 회전된 상태이고, 이와 대응되도록 걸림홈(212) 역시 90° 회전된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도어 잠금장치는, 평상시 도어 잠금 상태에서 출입 인증이 완료된 후 솔레노이드 스위치에 의해 잠금이 해제되고, 도어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도어 닫힘과 동시에 전자적인 제어 없이도 즉시 도어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인의 출입을 즉각적으로 제한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평상시 잠금 상태에서 외부인이 강제로 잠금 해제하지 못하도록 제한하고, 정전 등 비상 상황 시 전기적인 작동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도어 오픈을 하고자 할 경우, 일시적으로 잠금을 해제할 수 있음으로써 도어 오픈을 가능케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문틀 2: 도어
10: 도어 잠금장치 100: 걸쇠모듈부
110: 하우징 120: 솔레노이드 스위치
121: 플런저 130: 잠금걸쇠
140: 제1설치판 200: 걸쇠걸림부
210: 걸림홈부재 211: 상면부
212: 걸림홈 212a: 진입가이드홈
213: 측면부 220: 제2설치판
230: 판부재 231: 공구삽입홈
240: 높이조절부 241: 장공
242: 체결볼트 300: 완충부
310: 제1완충부 311: 제1스프링
312, 312', 312": 제1걸림부재 320: 제2완충부
321: 제2스프링 322, 322', 322": 제2걸림부재

Claims (15)

  1.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서,
    도어가 설치되는 문틀 또는 벽체에 설치되고, 전기를 인가하면 솔레노이드 스위치가 작동하여 잠금걸쇠가 하우징 내부로 수납되어 잠금 해제 상태가 되고, 전기를 차단하면 잠금걸쇠가 복원되면서 하우징 외부로 인출되어 잠금 상태가 되도록 하는 걸쇠모듈부; 및
    상기 걸쇠모듈부와 대응되도록 도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잠금걸쇠가 인출되어 걸림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잠금걸쇠가 상기 걸림홈에 걸림됨으로써 도어 잠금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걸쇠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쇠모듈부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솔레노이드 스위치;
    상기 솔레노이드 스위치의 플런저와 연동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로 수납되거나 상기 하우징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걸림홈에 걸림되고,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잠금걸쇠;
    상기 잠금걸쇠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게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 및
    상기 하우징을 도어가 설치되는 문틀 또는 벽체에 설치하기 위한 제1설치판;을 포함하며,
    상기 걸쇠걸림부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잠금걸쇠가 걸림되는 걸림홈이 형성된 상면부, 및 상기 상면부 일측에 수직되게 형성되는 측면부를 포함하는 걸림홈부재; 및
    상기 측면부와 결합되어 상기 걸림홈부재를 도어 일측에 설치하기 위한 제2설치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부 하측에는,
    상기 상면부와 이격되게 상기 측면부 일측에 설치되고, 비상 시 인출된 상태의 상기 잠금걸쇠를 공구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상기 하우징 내부로 수납시키기 위해 공구를 삽입하는 공구삽입홈이 형성된 판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상기 잠금걸쇠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홈이 타공되고,
    상기 공구삽입홈은, 상기 걸림홈의 폭보다 좁게 홈이 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걸림부는,
    상기 걸림홈부재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측면부에 타공된 적어도 하나의 장공; 및
    상기 장공에 체결되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상기 잠금걸쇠가 상기 걸림홈에 원활하게 안내되면서 진입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진입부 일측에 곡면의 진입가이드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잠금장치는,
    상기 잠금걸쇠가 인출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잠금걸쇠에 구비되는 제1완충부 또는 상기 걸림홈부재에 구비되는 제2완충부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모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완충부는,
    상기 잠금걸쇠 전면 측 내부에 수직되게 내장되는 제1스프링; 및
    상기 잠금걸쇠 전면 측 외부에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걸림홈 일측에 걸림되면서 상기 제1스프링을 압축시키는 제1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부재는,
    상기 걸림홈 일측에 걸림되는 부분이 절곡 형성된 판스프링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부재는,
    상기 걸림홈 일측에 걸림되는 부분이 적어도 2번 반복되게 절곡 형성된 판스프링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완충부는,
    상기 측면부 일측에 수직되게 설치되는 제2스프링; 및
    상기 측면부 일측에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걸림홈에 상기 잠금걸쇠가 삽입되면 이를 지지하고 상기 제2스프링을 압축시키는 제2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걸림부재는,
    상기 잠금걸쇠를 지지하는 부분이 절곡 형성된 판스프링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걸림부재는,
    상기 잠금걸쇠를 지지하는 부분이 적어도 2번 반복되게 절곡 형성된 판스프링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KR1020230088984A 2023-07-10 2023-07-10 도어 잠금장치 KR102654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8984A KR102654284B1 (ko) 2023-07-10 2023-07-10 도어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8984A KR102654284B1 (ko) 2023-07-10 2023-07-10 도어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4284B1 true KR102654284B1 (ko) 2024-04-04

Family

ID=90637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8984A KR102654284B1 (ko) 2023-07-10 2023-07-10 도어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428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592U (ko) * 1997-07-31 1999-02-25 양재신 자동차도어의 쇄정구조
KR101222600B1 (ko) 2011-11-04 2013-01-16 장용운 전기정
KR101755219B1 (ko) * 2017-04-13 2017-07-07 주식회사동산테크 무인 택배 보관함용 전자식 잠금장치의 수동 개방장치
KR20210107398A (ko) * 2020-02-24 2021-09-01 주식회사 이츠락 디지털 도어락의 설치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592U (ko) * 1997-07-31 1999-02-25 양재신 자동차도어의 쇄정구조
KR101222600B1 (ko) 2011-11-04 2013-01-16 장용운 전기정
KR101755219B1 (ko) * 2017-04-13 2017-07-07 주식회사동산테크 무인 택배 보관함용 전자식 잠금장치의 수동 개방장치
KR20210107398A (ko) * 2020-02-24 2021-09-01 주식회사 이츠락 디지털 도어락의 설치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5211B1 (ko) 솔레노이드에 의해 해제되는 래치를 이용한 버티컬 도어잠금장치
US8479543B2 (en) Door locking system with an idle handle
US4659121A (en) Garage door lock system
US6966585B2 (en) Door lock device
CA2969183C (en) Multipoint door locking system
KR102654284B1 (ko) 도어 잠금장치
WO2003089740A2 (en) Electromechanical blind latch
CN110709569B (zh) 磁触发锁机构
KR100874595B1 (ko) 패닉디바이스
EP1311736B1 (en) Door lock with a hook bolt
EP3936687A1 (e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doors
US20090160201A1 (en) Shock-absorbing strike assembly for closures
JP4605119B2 (ja) 扉のロック機構
US20210140207A1 (en) Self-latching automatic flush-bolt for double doors
US11473352B2 (en) Multipoint door lock system
CN113605790B (zh) 自锁的锁
JP3947516B2 (ja) 戸当り
GB2212548A (en) Electrically released locking device
JP4235869B2 (ja) 車両用引戸装置
US5152560A (en) Locking device for doors
CA2292593A1 (en) Electrically controlled lock for a safe
AU2019200209B2 (en) Lock box
GB2050486A (en) Lock with Door-opening Restrictor
JP4138218B2 (ja) ガードロック用受金具
KR200448881Y1 (ko) 여닫이문의 방범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