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7592U - 자동차도어의 쇄정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도어의 쇄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7592U
KR19990007592U KR2019970021114U KR19970021114U KR19990007592U KR 19990007592 U KR19990007592 U KR 19990007592U KR 2019970021114 U KR2019970021114 U KR 2019970021114U KR 19970021114 U KR19970021114 U KR 19970021114U KR 19990007592 U KR19990007592 U KR 1999000759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entral pillar
vehicle
lock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11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60617Y1 (ko
Inventor
박세웅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211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0617Y1/ko
Publication of KR199900075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5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06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06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4Strik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Abstract

본 고안은 중앙필러를 구비한 자동차의 차체에 회동식으로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는 자동차도어의 쇄정구조에 관한것으로써, 자동차의 차체의 중앙필러(20)의 측면(21)이 측후방으로 경사지고, 도어(30)의 내측패널의 측면(33)이 상기 중앙필러(20)의 측면(21)과 동일하게 측후방으로 경사지며, 상기 중앙필러(20)의 측면(21)에는, 도어(30)에 제공된 도어록(31)의 체결편(32)이 쇄정되며 상기 도어(30)의 측면(33)의 경사각과 동일하게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쇄정구(12)를 구비한 스트라이커(10)가 고정브래킷(11)에 의해 장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스트라이커(10)의 쇄정구(12)는 상기 고정브래킷(11)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12a), 및 상기 각각의 지지부(12a)로부터 절곡형성되고 자동차의 내측을 향해 상호 평행하게 경사지며 각각의 지지부 사이에 쇄정홈(12c)이 형성되는 가이드부(12b)를 일체로 구비하며, 자동차의 충돌 또는 추돌사고시 도어가 차체에 대해 측후방으로 빗겨나게 되어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하거나 또는 탈거시킬 수 있으므로, 운전자 또는 탑승자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구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도어의 쇄정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도어의 쇄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충돌 또는 추돌시 도어가 후방으로 밀리는 경우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시켜 운전자 또는 탑승자를 신속하게 구조할 수 있는 자동차도어의 쇄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한적이진 않지만 승용자동차의 측방에는 각각 1개 또는 2개의 도어가 회동개폐식으로 설치되어 있어 운전자 및 탑승자가 자동차에 탑승하거나 또는 자동차에서 하차할 수 있다.
이같은 각각의 도어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동차의 차체(B)에 고정된 스트라이커(1)에 도어(D)에 내장되고 도어록에 연계 설치된 체결편(2)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예컨대 자동차의 전방도어(D)를 폐쇄하는 경우 상기 도어록에 연계된 체결편(2)이 상기 스트라이커(1)에 쇄정됨으로써 도어(D)가 쇄정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있다.
이같은 쇄정상태에서 도어의 일측면(D') 및 차체의 중앙필러(P)는 상호 평행 상태로 연접함은 물론 상기 스트라이커(2)는 상기 중앙필러(P)에 대해 일반적으로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있다.
이같은 도어의 폐쇄상태,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D)의 도어록(L)의 체결편(2)에 차체의 중앙필러(P)가 장착된 스트라이커(1)에 체결된 상태에서 자동차가 충돌 또는 추돌하는 경우 도어(D)가 후방으로 밀림과 동시에 도어(D)의 측변(D')에 변형이 발생됨은 물론 도어의 도어록(L)의 체결편(2)이 차체에 제공된 스트라이커(1)에 압착됨은 물론 도어(D)의 측부와 자동차 차체의 중앙필러(P)가 압착되어 도어와 차체간의 잼(jam)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같이 잼 현상이 발생되면 차체 와 도어 상호간의 접합이 발생되고, 도어를 개방하기가 매우 곤란하며 차체(B)에서 도어(D)를 탈거시키기가 곤란할 뿐 아니라, 사고시 운전자 또는 탑승자를 신속하게 구출할 수 없어 인명 피해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의 충돌 또는 추돌사고시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는 자동차도어의 쇄정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의 충돌 또는 추돌사고시 도어가 차체에 대해 빗겨나가는 방식으로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어 도어를 개방시켜 운전자 또는 탑승자를 용이하게 구조할 수 있는 자동차도어의 쇄정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같은 목적들은 고안에의해 달성되는바, 본 고안의 일면에 따르면, 자동차의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자동차도어의 쇄정구조에 있어서, 자동차의 차체를 형성하는 중앙필러의 측면이 측후방으로 경사지며, 도어의 내측패널의 측면이 상기 중앙필러의 측면과 동일하게 측후방으로 경사지며, 상기 중앙필러의 측면에는, 도어에 제공된 체결편이 쇄정되며 상기 도어의 측면의 경사각과 동일하게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쇄정구를 구비한 스트라이커가 고정브래킷에 의해 장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면에 따르면, 상기 스트라이커의 쇄정구는 상기 고정브래킷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 및 상기 각각의 지지부로부터 절곡형성되고 자동차의 내측을 향해 상호 평행하게 경사지며 쇄정홈이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다른면에 따르면, 상기 스트라이커의 각각의 가이드부 사이에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도어의 쇄정구조를 보여주는 부분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자동차도어의 쇄정구조를 보여주는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도어의 쇄정구조에 적용되는 스트라이커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도어의 쇄정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스트라이커 11: 고정브래킷
12: 쇄정구 20: 중앙필러
21: 측면 30: 도어
31:도어록 32: 체결편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중 도 3에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도어의 쇄정구조에 적용되는 스트라이커를 상세히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도어의 쇄정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들에는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자동차의 전방도어 및 차체의 중앙필러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고안은 실제로 자동차의 모든 도어에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것이다.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도어 쇄정구조에 적용되는 스트라이커(10)는 기본적으로 자동차의 차체의 중앙필러(20)에 장착되는 고정브래킷(11), 및 상기 고정브래킷(11)에 돌출형성되며 자동차도어(30)의 도어록장치(31)에 연계되는 체결편(32)이 결합되는 쇄정구(12)를 구비한다. 물론 상기 고정브래킷(11)에는 고정구멍(11a)이 천공되어 있어 예컨대 스크류 또는 볼트에 의해 차체의 중앙필러(20)에 고정된다.
특히, 상기 스트라이커(10)의 쇄정구(12)는 상기 고정브래킷(11)에 일체로 고정된 2개의 지지부(12a), 및 상기 2개의 지지부(12a)로부터 절곡되어 자동차의 실내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12b)를 일체로 구비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가이드부(12b)는 상호 평행하게 연장되므로 상기 가이드부(12b)사이에는 쇄정홈(12c)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쇄정홈(12c)에는 상세히 후술되는 바와 같이 도어(30)의 도어록(31)에 제공된 체결편(32)이 안내 및 쇄정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도어의 쇄정구조에 적용되는 스트라이커(10)가 장착되는 차체의 중앙필러(20)의 측면(21)은 그것의 내측변(21a)으로부터 외측변(21b)을 향해 후방으로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응하게 상기 중앙필러(20)의 측면(21)에 접하는 도어(30)의 내측패널의 측부(33)는 상기 중앙필러(20)의 측면(21)과 동일한 경사각도로 경사지며, 이에따라 상기 쇄정구(12)의 가이드부(12b)를 따라 안내됨과 동시에 그 가이드부(12b) 및 쇄정홈(12c)에 쇄정됨으로써 도어(30)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같은 도어의 폐쇄상태에서, 자동차가 충돌하는 경우 전방으로 전달되는 충격력이 도어(30)에 전달되어 도어(30)가 밀리게 된다.
이때 상기 도어(30)의 내측패널의 측부(33)와 차체의 중앙필러(20)의 측면(20)은 상호 측후방으로 경사지게 연계되어 있어 도어(30)가 측후방으로 밀려지게되며, 동시에 상기 도어(30)의 체결편(32) 또한 상기 스트라이커(10)의 쇄정구(12)의 가이드부(12b)를 따라 측후방으로 밀리게 된다.
이같은 상태로 밀리는 정도가 작은 경우에는 체결편(32)이 여전히 쇄정구(12)에 쇄정된 상태를 유지하게됨은 물론 도어(30)가 중앙필러(20)에 대해 약간 빗겨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한편 충돌정도가 심한 경우에는 상기 도어(30) 및 체결편(32)이 상기 중앙필러(20) 및 쇄정구(12)를 다소 이탈하여 빗겨가므로 이경우에도 또한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시키거나 탈거시킬 수 있어 운전자 또는 탑승자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구조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쇄정구조를 자동차에 채용하면, 자동차의 충돌 또는 추돌사고시 도어가 차체에 대해 측후방으로 빗겨나게 되어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하거나 또는 탈거시킬 수 있으므로, 운전자 또는 탑승자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구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2)

  1. 중앙필러를 구비한 자동차의 차체에 회동식으로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는 자동차도어의 쇄정구조에 있어서, 자동차의 차체의 중앙필러(20)의 측면(21)이 측후방으로 경사지고, 도어(30)의 내측패널의 측면(33)이 상기 중앙필러(20)의 측면(21)과 동일하게 측후방으로 경사지며, 상기 중앙필러(20)의 측면(21)에는, 도어(30)에 제공된 도어록(31)의 체결편(32)이 쇄정되며 상기 도어(30)의 측면(33)의 경사각과 동일하게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쇄정구(12)를 구비한 스트라이커(10)가 고정브래킷(11)에 의해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도어의 쇄정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10)의 쇄정구(12)는 상기 고정브래킷(11)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12a), 및 상기 각각의 지지부(12a)로부터 절곡형성되고 자동차의 내측을 향해 상호 평행하게 경사지며 각각의 지지부 사이에 쇄정홈(12c)이 형성되는 가이드부(12b)를 일체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도어의 쇄정구조.
KR2019970021114U 1997-07-31 1997-07-31 자동차도어의 쇄정구조 KR2001606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114U KR200160617Y1 (ko) 1997-07-31 1997-07-31 자동차도어의 쇄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114U KR200160617Y1 (ko) 1997-07-31 1997-07-31 자동차도어의 쇄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592U true KR19990007592U (ko) 1999-02-25
KR200160617Y1 KR200160617Y1 (ko) 1999-11-15

Family

ID=19507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1114U KR200160617Y1 (ko) 1997-07-31 1997-07-31 자동차도어의 쇄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061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4284B1 (ko) * 2023-07-10 2024-04-04 주식회사신성엘텍 도어 잠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4284B1 (ko) * 2023-07-10 2024-04-04 주식회사신성엘텍 도어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0617Y1 (ko) 1999-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2780B1 (ko) 차량의 루프레일 사이드부 구조
JP3074186B2 (ja) サイドインパクトバー組立体
US6550848B2 (en) Sliding door for a motor vehicle
KR200160617Y1 (ko) 자동차도어의 쇄정구조
JPH081158Y2 (ja) シートベルト支持構造
KR0175819B1 (ko) 자동차의 보조 도어록 장치
KR200205663Y1 (ko) 시트 백 고정장치
KR0139441Y1 (ko) 자동차 트렁크 내부의 충격흡수장치
KR100384026B1 (ko) 유아용 시트벨트 앵커 캡 어셈블리의 슬라이딩식 캡 구조
KR0168110B1 (ko) 자동차의 2차 도어 록장치
KR100216609B1 (ko) 자동차의 도어 스트라이커 조립체
KR100217664B1 (ko) 자동차 도어의 완충식 잠금장치
KR0140612B1 (ko) 전방도어 로크 스트라이커 장착구조
KR960009591Y1 (ko) 자동차 의자의 고정장치
KR200149693Y1 (ko) 도어 개폐용 스트라이커 취부구조
KR100535493B1 (ko) 자동차의 정면 충돌 시 프론트 도어 잠김 방지 구조
KR19980055704A (ko) 차량의 보닛용 힌지
KR0119211Y1 (ko) 도어 로크 스트라이커 고정구
KR200148211Y1 (ko) 차량의 사이드실과 도어 로크장치
KR200147676Y1 (ko) 자동차용 도어 스트라이커
JPH09156375A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拘束機構
KR100239321B1 (ko) 도어 암레스트의 보강구조
KR200148456Y1 (ko) 자동차용 도어 센터 가니쉬 조립체
KR200142019Y1 (ko) 자동차의 리어도어 멤버구조
KR970035113A (ko) 자동차 도어의 측면 보강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