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4595B1 - 패닉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패닉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4595B1
KR100874595B1 KR1020070082715A KR20070082715A KR100874595B1 KR 100874595 B1 KR100874595 B1 KR 100874595B1 KR 1020070082715 A KR1020070082715 A KR 1020070082715A KR 20070082715 A KR20070082715 A KR 20070082715A KR 100874595 B1 KR100874595 B1 KR 100874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door
cylinder member
latch bolt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2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청 장
Original Assignee
청 장
주식회사 수퍼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 장, 주식회사 수퍼락 filed Critical 청 장
Priority to KR1020070082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45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4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4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4Devices for coupling the turning cylinder of a single or a double cylinder lock with the bolt operating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7/00Locks in which a pivoted latch is used also as lock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2009/004Shape of the lock hou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닉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패닉디바이스는, 스프링작용을 통해 압입/복원되는 터치바를 구비하며 도어 내측에 설치되는 베이스바, 상기 베이스바의 일단에 터치바와 연결된 상태로 결속되며 내부에 문틀의 스트라이크와 대응되는 도어락장치 및 상기 도어락장치와 연결된 상태로 도어 외측에 설치되는 도어핸들로 이루어진 패닉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장치는, 사다리꼴 형상의 베이스판과; 상기 전,후면 및 하단이 개방되면서 베이스판 상단 전면(前面)에 볼트 고정되는 지지캡과; 상기 지지캡의 전면(前面) 상단 양측면에 스프링과 함께 힌지 결합되며, 터치바의 압입시 이와 연동되는 작동핀을 통해 상하 회동되면서 도어의 개폐를 이루는 랫치볼트와; 상기 랫치볼트의 하단과 결속된 상태로 지지캡 전면(前面) 하단에 스프링과 함께 설치되며, 랫치볼트의 회동시 이와 대응되어 전후 이송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스트라이크와의 대응작용을 통해 도어의 시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드볼트와; 상기 랫치볼트의 작동핀과 터치바 사이에 상호 연결된 상태로 지지캡의 후면 상단 양측면에 힌지 결합되며, 터치바에 의한 타단의 압입작용을 통해 작동핀과 연결된 일단의 상하 회동작용에 따라 랫치볼트와 데드볼트의 상하 회동 및 전후 이송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터치작동바와; 상기 랫치볼트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락킹수단; 및 상기 락킹수단에 대응되는 상태로 지지캡의 중앙측 상단 양측면에 힌지 결합되며, 도어 닫힘에 의한 랫치볼트는 스트라이크 내부로 돌출 데드볼트는 스트라이크와 대응되어 지지캡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락킹수단 측으로 하강 및 이와 대응되어 도어를 시건하는 락킹바와; 상기 터치작동바의 일단 하부와 대응되는 상태로 베이스판 하단에 좌우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도어 외측에 설치되는 도어핸들과 연결되어 해정키에 의한 키실린더의 작동을 통해 도어의 해정 및 개폐를 위한 핸들작동부와; 상기 베이스판에 설치된 각 요소들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판 상단에 볼트 고정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핸들작동부 중 외통부재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회동작동부의 후방에는 별도의 버튼키, 카드키, 지문인식 등의 출입인가수단을 통한 솔레노이드밸브의 통전 해제 시 외통부재와 내통부재를 결속시켜 도어핸들의 회전력이 연결바와 내통부재 및 외통부재를 거쳐 상기 외통부재의 회동작동부에 전달되어 상기 회전하는 회동작동부를 통해 터치작동바의 일단 하부를 상승시킴과 더불어 이를 통해 랫치볼트와 데드볼트를 지지캡 내부로 회동 및 이송시켜 시건된 도어를 개방토록 하는 전기정 인가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비상구나 방화문 뿐만 아니라 아파트나 빌라 등의 출입문에도 적용 설치가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출입문에 패닉디바이스의 설치 시 데드볼트의 락킹구조 및 전기정에 의한 락킹구조에 의해 출입문의 시건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랫치볼트 작동에 의해 비상구나 방화문의 개폐가 이루어졌던 종래 패닉디바이스에 비해 안전하면서 견고한 출입문의 시건상태를 조성 및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침입자에 의한 출입문의 부정 해정을 방지 및 예방할 수 있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패닉디바이스, 패닉바, 터치바, 지지캡, 랫치볼트, 데드볼트, 터치작동바, 락킹바, 락킹핀, 핸들작동부, 전기정 인가수단, 솔레노이드밸브, 푸시바, 가압부재, 외통부재, 내통부재, 불법해정방지홀, 불법해정방지부재

Description

패닉디바이스{The panic device}
본 발명은 패닉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병원, 빌딩, 관공서, 학교, 호텔, 공연장 등에는 재해나 화재 등의 긴급사고가 발생했을 때 실내에 있는 사람이 외부로 빨리 피신할 수 있도록 설치된 비상구나 방화문에 사용되는 통상의 패닉디바이스에 렛치볼트와 연동되는 데드볼트의 락킹구조 및 전기정에 의한 락킹구조를 설치 구성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비상구나 방화문 뿐만 아니라 아파트나 빌라 등의 출입문에도 적용 설치가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출입문에 패닉디바이스의 설치 시 데드볼트의 락킹구조 및 전기정에 의한 락킹구조에 의해 출입문의 시건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랫치볼트 작동에 의해 비상구나 방화문의 개폐가 이루어졌던 종래 패닉디바이스에 비해 안전하면서 견고한 출입문의 시건상태를 조성 및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침입자에 의한 출입문의 부정 해정을 방지 및 예방할 수 있도록 한 패닉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 빌딩, 관공서, 학교, 호텔, 공연장 등에는 재해나 화재 등의 긴급사고가 발생했을 때 실내에 있는 사람이 외부로 빨리 피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비상구나 방화문이 설치되게 되며, 이러한 비상구나 방화문에는 실내 안 쪽에서 쉽게 열릴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장애 없이 문을 통과할 수 있도록 터치 작동 방식의 패닉디바이스(일명, 패닉바)가 사용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패닉디바이스의 경우 스프링작용을 통해 압입/복원되는 터치바를 구비하며 도어 내측에 설치되는 베이스바와; 상기 베이스바의 일단에 터치바와 연결된 상태로 결속되며 내부에 문틀의 스트라이크와 대응되는 랫치볼트가 구비된 도어락장치와; 상기 도어락장치와 연결된 상태로 도어 외측에 설치되는 도어핸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패닉디바이스의 경우 병원, 빌딩, 관공서, 학교, 호텔, 공연장 등에 설치된 비상구나 방화문에 사용되어 재해나 화재 등 긴급사고 발생 시 패닉디바이스를 간편하게 작동시켜 도어를 오픈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부정 해정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의 락킹구조가 필수적으로 적용되는 아파트나 빌라 등의 출입문에는 사용할 수 없는 등 상기 종래 패닉디바이스의 사용이 제한적일 수 밖에 없으며, 특히 상기한 종래 패닉디바이스를 아파트나 빌라의 출입문에 사용할 경우 락킹장치가 구비된 패닉디바이스 구조로 변경하거나 또는 별도의 락킹장치를 구입하여 설치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과 함께 상기 락킹장치의 별도 구입에 따른 사용자측의 경제적 부담 역시 증가할 수밖에 없는 등의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패닉디바이스의 경우 랫치볼트 회동 작동에 의해서만 출입문의 개폐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한 종래 패닉디바이스를 아파트나 빌라 등 출입문에 적용 설치할 경우 안전하면서 견고한 출입문의 시건상태를 조성할 수 없으며, 특히 종래 패닉디바이스에 출입문의 시건을 위한 잠금장치가 전문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 기 때문에 침입자에 의한 출입문의 부정 해정이 간단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 역시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병원, 빌딩, 관공서, 학교, 호텔, 공연장 등에 설치된 비상구나 방화문에 사용되는 통상의 패닉디바이스에 렛치볼트와 연동되는 데드볼트의 락킹구조 및 전기정에 의한 락킹구조를 설치 구성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비상구나 방화문 뿐만 아니라 아파트나 빌라 등의 출입문에도 적용 설치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가정에서 노약자나 몸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재해나 화재 등 긴급사고 발생 시 패닉디바이스를 간편하게 작동시켜 오픈된 도어를 통해 실내 사람들이 빨리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아파트나 빌라 등 출입문에 본 발명의 패닉디바이스를 설치할 경우 데드볼트의 락킹구조 및 전기정에 의한 락킹구조에 의해 출입문의 시건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랫치볼트 작동에 의해 비상구나 방화문의 개폐가 이루어졌던 종래 패닉디바이스에 비해 안전하면서 견고한 출입문의 시건상태를 조성 및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침입자에 의한 출입문의 부정 해정을 방지 및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패닉디바이스는, 스프링작용을 통해 압입/복원되는 터치바를 구비 하며 도어 내측에 설치되는 베이스바, 상기 베이스바의 일단에 터치바와 연결된 상태로 결속되며 내부에 문틀의 스트라이크와 대응되는 도어락장치 및 상기 도어락장치와 연결된 상태로 도어 외측에 설치되는 도어핸들로 이루어진 패닉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장치는, 사다리꼴 형상의 베이스판과; 상기 전,후면 및 하단이 개방되면서 베이스판 상단 전면(前面)에 볼트 고정되는 지지캡과; 상기 지지캡의 전면(前面) 상단 양측면에 스프링과 함께 힌지 결합되며, 터치바의 압입시 이와 연동되는 작동핀을 통해 상하 회동되면서 도어의 개폐를 이루는 랫치볼트와; 상기 랫치볼트의 하단과 결속된 상태로 지지캡 전면(前面) 하단에 스프링과 함께 설치되며, 랫치볼트의 회동시 이와 대응되어 전후 이송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스트라이크와의 대응작용을 통해 도어의 시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드볼트와; 상기 랫치볼트의 작동핀과 터치바 사이에 상호 연결된 상태로 지지캡의 후면 상단 양측면에 힌지 결합되며, 터치바에 의한 타단의 압입작용을 통해 작동핀과 연결된 일단의 상하 회동작용에 따라 랫치볼트와 데드볼트의 상하 회동 및 전후 이송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터치작동바와; 상기 랫치볼트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락킹수단; 및 상기 락킹수단에 대응되는 상태로 지지캡의 중앙측 상단 양측면에 힌지 결합되며, 도어 닫힘에 의한 랫치볼트는 스트라이크 내부로 돌출 데드볼트는 스트라이크와 대응되어 지지캡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락킹수단 측으로 하강 및 이와 대응되어 도어를 시건하는 락킹바와; 상기 터치작동바의 일단 하부와 대응되는 상태로 베이스판 하단에 좌우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도어 외측에 설치되는 도어핸들과 연결되 어 해정키에 의한 키실린더의 작동을 통해 도어의 해정 및 개폐를 위한 핸들작동부와; 상기 베이스판에 설치된 각 요소들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판 상단에 볼트 고정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핸들작동부 중 외통부재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회동작동부의 후방에는 별도의 버튼키, 카드키, 지문인식 등의 출입인가수단을 통한 솔레노이드밸브의 통전 해제 시 외통부재와 내통부재를 결속시켜 도어핸들의 회전력이 연결바와 내통부재 및 외통부재를 거쳐 상기 외통부재의 회동작동부에 전달되어 상기 회전하는 회동작동부를 통해 터치작동바의 일단 하부를 상승시킴과 더불어 이를 통해 랫치볼트와 데드볼트를 지지캡 내부로 회동 및 이송시켜 시건된 도어를 개방토록 하는 전기정 인가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패닉디바이스는, 병원, 빌딩, 관공서, 학교, 호텔, 공연장 등에 설치된 비상구나 방화문에 사용되는 통상의 패닉디바이스에 렛치볼트와 연동되는 데드볼트의 락킹구조 및 전기정에 의한 락킹구조를 설치 구성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비상구나 방화문 뿐만 아니라 아파트나 빌라 등의 출입문에도 적용 설치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가정에서 노약자나 몸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재해나 화재 등 긴급사고 발생 시 패닉디바이스를 간편하게 작동시켜 오픈된 도어를 통해 실내 사람들이 빨리 대피할 수 있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아파트나 빌라 등 출입문에 본 발명의 패닉디바이스를 설치할 경우 데드볼트의 락킹구조 및 전기정에 의한 락킹구조에 의해 출입문의 시건 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랫치볼트 작동에 의해 비상구나 방화문의 개폐가 이루어졌던 종래 패닉디바이스에 비해 안전하면서 견고한 출입문의 시건상태를 조성 및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침입자에 의한 출입문의 부정 해정을 방지 및 예방할 수 있는 등의 효과 역시 있다.
본 발명의 패닉디바이스를 도면과 대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패닉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대한 패닉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 및 세부 상세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대한 패닉디바이스의 결합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패닉디바이스 중 랫치볼트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패닉디바이스 중 데드볼트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패닉디바이스 중 핸들작동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핸들작동부 중 해정회동체 및 키실린더연결체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패닉디바이스(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스프링(미도시)작용을 통해 압입/복원되는 터치바(12)를 구비하며 도어 내측에 설치되는 베이스바(10)와; 상기 베이스바(10)의 일단에 터치바(12)와 연결된 상태로 결속되며 내부에 문틀의 스트라이크(미도시)와 대응되는 랫치볼트(26) 및 데드볼트(32)가 구비된 도어락장치(20)와; 상기 도어락장치(20)와 연결된 상태로 도어 외측에 설치되는 도어핸들(8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락장치(20)의 경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의 베이스판(21)과; 상기 전,후면 및 하단이 개방되면서 베이스판(21) 상단 전면(前面)에 볼트 고정되는 지지캡(22)과; 상기 지지캡(22)의 전면(前面) 상단 양측면에 스프링(29)과 함께 힌지 결합되며, 터치바(12)의 압입시 이와 연동되는 작동핀(30)을 통해 상하 회동되면서 도어의 개폐를 이루는 랫치볼트(26)와; 상기 랫치볼트(26)의 하단과 결속된 상태로 지지캡(22) 전면(前面) 하단에 스프링(39)과 함께 설치되며, 랫치볼트(26)의 회동시 이와 대응되어 전후 이송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스트라이크와의 대응작용을 통해 도어의 시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드볼트(32)와; 상기 랫치볼트(26)의 작동핀(30)과 터치바(12) 사이에 상호 연결된 상태로 지지캡(22)의 후면 상단 양측면에 힌지 결합되며, 터치바(12)에 의한 타단의 압입작용을 통해 작동핀(30)과 연결된 일단의 상하 회동작용에 따라 랫치볼트(26)와 데드볼트(32)의 상하 회동 및 전후 이송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터치작동바(40)와; 상기 랫치볼트(26)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락킹수단; 및 상기 락킹수단에 대응되는 상태로 지지캡(22)의 중앙측 상단 양측면에 힌지 결합되며, 도어 닫힘에 의한 랫치볼트(26)는 스트라이크 내부로 돌출되고 데드볼트(32)는 스트라이크와 대응되어 지지캡(22)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락킹수단 측으로 하강 및 이와 대응되어 도어를 시건하는 락킹바(45)와; 상기 터치작동바(40)의 일단 하부와 대응되는 상태로 베이스판(21) 하단에 좌우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도어 외측에 설치되는 도어핸들(80)과 연결되어 해정키(K)에 의한 키실린더(미도시)의 작동을 통해 도어의 해정 및 개폐를 위한 핸들작동부(47)와; 상기 베이스판(21)에 설치된 각 요소들 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판(21) 상단에 볼트 고정되는 커버부재(68)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도어락장치(20) 중 상기 베이스판(21)의 경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형상이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 때 상기 베이스판(21)의 전면(前面) 양측에는 지지캡(22)을 나사 고정시킬 수 있도록 암나사홀(21a)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판(21)의 하단 일측에는 랫치볼트(26)의 상하 회동과 대응되어 전후 이송되는 데드볼트(32) 일측 하단의 안내핀(38)을 가이드하기 위한 장공의 가이드홀(21b)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21) 중앙에는 핸들작동부(47)가 좌우 회동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도록 작동부삽입홀(21c)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락장치(20) 중 상기 지지캡(22)의 경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형상이 전,후면 및 하단이 개방된 "ㄷ"자 형태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양측면에는 베이스판(21) 상단 전면(前面)에 안착되어 볼트 고정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플랜지부(2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캡(22)의 전, 후면 및 중앙측 상단 양측면에는 힌지와 작동핀(30)을 삽입 고정시키기 위한 힌지홀(23)과 작동핀홀(24)이 각각 관통 형성되어 있는데, 이 때 상기 작동핀홀(24)의 경우 터치작동바(40)에 의해 상하 회동되는 작동핀(30)의 대응작용을 통해 랫치볼트(26)의 상하 회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원호형태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지지캡(22)의 타측면 하단에는 랫치볼트(26)의 상하 회동과 대응되어 전후 이송되는 데드볼트(32) 즉, 상기 데드볼트(32)의 타측에 돌출 형 성된 안내돌기(36)를 가이드하기 위한 장공의 가이드홀(25)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어락장치(20) 중 상기 랫치볼트(26)의 경우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이 원호형태를 이루면서 후면 전체에 "ㄷ"자 형태의 데드볼트결합홈(28)이 구비된 부체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 때 상기 랫치볼트(26)의 상단에는 힌지와 작동핀(30)을 삽착시키기 위한 힌지홀(26a)과 작동핀홀(26b)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랫치볼트(26)의 일측면에는 락킹수단인 원형의 락킹핀(31)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락킹핀삽입홈(26c)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락킹수단인 락킹핀(31)의 경우 랫치볼트(26)의 일측면에 형성된 락킹핀삽입홈(26c)에 삽착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삽착 고정된 랫치볼트(26)의 일측면으로부터 지지캡(22)의 일측면까지 돌출된 길이를 갖는다.
이와 더불어, 상기 랫치볼트(26)의 하단 중앙에는 랫치볼트(26)의 상하 회동 따른 데드볼트(32)의 전후 이송이 원활할 수 있도록 요(凹) 형태의 안내홈(2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락장치(20) 중 상기 데드볼트(32)의 경우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前方)으로 돌출된 사각바(33)를 구비하면서 랫치볼트(26)의 하단과 결속되기 위한 걸림돌기(34)가 상부로 돌출된 철(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 때 상기 데드볼트(32)의 일측 전방(前方) 하단에는 랫치볼트(26)의 상하 회동 따른 데드볼트(32)의 전후 이송 시 베이스판(21)으로부터 데드볼트(32)의 전후 이송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핀(38)이 상기 베이스판(21) 즉, 베이스판(21)의 하단 일측에 장공형태로 관통 형성된 가이드홀(21b)을 관통하여 설치 고정되어 있고, 상기 데드볼트(32)의 타측에는 상측으로 절곡된 측판(35)을 구비하면서 그 중앙에 랫치볼트(26)의 상하 회동 따른 데드볼트(32)의 전후 이송 시 지지캡(22)으로부터 데드볼트(32)의 전후 이송을 안내하기 위하여 지지캡(22)의 타측면 하단에 장공형태로 관통 형성된 가이드홀(25)에 대응 삽입되는 안내돌기(36)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데드볼트(32)의 일측 상단에는 도어 개방에 따른 랫치볼트(26)와 데드볼트(32)의 돌출 시 락킹바(45)와 대응되어 상기 락킹바(45)를 락킹수단의 상측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락킹바상승돌기(37)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도어락장치(20) 중 상기 터치작동바(40)의 경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면에 힌지홀(41a)이 관통된 힌지결합부(41)가 절곡 형성된 브라켓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 때 상기 터치작동바(40)의 일단 중앙에는 랫치볼트(26)의 작동핀(30)과 대응되는 상부작동바(42)가 상방(上方)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고, 상기 터치작동바(40)의 상부작동바(42) 양측면에는 핸들작동부(47)의 상측과 대응되는 하부작동바(44)가 하방(下方)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작동바(42)의 일측면에는 지지캡(22)의 중앙측 상단 양측면에 힌지 결합된 락킹바(45)의 일측면과 대응되어 터치작동바(40)에 의한 랫치볼트(26)와 데드볼트(32)의 상하 회동 및 전후 이송 시 이와 동시에 힌지를 지점으로 상기 락킹바(45)를 상승시키기 위한 걸림부재(4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어락장치(20) 중 상기 락킹바(45)의 경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형상이 일자형태의 사각바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 때 상기 락킹바(45)의 일단에는 지지캡(22)의 중앙측 상단 양측면에 힌지 결합을 위한 힌지홀(45a)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락킹바(45)의 일측면 중앙에는 상부작동바(42)의 일측면에 형성된 걸림부재(43)와 대응되도록 원형의 걸림돌기(4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락장치(20) 중 상기 핸들작동부(47)의 경우 도 2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작동바(40)의 일단 하부 즉, 터치작동바(40)의 하부작동바(44)와 상호 대응되도록 상단 일측에 원호형태의 회동작동부(50)를 구비함과 동시에 베이스판(21)을 관통하여 좌우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중공원통의 외통부재(48)와; 상기 외통부재(48)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내삽된 중공원통의 내통부재(52)와; 상기 외통부재(48)의 외주면 양측에 결착되도록 전면(前面) 양측에 원호형태의 결착바(58a)를 구비한 중공원통의 작동부구동체(58)와; 상기 해정키(K)에 의한 키실린더의 회전시 삽입된 도어핸들(80)로부터 상승함과 동시에 작동부구동체(58)와 대응 결착되어 상기 도어핸들(80)과 작동부구동체(58) 간의 기구적 연결을 이루는 중공원통의 해정회동체(60)와; 상기 해정회동체(60)의 후면과 대응되는 상태로 도어핸들(80) 내에 삽입되어 키실린더의 일단과 연결되며, 해정키(K)에 의해 작동되는 키실린더와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해정회동체(60)를 승하강시키는 키실린더연결체(64)와; 상호 이격된 내통부재(52)와 해정회동체(60)를 연결하는 연결바(67)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핸들작동부(47) 중 상기 외통부재(48)의 경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판(21) 중앙에 관통된 작동부삽입홀(21c)에 좌우 회동 가능하게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전체 형상이 중공의 원통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단 일측에는 터치작동바(40)의 하부작동바(44)와 상호 대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원호형태의 회동작동부(50)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외통부재(48)의 외주면 일측에는 내삽된 내통부재(52)가 외통부재(48)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외통부재(48) 내에서의 자유회전이 가능할 수 있도록 이탈방지핀(49)이 삽입 고정되기 위한 핀삽입홀(49a)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통부재(48)의 외주면 양측면에는 작동부구동체(58)의 결착바(58a)가 삽착되기 위한 결착바삽입홈(48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핸들작동부(47) 중 상기 내통부재(52)의 경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통부재(48)의 중앙 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전체 형상이 중공의 원통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통부재(52)의 외주면 둘레에는 외통부재(48)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핀삽입홀(49a)에 삽착 고정되는 이탈방지핀(49)과 대응되어 내통부재(52)의 자유회전이 원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원호형태의 핀걸림홈(53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내통부재(52)의 중앙에는 사각형태의 연결바(67)를 통해 해정회동체(60)와 기구적 연결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연결바(67)의 일단을 삽입 고정시키기 위한 동일형상의 연결바삽입홀(53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작동부(47) 중 상기 작동부구동체(58)의 경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형상이 중공의 원통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전면(前面) 양측에는 외통부재(48)의 외주면 양측면에 형성된 결착바삽입홈(48b)에 대응 결착되어 도어핸들(80)에 의한 작동부구동체(58)의 회전시 이와 함께 외통부재(48) 역시 회 동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원호형태의 결착바(58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작동부구동체(58)의 후면에는 해정키(K)에 의한 키실린더의 회전을 통해 도어핸들(80)로부터 상승된 해정회동체(60)가 대응 결착되어 상기 해정회동체(60)와 작동부구동체(58) 간에 기구적 연결을 이룰 수 있도록 십자형태의 결합홈(5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핸들작동부(47) 중 상기 해정회동체(60)의 경우 해정키(K)에 의한 키실린더의 회전시 삽입된 도어핸들(80)로부터 상승함과 동시에 작동부구동체(58)와 대응 결착되어 상기 도어핸들(80)과 작동부구동체(58) 간의 기구적 연결을 이루는 요소로서,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형상이 중공의 원통체로 형성되되, 상기 해정회동체(60)의 외주면에는 해정키(K)에 의한 키실린더의 회전을 통해 도어핸들(80)로부터 상승된 해정회동체(60)가 작동부구동체(58)의 후면에 십자형태로 형성된 결합홈(59)과 대응 결착되어 상기 해정회동체(60)와 작동부구동체(58) 간에 기구적 연결을 이룰 수 있도록 십자형태의 결합돌기(6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해정회동체(60)의 후면 양측에는 해정키(K)에 의한 키실린더와 함께 키실린더연결체(64)의 회전시 이와 대응되어 해정회동체(60)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캠돌기(62)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해정회동체(60)의 전면(前面) 중앙에는 사각형태의 연결바(67)를 통해 내통부재(52)와 기구적 연결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연결바(67)의 타단을 삽입 고정시키기 위한 동일형상의 연결바삽입홀(6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작동부(47) 중 상기 키실린더연결체(64)의 경우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이 해정회동체(60)의 후면 양측에 형성된 캠돌기(62)와 대응되고 타측이 키실린더의 일단 즉, 외통(미도시)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키실린더의 내통과 대응 연결될 수 있도록 전체 형상이 일정두께의 원판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 때 상기 키실린더연결체(64)의 전면(前面) 양측에는 해정회동체(60)의 후면 양측에 형성된 캠돌기(62)와 대응되는 원형돌기(6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키실린더연결체(64)의 후면 중앙에는 키실린더의 일단 즉, 키실린더의 내통과 연결을 위한 키실린더결합돌기(66)가 형성되어 있다.
그 다음, 상기 도어락장치(20) 중 상기 커버부재(68)의 경우 베이스판(21)에 설치된 각 요소들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판(21) 상단에 볼트 고정되는 요소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공간을 갖으면서 베이스판(21)과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전면(前面) 중앙에는 터치바(12)에 의한 터치작동바(40)의 작동에 따라 상하 회동 및 전후 이송이 이루어지는 랫치볼트(26) 및 데드볼트(32)가 도어 오픈 시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철(凸) 형태의 작동홀(69)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패닉디바이스(1)의 작동과정을 도면과 대비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패닉디바이스의 작동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패닉디바이스(1) 중 터치바(12) 및 도어락장치(20)가 구비된 베이스바(10)는 도어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도어락장치(20)와 연결된 도어핸 들(80)은 도어의 외측에 위치된 상태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패닉디바이스(1)를 도어에 설치 고정한 상태에서 실내의 사용자가 도어의 개방을 위해 베이스바(10)에 구비된 터치바(12)를 압입 작동시키게 되면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랫치볼트(26)의 작동핀(30)과 터치바(12) 사이에 상호 연결된 상태로 지지캡(22)의 후면 상단 양측면에 힌지 결합된 터치작동바(40) 역시 상기 터치바(12)에 의한 터치작동바(40)의 타단이 압입됨과 동시에 상기 힌지를 지점으로 상기 터치작동바(40)의 일단 즉, 랫치볼트(26)의 작동핀(30)과 대응되는 상부작동바(42)와 상기 상부작동바(42)의 양측면에 하방으로 절곡 형성된 하부작동바(44)가 상방향으로 회동되게 되고, 이와 연동적으로 상기 상부작동바(42)의 회동작용에 따라 랫치볼트(26)의 작동핀(30) 역시 원호형태로 관통된 지지캡(22)의 작동핀홀(24)을 따라 상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랫치볼트(26)와 데드볼트(32)를 상기 지지캡(22)의 내측으로 회동 및 이송시킴으로써 시건되었던 도어의 오픈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상기와 같은 랫치볼트(26)와 데드볼트(32)가 지지캡(22)의 내측으로 회동 및 이송작용 시 지지캡(22) 중앙측 상단에 힌지 결합된 락킹바(45)가 랫치볼트(26)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락킹수단인 락킹핀(31) 및 상기 데드볼트(32)의 일측 상단에 형성된 락킹바상승돌기(37)가 상기 지지캡(22) 내측 후방으로 위치될 때 하방으로 회동이 이루어지다가 터치바(12)에 작용되었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각 스프링(29,39)에 의한 탄성복원력에 의해 터치작동바(40)를 비롯하여 랫치볼트(26) 및 데드볼트(32)가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랫치볼트(26) 및 데드볼트(32) 모두가 외부로 돌출되게 되고, 여기서 상기 락킹바(45)의 경우 랫치볼트(26)의 일측면에 형 성된 락킹핀(31)과 상기 데드볼트(32)의 일측 상단에 형성된 락킹바상승돌기(37)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락킹수단인 락킹핀(31)의 상측에 위치되는 상태로 상기 락킹바상승돌기(37)의 상단에 안착 지지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도어가 오픈된 상태에서 도어를 닫게 되면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랫치볼트(26) 및 데드볼트(32) 모두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문틀에 설치된 스트라이크와의 대응작용을 통해 랫치볼트(26) 및 상기 랫치볼트(26)의 하단과 결속된 상태의 데드볼트(32) 모두 지지캡(22)의 내측으로 압입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랫치볼트(26)는 다시 스트라이크의 홈 속으로 돌출되는 반면에 상기 데드볼트(32)는 스트라이크의 일측면과 대응되어 상기 스트라이크 측으로 돌출이 차단된 상태 즉, 상기 스트라이크와의 대응작용을 통해 데드볼트(32)가 지지캡(22)의 내측으로 압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데드볼트(32)의 일측 상단에 형성된 락킹바상승돌기(37)가 지지캡(22) 내측 후방에 위치됨으로 인한 락킹바(45)가 하방인 랫치볼트(26)의 일측면에 형성된 락킹핀(31)의 후면에 회동 위치되면서 상기 락킹핀(31)과 락킹바(45)가 상호 대응되어 랫치볼트(26)의 회동이 차단되는 도어의 시건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 다음, 본 발명의 패닉디바이스(1) 중 도어락장치(20)와 연결된 상태로 도어의 외측에 설치된 도어핸들(80)을 통해 도어를 오픈시키는 과정으로서,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핸들(80)의 키실린더에 해정키(K)를 삽입하여 회전시키게 되면 일측이 해정회동체(60)의 후면 양측에 형성된 캠돌기(62)와 대응되고 타측이 키실린더의 내통과 대응 연결된 키실린더연결체(64)가 상기 해정키(K) 및 키실린더와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키실린더연결체(64)의 전면(前面) 양측에 형성된 원형돌기(65)와 상기 해정회동체(60)의 후면 양측에 형성된 캠돌기(62) 간의 대응작용을 통해 상기 키실린더연결체(64)로부터 해정회동체(60)가 상승하게 되고, 상기와 같이 상승된 해정회동체(60)는 그 외주면에 십자형태로 형성된 결합돌기(61)가 작동부구동체(58)의 후면에 십자형태로 형성된 결합홈(59)에 대응 결착되어 상기 해정회동체(60)와 작동부구동체(58) 간에 기구적 연결을 이룬 상태에서 도어핸들(80)을 회전시키게 되면 그 회전력이 상기 해정회동체(60) 및 작동부구동체(58)를 거쳐 상기 작동부구동체(58) 전면(前面)의 결착바(58a)와 대응 결착된 외통부재(48) 측으로 전달되어 상기 외통부재(48) 및 그 상단 일측에 터치작동바(40)의 하부작동바(44)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회동작동부(5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터치작동바(40)의 하부작동바(44)를 상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고, 이와 연동적으로 상기 상부작동바(42)의 회동작용에 따라 랫치볼트(26)의 작동핀(30) 역시 원호형태로 관통된 지지캡(22)의 작동핀홀(24)을 따라 상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랫치볼트(26)와 데드볼트(32)를 상기 지지캡(22)의 내측으로 회동 및 이송시킴으로써 시건되었던 도어의 오픈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반대로, 해정키(K)를 이용하지 않은 상태로 도어핸들(80)을 회전시키게 되면 그 회전력이 상기 해정회동체(60) 및 연결바(67)를 거쳐 내통부재(52) 측으로 전달되지만 상기 내통부재(52)의 경우 외통부재(48)로부터 자유 회전이 가능하면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이탈방지핀(49)을 통해 결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해정회동체(60) 및 연결바(67)를 거쳐 내통부재(52)에 도어핸들(80)의 회전력이 전달될 경우 상기 외통부재(48)로부터 내통부재(52)의 자유 회전이 이루어짐으로써 도어의 불법 해정이 방지되게 된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패닉디바이스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패닉디바이스(1) 중 핸들작동부(47) 즉, 외통부재(48)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회동작동부(50)의 후방에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의 버튼키, 카드키, 지문인식 등의 출입인가수단(미도시)을 통한 솔레노이드밸브(71)의 통전 해제 시 외통부재(48)와 내통부재(52)를 결속시켜 도어핸들(80)의 회전력이 연결바(67)와 내통부재(52) 및 외통부재(48)를 거쳐 상기 외통부재(48)의 회동작동부(50)에 전달되어 상기 회전하는 회동작동부(50)를 통해 터치작동바(40)의 일단 하부를 상승시킴과 더불어 이를 통해 랫치볼트(26)와 데드볼트(32)를 지지캡(22) 내부로 회동 및 이송시켜 시건된 도어를 개방토록 하는 전기정 인가수단(70)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구조인 패닉디바이스(1a)의 경우 전술한 전기정 인가수단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패닉디바이스(1)와 동일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과 아울러 전술한 본 발명의 패닉디바이스(1) 구조의 상세한 설명으로서 대신하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도 9와 같이 핸들작동부(47) 중 외통부재(48)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회동작동부(50)의 후방에 설치된 전기정 인가수단(70)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한 전기정 인가수단의 경우 외통부재(48)로부터 내통부재(52)의 상단까 지 상호 연통되도록 정사각 또는 직사각 형태로 형성된 불법해정방지홀(48a,54)과; 상기 불법해정방지홀(48a,54)에 스프링(57)과 함께 내삽되며, 도어 닫힘에 따른 통전 시 또는 도어 오픈을 위한 통전 해제 시 솔레노이드밸브(71)의 길이가변에 따라 내통부재(52)의 불법해정방지홀(54) 측으로 압입되어 내통부재(52)의 자유회전만 이루어지거나 또는 외통부재(48)와 내통부재(52)의 불법해정방지홀(48a,54) 모두에 결착되어 내,외통부재(52,48) 모두가 회전되도록 하는 불법해정방지부재(55)와; 상기 외통부재(48)의 회동작동부(50)를 관통하여 불법해정방지부재(55)의 상단과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가압부재(51)와; 상기 가압부재(51)와 대응되는 상태로 외통부재(48)의 회동작동부(50) 후방에 위치되며, 통전 시 솔레노이드밸브(71)의 길이신장에 따른 가압부재(51)를 가압하여 이를 통해 불법해정방지부재(55)를 가압하도록 하는 푸시바(72)와; 상기 푸시바(72)와 연결된 상태로 베이스판(21) 상단 후면에 볼트 고정되며, 버튼키, 카드키, 지문인식 등의 출입인가수단을 이용한 출입 인가 시 전기적신호에 의해 길이가변이 이루어지는 솔레노이드밸브(71)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외통부재(48)의 회동작동부(50) 중앙에는 가압부재(51)의 일단이 삽입 결착될 수 있도록 가압부재작동홀(50a)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통부재(48)의 회동작동부(50) 하단에는 가압부재(51)의 중앙을 힌지 결합시키기 위한 힌지홀(50b)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때 상기와 같이 외통부재(48)로부터 내통부재(52)의 상단까지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된 불법해정방지홀(48a,54)을 비롯하여 가압부재작동홀(50a) 및 힌지홀(50b)의 경우 전술한 본 발명의 패닉디바이스(1)에 적 용된 핸들작동부(47) 중 상기 외통부재(48)와 내통부재(52)에 미리 형성시킨 상태에서 사용할 수도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상기 불법해정방지부재(55)의 경우 정사각 또는 직사각 형태로 형성된 불법해정방지홀(48a,54)에 스프링(57)과 함께 대응 삽입될 수 있도록 전체 형상이 상기 불법해정방지홀(48a,54)과 동일형상인 정사각 또는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불법해정방지부재(55)의 상단에는 외통부재(48)의 회동작동부(50) 중앙에 형성된 가압부재작동홀(50a)을 관통하여 돌출된 가압부재(51)의 일단과 대응되기 위한 원형돌기(5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재작동홀(50a)을 관통하여 외통부재(48)의 회동작동부(50) 중앙에 설치되는 상기 가압부재(51)의 경우 전체 형상이 "ㄱ"자 형태로 절곡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가압부재(51)의 절곡부 양측면에는 회동작동부(50)의 가압부재작동홀(50a) 내에서 상기 외통부재(48)의 회동작동부(50) 하단에 힌지홀(50b)과 대응되어 푸시바(72)에 의한 상하 회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힌지부(51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51)와 대응되는 상태로 외통부재(48)의 회동작동부(50) 후방에 위치됨과 동시에 솔레노이드밸브(71)의 일단에 연결 설치된 상기 푸시바(72)의 경우 전체 형상이 회동작동부(50)의 후면과 대응되는 원호형태의 곡면부(73)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곡면부(73)의 후면 중앙에 솔레노이드밸브(71)의 일단과 결합되는 고정쇠(7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 전기정 인가수단이 구비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패닉디바이 스(1a)의 작동과정을 도면과 대비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패닉디바이스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패닉디바이스(1a)의 핸들작동부(47) 중 외통부재(48)의 회동작동부(50) 후방에 설치된 전기정 인가수단(70)에 통전이 이루어진 상태 즉, 솔레노이드밸브(71)의 길이신장에 따른 푸시바(72)가 외통부재(48)의 회동작동부(50)를 관통하여 외통부재(48)로부터 내통부재(52)의 상단까지 상호 연통되도록 불법해정방지홀(48a,54)에 대응되도록 설치된 가압부재(51)를 가압하여 상기 불법해정방지홀(48a,54)에 삽착 위치된 불법해정방지부재(55)를 상기 내통부재(52)의 불법해정방지홀(54) 내부로 압입시킨 상태에서 실내의 사용자가 도어의 개방을 위해 베이스바(10)에 구비된 터치바(12)를 압입 작동시켜 도어를 오픈시키는 과정은 전술한 본 발명의 패닉디바이스(1) 중 터치바(12) 작동을 통한 도어 오픈 과정과 동일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해정키(K)나 별도의 버튼키, 카드키, 지문인식 등의 출입인가수단을 통해 출입인가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도어핸들(80)을 통해 도어를 오픈시키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패닉디바이스(1a)의 핸들작동부(47) 중 외통부재(48)의 회동작동부(50) 후방에 설치된 전기정 인가수단(70)에 통전이 이루어져 솔레노이드밸브(71)의 길이신장에 따른 푸시바(72) 및 가압부재(51)의 가압작용을 통해 불법해정방지부재(55)가 상기 내통부재(52)의 불법해정 방지홀(54) 내부에 압입된 상태에서 해정키(K)나 별도의 버튼키, 카드키, 지문인식 등의 출입인가수단을 통해 실외측 사용자의 출입인가가 이루어지게 되면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밸브(71) 측에 통전되었던 전원이 차단되면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71)의 길이 단축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와 같이 솔레노이드밸브(71)의 길이 단축에 따른 푸시바(72) 역시 상기 가압부재(51)로부터 후방으로 이탈되면서 상기 가압부재(51) 측에 작용되었던 푸시바(72)의 가압력이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가압부재(51)의 가압력을 통해 내통부재(52)의 불법해정방지홀(54) 내부에 압입되었던 불법해정방지부재(55)가 스프링(57)의 탄성복원력을 통해 상승하여 상기 외통부재(48)의 불법해정방지홀(48a)과 상기 내통부재(52)의 불법해정방지홀(54) 모두에 결착되도록 위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71)의 길이 단축에 따른 푸시바(72) 및 가압부재(51)의 가압력 해제와 함께 상기 불법해정방지부재(55)가 상기 외통부재(48) 및 내통부재(52)의 각 불법해정방지홀(48a,54) 모두에 결차된 상태에서 실외측 사용자가 도어핸들(80)을 회전시키게 되면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8c의 과정과 동일과정 즉, 일측이 해정회동체(60)의 후면 양측에 형성된 캠돌기(62)와 대응되고 타측이 키실린더의 내통과 대응 연결된 키실린더연결체(64)가 상기 해정키(K) 및 키실린더와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키실린더연결체(64)의 전면(前面) 양측에 형성된 원형돌기(65)와 상기 해정회동체(60)의 후면 양측에 형성된 캠돌기(62) 간의 대응작용을 통해 상기 키실린더연결체(64)로부터 해정회동체(60)가 상승하게 되고, 상기와 같이 상승된 해정회동체(60)는 그 외주면에 십자형태로 형성 된 결합돌기(61)가 작동부구동체(58)의 후면에 십자형태로 형성된 결합홈(59)에 대응 결착되어 상기 해정회동체(60)와 작동부구동체(58) 간에 기구적 연결을 이룬 상태에서 도어핸들(80)을 회전시키게 되면 그 회전력이 상기 해정회동체(60) 및 작동부구동체(58)를 거쳐 상기 작동부구동체(58) 전면(前面)의 결착바(58a)와 대응 결착된 외통부재(48) 측으로 전달되어 상기 외통부재(48) 및 그 상단 일측에 터치작동바(40)의 하부작동바(44)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회동작동부(5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터치작동바(40)의 하부작동바(44)를 상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고, 이와 연동적으로 상기 상부작동바(42)의 회동작용에 따라 랫치볼트(26)의 작동핀(30) 역시 원호형태로 관통된 지지캡(22)의 작동핀홀(24)을 따라 상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랫치볼트(26)와 데드볼트(32)를 상기 지지캡(22)의 내측으로 회동 및 이송시킴으로써 시건되었던 도어의 오픈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반대로 해정키(K)나 별도의 버튼키, 카드키, 지문인식 등의 출입인가수단을 통해 실외측 사용자의 출입인가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핸들(80)을 회전시키게 되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패닉디바이스(1a)의 핸들작동부(47) 중 외통부재(48)의 회동작동부(50) 후방에 설치된 전기정 인가수단(70)에 통전이 이루어진 상태 즉, 솔레노이드밸브(71)의 길이신장에 따른 푸시바(72)가 외통부재(48)의 회동작동부(50)를 관통하여 외통부재(48)로부터 내통부재(52)의 상단까지 상호 연통되도록 불법해정방지홀(48a,54)에 대응되도록 설치된 가압부재(51)를 가압하여 상기 불법해정방지홀(48a,54)에 삽착 위치된 불법해정방지부재(55)를 상기 내통부재(52)의 불법해정방지홀(54) 내부로 압입시킨 상태에 있기 때문에 도어핸들(80)의 회전력이 상기 해정회동체(60) 및 연결바(67)를 거쳐 내통부재(52) 측으로 전달되지만 상기 내통부재(52)의 경우 외통부재(48)로부터 자유 회전이 가능하면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이탈방지핀(49)을 통해 결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불법해정방지부재(55)가 외통부재(48)의 불법해정방지홀(48a)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내통부재(52)의 불버배정방지홀(54)에만 위치됨에 따라 상기와 같이 해정회동체(60) 및 연결바(67)를 거쳐 내통부재(52)에 도어핸들(80)의 회전력이 전달될 경우 상기 외통부재(48)로부터 내통부재(52)의 자유 회전이 이루어짐으로써 도어의 불법 해정이 방지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패닉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대한 패닉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 및 세부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대한 패닉디바이스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패닉디바이스 중 랫치볼트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패닉디바이스 중 데드볼트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패닉디바이스 중 핸들작동부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핸들작동부 중 해정회동체 및 키실린더연결체의 사시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패닉디바이스의 작동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패닉디바이스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패닉디바이스의 작동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a. 패닉디바이스 10. 베이스바
12. 터치바 20. 도어락장치
21. 베이스판 22. 지지캡
24. 작동핀홀 26. 랫치볼트
26c. 락킹핀삽입홈 27. 안내홈
28. 데드볼트결합홈 30. 작동핀
31. 락킹핀 32. 데드볼트
33. 사각바 34, 46. 걸림돌기
35. 측판 36. 안내돌기
37. 락킹바상승돌기 38. 안내핀
40. 터치작동바 42. 상부작동바
43. 걸림부재 44. 하부작동바
45. 락킹바 47. 핸들작동부
48. 외통부재 48a, 54. 불법해정방지홀
49. 이탈방지핀 50. 회동작동부
50a. 가압부재작동홀 51. 가압부재
52. 내통부재 53a. 핀걸림홈
55. 불법해정방지부재 56. 원형돌기
58. 작동부구동체 58a. 결착바
59. 결합홈 60. 해정회동체
61. 결합돌기 62. 캠돌기
64. 키실린더연결체 65. 원형돌기
66. 키실린더결합돌기 67. 연결바
68. 커버부재 70. 전기정 인가수단
71. 솔레노이드밸브 72. 푸시바
73. 곡면부 74. 고정쇠
80. 도어핸들 K. 해정키

Claims (20)

  1. 스프링작용을 통해 압입/복원되는 터치바를 구비하며 도어 내측에 설치되는 베이스바, 상기 베이스바의 일단에 터치바와 연결된 상태로 결속되며 내부에 문틀의 스트라이크와 대응되는 도어락장치 및 상기 도어락장치와 연결된 상태로 도어 외측에 설치되는 도어핸들로 이루어진 패닉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장치는, 사다리꼴 형상의 베이스판과;
    상기 전,후면 및 하단이 개방되면서 베이스판 상단 전면(前面)에 볼트 고정되는 지지캡과;
    상기 지지캡의 전면(前面) 상단 양측면에 스프링과 함께 힌지 결합되며, 터치바의 압입시 이와 연동되는 작동핀을 통해 상하 회동되면서 도어의 개폐를 이루는 랫치볼트와;
    상기 랫치볼트의 하단과 결속된 상태로 지지캡 전면(前面) 하단에 스프링과 함께 설치되며, 랫치볼트의 회동시 이와 대응되어 전후 이송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스트라이크와의 대응작용을 통해 도어의 시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드볼트와;
    상기 랫치볼트의 작동핀과 터치바 사이에 상호 연결된 상태로 지지캡의 후면 상단 양측면에 힌지 결합되며, 터치바에 의한 타단의 압입작용을 통해 작동핀과 연결된 일단의 상하 회동작용에 따라 랫치볼트와 데드볼트의 상하 회동 및 전후 이송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터치작동바와;
    상기 랫치볼트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락킹수단; 및 상기 락킹수단에 대응 되는 상태로 지지캡의 중앙측 상단 양측면에 힌지 결합되며, 도어 닫힘에 의한 랫치볼트는 스트라이크 내부로 돌출되고 데드볼트는 스트라이크와 대응되어 지지캡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락킹수단 측으로 하강 및 이와 대응되어 도어를 시건하는 락킹바와;
    상기 터치작동바의 일단 하부와 대응되는 상태로 베이스판 하단에 좌우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도어 외측에 설치되는 도어핸들과 연결되어 해정키에 의한 키실린더의 작동을 통해 도어의 해정 및 개폐를 위한 핸들작동부와;
    상기 베이스판에 설치된 각 요소들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판 상단에 볼트 고정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닉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수단은 랫치볼트의 일측면으로부터 지지캡의 일측면까지 돌출된 길이를 갖는 원형의 락킹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닉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드볼트의 일측 상단에는 도어 개방에 따른 랫치볼트와 데드볼트의 돌출 시 락킹바와 대응되어 상기 락킹바를 락킹수단의 상측에 위치시키기 위한 락킹바상승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닉디바이스.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랫치볼트는 하단이 원호형태를 이루면서 후면 전체에 "ㄷ"자 형태의 데드볼트결합홈이 구비된 부체꼴 형상으로 형성되 되,
    상기 랫치볼트의 상단에는 힌지와 작동핀을 삽착시키기 위한 힌지홀과 작동핀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랫치볼트의 하단 중앙에는 랫치볼트의 상하 회동 따른 데드볼트의 전후 이송이 원활하도록 하기 위한 안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닉디바이스.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드볼트는 전방(前方)으로 돌출된 사각바를 구비하면서 랫치볼트의 하단과 결속되기 위한 걸림돌기가 상부로 돌출된 철(凸)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데드볼트의 일측 전방(前方) 하단에는 랫치볼트의 상하 회동 따른 데드볼트의 전후 이송 시 베이스판으로부터 데드볼트의 전후 이송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핀이 상기 베이스판을 관통하여 설치 고정되고,
    상기 데드볼트의 타측에는 상측으로 절곡된 측판을 구비하면서 그 중앙에 랫치볼트의 상하 회동 따른 데드볼트의 전후 이송 시 지지캡으로부터 데드볼트의 전후 이송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닉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의 전면 양측에는 지지캡을 나사 고정시키기 위한 암나사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판의 하단 일측에는 랫치볼트의 상하 회동과 대응되어 전후 이송되는 데드볼트 일측 하단의 안내핀을 가이드하기 위한 장공의 가이드홀이 관통 형 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닉디바이스.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캡의 타측면 하단에는 랫치볼트의 상하 회동과 대응되어 전후 이송되는 데드볼트 타측의 안내돌기를 가이드하기 위한 장공의 가이드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지지캡의 전, 후면 및 중앙측 상단 양측면에는 힌지와 작동핀을 삽입 고정시키기 위한 힌지홀과 작동핀홀이 각각 관통 형성되되, 상기 작동핀홀은 터치작동바에 의해 상하 회동되는 작동핀의 대응작용을 통해 랫치볼트의 상하 회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원호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닉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작동바는 양측면에 힌지홀이 관통된 힌지결합부가 절곡 형성된 브라켓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터치작동바의 일단 중앙에는 랫치볼트의 작동핀과 대응되는 상부작동바가 상방(上方)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터치작동바의 상부작동바 양측면에는 핸들작동부의 상측과 대응되는 하부작동바가 하방(下方)으로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닉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작동바의 일측면 중앙에는 락킹바의 일측면과 대응되어 터치작동바에 의한 랫치볼트와 데드볼트의 상하 회동 및 전후 이송 시 이와 동시에 힌지를 지점으로 상기 락킹바를 상승시키기 위한 걸림부재가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패닉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바의 일측면에는 상부작동바의 일측면에 형성된 걸림부재와 대응되는 원형의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닉디바이스.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작동부는 터치작동바의 일단 하부와 대응되도록 상단 일측에 원호형태의 회동작동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베이스판을 관통하여 좌우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외통부재와;
    상기 외통부재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내삽된 내통부재와;
    상기 외통부재의 외주면 양측에 결착되도록 전면(前面) 양측에 원호형태의 결착바를 구비한 작동부구동체와;
    상기 해정키에 의한 키실린더의 회전시 삽입된 도어핸들로부터 상승함과 동시에 작동부구동체와 대응 결착되어 상기 도어핸들과 작동부구동체 간의 기구적 연결을 이루는 해정회동체와;
    상기 해정회동체의 후면과 대응되는 상태로 도어핸들 내에 삽입되어 키실린더의 일단과 연결되며, 해정키에 의해 작동되는 키실린더와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해정회동체를 승하강시키는 키실린더연결체와;
    상호 이격된 내통부재와 해정회동체를 연결하는 연결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닉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부재의 외주면 일측에는 내삽된 내통부재가 외통부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외통부재 내에서의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탈방지핀이 삽착 고정되고,
    상기 내통부재의 외주면 둘레에는 이탈방지핀과 대응되어 내통부재의 자유회전이 원활하도록 원호형태의 핀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닉디바이스.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구동체의 후면과 해정회동체의 외주면에는 해정키에 의한 키실린더의 회전을 통해 도어핸들로부터 상승된 해정회동체가 작동부구동체의 후면에 대응 결착되어 상호 간 기구적 연결을 이루어지도록 십자형태의 결합홈 및 결합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해정회동체의 후면 양측에는 해정키에 의한 키실린더와 함께 키실린더연결체의 회전시 이와 대응되어 해정회동체를 승하강시키는 캠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닉디바이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키실린더연결체의 전면(前面) 양측에는 해정회동체의 후면 양측에 형성된 캠돌기와 대응되는 원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키실린더연결체의 후면 중앙에는 키실린더의 일단과 연결을 위한 키실린더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닉디바이스.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작동부 중 외통부재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회 동작동부의 후방에는 별도의 버튼키, 카드키, 지문인식 등의 출입인가수단을 통한 솔레노이드밸브의 통전 해제 시 외통부재와 내통부재를 결속시켜 도어핸들의 회전력이 연결바와 내통부재 및 외통부재를 거쳐 상기 외통부재의 회동작동부에 전달되어 상기 회전하는 회동작동부를 통해 터치작동바의 일단 하부를 상승시킴과 더불어 이를 통해 랫치볼트와 데드볼트를 지지캡 내부로 회동 및 이송시켜 시건된 도어를 개방토록 하는 전기정 인가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닉디바이스.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정 인가수단은 외통부재로부터 내통부재의 상단까지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된 불법해정방지홀과;
    상기 불법해정방지홀에 스프링과 함께 내삽되며, 도어 닫힘에 따른 통전 시 또는 도어 오픈을 위한 통전 해제 시 솔레노이드밸브의 길이가변에 따라 내통부재의 불법해정방지홀 측으로 압입되어 내통부재의 자유회전만 이루어지거나 또는 외통부재와 내통부재의 불법해정방지홀 모두에 결착되어 내,외통부재 모두가 회전되도록 하는 불법해정방지부재와;
    상기 외통부재의 회동작동부를 관통하여 불법해정방지부재의 상단과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와 대응되는 상태로 외통부재의 회동작동부 후방에 위치되며, 통전 시 솔레노이드밸브의 길이신장에 따른 가압부재를 가압하여 이를 통해 불법해정방지부재를 가압하도록 하는 푸시바와;
    상기 푸시바와 연결된 상태로 베이스판 상단 후면에 볼트 고정되며, 버튼키, 카드키, 지문인식 등의 출입인가수단을 이용한 출입 인가 시 전기적신호에 의해 길이가변이 이루어지는 솔레노이드밸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닉디바이스.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부재의 회동작동부 중앙에는 가압부재의 일단이 삽입 결착되기 위한 가압부재작동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외통부재의 회동작동부 하단에는 가압부재의 중앙을 힌지 결합시키기 위한 힌지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닉디바이스.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부재와 내통부재에 형성된 각 불법해정방지홀은 정사각 또는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불법해정방지부재는 각 불법해정방지홀에 대응 삽입되도록 정사각 또는 직사각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상단에 가압부재의 일단과 대응되는 원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닉디바이스.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ㄱ"자 형태로 형성됨과 동시에 그 절곡부의 양측면에는 회동작동부의 가압부재작동홀 내에서 푸시바에 의한 상하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힌지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닉디바이스.
  20. 제 16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바는 회동작동부의 후면과 대응되는 원호형태의 곡면부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곡면부의 후면 중앙에 솔레노이드 밸브의 일단과 결합되는 고정쇠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닉디바이스.
KR1020070082715A 2007-08-17 2007-08-17 패닉디바이스 KR100874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715A KR100874595B1 (ko) 2007-08-17 2007-08-17 패닉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715A KR100874595B1 (ko) 2007-08-17 2007-08-17 패닉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4595B1 true KR100874595B1 (ko) 2008-12-19

Family

ID=40372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2715A KR100874595B1 (ko) 2007-08-17 2007-08-17 패닉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459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099A (ko) 2016-06-30 2018-01-09 주식회사 비욘스틸앤글라스 호환성 패닉 엑시트 디바이스
KR102028575B1 (ko) 2018-09-28 2019-10-04 동성산업 주식회사 패닉디바이스용 헤드어셈블리
WO2023090748A1 (ko) * 2021-11-17 2023-05-25 이승원 엑시트 디바이스 도어락 및 이를 구비하는 엑시트 디바이스
EP4209647A1 (en) * 2022-01-11 2023-07-12 Yesung Global Co., Ltd. Panic device with door clos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099A (ko) 2016-06-30 2018-01-09 주식회사 비욘스틸앤글라스 호환성 패닉 엑시트 디바이스
KR102028575B1 (ko) 2018-09-28 2019-10-04 동성산업 주식회사 패닉디바이스용 헤드어셈블리
WO2023090748A1 (ko) * 2021-11-17 2023-05-25 이승원 엑시트 디바이스 도어락 및 이를 구비하는 엑시트 디바이스
EP4209647A1 (en) * 2022-01-11 2023-07-12 Yesung Global Co., Ltd. Panic device with door clos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69680B2 (ja) 入り口バリアのための保安システム
KR100873401B1 (ko) 푸시풀 도어락용 모티스
US6935663B2 (en) Electronically-operable door strike with guard clip, springless solenoid and face plate
WO2006057989A2 (en) Reach out lock with anti-activation mechanism
US7032417B2 (en) Lock mechanism
KR100874595B1 (ko) 패닉디바이스
US20060123859A1 (en) Mortise lock with automatic projection of dead bolt
JP2013213375A (ja) 非常用扉の開閉装置
CA2246211A1 (en) Deadbolt combination locking system with automatic locking spring bolt
KR20100044934A (ko) 강제해정수단이 구비된 데드볼트 전자잠금장치
KR100972114B1 (ko) 강제해정수단이 구비된 데드볼트 전자석 도어락
AU2017101371A4 (en) Cathode lock with preload release function
KR101082321B1 (ko) 전기정 스트라이크
WO2021021107A1 (en) Door barricade with single motion egress
KR101059888B1 (ko) 패닉릴리즈형 도어록의 개방장치
KR102124835B1 (ko) 대문용 기계식 개폐장치
JP3392815B2 (ja) 電気錠
KR101043620B1 (ko) 강제해정수단이 구비된 도어용 전자잠금장치
US20240102325A1 (en) Door Barricade with Single Motion Egress System
KR200282709Y1 (ko) 도어락 장치
JP2005090104A (ja) シャッターの防犯構造
JP2024070332A (ja) 施錠装置
KR20100008050U (ko) 안티패닉레버의 회동방지용 클러치 조립체
US20220243508A1 (en) Door barricade with single motion egress system
CA3147617A1 (en) Door barricade with single motion egress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