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90748A1 - 엑시트 디바이스 도어락 및 이를 구비하는 엑시트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엑시트 디바이스 도어락 및 이를 구비하는 엑시트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90748A1
WO2023090748A1 PCT/KR2022/017504 KR2022017504W WO2023090748A1 WO 2023090748 A1 WO2023090748 A1 WO 2023090748A1 KR 2022017504 W KR2022017504 W KR 2022017504W WO 2023090748 A1 WO2023090748 A1 WO 202309074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lide
slide bar
exit device
coupled
dead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750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승원
Original Assignee
이승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58959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30072341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13898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40058345A/ko
Application filed by 이승원 filed Critical 이승원
Publication of WO202309074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9074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5/00Locks in which a sliding latch is used also as a locking bolt
    • E05B55/12Locks in which a sliding latch is used also as a locking bolt the bolt being secured by the operation of a hidden parallel member ; Automatic latch bolt deadlocking mechanisms, e.g. using a trigger or a feel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18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arrangement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retaining the bolt or latch in the retracted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1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anic or emergency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3/0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bolt
    • E05C3/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bolt the handle or member moving essentially towards or away from the plane of the wing 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3/0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bolt
    • E05C3/1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bolt the handle or member moving essentially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wing or fram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it device door lock and an exit device having the same, and in particular, by embedding everything except for a pressing part inside a door equipped with a door lock having a dead bolt, the effect of the interior can be enhanced by making it look simple.
  •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newly configured exit device and an exit device door lock that restricts arbitrary opening and closing of the dead bolt.
  • a door-lock device is a device for moving a latch installed on one side of a door leaf into a striker installed on a door frame.
  • the latch is inserted into the striker by elasticity, and the door is locked so that rotation is restricted so that the door does not open by itself.
  • the lever spindle in the form of a square rod connected thereto rotates the latch to release the locked state, and when the door leaf is pushed forward, the door is opened.
  • the door lock device is a very simple door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and normally there is no problem. However, since the user must turn the handle, it becomes an obstacle to quick escape in an emergency situation where many people flock to the doorway at once, such as a fire or earthquake. Doing so can lead to serious human accidents. Therefore, an exit device, which is an emergency escape device, is installed at a door or an emergency exit at the entrance of a building.
  • the exit device has a push bar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inside of the door. Even if you do not use your hands, simply pushing the push bar unlocks the latch installed on the door, and the door is automatically opened by the force of pushing the push bar. will open Therefore, in an emergency, it is possible to escape from a disaster site much more quickly and easily than conventional door lock devices.
  • a head assembly for a panic device of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2028575 (2019.09.27.) was proposed, and the proposed head assembly constitutes a head assembly for a panic device applied to an escape door or a fire door in an emergency stairway.
  • the proposed head assembly constitutes a head assembly for a panic device applied to an escape door or a fire door in an emergency stairway.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lock for an exit device in which the movement of the dead bolt of the door lock is restricted in a state in which the push bar is not pressed.
  •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rame inserted into the door panel; a damper unit inserted into the device frame and provided to absorb and alleviate impact force gen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ushing unit; a pushing unit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amper unit so that a user can press it; a slider provided to slide and reciprocate along the device frame by the pushing part on the other side; and a slide bar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slider and having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dead bolt of the door lock where the door is locked/unlocked.
  • the damper unit includes a damper plate having a slide long hole having a rack gear; a deceleration unit having a pinion gear engaged with the rack gear and provided to reduce rotation of the pinion gear; It is fixed to the device frame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damper plate, " A fixed buffer having buffer members at each corner of the shape; and a movable buffer having buffer members provided to correspond to both sides of the damper plate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xed buffer of the buffer member.
  • the pushing unit includes a pushing support piece fixed to the device frame; a pushing arm rotatably coupled to the pushing support piece with a first hinge axis; an inclination arm rotatably coupled to a second hinge axis in the middle of the pushing arm and connected to a third hinge axis having one side of a spring hanging at an end thereof; A pushing piece coupled to an end of the pushing arm through a fourth hinge shaft; and the other side of the spring being hooked on the first hinge shaft.
  • the slider " A slider body having a shape; and a rod coupling piece bent at right angles toward the front at an end of the slider body and having upper and lower rod coupling holes.
  • the slide bar has a locking groove, and a slide bar body provided to be coupled with a nut; a first slide shaft coupled to the slide bar body; Fitted so as to be pressed by the first spring fitted to the first slide shaft " "A handle rotation piece provided to have a shape; A slide guide piece provided to be coupled to a third slide shaft through which a second slide shaft is inserted and facing the handle rotation piece;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third slide shaft The inserted second spring and the second slide axis penetrating the third slide axis are coupled to the dead bolt of the door lock where the door is locked and unlocked.
  • the third slide shaft has a hollow shape,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a spiral groove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 the second slide shaft and the second slide shaft body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It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second slide axis body, and is provided with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slide axis body while repeatedly providing concave-convex grooves on the outer periphery, and is provided with a pinhole passing throug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slide head;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e head is inserted into the dead bolt and coupled by a fixing pin.
  • a protrusion formed at the end of the slide bar body in the dead bolt direction in the slide bar;
  • a braking piece fixed to be rotatable around a pivoting part formed on one side of the door lock, in contact with the protruding part in an area adjacent to the pivoting part, and rotating up and down around the pivoting part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slide bar; characterized by inclusion.
  • the thickness of the brake pie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increases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part.
  • the inside of the slide bar body is hollow, and the first slide shaft can flow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lide bar body in the hollow interior, and the diameter of the distal end of the first slide shaft is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first slide shaft. It is configured to be large so that the first slide shaft does not depart from the slide bar body, and a first spring is installed between the area inside the slide bar body and the distal end of the first slide shaft, so that the first slide shaft flows It is characteriz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according to.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 for an exit device, wherein the exit device includes: a slider installed on a door panel, pushed by a user's pressure, and provided to slide and reciprocate along a device frame by a pushing unit; and a slide bar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slider. And a dead bolt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slide bar to include a door lock in which locking and unlocking of the door is performed, and a braking piec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oor lock to limit or allow the movement of the dead bolt.
  • a door lock for an exit device is provided.
  • the brake piece is rotatably fixed around a pivoting portion formed adjacent to the slide bar, and is in contact with a protrusion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slide bar body in the dead bolt direction in an area adjacent to the pivoting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lide bar rotates up and down around the pivoting part as the slide bar advances and retreats, and if the slide bar does not advance and retreat, its end or part supports the dead bolt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dead bolt.
  • the thickness of the brake piece increases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part.
  • the inside of the slide bar body is formed in a hollow shape so that when the dead bolt is pressed to change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dead bolt door, the first slide axis freely flows inside the slide bar body, so that the dead bolt is freed without pressing the push bar. It allows the bolt to retreat and advance, and thus the dead bolt is configured to easily change the direction of the front and rear door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to which an exi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i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an exi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of the exi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n enlarged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of an exi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and separated main part of an exi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plan view showing movement of a braking member of an exi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 unit and “... group”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to which an exi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i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exi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of the exi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main part of the exi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exi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7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main part of the exi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main part of the exi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plan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a braking member of an exi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xit device includes a device frame 100, a damper part 200, a pushing part 300, a slider 400 and a slide bar 500. do.
  • the device frame 100 is inserted into the door panel P so that the damper part 200, the pushing part 300, the slider 400 and the slide bar 500 can be stably supported.
  • “With the frame member 110 having the form, each on the inside of both ends” "The frame reinforcing member 120 having a shape is fitted and coupled to prevent deformation.
  • the damper unit 200 includes a damper plate 210, a reduction unit 220, a fixed buffer unit 230 and a movable buffer unit 240, and the damper plate 210 has a rack gear ( 211) is provided, and the reduction part 220 has a pinion gear 221 meshing with the rack gear 211, and the rotation of the pinion gear 221 is reduced. there is.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deceleration of the pinion gear 221 be used in a spring type or hydraulic type. Therefore, by controlling the pressure or operation of the pushing unit by the damper unit 200, the door lock can be quickly released during operation and the door lock can be operated slowly upon release.
  • the fixed shock absorber 230 is spaced apart from the damper plate 210 so as to prevent interference from occurring during the sliding and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damper plate 210.
  • a buffer member (CS) is provided at each corner of the shape and fixed to the device frame 100.
  • the pushing unit 30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amper unit 200 and is provided so that the pushing bar PB provided at the end can be interlocked at the same time as the user presses it, and the pushing support piece in the device frame 100 ( 310) is fixed, and a pushing arm 320 is provided on the pushing support piece 310 so as to be able to rotate with the first hinge axis 321.
  • the inclined arm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hinge shaft 331 in the middle of the pushing arm 320 and is connected to the third hinge shaft 332 provided to hang one side of the spring 340 at the end thereof.
  • 330 is provided, and while the pushing piece 350 is coupled to the fourth hinge shaft 351 at the end of the pushing arm 320, the other side of the spring 340 is connected to the first hinge shaft 321. It is provided so that it can be hung on.
  • the slide bar 500 is unlocked by pushing or pulling the dead bolt D of the door lock R, and one side is coupled to the slider 400, the other side of which locks and unlocks the door. It is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dead bolt (D) of R).
  • the slide bar 500 has a locking groove 511, a first slide shaft 520 is coupled to a slide bar body 510 provided to which a nut 512 is coupled, and the first slide shaft 520 ) so that the first spring (SP1) inserted in the " A handle rotating piece 530 having a shape is provided to be fitted.
  • a slide guide piece 560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third slide shaft 550 through which the second slide shaft 540 is inserted is provide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handle rotation piece 530, and the third slide shaft While the second spring (SP2) is fitt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550, the second slide shaft 540 passing through the third slide shaft 550 is the dead end of the door lock (R) where the door is locked and unlocked. It is coupled to bolt (D).
  • a protrusion 513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slide bar 500 in the direction of the dead bolt D. At least one protrusion 513 is provided, and the dead bolt D retreats.
  • a braking piece 570 preventing the door from opening is provided by contacting the push bar PB direction surface (rear part) of the dead bolt D to limit the flow of the dead bolt D.
  • the door lock of the exit device includes a slider 400 installed on the door panel, pushed by a user's pressure, and slide-reciprocated along the device frame by the pushing unit 300; and a slide bar 500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slider 400; And a door lock (R) in which a dead bolt (D)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slide bar 500 to lock and unlock the door, and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oor lock (R) to A braking piece 570 that limits or allows move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cluded.
  • the braking piece 570 is rotatably fixed around a pivoting part 571 formed on one side of the door lock R. Normally, when the dead bolt (D) flows, the end of the braking piece 570 is positioned horizontally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dead bolt (D), and when the push bar (PB) is pressed, the pivoting part 571 is the center It is configured to rotate counterclockwise so that the free flow of the dead bolt (D) is possible.
  • the surface of the braking piece 570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513 has a stepped structure. That is, the thickness of the braking piece 570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dead bolt D direction to the push bar PB direction, preferably in stages, and the protrusion 513 moves back and forth at the displacement point where the thickness varies. While doing so, the rotation of the braking piece 570 is possible.
  • the first spring SP1-1 functions to exert an elastic force without departing from the first slide shaft 520.
  • the second elastic spring (SP2) is compressed, and the first slide axis (520) is tensioned in the first spring (SP1-1) inside the slide bar body (510). move in the direction
  • the first slide shaft 520 is movable because the space 514 is formed inside the slide bar body 510 . Due to this space 514, the first spring SP1-1 can freely flow inside the slide bar body 510.
  • the force applied to the dead bolt D is released, the first spring SP1-1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and the first slide shaft 520 moves toward the original position of the dead bolt D.
  • the inside of the slide bar body 510 is formed in a hollow shape so that when the dead bolt D is pressed to change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dead bolt D, the first slide shaft 520 moves from the inside of the slide bar body.
  • the dead bolt (D) can be retracted and advanced without pressing the push bar, and thus the dead bolt (D) is configured to easily change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door.
  • the dead bolt (D) has one side curved and one side is composed of a flat state. When the door is closed, the curved side of the dead bolt (D) is pressed so that it can move forward and backward, This curved surface may face the front or rear of the door as needed, and it should be freely switchable.
  • the dead bolt D must be configured to freely move forward and backward within the door lock.
  •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hollow interior of the slide bar body 510, and implements the first slide shaft 520 to be freely movable back and forth through th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엑시트 디바이스 도어락 및 이를 구비하는 엑시트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엑시트 디바이스는 도어패널에 삽입된 디바이스 프레임과; 상기 디바이스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된 것으로, 푸싱부의 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충격력이 흡수 완화되도록 구비된 댐퍼부와; 상기 댐퍼부의 양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누룰 수 있도록 구비된 푸싱부와; 상기 타측의 푸싱부에 의하여 디바이스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드 왕복 이동되도록 구비된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에 일측이 결합된 것으로, 도어의 록킹·언록킹이 이루어지는 도어락의 데드볼트에 타측이 결합되도록 구비된 슬라이드바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엑시트 디바이스 도어락 및 이를 구비하는 엑시트 디바이스
본 발명은 엑시트 디바이스 도어락 및 이를 구비하는 엑시트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데드볼트를 갖는 도어락이 구비된 도어의 내부에 누르는 부분을 제외한 모두가 매립되도록 함으로써, 심플하게 보여지도록 하여 인테리어의 효과를 높일 수 있고, 데드볼트의 출입을 위한 푸시바 등 개폐수단의 작동구조도 새롭게 구성된 엑시트 디바이스 및 데드볼트의 임의적인 개폐가 제한되도록 하는 엑시트 디바이스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록(door-lock) 장치는 출입문의 문짝 일변에 설치된 래치를 문틀에 설치된 스트라이커속으로 출입시키는 장치이다.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래치가 탄성에 의해서 스트라이커속으로 삽입되어 문짝이 저절로 열리지 않도록 회전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가 된다. 그리고, 출입자가 문짝에 설치된 손잡이를 돌려주면, 여기에 연결되어 있는 사각봉 형태의 레버 스핀들이 래치를 회동시켜서 잠금 상태가 해제되고, 문짝을 앞으로 밀어주면 도어가 열린다.
도어록 장치는 매우 간단한 출입문 개폐 구조로서 평소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겠지만, 반드시 사용자가 손잡이를 돌려주어야 하기 때문에 화재나 지진과 같이 많은 사람이 한꺼번에 출입구로 몰리는 긴급한 비상상황에서는 신속한 탈출에 장애가 될 뿐만 아니라, 자칫하면 끔찍한 인명사고를 일으키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 그래서, 건물 입구의 출입문이나 비상구 등 에는 비상 탈출 장치인 엑시트 디바이스(exit device)를 설치한다.
엑시트 디바이스는 문짝 안쪽 중간 부위에 푸시바(push bar)가 설치되어 있어서 굳이 손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푸시바를 밀어주기만 하면 문짝에 설치된 래치의 잠금상태가 해제되고, 푸시바를 밀어주는 힘에 의해서 도어가 저절로 열리게 된다. 따라서, 비상시에는 종래의 도어록 장치에 비해 훨씬 신속하고 용이하게 재난 현장을 탈출할 수 있다.
엑시트 디바이스는 림 타입(rim type)과, 모티스 타입(mortise type), 그리고 버티컬 타입(vertical type) 등으로 분류되는데, 이중에서 모티스 타입은 문짝 일변에 매설되어 래치를 회동시키는 모티스록 유닛과, 문짝 안쪽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푸시바 유닛이 서로 분리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 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10-2028575호(2019.09.27.)의 패닉 디바이스용 헤드어셈블리가 제안되었고, 제안된 헤드어셈블리는 비상계단실의 피난문 또는 방화문에 적용되는 패닉디바이스용 헤드어셈블리를 구성함에 있어 시건 작동 매커니즘을 구현하는 일련의 구성을 간소화하면서 래치볼트의 무단해제를 방지하는 구성을 탑재하여 안전하고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나, 푸시바가 피난문 또는 방화문의 전면으로 노출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투박해 보이는 문제점이 있었고, 작동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푸시바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특정인이 푸시바의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락의 데드볼트를 임의의 수단으로 가압하여 데드볼트를 이동시킴으로써, 잠금 상태가 임의로 해제되며 도어가 의도하지 않게 열리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 때에는 무단침입, 도난 등의 문제가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누르는 부분을 제외한 모두가 도어락이 구비된 도어의 내부에 매립되도록 하여 도어의 외관이 심플하게 보여질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이를 통해 인테리어의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작동시 도어락의 신속한 해제와 해제시 도어락이 천천히 작동할 수 있도록 하여 진동 또는 충격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락의 데드볼트가 푸시바가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그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는 엑시트 디바이스용 도어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어패널에 삽입된 디바이스 프레임과; 상기 디바이스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된 것으로, 푸싱부의 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충격력이 흡수 완화되도록 구비된 댐퍼부와; 상기 댐퍼부의 양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누룰 수 있도록 구비된 푸싱부와; 상기 타측의 푸싱부에 의하여 디바이스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드 왕복 이동되도록 구비된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에 일측이 결합된 것으로, 도어의 록킹·언록킹이 이루어지는 도어락의 데드볼트에 타측이 결합되도록 구비된 슬라이드바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 프레임은 "
Figure PCTKR2022017504-appb-img-000001
"형태를 갖는 프레임부재의 양측 내부에 "
Figure PCTKR2022017504-appb-img-000002
"형태를 갖는 프레임보강부재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댐퍼부는 랙기어를 갖는 슬라이드 장공이 구비된 댐퍼 플레이트와; 상기 랙기어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를 가지며,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이 감속되도록 구비된 감속부와; 상기 댐퍼 플레이트와 이격되는 가운데 디바이스 프레임에 고정된 것으로, "
Figure PCTKR2022017504-appb-img-000003
"형태의 모서리에 각각 완충부재가 구비된 고정 완충부; 및 상기 완충부재의 고정 완충부에 맞닿는 것으로, 상기 댐퍼 플레이트의 양측에 대응되게 구비된 완충부재를 갖는 가동 완충부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푸싱부는 디바이스 프레임에 고정된 푸싱지지편과; 상기 푸싱지지편에 제1힌지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푸싱아암과; 상기 푸싱아암의 중간에 제2힌지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단부에 스프링의 일측이 걸려지게 구비된 제3힌지축에 연결되도록 구비된 경사 아암과; 상기 푸싱아암의 단부에 제4힌지축으로 결합된 푸싱편;및 상기 스프링의 타측이 상기 제1힌지축에 걸려지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는 "
Figure PCTKR2022017504-appb-img-000004
"형태를 갖는 슬라이더 몸체; 및 상기 슬라이더 몸체의 단부에 전방을 향하여 직각되게 절곡된 것으로, 상하 로드 결합홀이 구비된 로드 결합편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바는 걸림홈을 가지며, 너트가 결합되도록 구비된 슬라이드바 몸체와; 상기 슬라이드바 몸체에 결합된 제1슬라이드축과; 상기 제1슬라이드축에 끼워진 제1스프링에 가압되도록 끼워진 "
Figure PCTKR2022017504-appb-img-000005
"형태를 갖도록 구비된 핸들 회전편과; 상기 핸들 회전편에 맞대어진 것으로, 제2슬라이드축이 관통되게 끼워진 제3슬라이드축에 결합되도록 구비된 슬라이드 가이드편과; 상기 제3슬라이드축의 외주연부에 끼워진 제2스프링; 및 상기 제3슬라이드축을 관통한 제2슬라이드축이 도어의 록킹·언록킹이 이루어지는 도어락의 데드볼트에 결합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슬라이드축은 중공형태를 가지며, 외주연부에 나선형 홈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슬라이드축은 소정 직경을 갖는 제2슬라이드축 몸체와; 상기 제2슬라이드축 몸체의 단부에 구비된 것으로, 외주연부에 요철홈이 반복되게 구비되는 가운데 상기 제2슬라이드축 몸체의 직경보다 크게 구비되며, 축방향에 직각되는 방향으로 핀홀이 관통되게 구비된 슬라이드 헤드; 및 상기 슬라이드 헤드가 데드볼트에 삽입되어 고정핀에 의하여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바에서 슬라이드바 몸체의 데드볼트 방향 단부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도어락의 일측에 형성된 회동부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회동부에 인접하는 영역에서 상기 돌출부와 접하여, 상기 슬라이드바의 전진후퇴에 따라서 상기 회동부를 중심으로 상하 회동하는 제동편;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동편의 두께는 회동부 방향으로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바 몸체 내부는 중공형태로서, 상기 제1슬라이드축이 중공내부에서 슬라이드바 몸체 내주연을 따라서 유동가능하며, 상기 제1슬라이드축의 말단부의 직경은 제1슬라이드축의 중간부분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되어 상기 제1슬라이드축이 상기 슬라이드바 몸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제1슬라이드축 중에서 슬라이드바 몸체 내부에 있는 영역 및 상기 말단부 사이에는 제1스프링이 탄설되어 있어 상기 제1슬라이드축의 유동에 따라서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엑시트 디바이스용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엑시트 디바이스는, 도어패널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가압에 의하여 푸싱되고, 푸싱부에 의하여 디바이스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드 왕복 이동되도록 구비된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에 일측이 결합되는 슬라이드바; 및 상기 슬라이드바의 타측에 데드볼트가 결합되어 도어의 록킹·언록킹이 이루어지는 도어락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락의 일측에 설치되어 데드볼트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허용하는 제동편;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엑시트 디바이스용 도어락을 제공한다.
상기 제동편은, 상기 슬라이드 바에 인접하여 형성된 회동부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회동부에 인접하는 영역에서, 상기 슬라이드바에서 슬라이드바 몸체의 데드볼트 방향 단부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접하여, 상기 슬라이드바의 전진후퇴에 따라서 상기 회동부를 중심으로 상하 회동하고, 슬라이드바가 전진후퇴하지 않으면 그 단부 또는 일부가 데드볼트를 지지하여 데드볼트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동편의 두께는 회동부 방향으로 두께가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누르는 부분을 제외한 모두가 도어의 내부로 매립되도록 함으로써, 단순하게 보여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공간 활용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인테리어의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푸싱부의 압력 내지는 동작이 댐퍼부에 의하여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작동시 도어락의 신속한 해제와 해제시 도어락이 천천히 작동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진동 또는 충격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수명이 연장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데드볼트의 출입을 제한하는 제동편이 슬라이드바의 전후 이동에 따라서 상하로 회동되도록 구성하여, 푸시바를 작동시킬 때에는 데드볼트를 유동시킬 수 있도록 제동편이 상부로 회동하는 대신, 푸시바를 작동시키지 않고, 인위적으로 데드볼트만을 가압하여 문을 개방하려고 할 때에는 제동편이 데드볼트의 움직임을 제한함으로써, 푸시바를 작동시키지 않고는 문을 개방할 수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바 몸체 내부를 중공형으로 형성하여 데드볼트의 도어 전후 방향전환을 위하여 데드볼트를 가압하는 경우에, 제1슬라이드축이 슬라이드바 몸체 내부에서 자유롭게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푸시바의 가압없이도 데드볼트가 후퇴 및 전진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써 데드볼트의 도어 전후 방향전환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엑시트 디바이스가 적용된 도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엑시트 디바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엑시트 디바이스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엑시트 디바이스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엑시트 디바이스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엑시트 디바이스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엑시트 디바이스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엑시트 디바이스의 요부를 확대하여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시트 디바이스의 제동편 움직임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시트 디바이스의 제동편 움직임을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슬라이드바 몸체의 단면도와 함께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엑시트 디바이스는 누르는 부분을 제외한 모두가 도어의 내부로 매립되도록 하여 심플하게 보여질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작동시 도어락의 신속한 해제와 해제시 도어락이 천천히 작동될 수 있도록 하여 진동 또는 충격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엑시트 디바이스가 적용된 도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엑시트 디바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엑시트 디바이스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엑시트 디바이스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엑시트 디바이스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엑시트 디바이스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엑시트 디바이스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엑시트 디바이스의 요부를 확대하여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시트 디바이스의 제동편 움직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시트 디바이스의 제동편 움직임을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슬라이드바 몸체의 단면도와 함께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엑시트 디바이스는 도1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 프레임(100), 댐퍼부(200), 푸싱부(300), 슬라이더(400) 및 슬라이드바(500)가 포함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디바이스 프레임(100)은 도어패널(P)에 삽입되어 댐퍼부(200), 푸싱부(300), 슬라이더(400) 및 슬라이드바(500)가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으로, "
Figure PCTKR2022017504-appb-img-000006
"형태를 갖는 프레임부재(110)로 양측단부의 내측에 각각 "
Figure PCTKR2022017504-appb-img-000007
"형태를 갖는 프레임보강부재(120)가 끼워지게 결합되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비된다.
상기 댐퍼부(200)는 푸싱부(300)의 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충격력이 흡수 완화되도록 상기 디바이스 프레임(10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댐퍼부(200)는 댐퍼 플레이트(210), 감속부(220), 고정 완충부(230) 및 가동 완충부(240)가 포함된 것으로, 상기 댐퍼 플레이트(210)는 중간 부분에 랙기어(211)를 갖는 슬라이드 장공(212)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감속부(220)는 랙기어(211)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221)를 가지며, 상기 피니언 기어(221)의 회전이 감속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피니언 기어(221)의 감속은 스프링식이나 유압식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댐퍼부(200)에 의하여 푸싱부의 압력 내지는 동작이 댐퍼부에 의하여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작동시 도어락의 신속한 해제와 해제시 도어락이 천천히 작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 완충부(230)는 댐퍼 플레이트(210)가 슬라이드 왕복 이동되는 과정에서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댐퍼 플레이트(210)와 이격되게 "
Figure PCTKR2022017504-appb-img-000008
"형태의 모서리에 각각 완충부재(CS)가 구비되어 상기 디바이스 프레임(100)에 고정된다.
상기 가동 완충부(240)는 완충부재(CS)의 고정 완충부(230)에 맞닿는 것으로, 상기 댐퍼 플레이트(210)의 양측에 대응되게 구비된 완충부재(CS)를 갖도록 구비됨으로써, 작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으로 인한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푸싱부(300)는 댐퍼부(200)의 양측에 구비되어 단부에 구비된 푸싱바(PB)를 사용자가 누름과 동시에 연동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으로, 디바이스 프레임(100)에 푸싱지지편(310)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푸싱지지편(310)에 제1힌지축(321)으로 회동 가능하게 푸싱아암(320)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푸싱아암(320)의 중간에 제2힌지축(331)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단부에 스프링(340)의 일측이 걸려지게 구비된 제3힌지축(332)에 연결되도록 경사 아암(33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푸싱아암(320)의 단부에 제4힌지축(351)으로 푸싱편(350)이 결합되는 가운데 상기 스프링(340)의 타측이 상기 제1힌지축(321)에 걸려질 수 있게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더(400)는 푸싱부(300)의 타측에 의하여 디바이스 프레임(100)을 따라 슬라이드 왕복 이동되도록 구비된 것으로, 슬라이드바(500)가 연동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
Figure PCTKR2022017504-appb-img-000009
"형태를 갖는 슬라이더 몸체(410) 및 상하 로드 결합홀(421)이 구비된 로드 결합편(420)이 상기 슬라이더 몸체(410)의 단부에 전방을 향하여 직각되게 절곡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상하 로드 결합홀(421)은 설치 과정에서 도어 잠금부가 상하로 바뀌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슬라이드바(500)는 도어락(R)의 데드볼트(D)를 밀거나 당겨 언록킹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더(400)에 일측이 결합되는 가운데 타측이 도어의 록킹·언록킹이 이루어지는 도어락(R)의 데드볼트(D)에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슬라이드바(500)는 걸림홈(511)을 가지며, 너트(512)가 결합되도록 구비된 슬라이드바 몸체(510)에 제1슬라이드축(520)이 결합되고, 상기 제1슬라이드축(520)에 끼워진 제1스프링(SP1)에 가압되도록 "
Figure PCTKR2022017504-appb-img-000010
"형태를 갖는 핸들 회전편(530)이 끼워지도록 구비된다.
또한, 제2슬라이드축(540)이 관통되게 끼워진 제3슬라이드축(550)에 결합되도록 구비된 슬라이드 가이드편(560)이 상기 핸들 회전편(530)에 맞닿게 구비되고, 상기 제3슬라이드축(550)의 외주연부에 제2스프링(SP2)이 끼워지는 가운데 상기 제3슬라이드축(550)을 관통한 제2슬라이드축(540)이 도어의 록킹·언록킹이 이루어지는 도어락(R)의 데드볼트(D)에 결합된다.
상기 제2슬라이드축(540)은 소정 직경을 갖는 제2슬라이드축 몸체(541)의 단부에 슬라이드 헤드(544)가 구비된 것으로, 상기 슬라이드 헤드(544)는 외주연부에 요철홈(542)이 반복되게 구비되는 가운데 상기 제2슬라이드축 몸체(541)의 직경보다 크게 구비되며, 축방향에 직각되는 방향으로 핀홀(543)이 관통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슬라이드 헤드(544)는 데드볼트(D)에 삽입되어 고정핀(545)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상기 제3슬라이드축(550)은 중공형태를 가지며, 외주연부에 나선형 홈(551)이 구비됨으로써, 작동중 마찰 저항이 발생되는 것을 줄이는 가운데 별도의 윤활유가 주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6과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바(500)의 데드볼트(D) 방향 단부에는 돌출부(513)가 마련되는데, 돌출부(513)는 적어도 1개이고, 데드볼트(D)의 후퇴시 데드볼트(D)의 푸시바(PB) 방향면(후위부)과 접촉하여 데드볼트(D)의 유동을 제한함으로써, 문이 열리지 않도록 하는 제동편(570)이 마련된다.
즉, 엑시트 디바이스의 도어락은, 도어패널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가압에 의하여 푸싱되고, 푸싱부(300)에 의하여 디바이스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드 왕복 이동되도록 구비된 슬라이더(400); 및 상기 슬라이더(400)에 일측이 결합되는 슬라이드바(500); 및 상기 슬라이드바(500)의 타측에 데드볼트(D)가 결합되어 도어의 록킹·언록킹이 이루어지는 도어락(R)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락(R)의 일측에 설치되어 데드볼트(D)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허용하는 제동편(570);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동편(570)은 도어락(R)의 일측에 형성된 회동부(571)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평상시에는 상기 데드볼트(D)의 유동시 제동편(570)의 단부가 데드볼트(D)와 맞닿도록 수평으로 위치되며, 푸시바(PB)를 가압하는 경우, 회동부(571)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데드볼트(D)의 자유로운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동편(570)은 푸시바(PB)의 가압에 따른 슬라이드바(500)의 전후 이동시, 돌출부(513)가 제동편(570)의 회동부(571) 방향(푸시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동편(57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작용한다. 즉, 제동편(570)은 푸시바(PB)의 작동 및 돌출부(513)의 이동이 아니면 회동되지 않으므로, 푸시바(PB) 작동 이외의 동작에 의하여 데드볼트(D)를 이동시키거나 가압하기는 불가능하다.
제동편(570)의 회동을 위해서는 제동편(570)의 돌출부(513)와 맞닿는 면이 단차구조를 갖게 된다. 즉, 데드볼트(D) 방향으로부터 푸시바(PB) 방향으로 제동편(570)의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며, 바람직하게는 단계적으로 두꺼워지고, 돌출부(513)는 두께가 달라지는 변위점의 전후를 이동하면서 제동편(570)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작용한다.
이 경우, 푸시바(PB)를 작동시키지 않고, 인위적으로 데드볼트(D)만을 가압하여 문을 개방하려고 할 때에는 제동편(57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지 않아 데드볼트(D)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작용하며, 따라서 푸시바(PB)를 작동시키지 않고는 문을 개방할 수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도 9와 제동편(570)의 움직임은 동일하나, 도 9에서 제1스프링(SP1)이 슬라이드바 몸체(510)의 외부에 위치한다면 도 10에서는 제1스프링(SP1-1)이 슬라이드바 몸체(510)의 내부에 위치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 경우는 푸시바(PB)를 작동시키지 않고 데드볼트(D)를 가압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 것이다. 슬라이드바 몸체(510) 내부로 인입된 제1슬라이드축(520)은 말단부가 직경이 슬라이드바 몸체(510)의 제1슬라이드축(520) 인입부 직경에 비하여 더 커서 제1슬라이드축(520)이 슬라이드바 몸체(510) 외부로 탈락하지 않으며, 이로써 제1슬라이드축(520)은 슬라이드바 몸체(510)의 내부에서 좌우로 유동한다. 이 때, 제1슬라이드축(520)의 말단부가 스토퍼의 역할을 하면서 제1스프링(SP1-1)이 제1슬라이드축(52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탄성력을 작용하도록 기능한다. 데드볼트(D)가 내측으로 가압될 때 제2탄성스프링(SP2)는 압축하며, 제1슬라이드축(520)은 슬라이드바 몸체(510)의 내부에서 제1스프링(SP1-1)이 인장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슬라이드축(520)이 이동가능한 것은 슬라이드바 몸체(510)의 내부에 공간부(51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공간부(514)로 인하여 슬라이드바 몸체(510)의 내부에서 제1스프링(SP1-1)이 자유롭게 유동될 수 있다. 데드볼트(D) 가해졌던 힘이 해소되면 제1스프링(SP1-1)이 원상으로 복귀되면서 제1슬라이드축(520)이 데드볼트(D)의 원래 위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는 슬라이드바 몸체(510) 내부를 중공형으로 형성하여 데드볼트(D)의 도어 전후 방향전환을 위하여 데드볼트(D)를 가압하는 경우에, 제1슬라이드축(520)이 슬라이드바 몸체 내부에서 자유롭게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푸시바의 가압없이도 데드볼트(D)가 후퇴 및 전진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써 데드볼트(D)의 도어 전후 방향전환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데드볼트(D)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이 만곡되어 있고, 일면은 평면상태로 구성되어 있는데, 도어를 닫을 때, 데드볼트(D)의 만곡된 면이 가압되면서 전진 후퇴할 수 있도록하며, 이러한 만곡된 면이 필요에 따라서 도어의 전면을 향할 수도 있고, 후면을 향할 수도 있는데, 이를 자유롭게 전환 가능하도록 하여야 하는 바, 이를 위해서는 데드볼트(D)가 도어락 내에서 자유롭게 전후진 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슬라이드바 몸체(510) 내부를 중공형으로 구현하고, 제1슬라이드축(520)이 이를 통하여 자유롭게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한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4)

  1. 도어패널에 삽입된 디바이스 프레임과;
    상기 디바이스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된 것으로, 푸싱부의 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충격력이 흡수 완화되도록 구비된 댐퍼부와;
    상기 댐퍼부의 양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누룰 수 있도록 구비된 푸싱부와;
    상기 타측의 푸싱부에 의하여 디바이스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드 왕복 이동되도록 구비된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에 일측이 결합된 것으로, 도어의 록킹·언록킹이 이루어지는 도어락의 데드볼트에 타측이 결합되도록 구비된 슬라이드바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엑시트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프레임은
    "
    Figure PCTKR2022017504-appb-img-000011
    "형태를 갖는 프레임부재의 양측 내부에 "
    Figure PCTKR2022017504-appb-img-000012
    "형태를 갖는 프레임보강부재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엑시트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는
    랙기어를 갖는 슬라이드 장공이 구비된 댐퍼 플레이트와;
    상기 랙기어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를 가지며,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이 감속되도록 구비된 감속부와;
    상기 댐퍼 플레이트와 이격되는 가운데 디바이스 프레임에 고정된 것으로, "
    Figure PCTKR2022017504-appb-img-000013
    "형태의 모서리에 각각 완충부재가 구비된 고정 완충부; 및
    상기 완충부재의 고정 완충부에 맞닿는 것으로, 상기 댐퍼 플레이트의 양측에 대응되게 구비된 완충부재를 갖는 가동 완충부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엑시트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부는
    디바이스 프레임에 고정된 푸싱지지편과;
    상기 푸싱지지편에 제1힌지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푸싱아암과;
    상기 푸싱아암의 중간에 제2힌지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단부에 스프링의 일측이 걸려지게 구비된 제3힌지축에 연결되도록 구비된 경사 아암과;
    상기 푸싱아암의 단부에 제4힌지축으로 결합된 푸싱편;및
    상기 스프링의 타측이 상기 제1힌지축에 걸려지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엑시트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
    Figure PCTKR2022017504-appb-img-000014
    "형태를 갖는 슬라이더 몸체; 및
    상기 슬라이더 몸체의 단부에 전방을 향하여 직각되게 절곡된 것으로, 상하 로드 결합홀이 구비된 로드 결합편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엑시트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바는
    걸림홈을 가지며, 너트가 결합되도록 구비된 슬라이드바 몸체와;
    상기 슬라이드바 몸체에 결합된 제1슬라이드축과;
    상기 제1슬라이드축에 끼워진 제1스프링에 가압되도록 끼워진 "
    Figure PCTKR2022017504-appb-img-000015
    "형태를 갖도록 구비된 핸들 회전편과;
    상기 핸들 회전편에 맞대어진 것으로, 제2슬라이드축이 관통되게 끼워진 제3슬라이드축에 결합되도록 구비된 슬라이드 가이드편과;
    상기 제3슬라이드축의 외주연부에 끼워진 제2스프링; 및
    상기 제3슬라이드축을 관통한 제2슬라이드축이 도어의 록킹·언록킹이 이루어지는 도어락의 데드볼트에 결합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엑시트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슬라이드축은
    중공형태를 가지며, 외주연부에 나선형 홈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엑시트 디바이스.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슬라이드축은
    소정 직경을 갖는 제2슬라이드축 몸체와;
    상기 제2슬라이드축 몸체의 단부에 구비된 것으로, 외주연부에 요철홈이 반복되게 구비되는 가운데 상기 제2슬라이드축 몸체의 직경보다 크게 구비되며, 축방향에 직각되는 방향으로 핀홀이 관통되게 구비된 슬라이드 헤드; 및
    상기 슬라이드 헤드가 데드볼트에 삽입되어 고정핀에 의하여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엑시트 디바이스.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바에서 슬라이드바 몸체의 데드볼트 방향 단부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도어락의 일측에 형성된 회동부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회동부에 인접하는 영역에서 상기 돌출부와 접하여, 상기 슬라이드바의 전진후퇴에 따라서 상기 회동부를 중심으로 상하 회동하는 제동편;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엑시트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편의 두께는 회동부 방향으로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시트 디바이스.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바 몸체 내부는 중공형태로서, 상기 제1슬라이드축이 중공내부에서 슬라이드바 몸체 내주연을 따라서 유동가능하며, 상기 제1슬라이드축의 말단부의 직경은 제1슬라이드축의 중간부분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되어 상기 제1슬라이드축이 상기 슬라이드바 몸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제1슬라이드축 중에서 슬라이드바 몸체 내부에 있는 영역 및 상기 말단부 사이에는 제1스프링이 탄설되어 있어 상기 제1슬라이드축의 유동에 따라서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시트 디바이스.
  12. 엑시트 디바이스용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엑시트 디바이스는, 도어패널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가압에 의하여 푸싱되고, 푸싱부에 의하여 디바이스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드 왕복 이동되도록 구비된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에 일측이 결합되는 슬라이드바; 및 상기 슬라이드바의 타측에 데드볼트가 결합되어 도어의 록킹·언록킹이 이루어지는 도어락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락의 일측에 설치되어 데드볼트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허용하는 제동편;
    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엑시트 디바이스용 도어락.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편은,
    상기 슬라이드 바에 인접하여 형성된 회동부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회동부에 인접하는 영역에서, 상기 슬라이드바에서 슬라이드바 몸체의 데드볼트 방향 단부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접하여, 상기 슬라이드바의 전진후퇴에 따라서 상기 회동부를 중심으로 상하 회동하고, 슬라이드바가 전진후퇴하지 않으면 그 단부 또는 일부가 데드볼트를 지지하여 데드볼트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시트 디바이스용 도어락.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편의 두께는 회동부 방향으로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시트 디바이스.
PCT/KR2022/017504 2021-11-17 2022-11-09 엑시트 디바이스 도어락 및 이를 구비하는 엑시트 디바이스 WO202309074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959A KR20230072341A (ko) 2021-11-17 2021-11-17 엑시트 디바이스
KR10-2021-0158959 2021-11-17
KR1020220138985A KR20240058345A (ko) 2022-10-26 2022-10-26 엑시트 디바이스용 도어락
KR10-2022-0138985 2022-10-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90748A1 true WO2023090748A1 (ko) 2023-05-25

Family

ID=86397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7504 WO2023090748A1 (ko) 2021-11-17 2022-11-09 엑시트 디바이스 도어락 및 이를 구비하는 엑시트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309074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9988A (en) * 1988-04-06 1989-06-20 Thomas Industries Inc. Panic exit device
US6820905B1 (en) * 2000-07-26 2004-11-23 Detex Corporation Vertical panic exit device
KR100874595B1 (ko) * 2007-08-17 2008-12-19 청 장 패닉디바이스
EP2439363A2 (de) * 2010-10-05 2012-04-11 EVVA Sicherheitsschlösser GmbH Panikdruckstange
US20190048618A1 (en) * 2017-08-08 2019-02-14 Schlage Lock Company Llc Door hardware noise reduction and evalua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9988A (en) * 1988-04-06 1989-06-20 Thomas Industries Inc. Panic exit device
US6820905B1 (en) * 2000-07-26 2004-11-23 Detex Corporation Vertical panic exit device
KR100874595B1 (ko) * 2007-08-17 2008-12-19 청 장 패닉디바이스
EP2439363A2 (de) * 2010-10-05 2012-04-11 EVVA Sicherheitsschlösser GmbH Panikdruckstange
US20190048618A1 (en) * 2017-08-08 2019-02-14 Schlage Lock Company Llc Door hardware noise reduction and eval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69680B2 (ja) 入り口バリアのための保安システム
KR100721455B1 (ko) 시스템창호 개폐장치
US5203596A (en) Lock assembly for a sliding window, or the like
US6216391B1 (en) Quick-release grating incorporating pulleys and cables
WO2010068042A2 (ko) 푸쉬풀식 디지털 도어록 장치
WO2023090748A1 (ko) 엑시트 디바이스 도어락 및 이를 구비하는 엑시트 디바이스
US4598495A (en) Security enclosure for a door frame
WO2024090763A1 (ko) 엑시트 디바이스용 도어락
KR20000006103U (ko) 방범을 위한 미닫이창의 열림방지장치
KR20230072341A (ko) 엑시트 디바이스
KR102523037B1 (ko) 창문 개폐용 안전장치
US4185859A (en) Door opening system
US4126342A (en) Security device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a door
WO2006033566A2 (en) Basic mechanical automatic door's lock with central gearbox
KR101312234B1 (ko)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KR200438043Y1 (ko) 도어용 핸들 장치
CN217631805U (zh) 具有锁孔防护功能的门锁
KR102226822B1 (ko) 창호용 잠금 장치
KR102290788B1 (ko) 누름 방식으로 개방하는 창호용 잠금장치
JPS634795Y2 (ko)
KR100619292B1 (ko) 미서기 잠금장치
JPH0543187Y2 (ko)
JP2510462Y2 (ja) 面格子
JP3203044B2 (ja) 非常用進入口の操作部構造
KR100524594B1 (ko) 도어 자동 잠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9595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