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6432B1 - 엑시트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엑시트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6432B1
KR102676432B1 KR1020210158959A KR20210158959A KR102676432B1 KR 102676432 B1 KR102676432 B1 KR 102676432B1 KR 1020210158959 A KR1020210158959 A KR 1020210158959A KR 20210158959 A KR20210158959 A KR 20210158959A KR 102676432 B1 KR102676432 B1 KR 102676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pushing
door
coupled
slid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8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2341A (ko
Inventor
이승원
Original Assignee
이승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원 filed Critical 이승원
Priority to KR1020210158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6432B1/ko
Priority to PCT/KR2022/017504 priority patent/WO2023090748A1/ko
Publication of KR20230072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2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6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64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1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anic or emergency doors
    • E05B65/1046Panic bars
    • E05B65/1053Panic bars sliding towards and away form the do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1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anic or emergency doors
    • E05B65/1046Panic bars
    • E05B65/106Panic bars pivoting
    • E05B65/1073Panic bars pivoting the pivot axis being substantially pe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b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0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3/0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bolt
    • E05C3/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bolt the handle or member moving essentially towards or away from the plane of the wing 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3/0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bolt
    • E05C3/1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bolt the handle or member moving essentially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wing or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엑시트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패널에 삽입된 디바이스 프레임과; 상기 디바이스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된 것으로, 푸싱부의 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충격력이 흡수 완화되도록 구비된 댐퍼부와; 상기 댐퍼부의 양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누룰 수 있도록 구비된 푸싱부와; 상기 타측의 푸싱부에 의하여 디바이스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드 왕복 이동되도록 구비된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에 일측이 결합된 것으로, 도어의 록킹·언록킹이 이루어지는 도어락의 데드볼트에 타측이 결합되도록 구비된 슬라이드바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데드볼트를 갖는 도어락이 구비된 도어의 내부에 누르는 부분을 제외한 모두가 매립되도록 함으로써, 심플하게 보여지도록 하여 인테리어의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엑시트 디바이스{EXIT DEVICE}
본 발명은 엑시트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데드볼트를 갖는 도어락이 구비된 도어의 내부에 누르는 부분을 제외한 모두가 매립되도록 함으로써, 심플하게 보여지도록 하여 인테리어의 효과를 높일 수 있고, 데드볼트의 출입을 위한 푸시바 등 개폐수단의 작동구조도 새롭게 구성된 엑시트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록(door-lock) 장치는 출입문의 문짝 일변에 설치된 래치를 문틀에 설치된 스트라이커속으로 출입시키는 장치이다.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래치가 탄성에 의해서 스트라이커속으로 삽입되어 문짝이 저절로 열리지 않도록 회전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가 된다. 그리고, 출입자가 문짝에 설치된 손잡이를 돌려주면, 여기에 연결되어 있는 사각봉 형태의 레버 스핀들이 래치를 회동시켜서 잠금 상태가 해제되고, 문짝을 앞으로 밀어주면 도어가 열린다.
도어록 장치는 매우 간단한 출입문 개폐 구조로서 평소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겠지만, 반드시 사용자가 손잡이를 돌려주어야 하기 때문에 화재나 지진과 같이 많은 사람이 한꺼번에 출입구로 몰리는 긴급한 비상상황에서는 신속한 탈출에 장애가 될 뿐만 아니라, 자칫하면 끔찍한 인명사고를 일으키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 그래서, 건물 입구의 출입문이나 비상구 등 에는 비상 탈출 장치인 엑시트 디바이스(exit device)를 설치한다.
엑시트 디바이스는 문짝 안쪽 중간 부위에 푸시바(push bar)가 설치되어 있어서 굳이 손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푸시바를 밀어주기만 하면 문짝에 설치된 래치의 잠금상태가 해제되고, 푸시바를 밀어주는 힘에 의해서 도어가 저절로 열리게 된다. 따라서, 비상시에는 종래의 도어록 장치에 비해 훨씬 신속하고 용이하게 재난 현장을 탈출할 수 있다.
엑시트 디바이스는 림 타입(rim type)과, 모티스 타입(mortise type), 그리고 버티컬 타입(vertical type) 등으로 분류되는데, 이중에서 모티스 타입은 문짝 일변에 매설되어 래치를 회동시키는 모티스록 유닛과, 문짝 안쪽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푸시바 유닛이 서로 분리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 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10-2028575호(2019.09.27.)의 패닉 디바이스용 헤드어셈블리가 제안되었고, 제안된 헤드어셈블리는 비상계단실의 피난문 또는 방화문에 적용되는 패닉디바이스용 헤드어셈블리를 구성함에 있어 시건 작동 매커니즘을 구현하는 일련의 구성을 간소화하면서 래치볼트의 무단해제를 방지하는 구성을 탑재하여 안전하고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나, 푸시바가 피난문 또는 방화문의 전면으로 노출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투박해 보이는 문제점이 있었고, 작동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028575호(2019.09.27.)
본 발명은 누르는 부분을 제외한 모두가 도어락이 구비된 도어의 내부에 매립되도록 하여 도어의 외관이 심플하게 보여질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이를 통해 인테리어의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작동시 도어락의 신속한 해제와 해제시 도어락이 천천히 작동할 수 있도록 하여 진동 또는 충격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어패널에 삽입된 디바이스 프레임과; 상기 디바이스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된 것으로, 푸싱부의 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충격력이 흡수 완화되도록 구비된 댐퍼부와; 상기 댐퍼부의 양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누룰 수 있도록 구비된 푸싱부와; 상기 타측의 푸싱부에 의하여 디바이스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드 왕복 이동되도록 구비된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에 일측이 결합된 것으로, 도어의 록킹·언록킹이 이루어지는 도어락의 데드볼트에 타측이 결합되도록 구비된 슬라이드바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 프레임은 ""형태를 갖는 프레임부재의 양측 내부에 ""형태를 갖는 프레임보강부재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댐퍼부는 랙기어를 갖는 슬라이드 장공이 구비된 댐퍼 플레이트와; 상기 랙기어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를 가지며,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이 감속되도록 구비된 감속부와; 상기 댐퍼 플레이트와 이격되는 가운데 디바이스 프레임에 고정된 것으로, ""형태의 모서리에 각각 완충부재가 구비된 고정 완충부; 및 상기 완충부재의 고정 완충부에 맞닿는 것으로, 상기 댐퍼 플레이트의 양측에 대응되게 구비된 완충부재를 갖는 가동 완충부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푸싱부는 디바이스 프레임에 고정된 푸싱지지편과; 상기 푸싱지지편에 제1힌지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푸싱아암과; 상기 푸싱아암의 중간에 제2힌지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단부에 스프링의 일측이 걸려지게 구비된 제3힌지축에 연결되도록 구비된 경사 아암과; 상기 푸싱아암의 단부에 제4힌지축으로 결합된 푸싱편;및 상기 스프링의 타측이 상기 제1힌지축에 걸려지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는 ""형태를 갖는 슬라이더 몸체; 및 상기 슬라이더 몸체의 단부에 전방을 향하여 직각되게 절곡된 것으로, 상하 로드 결합홀이 구비된 로드 결합편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바는 걸림홈을 가지며, 너트가 결합되도록 구비된 슬라이드바 몸체와; 상기 슬라이드바 몸체에 결합된 제1슬라이드축과; 상기 제1슬라이드축에 끼워진 제1스프링에 가압되도록 끼워진 ""형태를 갖도록 구비된 핸들 회전편과; 상기 핸들 회전편에 맞대어진 것으로, 제2슬라이드축이 관통되게 끼워진 제3슬라이드축에 결합되도록 구비된 슬라이드 가이드편과; 상기 제3슬라이드축의 외주연부에 끼워진 제2스프링; 및 상기 제3슬라이드축을 관통한 제2슬라이드축이 도어의 록킹·언록킹이 이루어지는 도어락의 데드볼트에 결합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슬라이드축은 중공형태를 가지며, 외주연부에 나선형 홈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슬라이드축은 소정 직경을 갖는 제2슬라이드축 몸체와; 상기 제2슬라이드축 몸체의 단부에 구비된 것으로, 외주연부에 요철홈이 반복되게 구비되는 가운데 상기 제2슬라이드축 몸체의 직경보다 크게 구비되며, 축방향에 직각되는 방향으로 핀홀이 관통되게 구비된 슬라이드 헤드; 및 상기 슬라이드 헤드가 데드볼트에 삽입되어 고정핀에 의하여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바에서 슬라이드바 몸체의 데드볼트 방향 단부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도어락의 일측에 형성된 회동부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회동부에 인접하는 영역에서 상기 돌출부와 접하여, 상기 슬라이드바의 전진후퇴에 따라서 상기 회동부를 중심으로 상하 회동하는 제동편;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동편의 두께는 회동부 방향으로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바 몸체 내부는 중공형태로서, 상기 제1슬라이드축이 중공내부에서 슬라이드바 몸체 내주연을 따라서 유동가능하며, 상기 제1슬라이드축의 말단부의 직경은 제1슬라이드축의 중간부분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되어 상기 제1슬라이드축이 상기 슬라이드바 몸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제1슬라이드축 중에서 슬라이드바 몸체 내부에 있는 영역 및 상기 말단부 사이에는 제1스프링이 탄설되어 있어 상기 제1슬라이드축의 유동에 따라서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누르는 부분을 제외한 모두가 도어의 내부로 매립되도록 함으로써, 단순하게 보여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공간 활용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인테리어의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푸싱부의 압력 내지는 동작이 댐퍼부에 의하여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작동시 도어락의 신속한 해제와 해제시 도어락이 천천히 작동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진동 또는 충격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수명이 연장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데드볼트의 출입을 제한하는 제동편이 슬라이드바의 전후 이동에 따라서 상하로 회동되도록 구성하여, 푸시바를 작동시킬 때에는 데드볼트를 유동시킬 수 있도록 제동편이 상부로 회동하는 대신, 푸시바를 작동시키지 않고, 인위적으로 데드볼트만을 가압하여 문을 개방하려고 할 때에는 제동편이 데드볼트의 움직임을 제한함으로써, 푸시바를 작동시키지 않고는 문을 개방할 수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바 몸체 내부를 중공형으로 형성하여 데드볼트의 도어 전후 방향전환을 위하여 데드볼트를 가압하는 경우에, 제1슬라이드축이 슬라이드바 몸체 내부에서 자유롭게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푸시바의 가압없이도 데드볼트가 후퇴 및 전진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써 데드볼트의 도어 전후 방향전환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엑시트 디바이스가 적용된 도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엑시트 디바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엑시트 디바이스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엑시트 디바이스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엑시트 디바이스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6는 본 발명에 따른 엑시트 디바이스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엑시트 디바이스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엑시트 디바이스의 요부를 확대하여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시트 디바이스의 제동편 움직임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시트 디바이스의 제동편 움직임을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슬라이드바 몸체의 단면도와 함께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엑시트 디바이스는 누르는 부분을 제외한 모두가 도어의 내부로 매립되도록 하여 심플하게 보여질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작동시 도어락의 신속한 해제와 해제시 도어락이 천천히 작동될 수 있도록 하여 진동 또는 충격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엑시트 디바이스가 적용된 도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엑시트 디바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엑시트 디바이스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엑시트 디바이스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엑시트 디바이스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6는 본 발명에 따른 엑시트 디바이스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엑시트 디바이스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엑시트 디바이스의 요부를 확대하여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시트 디바이스의 제동편 움직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시트 디바이스의 제동편 움직임을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슬라이드바 몸체의 단면도와 함께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엑시트 디바이스는 도1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 프레임(100), 댐퍼부(200), 푸싱부(300), 슬라이더(400) 및 슬라이드바(500)가 포함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디바이스 프레임(100)은 도어패널(P)에 삽입되어 댐퍼부(200), 푸싱부(300), 슬라이더(400) 및 슬라이드바(500)가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으로, ""형태를 갖는 프레임부재(110)로 양측단부의 내측에 각각 ""형태를 갖는 프레임보강부재(120)가 끼워지게 결합되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비된다.
상기 댐퍼부(200)는 푸싱부(300)의 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충격력이 흡수 완화되도록 상기 디바이스 프레임(10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댐퍼부(200)는 댐퍼 플레이트(210), 감속부(220), 고정 완충부(230) 및 가동 완충부(240)가 포함된 것으로, 상기 댐퍼 플레이트(210)는 중간 부분에 랙기어(211)를 갖는 슬라이드 장공(212)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감속부(220)는 랙기어(211)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221)를 가지며, 상기 피니언 기어(221)의 회전이 감속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피니언 기어(221)의 감속은 스프링식이나 유압식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댐퍼부(200)에 의하여 푸싱부의 압력 내지는 동작이 댐퍼부에 의하여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작동시 도어락의 신속한 해제와 해제시 도어락이 천천히 작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 완충부(230)는 댐퍼 플레이트(210)가 슬라이드 왕복 이동되는 과정에서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댐퍼 플레이트(210)와 이격되게 ""형태의 모서리에 각각 완충부재(CS)가 구비되어 상기 디바이스 프레임(100)에 고정된다.
상기 가동 완충부(240)는 완충부재(CS)의 고정 완충부(230)에 맞닿는 것으로, 상기 댐퍼 플레이트(210)의 양측에 대응되게 구비된 완충부재(CS)를 갖도록 구비됨으로써, 작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으로 인한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푸싱부(300)는 댐퍼부(200)의 양측에 구비되어 단부에 구비된 푸싱바(PB)를 사용자가 누름과 동시에 연동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으로, 디바이스 프레임(100)에 푸싱지지편(310)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푸싱지지편(310)에 제1힌지축(321)으로 회동 가능하게 푸싱아암(320)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푸싱아암(320)의 중간에 제2힌지축(331)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단부에 스프링(340)의 일측이 걸려지게 구비된 제3힌지축(332)에 연결되도록 경사 아암(33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푸싱아암(320)의 단부에 제4힌지축(351)으로 푸싱편(350)이 결합되는 가운데 상기 스프링(340)의 타측이 상기 제1힌지축(321)에 걸려질 수 있게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더(400)는 푸싱부(300)의 타측에 의하여 디바이스 프레임(100)을 따라 슬라이드 왕복 이동되도록 구비된 것으로, 슬라이드바(500)가 연동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형태를 갖는 슬라이더 몸체(410) 및 상하 로드 결합홀(421)이 구비된 로드 결합편(420)이 상기 슬라이더 몸체(410)의 단부에 전방을 향하여 직각되게 절곡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상하 로드 결합홀(421)은 설치 과정에서 도어 잠금부가 상하로 바뀌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슬라이드바(500)는 도어락(R)의 데드볼트(D)를 밀거나 당겨 언록킹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더(400)에 일측이 결합되는 가운데 타측이 도어의 록킹·언록킹이 이루어지는 도어락(R)의 데드볼트(D)에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슬라이드바(500)는 걸림홈(511)을 가지며, 너트(512)가 결합되도록 구비된 슬라이드바 몸체(510)에 제1슬라이드축(520)이 결합되고, 상기 제1슬라이드축(520)에 끼워진 제1스프링(SP1)에 가압되도록 ""형태를 갖는 핸들 회전편(530)이 끼워지도록 구비된다.
또한, 제2슬라이드축(540)이 관통되게 끼워진 제3슬라이드축(550)에 결합되도록 구비된 슬라이드 가이드편(560)이 상기 핸들 회전편(530)에 맞닿게 구비되고, 상기 제3슬라이드축(550)의 외주연부에 제2스프링(SP2)이 끼워지는 가운데 상기 제3슬라이드축(550)을 관통한 제2슬라이드축(540)이 도어의 록킹·언록킹이 이루어지는 도어락(R)의 데드볼트(D)에 결합된다.
상기 제2슬라이드축(540)은 소정 직경을 갖는 제2슬라이드축 몸체(541)의 단부에 슬라이드 헤드(544)가 구비된 것으로, 상기 슬라이드 헤드(544)는 외주연부에 요철홈(542)이 반복되게 구비되는 가운데 상기 제2슬라이드축 몸체(541)의 직경보다 크게 구비되며, 축방향에 직각되는 방향으로 핀홀(543)이 관통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슬라이드 헤드(544)는 데드볼트(D)에 삽입되어 고정핀(545)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상기 제3슬라이드축(550)은 중공형태를 가지며, 외주연부에 나선형 홈(551)이 구비됨으로써, 작동중 마찰 저항이 발생되는 것을 줄이는 가운데 별도의 윤활유가 주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6과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바(500)의 데드볼트(D) 방향 단부에는 돌출부(513)가 마련되는데, 돌출부(513)는 적어도 1개이고, 데드볼트(D)의 후퇴시 데드볼트(D)의 푸시바(PB) 방향면(후위부)과 접촉하여 데드볼트(D)의 유동을 제한함으로써, 문이 열리지 않도록 하는 제동편(570)이 마련된다.
상기 제동편(570)은 도어락(R)의 일측에 형성된 회동부(571)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평상시에는 상기 데드볼트(D)의 유동시 제동편(570)의 단부가 데드볼트(D)와 맞닿도록 수평으로 위치되며, 푸시바(PB)를 가압하는 경우, 회동부(571)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데드볼트(D)의 자유로운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동편(570)은 푸시바(PB)의 가압에 따른 슬라이드바(500)의 전후 이동시, 돌출부(513)가 제동편(570)의 회동부(571) 방향(푸시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동편(570)이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작용한다.
이를 위해서는 제동편(570)의 돌출부(513)와 맞닿는 면이 단차구조를 갖게 된다. 즉, 데드볼트(D) 방향으로부터 푸시바(PB) 방향으로 제동편(570)의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며, 바람직하게는 단계적으로 두꺼워지고, 돌출부(513)는 두께가 달라지는 변위점의 전후를 이동하면서 제동편(570)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작용한다.
이 경우, 푸시바(PB)를 작동시키지 않고, 인위적으로 데드볼트(D)만을 가압하여 문을 개방하려고 할 때에는 제동편(57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지 않아 데드볼트(D)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작용하며, 따라서 푸시바(PB)를 작동시키지 않고는 문을 개방할 수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10은 도9와 제동편의 움직임은 동일하나, 도9에서 제1스프링(SP1)이 슬라이드바 몸체(510)의 외부에 위치한다면 도10에서는 제1스프링(SP1-1)이 슬라이드바 몸체(510)의 내부에 위치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 경우는 푸시바(PB)를 작동시키지 않고 데드볼트(D)를 가압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 것이다. 슬라이드바 몸체(510) 내부로 인입된 제1슬라이드축(520)은 말단부가 직경이 슬라이드바 몸체(510)의 제1슬라이드축(520) 인입부 직경에 비하여 더 커서 제1슬라이드축(520)이 슬라이드바 몸체(510) 외부로 탈락하지 않으며, 이로써 제1슬라이드축(520)은 슬라이드바 몸체(510)의 내부에서 좌우로 유동한다. 이 때, 제1슬라이드축(520)의 말단부가 스토퍼의 역할을 하면서 제1스프링(SP1-1)이 제1슬라이드축(52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탄성력을 작용하도록 기능한다. 데드볼트(D)가 내측으로 가압될 때 제2탄성스프링(SP2)는 압축하며, 제1슬라이드축(520)은 슬라이드바 몸체(510)의 내부에서 제1스프링(SP1-1)이 인장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슬라이드축(520)이 이동가능한 것은 슬라이드바 몸체(510)의 내부에 공간부(51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공간부(514)로 인하여 슬라이드바 몸체(510)의 내부에서 제1스프링(SP1-1)이 자유롭게 유동될 수 있다. 데드볼트(D) 가해졌던 힘이 해소되면 제1스프링(SP1-1)이 원상으로 복귀되면서 제1슬라이드축(520)이 데드볼트(D)의 원래 위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는 슬라이드바 몸체(510) 내부를 중공형으로 형성하여 데드볼트(D)의 도어 전후 방향전환을 위하여 데드볼트(D)를 가압하는 경우에, 제1슬라이드축(520)이 슬라이드바 몸체 내부에서 자유롭게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푸시바의 가압없이도 데드볼트(D)가 후퇴 및 전진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써 데드볼트(D)의 도어 전후 방향전환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데드볼트(D)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이 만곡되어 있고, 일면은 평면상태로 구성되어 있는데, 도어를 닫을 때, 데드볼트(D)의 만곡된 면이 가압되면서 전진 후퇴할 수 있도록하며, 이러한 만곡된 면이 필요에 따라서 도어의 전면을 향할 수도 있고, 후면을 향할 수도 있는데, 이를 자유롭게 전환 가능하도록 하여야 하는 바, 이를 위해서는 데드볼트(D)가 도어락 내에서 자유롭게 전후진 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슬라이드바 몸체(510) 내부를 중공형으로 구현하고, 제1슬라이드축(520)이 이를 통하여 자유롭게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한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디바이스 프레임 200:댐퍼부
210:댐퍼 플레이트 211:랙기어
212:슬라이드 장공 220:감속부
221:피니언 기어 230:고정 완충부
240:가동 완충부 300:푸싱부
310:푸싱지지편 320:푸싱아암
340:스프링 330:경사 아암
350:푸싱편 400:슬라이더
410:슬라이더 몸체 420:로드 결합편
421:상하 로드 결합홀 500:슬라이드바
510:슬라이드바 몸체 520:제1슬라이드축
530:핸들 회전편 540:제2슬라이드축
560:슬라이드 가이드편 570 : 제동편

Claims (11)

  1. 도어패널에 삽입된 디바이스 프레임과;
    상기 디바이스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된 것으로, 푸싱부의 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충격력이 흡수 완화되도록 구비된 댐퍼부와;
    상기 댐퍼부의 양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구비된 푸싱부와;
    상기 푸싱부에 의하여 디바이스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드 왕복 이동되도록 구비된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에 일측이 결합된 것으로, 도어의 록킹·언록킹이 이루어지는 도어락의 데드볼트에 타측이 결합되도록 구비된 슬라이드바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드바는
    걸림홈을 가지며, 너트가 결합되도록 구비된 슬라이드바 몸체와;
    상기 슬라이드바 몸체에 결합된 제1슬라이드축과;
    상기 제1슬라이드축에 끼워진 제1스프링에 가압되도록 끼워진 ""형태를 갖도록 구비된 핸들 회전편과;
    상기 핸들 회전편에 맞대어진 것으로, 제2슬라이드축이 관통되게 끼워진 제3슬라이드축에 결합되도록 구비된 슬라이드 가이드편과;
    상기 제3슬라이드축의 외주연부에 끼워진 제2스프링; 및
    상기 제3슬라이드축을 관통한 제2슬라이드축이 도어의 록킹·언록킹이 이루어지는 도어락의 데드볼트에 결합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엑시트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프레임은
    ""형태를 갖는 프레임부재의 양측 내부에 ""형태를 갖는 프레임보강부재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엑시트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는
    랙기어를 갖는 슬라이드 장공이 구비된 댐퍼 플레이트와;
    상기 랙기어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를 가지며,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이 감속되도록 구비된 감속부와;
    상기 댐퍼 플레이트와 이격되는 가운데 디바이스 프레임에 고정된 것으로, ""형태의 모서리에 각각 완충부재가 구비된 고정 완충부; 및
    상기 완충부재의 고정 완충부에 맞닿는 것으로, 상기 댐퍼 플레이트의 양측에 대응되게 구비된 완충부재를 갖는 가동 완충부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엑시트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부는
    디바이스 프레임에 고정된 푸싱지지편과;
    상기 푸싱지지편에 제1힌지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푸싱아암과;
    상기 푸싱아암의 중간에 제2힌지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단부에 스프링의 일측이 걸려지게 구비된 제3힌지축에 연결되도록 구비된 경사 아암과;
    상기 푸싱아암의 단부에 제4힌지축으로 결합된 푸싱편;및
    상기 스프링의 타측이 상기 제1힌지축에 걸려지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엑시트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형태를 갖는 슬라이더 몸체; 및
    상기 슬라이더 몸체의 단부에 전방을 향하여 직각되게 절곡된 것으로, 상하 로드 결합홀이 구비된 로드 결합편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엑시트 디바이스.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슬라이드축은
    중공형태를 가지며, 외주연부에 나선형 홈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엑시트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슬라이드축은
    소정 직경을 갖는 제2슬라이드축 몸체와;
    상기 제2슬라이드축 몸체의 단부에 구비된 것으로, 외주연부에 요철홈이 반복되게 구비되는 가운데 상기 제2슬라이드축 몸체의 직경보다 크게 구비되며, 축방향에 직각되는 방향으로 핀홀이 관통되게 구비된 슬라이드 헤드; 및
    상기 슬라이드 헤드가 데드볼트에 삽입되어 고정핀에 의하여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엑시트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바에서 슬라이드바 몸체의 데드볼트 방향 단부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도어락의 일측에 형성된 회동부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회동부에 인접하는 영역에서 상기 돌출부와 접하여, 상기 슬라이드바의 전진후퇴에 따라서 상기 회동부를 중심으로 상하 회동하는 제동편;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엑시트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편의 두께는 회동부 방향으로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시트 디바이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바 몸체 내부는 중공형태로서, 상기 제1슬라이드축이 중공내부에서 슬라이드바 몸체 내주연을 따라서 유동가능하며, 상기 제1슬라이드축의 말단부의 직경은 제1슬라이드축의 중간부분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되어 상기 제1슬라이드축이 상기 슬라이드바 몸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제1슬라이드축 중에서 슬라이드바 몸체 내부에 있는 영역 및 상기 말단부 사이에는 제1스프링이 탄설되어 있어 상기 제1슬라이드축의 유동에 따라서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시트 디바이스.
KR1020210158959A 2021-11-17 2021-11-17 엑시트 디바이스 KR102676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959A KR102676432B1 (ko) 2021-11-17 2021-11-17 엑시트 디바이스
PCT/KR2022/017504 WO2023090748A1 (ko) 2021-11-17 2022-11-09 엑시트 디바이스 도어락 및 이를 구비하는 엑시트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959A KR102676432B1 (ko) 2021-11-17 2021-11-17 엑시트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341A KR20230072341A (ko) 2023-05-24
KR102676432B1 true KR102676432B1 (ko) 2024-06-19

Family

ID=86541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8959A KR102676432B1 (ko) 2021-11-17 2021-11-17 엑시트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643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722Y1 (ko) * 2000-09-07 2001-02-15 김판중 철제가구의 서랍용 괘정판 설치구조
JP2009185451A (ja) * 2008-02-04 2009-08-20 Itoki Corp 鍵と可動体との管理システム
US20190048618A1 (en) * 2017-08-08 2019-02-14 Schlage Lock Company Llc Door hardware noise reduction and evalua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9988A (en) * 1988-04-06 1989-06-20 Thomas Industries Inc. Panic exit device
EP2439363B1 (de) * 2010-10-05 2019-11-20 Glutz AG Panikdruckstange
KR102028575B1 (ko) 2018-09-28 2019-10-04 동성산업 주식회사 패닉디바이스용 헤드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722Y1 (ko) * 2000-09-07 2001-02-15 김판중 철제가구의 서랍용 괘정판 설치구조
JP2009185451A (ja) * 2008-02-04 2009-08-20 Itoki Corp 鍵と可動体との管理システム
US20190048618A1 (en) * 2017-08-08 2019-02-14 Schlage Lock Company Llc Door hardware noise reduction and eval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341A (ko) 2023-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69680B2 (ja) 入り口バリアのための保安システム
US3910613A (en) Panic proof lock set
US4225163A (en) Panic device actuator
US3083560A (en) Locking mechanism and panic actuating device
RU2336402C2 (ru) Выдвигающееся многозапорное зам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усиленного типа
PT1431481E (pt) Fechadura
KR102676432B1 (ko) 엑시트 디바이스
US4028917A (en) Key retaining cylinder for a lock
KR102687045B1 (ko) 엑시트 디바이스용 도어락
US7017379B1 (en) Remote-controlled burglary preventing door lock
KR20240058345A (ko) 엑시트 디바이스용 도어락
US6948345B1 (en) Lock enhancement arrangement
US4126342A (en) Security device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a door
WO2019155499A1 (en) Peripheral assembly for multipoint locks
AU2012201867B2 (en) Lock body
WO2023090748A1 (ko) 엑시트 디바이스 도어락 및 이를 구비하는 엑시트 디바이스
US4395063A (en) Self-interlocking dead bolt assembly
KR102076160B1 (ko) 잠금과 풀림이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무락형 핸들 조립체
EP2980339B1 (en) Electromechanical lock
JP4138218B2 (ja) ガードロック用受金具
US1764807A (en) Doorlock
CN105658884A (zh) 用于在三个区域中与圆筒凸轮一起使用的榫眼锁组件
RU2176012C2 (ru) Дверной замок
NZ599121B (en) Lock body
IL120146A (en) Security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