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9888B1 - 패닉릴리즈형 도어록의 개방장치 - Google Patents

패닉릴리즈형 도어록의 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9888B1
KR101059888B1 KR1020090104855A KR20090104855A KR101059888B1 KR 101059888 B1 KR101059888 B1 KR 101059888B1 KR 1020090104855 A KR1020090104855 A KR 1020090104855A KR 20090104855 A KR20090104855 A KR 20090104855A KR 101059888 B1 KR101059888 B1 KR 101059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door
slide plate
door lock
open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4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8165A (ko
Inventor
정명훈
Original Assignee
(주)코스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스모 filed Critical (주)코스모
Priority to KR1020090104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9888B1/ko
Publication of KR20110048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8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9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9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latc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8Sliding handles, e.g. push butt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화관이나 극장 또는 매장 등과 같이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의 도어에 설치되어 실내측으로부터 실외측으로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도록 한 패닉릴리즈형 도어록의 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잠금상태 여부에 관계없이 실내측에 제공된 개방장치의 푸쉬레버나 패닉릴리즈바를 밀게 되면, 그 즉시 도어의 개방이 가능토록 하는 한편, 도어가 잠겨져 있는 상태에서는 실외측에서 도어를 임의대로 개방시킬 수 없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도어록의 사용에 따른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화재와 같은 위급상황시에는 실내에 있던 사람들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실외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개방장치의 작동이 푸쉬레버와 연계된 하나의 슬라이드판에 의하여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개방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단순화시켜 개방장치의 고장이나 오작동을 방지토록 함은 물론, 패닉릴리즈형 도어록 장치의 제조원가를 절감시키는 측면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한 패닉릴리즈형 도어록의 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패닉릴리즈(Panic release), 도어록, 래칫, 데드볼트, 개방장치

Description

패닉릴리즈형 도어록의 개방장치{Opening device for a panic release type door-lock}
본 발명은 도어의 잠금상태 여부에 관계없이 실내측에 제공된 개방장치의 푸쉬레버나 패닉릴리즈바를 밀게 되면, 그 즉시 도어의 개방이 가능토록 하는 한편, 도어가 잠겨져 있는 상태에서는 실외측에서 도어를 임의대로 개방시킬 수 없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도어록의 사용에 따른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화재와 같은 위급상황시에는 실내에 있던 사람들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실외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한 패닉릴리즈형 도어록의 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를 통한 사람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도어는 실내공간을 구획하는 벽체상에 도어프레임 즉, 문틀과 함께 설치되며, 상기 도어에는 실내로의 상시출입이 가능토록 하는 한편, 필요시 도어를 잠그어 실내로의 출입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록이 설치되는 바, 상기 도어록의 대표적인 예로서 레버형 도어록을 들 수 있다.
상기 도어록에는 도어의 실내측과 실외측에 구비된 도어레버를 사용하여 평상시 도어를 수시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래칫과, 도어의 실내측 또는 실외측 에서 잠금레버나 열쇠 등을 사용하여 도어를 잠글 수 있도록 하는 데드볼트가 설치되며, 래칫과 연계되어 도어록에 설치되는 메카니즘을 통상 개폐수단이라고 하고, 데드볼트와 연계되어 도어록에 설치되는 메카니즘을 통상 잠금수단이라고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도어록을 도어에 설치한 경우, 실내에 있던 사람들이 도어를 열고 실외측으로 나가기 위해서는 데드볼트에 의한 잠금상태가 우선적으로 해제되어야 하기 때문에, 반드시 도어의 실내측에 구비된 잠금레버 등을 사용하여 도어록의 잠금상태를 1차 해제시킨 다음, 도어의 실내측에 구비된 도어레버를 회전시켜 래칫을 작동시켜야만이 도어를 열고 실외측으로 나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실내측에서 도어를 열고 실외측으로 나가기 위해서는 최소 두 단계 이상의 레버조작을 거쳐야 하는 바, 실내에 화재 등의 위급상황이 발생할 경우 사람들이 순간적으로 판단력을 상실하게 되므로, 실내측의 도어레버만을 회전시켜 탈출을 시도하거나, 실내측에 구비된 잠금레버를 오작동시키는 등의 실수를 행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화재 등의 위급상황시 실외로 신속하게 대피하지 못하여 인명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높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실내에 화재 등의 위급상황이 발생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도어록이 해정상태(잠금해제상태)로 자동 세팅되도록 하거나, 실내측의 도어레버를 회전시킬 경우 데드볼트와 래칫이 동시에 작동되어 도어록의 잠금해정 및 도어의 개방이 가능토록 한 패닉릴리즈(Panic release)형 도어록 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패닉릴리즈형 도어록 장치는 그 내부구조가 매우 복잡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고장이나 오작동이 발생할 우려가 높게 됨으로서, 화재와 같은 위급상황시 도어록 장치의 고장이나 오작동으로 말미암아 실내에 있던 사람들이 제때에 탈출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인명피해가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며, 패닉릴리즈형 도어록 장치의 가격 또한 고가이므로 사용자들로 하여금 상당한 금전적 부담을 안겨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영화관이나 극장 또는 매장 등과 같이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의 출입문과 같은 도어에 있어서는, 상영시간이나 영업시간이 종료되어 사람이 모두 나간 이후에 실외측에서만 도어를 잠글 수 있도록 하면 되는 데, 이러한 도어에 고가의 패닉릴리즈형 도어록을 설치하는 것은 매우 비경제적이며, 이러한 이유로 통상의 도어록을 설치하는 것은 안전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패닉릴리즈형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도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는 도어레버가 회전방식의 레버가 됨으로서, 화재와 같은 위급상황시 도어에 맨 처음 도달한 사람이 도어레버를 회전시켜 도어를 열기 이전에, 그 뒤로 밀려오는 사람들의 체중과 눌림에 의하여 도어레버를 제대로 조작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위급상황시 도어를 통한 신속한 탈출이 어렵게 됨으로서 인명피해를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패닉릴리즈형 도어록의 개방장치는, 도어의 잠금상태 여부에 관계 없이 실내측에 제공된 개방장치의 푸쉬레버나 패닉릴리즈바를 밀게 되면, 그 즉시 도어의 개방이 가능토록 하는 한편, 도어가 잠겨져 있는 상태에서는 실외측에서 도어를 임의대로 개방시킬 수 없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도어록의 사용에 따른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화재와 같은 위급상황시에는 실내에 있던 사람들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실외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개방장치의 작동이 푸쉬레버와 연계된 하나의 슬라이드판에 의하여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개방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단순화시켜 개방장치의 고장이나 오작동을 방지토록 함은 물론, 패닉릴리즈형 도어록 장치의 제조원가를 절감시키는 측면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패닉릴리즈형 도어록의 개방장치는, 도어의 실내측에 설치되는 장치케이스와; 상기 장치케이스에 조립 설치되는 장치커버와; 상기 장치케이스의 중앙부에 조립된 레버축을 중심으로 각운동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장치커버의 레버삽입공을 통하여 실내측으로 연장되는 푸쉬레버와; 상기 장치케이스의 전방 내측면과 밀착되어 푸쉬레버의 작동에 따라 상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드판과; 상기 장치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슬라이드판을 하측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수단;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장치케이스의 내측 상부에는 도어록 어셈블리의 데드볼트를 작동시키는 해정레버가 장치케이스의 전방측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해정레버의 후단부에는 캠핀이 돌출 형성된 레버캠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레버캠의 캠핀은 장치케이스의 내측에 고정된 링크핀을 중심으로 힌지식으로 각운동하는 링크대의 가이드장공으로 삽입 설치되는 한편, 상기 장치케이스의 내측 하부에는 도어록 어셈블리의 래칫을 작동시키는 개폐레버가 슬라이드판과 장치케이스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개폐레버의 후단부에는 캠핀을 구비하는 레버캠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레버캠의 캠핀은 슬라이드판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판의 상단측에는 푸쉬레버의 작동에 따라 링크대를 밀어 올리는 해정단부가 돌출 형성되고, 슬라이드판의 상부측에는 푸쉬레버의 상단측 푸쉬암이 하측면에 걸리는 레버지지턱이 돌출 형성되며, 슬라이드판의 하부측 중앙부에는 상기 개폐레버가 삽입되는 가이드장공이 형성되고, 슬라이드판의 하부측 측면부에는 개폐레버용 레버캠의 캠핀이 상측면에 걸리는 날개 형상의 걸림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패닉릴리즈형 도어록의 개방장치는, 상기 장치케이스의 내부에 슬라이드판의 상,하 이동을 지지하는 가이드봉과, 슬라이드판의 레버지지턱 하방에 위치하여 푸쉬레버의 회전반경을 제한하는 레버지지봉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프링수단은, 슬라이드판의 하단측에서 슬라이드판에 고정 설치되는 스프링축과, 상기 스프링축에 감겨져 설치되는 비틀림스프링과, 장치케이스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비틀림스프링의 자유단부를 지지하는 스프링지지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개방장치와 인접한 도어의 실내측에는 푸쉬레버를 구비하는 보조개방장치가 개방장치와 평행하게 설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개방장치와 보조개방장치에 구비된 각각의 푸쉬레버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패닉릴리즈바에 의하여 연결 설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록의 잠금상태 여부에 관계없이 실내측에 제공된 개방장치의 푸쉬레버를 밀기만 하면, 도어록의 잠금상태에서는 도어록 어셈블리의 래칫과 데드볼트가 동시에 작동하여 도어록의 해정 및 도어의 개방이 즉시 가능하게 되고, 도어록의 해정상태에서는 래칫의 작동에 의한 도어의 개방이 당연히 가능하게 됨으로서, 화재와 같은 위급상황시에도 실내에 있던 사람들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실외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다른 한편으로, 실외측에서 열쇠를 사용하여 도어록을 잠금상태로 세팅하여 놓은 경우에는, 실외측의 도어레버를 회전시키더라도 도어를 열 수 없게 되고, 도어록의 잠금상태가 해제된 경우에 한하여 실외측의 도어레버로 래칫을 작동시켜 도어를 열 수 있게 됨으로서, 인가되지 아니한 외부의 사람이 도어를 개방하여 실내측으로 들어올 수 없기 때문에 도어의 사용에 따른 안전성 또한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실내측에 제공된 푸쉬레버가 회전방식의 레버가 아닌 푸싱방식의 레버가 됨으로서, 화재와 같은 위급상황시 도어를 향하여 많은 사람들이 밀려 들어와 매우 난잡한 상황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도어를 미는 사람들의 체중에 의하여 푸쉬레버가 용이하게 밀려 들어가서 개방장치가 작동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위급상황시 도어를 통한 신속한 탈출을 보다 더 확실하게 보장하여 인명피해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푸쉬레버에 의한 슬라이드판의 작동으로 도어록의 잠금해정 및 도어의 개방을 동시에 확실히 수행할 수 있는 매우 간단한 구조의 개방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개방장치를 포함하는 패닉릴리즈형 도어록의 제조원가를 절감시키면서도, 개방장치의 고장이나 오작동을 방지하여 위급상황시의 대피기능을 보장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영화관이나 극장 또는 매장 등의 출입문에 적용할 수 있는 경제성과 안전성을 두루 갖춘 도어록 제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보조개방장치를 도어의 실내측에 추가로 설치하여 개방장치의 푸쉬레버 및 보조개방장치의 푸쉬레버를 패닉릴리즈바로 연결시킨 경우에는, 그 길이가 길게 되는 패닉릴리즈바에 의하여 도어의 개방작업을 보다 더 확실하게 보장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위급상황시 실내에 있던 사람들이 보다 더 신속하고 안전하게 실외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개방장치(10)를 포함하는 패닉릴리즈형 도어록(1)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미도시된 도어의 측면부 중앙에 매입(埋入)식으로 설치되는 도어록 어셈블리(2)와, 도어의 실외측(도면상 좌측부)에서 도어록 어셈블리(2)와 조립 설치되는 도어레버(6) 및 키뭉치(7)와, 도어의 실내측(도면상 우측부)에서 도어록 어셈블리(2)와 조립 설치되는 개방장치(10)로 이 루어진다.
상기 도어록 어셈블리(2)는, 도어의 내측으로 매입되는 사각 형상의 도어록케이스(3)와, 도면상 상기 도어록케이스(3)의 전방면에 설치되어 도어의 측면부와 맞대어져 조립되는 백플레이트(3a)와, 상기 백플레이트(3a)를 통하여 출몰 작동됨으로서 도어의 상시 개폐작업을 수행하는 래칫(4) 및 도어의 잠금과 해정(잠금해제) 조작을 수행하는 데드볼트(5)로 이루어진다.
도어의 실외측에서 도어록 어셈블리(2)와 조립되는 상기 도어레버(6)에는 도어레버(6)를 회전시킨 다음 도어레버(6)를 손에서 놓게 되면 도어레버(6)가 원위치로 자동 복원되도록 하는 코일스프링 형상의 복원스프링(6a)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키뭉치(7)에는 도어록케이스(3)를 통하여 노출된 잠금레버공(5a)으로 삽입되는 잠금레버(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키뭉치(7)를 통하여 열쇠를 삽입시킨 다음 열쇠를 회전시키게 되면, 잠금레버공(5a)에 삽입된 상기 잠금레버(8)가 도어록(1)의 잠금 또는 해정방향으로 회전하여 데드볼트(5)를 출몰시키게 되며, 상기 키뭉치(7)는 도어의 실외측 벽체를 통하여 도어의 내측으로 삽입됨으로서 열쇠구멍만이 외부로 노출되는 한편, 도어록케이스(3)와 조립되는 키뭉치커버(9)에 의하여 보호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방장치(10)는 푸쉬레버(12)가 구비된 상태로 도어의 실내측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동시에, 해정레버(13) 및 개폐레버(14)에 의하여 도어록케이스(3)와 연결 설치되며, 상기 해정레버(13)는 키뭉치(7)의 잠금레버(8)와 함께 도어록케이스(3)의 잠금레버공(5a)으로 삽입 설치되고, 상기 개폐레버(14)는 래 칫(4)의 출몰작동을 위하여 도어록케이스(3)에 제공된 개폐레버공(4a)을 관통하여 도어레버(6)와 연결 설치된다.
종래의 기술내용에서 한 차례 언급되어진 바와 같이, 도어록케이스(3)의 내부에는 잠금레버(8) 또는 해정레버(13)의 회전에 따라 데드볼트(5)를 출몰시키는 메카니즘과, 개폐레버(14)의 회전에 따라 래칫(4)을 출몰시키는 메카니즘이 각각 제공되며, 이러한 메카니즘은 도어록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인 동시에, 도어록을 제조하는 회사별로 다양한 메카니즘이 존재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패닉릴리즈형 도어록(1)의 개방장치(10)는 도 2 및 도 3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어의 실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장치케이스(15)와, 상기 장치케이스(15)의 외측면에 덮개 형상으로 조립 설치되는 장치커버(11)를 기초로 하여 설치되는 것이지만, 장치케이스(15)와 장치커버(11)의 외관 형상 및 그 조립상태는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푸쉬레버(12)는 장치케이스(15)의 중앙부에서 장치케이스(15)의 좌,우 측벽 사이에 가로지게 조립된 레버축(12a)을 중심으로 하여 힌지식의 각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장치케이스(15)의 전방(도 2에서 좌측 방향) 내측면에는 푸쉬레버(12)의 작동에 따라 상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드판(16)이 장치케이스(15)와 밀착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푸쉬레버(12)에 의한 슬라이드판(16)의 상방향 이동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방장치(10)의 전체적인 작동이 수행되며, 상기 레버축(12a)은 도 3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장치케이스(15)의 좌,우 측벽에 제공 된 축조립부(15c)를 통하여 삽입 설치되며, 레버축(12a)과 푸쉬레버(12)의 사이에는 푸쉬레버(12)의 회전작동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부싱(12c)이 개재되어 있다.
상기 푸쉬레버(12)는 레버축(12a)과 조립되는 상단측 부분이 장치케이스(15)의 내부로 삽입되는 한편, 그 후방측(도 2에서 우측) 부분은 장치커버(11)에 형성된 레버삽입공(11a)을 관통하여 실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레버축(12a)의 전방측에 해당하는 푸쉬레버(12) 부분은 슬라이드판(16)을 상부 방향으로 밀어내는 푸쉬암(12b)으로 형성된다.
이와 더불어, 장치케이스(15)의 내측 상부에는 도어록 어셈블리(2)의 데드볼트(5)를 작동시키는 해정레버(13)가 장치케이스(15)의 전방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바, 도면상 상기 해정레버(13)는 도어록케이스(3)의 잠금레버공(5a)으로 삽입되는 열십자(+) 형상의 막대 부분과, 장치케이스(15)의 전방 벽체를 관통하여 장치케이스(15)의 내부로 삽입되는 원형 막대 부분으로 나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치케이스(15)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해정레버(13)의 원형 막대 부분, 도면상 해정레버(13)의 후단부측에는 캠핀(13b)이 돌출 형성된 레버캠(13a)이 해정레버(13)와 일체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해정레버(13)가 장치케이스(15)상에 안전하게 조립 및 회전 지지될 수 있도록 레버와셔(20)와 스냅링(21)이 장치케이스(15)의 외측에서 해정레버(13)를 따라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해정레버(13)가 관통되는 부위와 인접한 장치케이스(15)의 내측면에는 링크핀(17a)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링크핀(17a)에는 링크대(17)가 힌지식으로 각운동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는 바, 상기 링크대(17)는 레버캠(13a)의 후방면에 놓여지는 한편, 링크대(17)의 자유단부측에는 레버캠(13a)의 캠핀(13b)이 삽입되는 가이드장공(17c)이 절개 형성되어 있다.
도면상 상기 링크대(17)는 개략 "ㅅ"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링크핀(17a)은 고정나사(17b)에 의하여 장치케이스(15)에 고정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슬라이드판(16)이 링크대(17)를 밀어내어 해정레버(13)를 레버캠(13a)과 함께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링크대(17) 자체의 형상은 임의대로 변경이 가능하며, 링크핀(17a) 또한 고정나사(17b)를 사용하지 않고 다른 여러 가지 방식으로 장치케이스(15)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장치케이스(15)의 내측 하부에는 도어록 어셈블리(2)의 래칫(4)을 작동시키는 개폐레버(14)가 슬라이드판(16)과 장치케이스(15)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바, 상기 개폐레버(14) 역시 마찬가지로 도어록케이스(3)의 개폐레버공(4a)으로 삽입되는 사각 형상의 막대 부분과, 장치케이스(15) 및 슬라이드판(16)을 관통하는 원형 막대 부분으로 나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치케이스(15)와 슬라이드판(16)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개폐레버(14)의 원형 막대 부분, 도면상 개폐레버(14)의 후단부측에도 캠핀(14b)이 형성된 레버캠(14a)이 개폐레버(14)상에 고정 설치되지만, 해정레버(13)용 레버캠(13a)과는 달리 개폐레버(14)용 레버캠(14a)의 캠핀(14b)은 슬라이드판(16)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드판(16)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레버캠(14a)의 캠핀(14b) 에 의하여, 슬라이드판(16)이 상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개폐레버(14)가 레버캠(14a)과 함께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기 개폐레버(14)에도 역시 마찬가지로 개폐레버(14)가 장치케이스(15)상에 안전하게 조립 및 회전 지지될 수 있도록 레버와셔(20)와 스냅링(21)이 각각 개재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푸쉬레버(12)의 작동에 따라 상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해정레버(13) 및 개폐레버(14)를 동시에 회전시키도록 한 상기 슬라이드판(16)은, 해정레버(13)가 설치되는 부분의 하부측에서 장치케이스(15)의 전방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드판(16)의 상단측에는 푸쉬레버(12)의 작동에 따라 링크대(17)를 밀어 올리는 해정단부(16b)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해정단부(16b)의 상단면은 해정레버(13)용 레버캠(13a)과 접촉되는 호형(弧形)의 홈으로 형성되며, 이로 인하여 해정레버(13)용 레버캠(13a)이 슬라이드판(16)의 이동폭을 제한하는 스토퍼(Stopper) 기능 또한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판(16)의 상부측에는 푸쉬레버(12)의 푸쉬암(12b)이 하측면에 걸리도록 하여 푸쉬레버(12)를 지지하는 레버지지턱(16a)이 돌출 형성됨으로서, 푸쉬레버(12)가 레버축(12a)을 중심으로 각운동 할 경우, 상기 푸쉬암(12b)이 슬라이드판(16)의 레버지지턱(16a)을 밀어 올려 슬라이드판(16) 전체를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레버지지턱(16a)의 직하방에 해당하는 슬라이드판(16)에는 사각 형상의 절개부(16e)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는 푸쉬암(12b)의 선단이 슬라이드판(16)에 걸 려 푸쉬레버(12)의 작동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는 여유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절개부(16e)를 형성시키지 아니하고 푸쉬암(12b)의 선단부를 라운드(Round)지게 형성시켜 푸쉬암(12b)이 슬라이드판(16)의 표면과 구름 접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슬라이드판(16)의 하부측 중앙부에는 상기 개폐레버(14)가 삽입되는 가이드장공(16d)이 형성되는 바, 상기 가이드장공(16d)은 슬라이드판(16)의 상방향 이동이 개폐레버(14)에 의하여 지장을 받지 않도록 슬라이드판(16)의 이동폭에 맞추어 절개 형성되며, 슬라이드판(16)의 하부측 측면부에는 개폐레버(14)용 레버캠(14a)의 캠핀(14b)이 상측면에 걸리는 날개 형상의 걸림단부(16c)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단부(16c)의 직상부측에 해당하는 슬라이드판(16)의 측면 부분에도 절개부(16e)가 형성되는 데, 이는 실내측 푸쉬레버(12)의 작동에 의하여 슬라이드판(16)이 상승될 경우에는 개폐레버(14)가 레버캠(14a)과 함께 회전될 수 있는 캠핀(14b)용 작동공간을 제공하는 한편, 도 1에서 실외측에 구비된 도어레버(6)를 회전시킬 경우에는 개폐레버(14)가 레버캠(14a)과 함께 헛돌 수 있는 여유공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실외측에서 열쇠를 사용하여 도어록(1)을 잠금상태로 세팅하여 놓은 경우에는, 실외측의 도어레버(6)를 회전시키더라도 슬라이드판(16)을 상승시킬 수 없으므로 도어를 열 수 없게 되고, 도어록(1)의 잠금상태가 해제된 경우에만 실외측의 도어레버(6)로 래칫(4)을 작동시켜 도어를 열 수 있게 되며, 실내측에서는 도 어록(1)의 잠금상태 여부에 관계없이 푸쉬레버(12)를 사용하여 도어를 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면상 슬라이드판(16)의 좌,우 양측에 걸림단부(16c)와 절개부(16e)를 형성시킨 이유는, 실외측에 설치되는 도어레버(6)의 회전 방향 즉, 개폐레버(14)용 레버캠(14a)의 캠핀(14b)이 놓여지는 방향에 관계없이 슬라이드판(16)을 본 발명의 개방장치(10)에 용이하게 적용시키기 위한 것이며, 이와는 달리 개폐레버(14)용 레버캠(14a)의 캠핀(14b)이 놓여지는 위치에만 걸림단부(16c)와 절개부(16e)를 형성시키더라도 무방하다.
이와 동일한 관점에서, 실외측에 설치되는 키뭉치(7)용 잠금레버(8)의 회전 방향, 즉 해정레버(13)용 레버캠(13a)의 캠핀(13b)이 놓여지는 위치 및 회전방향에 맞추어, 상기 링크대(17)와 링크핀(17a)이 설치되는 위치 또한 도 3에 도시된 것과 반대 방향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슬라이드판(16)의 하단측에는 스프링축(18a)이 슬라이드판(16)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축(18a)에는 비틀림스프링(18)이 감겨져 설치되는 한편, 걸림단부(16c)의 직하방에 해당하는 장치케이스(15)의 내측면에는 비틀림스프링(18)의 자유단부를 지지하는 스프링지지핀(19)이 설치됨으로서, 상기 비틀림스프링(18)에 의하여 슬라이드판(16)을 하방으로 당기는 탄성력이 제공된다.
도면상 스프링축(18a)의 상단측에는 비틀림스프링(18)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나사(18b)가 체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고정나사(18b) 이외에도 다른 여러 가지 방식을 사용하여 비틀림스프링(18)을 스프링축(18a)에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위에서 설명되어진 스프링수단은 본 발명의 개방장치(10)에 적용될 수 있는 하나의 대표적인 실시예를 제시한 것에 불과하며, 슬라이드판(16)을 하방으로 당기거나 밀어 내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면, 코일스프링이나 판스프링 또는 절곡스프링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스프링수단을 장치케이스(15)의 내부 임의 위치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장치케이스(15)의 내부에는 슬라이드판(16)의 상,하 이동을 지지하는 가이드봉(15b)과, 슬라이드판(16)의 레버지지턱(16a) 하방에 위치하여 푸쉬레버(12)의 회전반경을 제한하는 레버지지봉(15a)이 설치되는 바, 도면상 상기 가이드봉(15b)은 슬라이드판(16)의 상부측과 중앙부측에 걸쳐 2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레버지지봉(15a)은 푸쉬레버(12)의 푸쉬암(12b) 하측면과 밀착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봉(15b)은 스프링수단인 비틀림스프링(18)이 슬라이드판(16)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슬라이드판(16)의 상단측 해정단부(16b)가 후방측으로 밀려 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인 동시에, 푸쉬레버(12)와 비틀림스프링(18)에 의한 슬라이드판(16)의 상,하 이동을 보다 더 정확하게 안내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가이드봉(15b) 대신에 장치케이스(15)의 좌,우 측벽 하단에 가이드프레임 등을 설치하여, 상기 슬라이드판(16)이 가이드프레임의 하부측에 위치토록 설치할 수도 있고, 위에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푸쉬암(12b)의 선단부를 라운드지게 형성시켜 푸쉬암(12b)이 슬라이드판(16)의 표면과 구름 접촉되도록 한 경우에는, 별도의 가이드수단을 제공하지 않더라도 슬라이드판(16)의 정확한 작동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레버지지봉(15a)의 경우는 푸쉬레버(12)가 레버축(12a)을 중심으로 하여 실내측(도 2에서 우측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회전반경을 제한함으로서, 푸쉬레버(12)의 안정적인 조작 및 개방장치(1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이지만, 레버지지봉(15a)을 설치하지 않고 푸쉬레버(12)의 상단면이 장치커버(11)의 레버삽입공(11a)에 걸려 지지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레버지지봉(15a)이 설치되는 위치 또한 도면에 도시된 위치 이외의 다른 위치가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개방장치(10)를 패닉릴리즈형 도어록(1)과 함께 도어상에 설치하여 놓게 되면, 실내에 있던 사람이 실외측으로 나가고자 할 경우 실내측에 제공된 푸쉬레버(12)만을 밀게 되면, 도어록(1)의 잠금상태 여부에 관계없이 도어를 신속하게 개방시킬 수 있게 되며, 이러한 도어의 개방과정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실내에 있던 사람이 실외측으로 나가기 위하여 푸쉬레버(12)를 밀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쉬레버(12)가 레버축(12a)을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푸쉬레버(12)의 푸쉬암(12b)이 슬라이드판(16)의 레버지지턱(16a)을 밀어 올리게 됨으로서, 푸쉬레버(12)의 푸싱작동에 따라 슬라이드판(16) 전체가 상부로 밀려 올라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푸쉬레버(12)의 푸싱작동에 따라 슬라이드판(16)이 상부로 밀려 올라가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도어록(1)의 잠금 및 폐쇄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슬라이드판(16)의 해정단부(16b)는 해정레버(13)용 레버캠(13a)과 연결된 링크대(17)를 밀어 올리는 동시에, 슬라이드판(16)의 걸림단부(16c)는 개폐레버(14)용 레버캠(14a)의 캠핀(14b)을 밀어 올리게 된다.
이로 인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대(17)가 링크핀(17a)을 중심으로 도면상 상부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각운동하게 됨은 물론, 링크대(17)의 가이드장공(17c)에 캠핀(13b)이 삽입된 레버캠(13a) 또한 해정레버(13)와 함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서, 상기 해정레버(13)가 도어록 어셈블리(2)의 데드볼트(5)를 작동시켜 도어록(1)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판(16)의 걸림단부(16c)가 개폐레버(14)용 레버캠(14a)의 캠핀(14b)을 밀어 올림에 따라, 개폐레버(14) 또한 레버캠(14a)과 함께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서, 개폐레버(14)가 도어록 어셈블리(2)의 래칫(4)을 작동시켜 최종적으로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되며, 도어록(1)의 해정상태에서는 푸쉬레버(12)와 슬라이드판(16)에 의하여 개폐레버(14) 및 래칫(5)이 작동되므로 당연히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도어록(1)의 잠금상태 여부에 관계없이 실내측에 제공된 개방장치(10)의 푸쉬레버(12)를 밀기만 하면, 도어록(1)의 잠금상태에서는 도어록 어셈블리(2)의 래칫(4)과 데드볼트(5)가 동시에 작동하여 도어록(1)의 해정 및 도어의 개방이 즉시 가능하게 되고, 도어록(1)의 해정상태에서는 래칫(4)의 작동에 의한 도어의 개방이 당연히 가능하게 됨으로서, 화재와 같은 위급상황시에도 실내에 있던 사람들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실외로 대피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실외측에서 열쇠를 사용하여 도어록(1)을 잠금상태로 세팅하여 놓은 경우에는, 실외측의 도어레버(6)를 회전시키더라도 슬라이드판(16)을 상승시킬 수 없으므로 도어를 열 수 없게 되고, 도어록(1)의 잠금상태가 해제된 경우에만 실외측의 도어레버(6)로 래칫(4)을 작동시켜 도어를 열 수 있게 됨으로서, 인가되지 아니한 외부의 사람이 도어를 개방하여 실내측으로 들어올 수 없기 때문에 도어의 사용에 따른 안전성 또한 보장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실내측에 제공된 푸쉬레버(12)가 회전방식의 레버가 아닌 푸싱방식의 레버가 됨으로서, 화재와 같은 위급상황시 도어를 향하여 많은 사람들이 밀려 들어와 매우 난잡한 상황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도어를 미는 사람들의 체중에 의하여 푸쉬레버(12)가 용이하게 밀려 들어가서 개방장치(1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위급상황시 도어를 통한 신속한 탈출을 보다 더 확실하게 보장하여 인명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면 푸쉬레버(12)에 의한 슬라이드판(16)의 작동으로 도어록(1)의 잠금해정 및 도어의 개방을 동시에 확실히 수행할 수 있는 매우 간단한 구조의 개방장치(10)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개방장치(10)를 포함하는 패닉릴리즈형 도어록(1)의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으면서도, 개방장치(10)의 고장이나 오작동을 방지하여 위급상황시의 대피기능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영화관이나 극장 또는 매장 등과 같이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의 출입문에 본 발명의 개방장치(10)를 포함하는 패닉릴리즈형 도어록(1)을 설치 하게 되면, 상영시간이나 영업시간이 종료되어 사람이 모두 나간 이후 또는 상영시간 도중에 외부의 사람이 들어올 수 없도록 실외측에서 도어를 잠글 수 있는 한편, 위급상황시에는 실내에 있던 사람들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과 안전성을 두루 갖춘 도어록 제품을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5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장치(1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개방장치(10)와 인접한 도어의 실내측에 푸쉬레버(12)를 구비하는 보조개방장치(10a)를 개방장치(10)와 평행하게 설치하는 한편, 상기 개방장치(10)와 보조개방장치(10a)에 구비된 각각의 푸쉬레버(12)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패닉릴리즈바(22)에 의하여 연결 설치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보조개방장치(10a)를 도어의 실내측에 추가로 설치하여 개방장치(10)의 푸쉬레버(12) 및 보조개방장치(10a)의 푸쉬레버(12)를 패닉릴리즈바(22)로 연결시키게 되면, 그 길이가 길게 되는 패닉릴리즈바(22)에 의하여 도어의 개방작업을 보다 더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위급상황시 실내에 있던 사람들이 보다 더 신속하고 안전하게 실외로 대피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조개방장치(10a)는 도 1 내지 도 4를 기초로 하여 설명되어진 본 발명의 개방장치(10)에서 해정레버(13)와 개폐레버(14)만이 설치되지 아니한 형태가 될 수도 있고, 상기 개방장치(10)에서 장치케이스(15)와 장치커버(11) 및 레버축(12a)과 푸쉬레버(12)만이 설치된 형태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조개방장치(10a)를 설치하지 아니하고 본 발명에 따른 개방장치(10)의 푸쉬레버(12) 하단에 패닉릴리즈바(22)만을 추가로 설치할 수도 있는 바, 이 경우 푸쉬레버(12)는 패닉릴리즈바(22)의 중앙부에 연결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패닉릴리즈바(22)는 도면에서와 같이 봉 형상의 구조물이 될 수도 있고, 판상(板像)의 막대기형 구조물이 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장치와 도어록 어셈블리와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닉릴리즈형 도어록의 개방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장치의 작동전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방장치의 작동후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방장치의 다른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패닉릴리즈형 도어록 2 : 도어록 어셈블리 3 : 도어록케이스
3a : 백플레이트 4 : 래칫 4a : 개폐레버공
5 : 데드볼트 5a : 잠금레버공 6 : 도어레버
6a : 복원스프링 7 : 키뭉치 8 : 잠금레버
9 : 키뭉치커버 10 : 개방장치 10a : 보조개방장치
11 : 장치커버 11a : 레버삽입공 12 : 푸쉬레버
12a : 레버축 12b : 푸쉬암 12c : 부싱
13 : 해정레버 13a,14a : 레버캠 13b,14b : 캠핀
14 : 개폐레버 15 : 장치케이스 15a : 레버지지봉
15b : 가이드봉 15c : 축조립부 15d : 링크지지핀
16 : 슬라이드판 16a : 레버지지턱 16b : 해정단부
16c : 걸림단부 16d,17c : 가이드장공 16e : 절개부
17 : 링크대 17a : 링크핀 17b,18b : 고정나사
18 : 비틀림스프링 18a : 스프링축 19 : 스프링지지핀
20 : 레버와셔 21 : 스냅링 22 : 패닉릴리즈바

Claims (4)

  1.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록 어셈블리(2)의 래칫(4)과 데드볼트(5)를 작동시켜 실내측에서 실외측으로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도록 한 패닉릴리즈형 도어록(1)의 개방장치(10)에 있어서,
    상기 개방장치(10)는, 도어의 실내측에 설치되는 장치케이스(15)와; 상기 장치케이스(15)에 조립 설치되는 장치커버(11)와; 상기 장치케이스(15)의 중앙부에 조립된 레버축(12a)을 중심으로 각운동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장치커버(11)의 레버삽입공(11a)을 통하여 실내측으로 연장되는 푸쉬레버(12)와; 상기 장치케이스(15)의 전방 내측면과 밀착되어 푸쉬레버(12)의 작동에 따라 상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드판(16)과; 상기 장치케이스(15)의 내부에 설치되어 슬라이드판(16)을 하측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장치케이스(15)의 내측 상부에는 도어록 어셈블리(2)의 데드볼트(5)를 작동시키는 해정레버(13)가 장치케이스(15)의 전방측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해정레버(13)의 후단부에는 캠핀(13b)이 돌출 형성된 레버캠(13a)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레버캠(13a)의 캠핀(13b)은 장치케이스(15)의 내측에 고정된 링크핀(17a)을 중심으로 힌지식으로 각운동하는 링크대(17)의 가이드장공(17c)으로 삽입 설치되며,
    상기 장치케이스(15)의 내측 하부에는 도어록 어셈블리(2)의 래칫(4)을 작동시키는 개폐레버(14)가 슬라이드판(16)과 장치케이스(15)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 기 개폐레버(14)의 후단부에는 캠핀(14b)을 구비하는 레버캠(14a)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레버캠(14a)의 캠핀(14b)은 슬라이드판(16)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판(16)의 상단측에는 푸쉬레버(12)의 작동에 따라 링크대(17)를 밀어 올리는 해정단부(16b)가 돌출 형성되고, 슬라이드판(16)의 상부측에는 푸쉬레버(12)의 상단측 푸쉬암(12b)이 하측면에 걸리는 레버지지턱(16a)이 돌출 형성되며, 슬라이드판(16)의 하부측 중앙부에는 상기 개폐레버(14)가 삽입되는 가이드장공(16d)이 형성되고, 슬라이드판(16)의 하부측 측면부에는 개폐레버(14)용 레버캠(14a)의 캠핀(14b)이 상측면에 걸리는 날개 형상의 걸림단부(16c)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닉릴리즈형 도어록의 개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케이스(15)의 내부에는 슬라이드판(16)의 상,하 이동을 지지하는 가이드봉(15b)과, 슬라이드판(16)의 레버지지턱(16a) 하방에 위치하여 푸쉬레버(12)의 회전반경을 제한하는 레버지지봉(15a)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닉릴리즈형 도어록의 개방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수단은, 슬라이드판(16)의 하단측에서 슬라이드판(16)에 고정 설치되는 스프링축(18a)과, 상기 스프링축(18a)에 감겨져 설치되는 비틀림스프링(18)과, 장치케이스(15)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비틀림스프링(18)의 자유단부를 지지하는 스프링지지핀(19)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닉릴리즈형 도어록의 개방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장치(10)와 인접한 도어의 실내측에는 푸쉬레버(12)를 구비하는 보조개방장치(10a)가 개방장치(10)와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개방장치(10)와 보조개방장치(10a)에 구비된 각각의 푸쉬레버(12)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패닉릴리즈바(22)에 의하여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닉릴리즈형 도어록의 개방장치.
KR1020090104855A 2009-11-02 2009-11-02 패닉릴리즈형 도어록의 개방장치 KR101059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855A KR101059888B1 (ko) 2009-11-02 2009-11-02 패닉릴리즈형 도어록의 개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855A KR101059888B1 (ko) 2009-11-02 2009-11-02 패닉릴리즈형 도어록의 개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165A KR20110048165A (ko) 2011-05-11
KR101059888B1 true KR101059888B1 (ko) 2011-08-29

Family

ID=44239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4855A KR101059888B1 (ko) 2009-11-02 2009-11-02 패닉릴리즈형 도어록의 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98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7539B1 (ko) * 2021-10-08 2023-11-29 주식회사 에스제이아이 푸시풀 도어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6034A (en) 1987-07-09 1990-03-06 Constructions Electroniques de la Ferte-sousJouarre, SA Emergency door opening device
JP2001260993A (ja) 2000-03-16 2001-09-26 Mitsubishi Heavy Ind Ltd 非常脱出扉
JP2005213900A (ja) 2004-01-30 2005-08-11 Nabtesco Corp 非常脱出ドアの錠装置
JP2008138501A (ja) 2006-11-30 2008-06-19 Keico Hightech Inc ドアロック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6034A (en) 1987-07-09 1990-03-06 Constructions Electroniques de la Ferte-sousJouarre, SA Emergency door opening device
JP2001260993A (ja) 2000-03-16 2001-09-26 Mitsubishi Heavy Ind Ltd 非常脱出扉
JP2005213900A (ja) 2004-01-30 2005-08-11 Nabtesco Corp 非常脱出ドアの錠装置
JP2008138501A (ja) 2006-11-30 2008-06-19 Keico Hightech Inc ドアロッ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165A (ko) 201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69680B2 (ja) 入り口バリアのための保安システム
US20070029812A1 (en) Flush bolt with fliplock
CA2821821C (en) Electric door strike having a dead latch release platform actuated by a spring latch keeper and a spring latch lifter feature
JP2013213375A (ja) 非常用扉の開閉装置
US6641183B2 (en) Door latch device
EP0728887B1 (en) Locking mechanism
KR101059888B1 (ko) 패닉릴리즈형 도어록의 개방장치
KR100874595B1 (ko) 패닉디바이스
WO2021021107A1 (en) Door barricade with single motion egress
KR20110010936U (ko) 출입문 안전장치
RU2514487C1 (ru) Ограничитель просвета открывания створки
KR100706762B1 (ko)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
WO2006033566A2 (en) Basic mechanical automatic door's lock with central gearbox
KR20070103643A (ko) 방범 출입문
KR20000019120U (ko) 자동문의 비상 개방장치
KR100530698B1 (ko) 자동잠금식 레버형 도어록
KR200397159Y1 (ko) 출입문용 권취식 방충망의 열림방지구조
US20240102325A1 (en) Door Barricade with Single Motion Egress System
RU2177531C1 (ru) Защищенное от взлома автоматически запирающееся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держивания двери в прикрытом или частично приоткрытом положении
RU2161682C2 (ru) Дверной замок
US20220243508A1 (en) Door barricade with single motion egress system
CA3147617A1 (en) Door barricade with single motion egress system
RU2164281C1 (ru) Защищенное от взлома автоматически запирающееся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держивания двери в частично приоткрытом положении
US20190226251A1 (en) Locking Device to Secure a Door and Methods of Installing and Operating the Locking Device
BR102020026673A2 (pt) Sistemas antivandalismo para equipamentos e máquinári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