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7539B1 - 푸시풀 도어락 - Google Patents
푸시풀 도어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07539B1 KR102607539B1 KR1020210133686A KR20210133686A KR102607539B1 KR 102607539 B1 KR102607539 B1 KR 102607539B1 KR 1020210133686 A KR1020210133686 A KR 1020210133686A KR 20210133686 A KR20210133686 A KR 20210133686A KR 102607539 B1 KR102607539 B1 KR 1026075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lock
- movable frame
- operating lever
- push
- modul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75 auth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개시되는 발명은 도어의 안팎에 각각 설치되는 인바디 모듈과 아웃바디 모듈을 포함하는 푸시풀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인바디 모듈 및 아웃바디 모듈은 각각, 도어락 바디;와, 상기 도어락 바디에 형성된 모티스 홀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모티스 샤프트;와, 상기 도어락 바디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락 바디에 대한 상하운동을 상기 모티스 샤프트의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도록, 상기 모티스 샤프트와 연동하는 가동 프레임;과, 상기 도어락 바디에 고정되는 레버 샤프트에 결합하여 전후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고, 전후방향의 회동을 통해 상기 가동 프레임에 상하방향의 힘을 작용하도록 상기 가동 프레임과 연동하는 작동레버; 및 상기 가동 프레임과 상기 작동레버에 대해 복원력을 작용하는 탄성복원 기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푸시풀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서, 푸시풀 매커니즘을 슬림 타입으로 구현할 수 있는 푸시풀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락(Door Lock)은 보안성과 방범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해정키를 비롯하여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한 버튼키, 카드키, 지문인식 등 출입인가수단을 통해 도어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도어락은 전체 외관을 구성하는 바디와, 잠금장치인 모티스로 구성되어 도어를 개폐하게 된다. 이때, 도어락 바디는 보통 도어의 실외측 및 실내측에 각각 대향 설치되는 작동레버가 설치되고, 모티스는 작동레버와 연결되어 이 작동레버의 유동에 따라 동작되도록 구성되는데, 작동레버의 회동작용에 따라 데드볼트와 래치볼트를 유동시키면서 도어를 개폐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대부분의 도어락은 회동식 구조로서 도어 개폐를 위해 작동레버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야 했기 때문에, 양손에 물건을 들고 있는 경우나 기타 회전조작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을 때에는 도어를 개폐하기가 매우 불편하였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작동레버를 미는 푸시 조작과 당기는 풀 조작으로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푸시풀형 도어락이 점차 보급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푸시풀형 도어락에 대한 기술문헌으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88916호를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푸시풀형 도어락은 기존 회동식 도어락에 비해 구조상 작동레버가 움직일 수 있는 폭이 매우 작기 때문에 데드볼트를 유동시키기 위한 충분한 힘을 얻기 위해서는 상당히 복잡한 기계적 연결구조를 갖추어야만 하는 단점이 있었고, 복잡한 기계적 연결구조로 인하여 도어락 바디의 볼륨이 커질 수밖에 없는 구조적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푸시풀 도어락에 구비되는 푸시풀 매커니즘을 슬림 타입으로 구현할 수 있는 푸시풀 도어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도어의 안팎에 각각 설치되는 인바디 모듈과 아웃바디 모듈을 포함하는 푸시풀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인바디 모듈 및 아웃바디 모듈은 각각, 도어락 바디;와, 상기 도어락 바디에 형성된 모티스 홀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모티스 샤프트;와, 상기 도어락 바디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락 바디에 대한 상하운동을 상기 모티스 샤프트의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도록, 상기 모티스 샤프트와 연동하는 가동 프레임;과, 상기 도어락 바디에 고정되는 레버 샤프트에 결합하여 전후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고, 전후방향의 회동을 통해 상기 가동 프레임에 상하방향의 힘을 작용하도록 상기 가동 프레임과 연동하는 작동레버; 및 상기 가동 프레임과 상기 작동레버에 대해 복원력을 작용하는 탄성복원 기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림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가동 프레임은 상기 모티스 샤프트를 감싸는 장홀과, 상기 장홀에 인접하게 형성된 가동 홈을 포함하고, 상기 모티스 샤프트는 축심에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동 홈에 결합하는 가동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장홀 안에서 상기 가동 프레임이 상기 모티스 샤프트에 대해 상하운동을 하면, 상기 가동 홈에 대해 상기 가동 돌기가 연동하여 이동함으로써 상기 모티스 샤프트에 회전운동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레버와 상기 가동 프레임은 경사 접촉을 이루고, 이에 따라 상기 작동레버의 전후방향 회동이 상기 가동 프레임의 상하운동으로 변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인바디 모듈은, 상기 작동레버가 상기 도어락 바디에 대해 푸시 동작의 전후방향의 회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동 프레임의 하단에는 경사돌기가 구비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작동레버에는 상기 경사돌기에 접촉하는 돌출부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복원 기구는, 상기 작동레버의 푸시 동작에 대해 복원력을 작용하는 토션 스프링과, 상기 가동 프레임에 대해 하향 복원력을 작용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락 바디의 상단에는, 상기 작동레버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아웃바디 모듈은, 상기 작동레버가 상기 도어락 바디에 대해 풀 동작의 전후방향의 회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동 프레임의 상단에는 접촉부가 구비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작동레버에는 상기 접촉부에 접촉하는 경사 돌출부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복원 기구는, 상기 가동 프레임에 대해 상향 복원력을 작용하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락 바디의 상단에는, 상기 작동레버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푸시풀 도어락은, 가동 프레임의 스트로크가 모티스 샤프트의 회전을 직접적으로 야기하는 구조로서, 가동 프레임이 조금만 이동해도 즉각적으로 모티스 샤프트의 회전이 일어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푸시풀 도어락은 작동레버의 회동 각도를 크게 하지 않고도 데드볼트의 충분한 스트로크를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푸시풀 메커니즘은 푸시풀 도어락의 두께를 슬림하게 만드는 것을 가능케 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푸시풀 도어락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인바디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인바디 모듈에서 작동레버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인바디 모듈에 구비된 가동 프레임과 모티스 샤프트의 연동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인바디 모듈에 구비된 작동레버와 가동 프레임 사이의 연동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아웃바디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아웃바디 모듈에서 작동레버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아웃바디 모듈에 구비된 가동 프레임과 모티스 샤프트의 연동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아웃바디 모듈에 구비된 작동레버와 가동 프레임 사이의 연동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푸시풀 도어락이 도어의 안팎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인바디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인바디 모듈에서 작동레버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인바디 모듈에 구비된 가동 프레임과 모티스 샤프트의 연동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인바디 모듈에 구비된 작동레버와 가동 프레임 사이의 연동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아웃바디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아웃바디 모듈에서 작동레버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아웃바디 모듈에 구비된 가동 프레임과 모티스 샤프트의 연동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아웃바디 모듈에 구비된 작동레버와 가동 프레임 사이의 연동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푸시풀 도어락이 도어의 안팎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푸시풀 도어락(10)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푸시풀 도어락(10)은 도어의 안팎에 각각 설치되는 인바디 모듈(100)과 아웃바디 모듈(110)을 포함한다. 도어의 안쪽에 설치되는 인바디 모듈(100)은, 도어가 안에서 바깥으로 개방되는 것에 맞춰 작동레버(600)가 푸시 동작을 함으로써 도어가 개방된다. 반대로, 아웃바디 모듈(110)은 풀 동작을 함으로써 도어가 개방된다.
도 2 내지 도 5는 인바디 모듈(100)에 대한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9는 아웃바디 모듈(110)에 대한 도면이다. 인바디 모듈(100)과 아웃바디 모듈(110)이 각각 푸시 동작과 풀 동작에 적합하게 설계된 구성에 대해서는 해당하는 부분에서 설명할 것이며, 우선은 인바디 모듈(100)과 아웃바디 모듈(110)에 공통된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인바디 모듈(100)과 아웃바디 모듈(110)에서 공통적인 구성요소는 동일한 명칭과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인바디 모듈(100) 및 아웃바디 모듈(110)은 각각 도어락 바디(200)를 포함한다. 도어락 바디(200)는 도어에 고정되는 부분이며, 또한 내장되는 각종 부품을 설치, 장착하는 프레임의 역할을 한다. 인바디 모듈(100)과 아웃바디 모듈(110)의 도어락 바디(200)는 미관을 고려하여 전체적으로 동일 내지 대칭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모티스 샤프트(300)는 도어락의 데드볼트를 움직이는 동력을 제공하는 부품으로서, 모티스 샤프트(300)의 회전운동이 데드볼트를 시정 또는 해정위치로 이동시킨다. 모티스 샤프트(300)는 도어락 바디(200)에 형성된 모티스 홀(210)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가동 프레임(400)은 모티스 샤프트(300)와 연동하는 부품인데, 모티스 샤프트(300)에 인접하게 도어락 바디(200)에 장착되어 도어락 바디(200)에 대해 상하운동을 할 수 있으며, 또한 가동 프레임(400)에 의해 그 상하운동은 모티스 샤프트(300)의 회전운동으로 변환된다. 여기서, 전후, 상하 등의 상대적 위치는 본 발명의 푸시풀 도어락(10)이 도어에 장착된 상태 내지 방향을 기준으로 하며, 이는 도 1을 참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동 프레임(400)은 자신이 상하운동을 할 수 있고, 나아가 이러한 상하운동을 모티스 샤프트(300)의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일종의 변환기구의 역할을 한다. 가동 프레임(400)과 모티스 샤프트(300)의 연동은 인바디 모듈(100)에 대한 도 2 및 도 3, 그리고 아웃바디 모듈(110)에 대한 도 7 및 도 8에 나타나 있다. 가동 프레임(400)의 상하운동이 모티스 샤프트(300)의 회전운동으로 변환되는 메커니즘은 동일하므로, 인바디 모듈(100)에 대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동 프레임(400)은 모티스 샤프트(300)를 감싸는 장홀(410)을 구비한다. 가동 프레임(400)은 제자리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모티스 샤프트(300)에 대해 상하방향의 상대적인 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장홀(410)의 길이는 모티스 샤프트(300)에 대한 가동 프레임(400)의 스트로크에 대응한다.
또한, 가동 프레임(400)은 장홀(410)에 인접하게 형성된 가동 홈(420)을 포함하는데, 이에 대응하여 모티스 샤프트(300)는 축심에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는 가동 돌기(310)를 포함하며, 가동 돌기(310)는 가동 홈(420)에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가동 프레임(400)은 도어락 바디(200)에 대해 나사로 고정되는 지지 플레이트(450)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가동 프레임(400)과 모티스 샤프트(300)의 결합 구조에 의하면, 장홀(410) 안에서 가동 프레임(400)이 모티스 샤프트(300)에 대해 상하운동을 하면, 가동 프레임(400)의 가동 홈(420)에 대해 모티스 샤프트(300)의 가동 돌기(310)가 연동하여 이동함으로써 모티스 샤프트(300)는 제자리에서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가동 프레임(400)의 스트로크가 모티스 샤프트(300)의 회전을 직접적으로 야기하는 구조로서, 가동 프레임(400)이 조금만 이동해도 즉각적으로 모티스 샤프트(300)의 회전이 일어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푸시풀 도어락(10)은 작동레버(600)가 7°정도만 회동해도 모티스 샤프트(300)가 약 30°각도로 크게 돌아감으로써 데드볼트의 충분한 스트로크를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푸시풀 도어락(10)의 두께를 슬림하게 만드는데 큰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모티스 샤프트(300)의 회전을 위해서는 가동 프레임(400)의 상하방향 운동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가동 프레임(400)의 직선운동은 작동레버(600)에 의해 만들어진다. 작동레버(600)는 도어의 개폐를 위해 사용자가 푸시 조작 또는 풀 조작을 수행하는 레버로서, 결국 사용자가 작동레버(600)를 조작함으로써 가동 프레임(400)의 직선운동이 일어나게 된다.
작동레버(600)는 도어락 바디(200)에 고정되는 레버 샤프트(500)에 결합하여 전후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는데(푸시풀 조작), 작동레버(600)의 전후방향의 회동이 가동 프레임(400)에 상하방향의 힘으로 작용하는 연동구조는 도 5 및 도 9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인바디 모듈(100)에 구비된 작동레버(600)와 가동 프레임(400) 사이의 연동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아웃바디 모듈(110)에 구비된 작동레버(600)와 가동 프레임(400) 사이의 연동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기본적인 원리 내지 연동구조는 인바디 모듈(100)과 아웃바디 모듈(110)이 동등하고, 다만 가동 프레임(400)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이 서로 반대라는 점에 차이가 있을 뿐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레버(600)는 레버 샤프트 베어링(510)를 개재하여 레버 샤프트(500)에 결합하고, 레버 샤프트(500)는 볼트에 의해 도어락 바디(200)에 대해 고정된다. 따라서, 레버 샤프트 베어링(510)에 고정된 작동레버(600)는 도어락 바디(20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그리고, 작동레버(600)는 그 전후방향의 회동이 가동 프레임(400)에 상하방향의 힘을 작용하도록 상호 연동한다. 이러한 연동구조는 작동레버(600)와 가동 프레임(400)이 경사 접촉을 이루고, 이에 따라 작동레버(600)의 전후방향 회동은 경사 슬라이딩을 야기하고 이는 바로 가동 프레임(400)의 상하운동으로 변환된다.
전수한 바와 같이, 이러한 작동레버(600)와 가동 프레임(400) 사이의 연동은 기본적으로 인바디 모듈(100)과 아웃바디 모듈(110)이 동등하지만, 푸시 조작과 풀 조작에 적합하도록 경사 접촉이 일어나는 위치에는 차이가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해당 부분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탄성복원 기구(700)는 가동 프레임(400)과 작동레버(600)에 대해 복원력을 작용함으로써, 반복적인 도어 개폐가 가능케 하는 구성이다. 탄성복원 기구(700) 역시 푸시 조작과 풀 조작에 적합하게 설계되며, 이에 대해서는 인바디 모듈(100)과 아웃바디 모듈(110)의 경우에 대해 각기 설명하기로 한다.
이상의 설명은 인바디 모듈(100)과 아웃바디 모듈(110)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구성이며, 이하에서는 인바디 모듈(100)과 아웃바디 모듈(110)에서 서로 차이가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푸시풀 도어락(10)을 이루는 인바디 모듈(100)에 대한 도면이다. 인바디 모듈(100)은, 안에서 밖으로 열리는 도어 개폐에 적합하도록, 작동레버(600)가 도어락 바디(200)에 대해 푸시 동작의 전후방향의 회동을 하게 된다.
인바디 모듈(100)은 작동레버(600)를 밀었을 때 가동 프레임(400)이 충분히 움직이도록, 가동 프레임(400)의 하단에는 경사돌기(430)가 구비되고, 이에 대응하여 작동레버(600)에는 경사돌기(430)에 접촉하는 돌출부(610)가 구비된다. 이에 대한 구성은 도 5에 잘 나타나 있으며, 작동레버(600)와 가동 프레임(400) 사이의 경사 접촉에 의해, 작동레버(600)의 회동이 가동 프레임(400)의 상하이동으로 효과적으로 변환된다.
그리고, 이러한 작동레버(600)의 푸시 조작에 대해 복원력을 발생하기 위해서, 인바디 모듈(100)에는 탄성복원 기구(700)로서 두 종류의 스프링이 구비된다. 그 하나는 작동레버(600)의 푸시 동작에 대해 복원력을 작용하는 토션 스프링(710)으로서, 작동레버(600)의 상부에 위치한 토션 스프링(710)은 작동레버(600)가 눌렸을 때 원위치로 되돌리려는 복원력을 발생한다.
그리고, 다른 하나의 탄성복원 기구(700)는 가동 프레임(400)에 대해 하향 복원력을 작용하는 코일 스프링(712)이다. 푸시 조작이 끝난 작동레버(600)가 원위치로 돌아갈 때에 가동 프레임(400)에는 중력만이 작용하므로 마찰력이 과도한 경우에는 가동 프레임(400)의 복귀가 원활히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대비하여, 가동 프레임(400)을 원위치로 되돌리는 하향 복원력을 만들기 위한 코일 스프링(712)이 가동 프레임(400)과 도어락 바디(200) 사이에 개재된다.
그리고, 도어락 바디(200)의 상단에는 작동레버(600)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220)가 구비될 수 있다. 인바디 모듈(100)에서 작동레버(600)의 중립상태는 눌리지 않은 상태이므로, 인바디 모듈(100)에 구비되는 스토퍼(220)는 작동레버(600)가 원위치에 있도록 유지하는 구성이며, 도어락 바디(200) 상단의 스토퍼(220)에 작동레버(600)의 단부가 접촉한 상태가 중립상태에 해당한다.
한편, 본 발명의 푸시풀 도어락(10)을 이루는 아웃바디 모듈(110)은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되어 있으며, 아웃바디 모듈(110)은, 인바디 모듈(100)과는 반대로, 작동레버(600)가 도어락 바디(200)에 대해 풀 동작의 전후방향의 회동을 하게 된다.
아웃바디 모듈(110)은 작동레버(600)를 잡아당겼을 때 가동 프레임(400)이 효과적으로 움직이도록, 가동 프레임(400)의 상단에는 접촉부(440)가 구비되고, 이에 대응하여 작동레버(600)에는 접촉부(440)에 접촉하는 경사 돌출부(620)가 구비된다. 이에 대한 구성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작동레버(600)에 대한 풀 조작에 의해 경사 돌출부(620)는 가동 프레임(400)을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작동레버(600)의 풀 조작에 대해 복원력을 발생하기 위해서, 아웃바디 모듈(110)에는 탄성복원 기구(700)로서 가동 프레임(400)에 대해 상향 복원력을 작용하는 압축 스프링(720)을 포함하고 있다. 가동 프레임(400)과 도어락 바디(200) 사이에 개재된 압축 스프링(720)에 의해, 가동 프레임(400)에는 상방으로 밀어올리는 힘이 항시 작용한다. 따라서, 가동 프레임(400)에 대해 상향 복원력을 작용하는 압축 스프링(720)은, 작동레버(600)과 가동 프레임(400) 양자를 복원시키는 힘을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도어락 바디(200)의 상단에는 작동레버(600)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220)가 구비될 수 있다. 아웃바디 모듈(110)에서 작동레버(600)의 중립상태는 잡아당겨지지 않은 상태이므로, 아웃바디 모듈(110)에 구비되는 스토퍼(220)는 작동레버(600)의 풀 조작 최대치를 제한하는 구성이며, 도어락 바디(200) 상단의 스토퍼(220)에 작동레버(600)의 단부가 접촉한 상태가 풀 조작의 한계상태에 해당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푸시풀 도어락(10)이 도어(800)의 안팎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인바디 모듈(100)과 아웃바디 모듈(110)의 각 모티스 샤프트(300)는 별도의 축을 통해 데드볼트(810)에 연결되며, 이로써 모티스 샤프트(300)의 회전은 데드볼트(810)의 진퇴를 일으킴으로써 도어(800)의 개폐가 일어난다.
그리고,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작동레버(600)에 전자식 도어락이 결합한 것으로서, 전자식 도어락에 입력된 암호가 승인된 경우에만 데드볼트(800)가 움직이도록 구성된 하나의 예를 보여준다. 그러나, 본 발명의 푸시풀 도어락(10)에 구비된 기구구조는 아날로그식 도어락과도 결합할 수 있는 것이므로, 예시적으로 도시된 전자식 도어락으로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푸시풀 도어락
100: 인바디 모듈 110: 아웃바디 모듈
200: 도어락 바디 210: 모티스 홀
220: 스토퍼 300: 모티스 샤프트
310: 가동 돌기 400: 가동 프레임
410: 장홀 420: 가동 홈
430: 경사돌기 440: 접촉부
450: 지지 플레이트 500: 레버 샤프트
510: 레버 샤프트 베어링 600: 작동레버
610: 돌출부 620: 경사 돌출부
700: 탄성복원 기구 710: 토션 스프링
712: 코일 스프링 720: 압축 스프링
800: 도어 810: 데드볼트
100: 인바디 모듈 110: 아웃바디 모듈
200: 도어락 바디 210: 모티스 홀
220: 스토퍼 300: 모티스 샤프트
310: 가동 돌기 400: 가동 프레임
410: 장홀 420: 가동 홈
430: 경사돌기 440: 접촉부
450: 지지 플레이트 500: 레버 샤프트
510: 레버 샤프트 베어링 600: 작동레버
610: 돌출부 620: 경사 돌출부
700: 탄성복원 기구 710: 토션 스프링
712: 코일 스프링 720: 압축 스프링
800: 도어 810: 데드볼트
Claims (11)
- 도어의 안팎에 각각 설치되는 인바디 모듈과 아웃바디 모듈을 포함하는 푸시풀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인바디 모듈 및 아웃바디 모듈은 각각,
도어락 바디;
상기 도어락 바디에 형성된 모티스 홀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모티스 샤프트;
상기 도어락 바디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락 바디에 대한 상하운동을 상기 모티스 샤프트의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도록, 상기 모티스 샤프트와 연동하는 가동 프레임;
상기 도어락 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가동 프레임이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도어락 바디에 고정되는 레버 샤프트에 결합하여 전후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고, 전후방향의 회동을 통해 상기 가동 프레임에 상하방향의 힘을 작용하도록 상기 가동 프레임과 연동하는 작동레버; 및
상기 가동 프레임과 상기 작동레버에 대해 복원력을 작용하는 탄성복원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인바디 모듈의 작동레버는 푸시 동작에 따라 상기 도어락 바디에 대하여 전후방향의 회동을 하되, 상기 인바디 모듈의 가동 프레임의 하단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경사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인바디 모듈의 작동레버에는 상기 경사돌기의 경사면과 접촉되는 돌출부가 구비되어,푸시 동작에 따라 상기 인바디 모듈의 작동레버가 도어락 바디 측으로 회동되면, 상기 돌출부가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가동 프레임을 이동시키되,
상기 경사돌기의 바닥면은 상기 도어락 바디의 바닥 평면과 평행하여, 상기 작동레버가 도어락 바디 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경사면에 접촉하면서 작동레버의 힘이 경사면에 가해질 때 상기 경사돌기가 상기 도어락 바디의 바닥 평면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작동레버의 힘에 저항함으로써 상기 돌출부가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지는 것에 의해, 상기 도어락 바디의 바닥 평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경사돌기 및 상기 가동 프레임의 직선운동이 이뤄지며,
상기 인바디 모듈의 작동레버의 동작 각도는 1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도어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프레임은, 상기 모티스 샤프트를 감싸는 장홀과, 상기 장홀에 인접하게 형성된 가동 홈을 포함하고,
상기 모티스 샤프트는, 축심에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동 홈에 결합하는 가동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장홀 안에서 상기 가동 프레임이 상기 모티스 샤프트에 대해 상하운동을 하면, 상기 가동 홈에 대해 상기 가동 돌기가 연동하여 이동함으로써 상기 모티스 샤프트에 회전운동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도어락.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복원 기구는,
상기 작동레버의 푸시 동작에 대해 복원력을 작용하는 토션 스프링과,
상기 가동 프레임에 대해 하향 복원력을 작용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도어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바디의 상단에는, 상기 작동레버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도어락.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바디 모듈은,
상기 작동레버가 상기 도어락 바디에 대해 풀 동작의 전후방향의 회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도어락.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프레임의 상단에는 접촉부가 구비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작동레버에는 상기 접촉부에 접촉하는 경사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도어락.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복원 기구는,
상기 가동 프레임에 대해 상향 복원력을 작용하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도어락.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바디의 상단에는, 상기 작동레버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도어락.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3686A KR102607539B1 (ko) | 2021-10-08 | 2021-10-08 | 푸시풀 도어락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3686A KR102607539B1 (ko) | 2021-10-08 | 2021-10-08 | 푸시풀 도어락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50606A KR20230050606A (ko) | 2023-04-17 |
KR102607539B1 true KR102607539B1 (ko) | 2023-11-29 |
Family
ID=86128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33686A KR102607539B1 (ko) | 2021-10-08 | 2021-10-08 | 푸시풀 도어락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07539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64296B1 (ko) * | 2018-09-27 | 2020-01-09 | 빌드원 주식회사 | 방향전환이 용이한 푸시풀형 도어락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4820Y1 (ko) * | 1996-12-05 | 2002-10-1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도어용아웃사이드핸들의로드구동구조 |
KR200255456Y1 (ko) * | 1996-12-20 | 2002-01-15 | 이계안 | 자동차의 퓨얼필러 도어 잠금장치 |
KR101009906B1 (ko) * | 2009-06-02 | 2011-01-20 |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 가전제품용 도어락 장치 |
KR101059888B1 (ko) * | 2009-11-02 | 2011-08-29 | (주)코스모 | 패닉릴리즈형 도어록의 개방장치 |
KR200475874Y1 (ko) * | 2013-03-13 | 2015-01-09 |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 |
KR101902494B1 (ko) * | 2016-09-02 | 2018-10-01 | 주식회사 창문에안전 | 미닫이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 |
KR200488916Y1 (ko) | 2018-03-27 | 2019-04-05 | 주식회사 혜강씨큐리티 | 푸시풀 도어 락 장치 |
-
2021
- 2021-10-08 KR KR1020210133686A patent/KR10260753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64296B1 (ko) * | 2018-09-27 | 2020-01-09 | 빌드원 주식회사 | 방향전환이 용이한 푸시풀형 도어락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50606A (ko) | 2023-04-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01189B1 (ko) | 푸시풀 도어락 어셈블리 | |
US11821238B2 (en) | Push pad exit device for emergency door egress | |
KR101916103B1 (ko) | 잠금장치를 포함한 창호용 그립 손잡이 | |
EP2985397A1 (en) | Mortise lock | |
US7287787B1 (en) | Linear thumb-piece actuation latch mechanism | |
KR102388838B1 (ko) | 창호용 잠금장치 | |
KR102607539B1 (ko) | 푸시풀 도어락 | |
KR101598958B1 (ko) | 래치볼트 방향 설정 자동 변환 기능을 갖는 모티스락 | |
KR20200109073A (ko) | 개방이 용이한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 |
KR101256040B1 (ko) | 슬라이딩 도어 핸들 | |
KR101037203B1 (ko) | 개폐 기능이 개선된 디지털 도어록 장치 | |
WO2014107048A1 (ko) | 푸쉬-풀 도어락 | |
KR102178474B1 (ko) | 자동 단속구조의 가구용 도어핸들 잠금장치 | |
KR101891784B1 (ko) | 래치볼트가 임의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도어록 모티스 | |
EP3889380A1 (en) | Compact lock for internal doors and lock assembly | |
CN108756511B (zh) | 具有双向结构体的门锁插锁 | |
KR102149269B1 (ko) | 도어 결속장치 | |
US12054970B2 (en) | Push pad exit device for emergency door egress and vertical latch bolt assembly | |
JP4587141B2 (ja) | 施解錠機構 | |
KR102309326B1 (ko) | 록커를 이용한 보조열림기능이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 |
KR102026579B1 (ko) | 틸트형 창호 그립핸들 | |
JP2563529Y2 (ja) | 開閉障子の錠装置 | |
KR102076163B1 (ko) | 그립형태를 갖는 무락형 핸들 조립체 | |
KR102452230B1 (ko) | 푸시풀 핸들 조작이 가능한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 | |
JP4124501B2 (ja) | 引き戸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