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8478A - 도어용 오픈 스토퍼 - Google Patents

도어용 오픈 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8478A
KR20140028478A KR1020120094857A KR20120094857A KR20140028478A KR 20140028478 A KR20140028478 A KR 20140028478A KR 1020120094857 A KR1020120094857 A KR 1020120094857A KR 20120094857 A KR20120094857 A KR 20120094857A KR 20140028478 A KR20140028478 A KR 20140028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topper
stop key
rotary stopper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4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화
Original Assignee
전병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병화 filed Critical 전병화
Priority to KR1020120094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8478A/ko
Publication of KR20140028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84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5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or operated by electric or electro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여닫이 도어의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용 오픈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틀에 결합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고정편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편의 일측에는 비회전축을 결합 형성하며, 상기 비회전축에는 각기 비회전기어와 회전스토퍼를 삽입 형성하되, 상기 회전스토퍼에는 상기의 비회전기어와 간섭되게 한 멈춤키를 결합 형성함에 따라,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의 문틀을 이용하여 다양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상의 편리함은 물론 사용성이 뛰어난 것이고, 다양한 각도를 갖고 도어의 개방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므로 매우 효율적인 것이며, 인위적인 힘에 의해서는 자유롭게 도어를 닫을 수 있어 별도의 조작이나 번거로움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이고, 개방 상태의 도어가 바람 등에 의해 임의로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임의로 닫히는 도어에 의한 안전사고 및 소음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도어용 오픈 스토퍼 {Door open stopper}
본 발명은 각종 여닫이 도어의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용 오픈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편에 비회전축을 결합 형성하고, 상기 비회전축에는 비회전기어와 회전스토퍼를 각기 삽입 형성하되, 상기 회전스토퍼에는 비회전기어와 간섭되게 한 멈춤키를 스프링 탄력 설치함에 따라, 도어의 개방시 도어와 함께 회전되게 한 회전스토퍼의 멈춤키에 의해 개방된 도어가 바람 등에 의해 임의로 닫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도어용 오픈 스토퍼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출입문 중 여닫이 도어에 있어 문짝의 경우 문틀로부터 경첩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어 사용자의 인위적인 힘에 의해 문틀로부터 출입구를 회전 개폐하도록 만들어져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도어는 경첩에 대한 구조 및 기능이 점진적으로 개선 및 진보됨에 따라 더욱 부드러운 작동과 회전을 통해 출입구의 개방 또는 밀폐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인데, 상기와 같은 도어의 경우 유아나 영아 및 어린이들이 부주의하여 문짝과 문틀의 사이로 손가락이 끼이는 등의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것이기도 하다.
즉, 문틀을 잡고 유아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문짝이 닫히게 되면 문짝과 문틀 사이에 유아 및 어린이의 손가락이 끼이는 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고, 부주의로 손이 문틀이나 문짝의 측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문을 닫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여닫이 도어에서의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므로 대부분 별도의 도어 스토퍼를 구비하여 개방 상태인 도어가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임의로 닫혀 안전사고가 발생하거나 바람에 의해 강력한 소음을 내며 닫히는 것 등을 예방하고자 하고 있다.
따라서, 근자에 들어서는 상기와 같은 도어 스토퍼의 예시로서, 도어의 하부에 쐐기형으로 된 닫힘 방지구를 끼워 사용하거나 상기 도어의 하부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도어 스토퍼가 사용되기도 한다.
즉, 상기의 닫힘 방지구는 스펀지나 고무 등의 재질을 이용하여 단면상 삼각형태의 쐐기 모양으로 만들어 이를 개방된 도어의 하부에 끼워넣음에 따라 쐐기 역할의 닫힘 방지구에 의해 개방상태인 도어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전기한 도어 스토퍼는 도어의 하부 일측 외면에 장착하여 회전식 레버에 의해 개방 상태의 도어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도어용 닫힘 방지구나 도어 스토퍼는 전기한 바와 같이 개방된 도어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켜줌에 따라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도어 닫힘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닫힘 방지구는 도어와는 완전히 별개로 된 개체이므로 빈번히 잃어버리거나 정확한 계지력이 유지되지 못하는 때에는 도어가 닫힐 수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는 것이고, 계지력 확보를 위해 비교적 무른 재질을 사용하게 되므로 사용수명이 지극히 짧아 사용상의 불편함이 매우 큰 것이다.
또한, 도어의 하부 일측에 장착 설치하여 사용되는 기존의 도어 스토퍼는 닭다리와 같은 형태의 지지발을 상향 회전시켜 도어의 자유로운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도어의 개방상태에서는 지지발을 하향 회전시켜 바닥면과 지지발과의 간섭으로 인해 개방 상태인 도어가 닫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는 것인데, 이와 같은 도어 스토퍼는 도어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어 도어 외관을 해치게 되는 것이고, 실내용 방문과 같은 도어에서는 돌출된 도어 스토퍼가 오히려 출입에 방해가 되므로 대부분 현관용 도어에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문틀에 결합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고정편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편의 일측에는 비회전축을 결합 형성하며, 상기 비회전축에는 각기 비회전기어와 회전스토퍼를 삽입 형성하되, 상기 회전스토퍼에는 상기의 비회전기어와 간섭되게 한 멈춤키를 결합 형성함에 따라,
문짝의 개방시 문짝과 함께 회전스토퍼가 회전되게 하고, 문짝 개방 상태에서는 회전스토퍼에 형성된 자석체와 문짝 간의 상호 인력에 의해 문짝이 임의로 닫히는 것이 방지되므로, 문짝이 일정한 각도를 갖고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문짝이 바람 등에 의해 임의로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그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도어용 오픈 스토퍼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의 문틀에 결합 설치되는 고정편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편의 일측에는 비회전축을 결합 형성하며, 상기 비회전축에는 각기 비회전기어와 회전스토퍼를 삽입 형성하되, 상기 회전스토퍼에는 비회전기어의 치형과 맞물림이 단속되게 한 멈춤키와 문틀과 부착되게 한 자석체를 결합 형성하여,
문틀에 힌지 결합된 문짝이 개방되는 경우 회전스토퍼가 문짝과 함께 회전되게 하고, 자석체에 의해 회전스토퍼가 부착된 문짝의 개방 상태에서는 비회전기어의 치형에 맞물림 된 멈춤키로 인해 개방 상태인 문짝이 임의로 닫히지 않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의 문틀을 이용하여 다양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상의 편리함은 물론 사용성이 뛰어난 것이고, 다양한 각도를 갖고 도어의 개방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므로 매우 효율적인 것이며, 인위적인 힘에 의해서는 자유롭게 도어를 닫을 수 있어 별도의 조작이나 번거로움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이고, 개방 상태의 도어가 바람 등에 의해 임의로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임의로 닫히는 도어에 의한 안전사고 및 소음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오픈 스토퍼의 설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오픈 스토퍼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오픈 스토퍼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오픈 스토퍼의 제1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오픈 스토퍼의 제2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오픈 스토퍼의 제3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오픈 스토퍼에 대한 초기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오픈 스토퍼에 대한 도어 개방상태 작동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오픈 스토퍼에 대한 도어 닫힘상태 작동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오픈 스토퍼의 복귀상태 작동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오픈 스토퍼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대한 결합 사시도
도 13는 도 11에 대한 요부 작동 설명도
도 14은 도 11에 의한 도어용 오픈 스토퍼의 사용 상태도
도 15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오픈 스토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사시도
도 16는 도 15에 대한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오픈 스토퍼의 설치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오픈 스토퍼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오픈 스토퍼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오픈 스토퍼는, 다수개의 경첩에 의해 회전 개폐되도록 만들어진 문틀(100)과 문짝(110) 구조의 여닫이 도어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일측에 삽입공(11)이 형성된 고정편(10)과 상기 삽입공(11)으로 결합되는 비회전축(20) 및 상기 비회전축(20)에 삽입되는 비회전기어(30)와 회전스토퍼(40)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비회전축(20)은 고정편(10)으로부터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4각 내지 8각의 다각면체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고, 상기 고정편(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삽입공(11)은 상기 다각면체인 비회전축(20)과 일치하는 다각면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비회전기어(30)에는 상기 다각면체인 비회전축(20)과 일치하는 다각면의 끼움공(31)이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회전스토퍼(40)의 일측에는 다각면체인 비회전축(20)과 관계없이 회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므로 원형의 결합공(4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고정편(10)을 문틀(100)에 나사 결합하는 경우 상기의 고정편(10)과 비회전축(20) 및 비회전기어(30)는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가 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비회전축(20)으로부터 상기의 회전스토퍼(40)만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한 상태를 갖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회전스토퍼(40)에는 상기의 비회전기어(30)의 치형과 간섭되게 한 멈춤키(50)가 결합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멈춤키(50)는 일측에 비회전기어(30)의 치형과 맞물림되게 한 걸림턱(51)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멈춤키(50)를 누를 수 있도록 한 누름부(52)가 외향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스토퍼(40)의 일측에 안치된 상태의 멈춤키(50)에는 핀삽입공(53)이 관통 형성되어 있어 회전스토퍼(40)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되는 고정핀(80)이 핀삽입공(53)으로 결합됨에 따라 상기의 멈춤키(50)는 고정핀(80)을 축점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멈춤키(50)의 내부 일측에는 회전스토퍼(40)와의 사이에 위치한 탄발스프링(90)이 형성되어 있어, 멈춤키(50)의 걸림턱(51)은 비회전기어(30)의 치형과 항상 맞물림 상태를 유지하려는 탄발력을 제공받고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회전스토퍼(40)의 일측에는 전기한 문짝(110)을 향하는 자석체(60)가 결합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금속재로 된 문짝(110)에 대하여 상기의 자석체(60)에 의해 회전스토퍼(40)는 상호 간의 부착력을 갖게 되는 것이고, 상기의 문짝(110)이 비철재인 경우에는 자석체(60)와 상응하는 위치의 문짝(110)에 별도의 철재판(도면에서의 부호는 생략함)을 부착 형성하여 회전스토퍼(40)와 문짝(110) 간의 자력에 의한 상호 부착력을 갖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고정편(10)의 삽입공(11) 상,하단에는 그 삽입공(11)의 끝단을 밀폐하면서도 삽입공(11)의 내측으로 결합된 비회전축(20)이 되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마감캡(70)을 견고히 고정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된 본 발명의 도어용 오픈 스토퍼는 도 4의 단면도와 같이 고정편(10)의 삽입공(11)이 비회전축(20)의 다면체와 일치하는 다면의 관통공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기의 고정편(10)이 문틀(100)에 고정 설치되는 경우 상기의 비회전축(20)은 문짝(110)의 개폐 여부와 관계없이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가 되는 것이고, 도 5의 단면도와 같이 상기 회전스토퍼(40)의 결합공(41)은 원형의 관통공으로 이루어져 있어 다면체인 비회전축(20)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다면체인 비회전축(20)과 관계없이 비회전축(20)을 축점으로 하여 자유로운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6의 단면도시와 같이 상기 비회전축(20)에 결합된 비회전기어(30)는 다면체인 비회전축(20)과 일치하는 다면의 끼움홈(31)을 갖고 있으므로 비회전기어(30) 역시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의 회전스토퍼(40)에 결합된 멈춤키(50)는 일측 끝단의 걸림턱(51)이 비회전기어(30)의 치형과 맞물림 된 상태이므로, 이와 같은 상태에서 회전스토퍼(40)가 회전을 하게 되면 회전스토퍼(40)의 회전 방향에 따라 멈춤키(50)의 걸림턱(51)이 비회전기어(30)의 치형과 맞물림되면서 회전스토퍼(40)가 회전되는 것을 방해하거나 상기 멈춤키(50)의 걸림턱(51)이 비회전기어(30)의 치형으로부터 밀려나면서 회전스토퍼(40)의 자유로운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 7의 도시와 같이 문틀(100)에 대하여 고정편(10)을 결합 형성하고 문짝(110)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회전스토퍼(40)의 자석체(60)가 문짝(110)의 외면에 자력으로 부착되게 한 후, 상기의 문짝(110)을 개방 회전시키게 되면 도 8의 도시와 같이 문짝(110)에 부착된 상태의 자석체(60)는 물론 회전스토퍼(40)가 함께 회전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회전스토퍼(40)의 멈춤키(50)는 비회전기어(30)의 치형과 간섭하게 되나 회전스토퍼(40)의 회전 방향에 따른 멈춤키(50)의 회전 작용으로 인해 멈춤키(50)의 걸림턱(51)이 비회전기어(30)의 치형으로부터 반복적으로 이탈되면서 상기의 회전스토퍼(40)는 저항 없이 문짝(11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어, 상기의 문짝(110)을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개방량을 갖도록 회전시킨 상태에서는 상기의 문짝(110)에 바람이 불거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상기의 문짝(110)이 임의로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인데, 상기와 같이 개방된 상태의 문짝(110)은 자석체(60)에 의해 회전스토퍼(40)와 부착되어 있는 상태인 것이고, 상기 회전스토퍼(40)는 멈춤키(50)의 걸림턱(51)이 비회전기어(30)의 치형과 맞물림 된 상태이므로 문짝(110)에 작용하는 바람의 세기나 충격의 세기가 자력에 의한 상호 간의 부착력보다 약한 경우에는 문짝(110)이 임의로 닫힐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의 문짝(110)이 닫힘 방향으로 회전되기 위해서는 자력에 의해 부착된 상태의 회전스토퍼(40) 역시 닫힘 방향으로 회전되어야 할 것이나, 상기 회전스토퍼(40)의 멈춤키(50)는 닫힘 방향으로 회전되려 하는 경우 비회전기어(30)의 치형과 멈춤키(50)의 걸림턱(51)이 쐐기 형태로 더욱 밀착 계지되는 형태를 취하게 될 것이므로 결국 상기의 문짝(110)은 자석체(60)에 의한 자력보다 약한 힘에 의해서는 임의로 닫힐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멈춤키(50)와 자석체(60)를 갖는 회전스토퍼(40)에 의해 개방된 상태의 문짝(110)은 사용자에 의해 개방시킨 각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될 것이고, 개방된 상태에서 문짝(110)을 더욱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멈춤키(50)가 고정핀(80)을 축점으로 하여 탄발스프링(90)을 압축시키며 비회전기어(30)의 치형으로부터 이탈될 것이므로 문짝(110)의 개방은 계속하여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와 같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문짝(110)을 닫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문짝(110)에 대하여 자석체(60)에 의한 상호 간의 부착력보다 큰 힘을 인위적으로 가함에 따라 문짝(110)이 회전스토퍼(40)와 분리되면서 도 9의 도시와 같이 회전된 상태의 회전스토퍼(40)는 그대로 회전된 상태를 갖고 있으면서 문짝(110)만 문틀(100)을 향해 회전하여 닫힘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어, 상기와 같이 닫힘 상태를 갖는 문짝(110)을 재개방하는 경우에는 개방되는 문짝(110)의 외면이 이미 회전되어 있는 회전스토퍼(40)의 자석체(60)에 부착되면서 종전의 문짝(110) 개방량과 동일한 개방량으로 문짝(110)을 열 수 있는 것이고, 필요에 따라 문짝(110)을 더욱 개방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문짝(110)에 대한 회전력을 통해 회전스토퍼(40)가 더욱 회전되면서도 자석체(60)에 의해 개방된 문짝(110)이 임의로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문짝(110)이 닫힌 상태에서는 회전스토퍼(40)가 문짝(110)의 개방량과 일치하는 각도를 갖고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것인데, 이와 같은 상태의 회전스토퍼(40)를 문짝 닫힘 방향으로 임의 회전시켜 문짝(110)의 개방각도를 재조절하거나 최초 상태와 같이 닫힘 상태의 문짝(110)에 회전스토퍼(40)가 부착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10의 도시와 같이 회전스토퍼(40) 만을 임의로 회전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멈춤키(50)의 일측에 형성된 누름부(52)를 가압하여 타측의 걸림턱(51)이 비회전기어(30)의 치형으로부터 벗어나게 하면 상기의 회전스토퍼(40)는 자유로운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회전스토퍼(40)에 대한 회전을 통해 문짝(110)의 개방량을 조절할 상태에서 누름부(52)의 가압력을 제거하면 멈춤키(50)의 걸림턱(51)이 다시 비회전기어(30)의 치형과 맞물림되면서 상기 회전스토퍼(40)는 일방향으로의 회전력만 갖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기존의 문틀(100)에 대하여 고정편(10) 만을 간단하게 고정 설치하게 되면 개방된 상태의 문짝(110)은 회전스토퍼(40)와의 자석부착력에 의해 바람이나 충격으로부터 임의로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고, 개방 상태인 문짝(110)을 닫고자 하는 경우에는 자력의 크기보다 큰 힘을 인위적으로 문짝(110)에 가함에 따라 어려움 없이 닫힘 방향으로 문짝(110)을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오픈 스토퍼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 11 및 도 12의 도시와 같이 고정편(10)의 일측에 삽입된 비회전축(20)으로부터 전기한 회전스토퍼(40)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 회전스토퍼(40)에는 별도의 멈춤키(50)가 고정핀(80)을 축점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안치 삽입하는 것으로서 상기 멈춤키(50)의 일측으로는 전기한 비회전기어(30)와 치합될 수 있도록 한 걸림턱(51)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멈춤키(50)의 타측에는 회전스토퍼(40)의 저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진 레버부(5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멈춤키(50)의 중간부에는 회전스토퍼(40)의 내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지지돌부(43)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 끼움부(5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지지돌부(43)와 끼움부(56)의 사이에는 전기한 바와 동일한 탄발스프링(90)이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기의 탄발스프링(90)에 의해 상기 레버부(55)는 항상 회전스토퍼(40)에 밀착되려는 힘을 받게 되는 것이고 이와 동시에 멈춤키(50)의 걸림턱(51)은 비회전기어(30)의 치형에 맞물림된 상태를 유지하고자 하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전기한 회전스토퍼(40)에 장착되는 자석체(60)를 원형 단면 형태로 된 것을 수직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하고, 상기와 같은 자석체(60)에 밀착하여 부착될 수 있도록 한 별도의 도어장착구(6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자석체(60)는 회전스토퍼(40)의 일측단으로부터 상,하측으로 다수 개를 고정볼트(65)에 의해 나사 결합하되, 적층되는 이들 자석체(60)의 사이 사이에는 별도의 자력확장링(61)을 삽입 형성함에 따라 상기와 같은 자석체(60)의 자력이 금속재로 된 자력확장링(61)을 통해 넓은 면적으로 확산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도어장착구(62)는 문틀로부터 회전 개폐되는 문짝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일측면에는 전기한 원형 단면의 자석체(60) 및 자력확장링(61)과 동일한 곡면으로 된 부착홈(6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와 같은 도어장착구(62)의 상,하단에는 도어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고정플랜지(64)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도어장착구(62)는 자석체(60)에 정확히 밀착하여 부착될 수 있는 문짝의 위치에 도어장착구(62)의 고정플랜지(64)에 형성된 설치공(도면에서의 부호는 생략함)으로 나사못 등을 삽입하여 문짝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도어용 오픈 스토퍼는 문틀에 대하여는 고정편(10)과 회전스토퍼(40)의 결합체가 장착되는 것이고, 문틀로부터 회전 개폐 작동하는 문짝에는 상기의 도어장착구(62)가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회전스토퍼(40)의 자석체(60)는 금속재로 된 도어장착구(62)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는 것이고, 원형 단면의 자석체(60)와 도어장착구(62)에 형성된 곡면의 부착홈(63)은 밀착 상태로 상호 간의 견고한 부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회전스토퍼(40)의 자석체(60)와 도어장착구(62)가 서로 부착된 도어의 닫힘 상태에서 도어를 개방하게 되면 멈춤키(50)는 탄발스프링(90)을 압축시키며 비회전기어(30)와의 해제 상태가 되면서 회전스토퍼(40) 및 멈춤키(50)에 대한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어, 도어의 개방이 종료되면 개방 상태인 도어는 비회전기어(30)의 치형과 멈춤키(50)의 걸림턱(51)이 서로 맞물림되어 있는 상태인 동시에 회전스토퍼(40)의 자석체(60)와 도어에 설치된 도어장착구(62) 간의 부착력으로 인해 바람이 불거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임의로 도어가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를 닫고자 하는 경우에는 인위적인 힘을 도어에 가하여 닫힘 방향으로 도어를 회전시키게 되면 인위적인 힘에 의해 회전스토퍼(40)의 자석체(60)와 도어에 설치된 도어장착구(62)가 서로 분리되면서 상기의 도어는 어려움 없이 닫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다시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 도어에 설치된 도어장착구(62)가 이미 회전되어 있는 회전스토퍼(40)의 자석체(60)와 부착되면서 종전의 도어 개방량과 동일한 상태로 도어를 개방 및 고정시킬 수 있는 특징을 연출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와 같은 도어 개방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거나 회전 상태인 회전스토퍼(40)를 도어 닫힘의 최초 상태로 돌려놓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3 및 도 14의 도시와 같이 회전스토퍼(40)의 일측으로 노출 및 돌출되어 있는 레버부(55)를 가압하여 고정핀(80)을 축점으로 멈춤키(50)가 회전되게 하면 멈춤키(50)의 걸림턱(51)이 비회전기어(30)의 치형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므로 상기의 회전스토퍼(40)는 자유로운 회전 상태가 이루어져 회전스토퍼(40)에 대한 각도 조절은 물론 최초 상태인 도어와의 밀착 상태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원형 단면의 자석체(60)와 도어장착구(62)를 이용한 도어의 개방 상태 유지 및 임의 닫힘을 방지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어용 오픈 스토퍼는 더욱 강력한 자력에 의해 개방된 상태의 도어가 임의로 닫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자석체(60)의 개체수를 조절하거나 자력의 세기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도어를 여닫는데 있어 사용자의 편리함이 더욱 향상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멈춤키(50)에 의한 회전스토퍼(40)의 회전 작용에 대한 간섭과 해제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 15 및 도 16의 도시와 같이 상기의 비회전기어(30)를 일방향 경사상의 치형을 갖는 래칫기어로 구비하고, 상기 래칫기어로 된 비회전기어(30)의 치형에 맞물림되는 멈춤키(50)에 대하여 슬라이딩 유동구조를 갖게 함에 따라 전기한 회전식 멈춤키(50)에 의한 간섭 및 해제 작용을 만족시키는 동시에 더욱 연장된 사용 수명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멈춤키(50)가 안치되는 회전스토퍼(40)의 내측부에는 양측으로 안내돌부(42)를 형성하고, 상기 멈춤키(50)의 양측에는 상기 안내돌부(42)가 삽입되게 한 안내홈부(54)를 형성함에 따라 상기의 멈춤키(50)는 비회전기어(30)를 향하여 슬라이딩 유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멈춤키(50)의 일측 끝단에 회전스토퍼(40)와 탄지되게 한 압축스프링(91)을 삽입하여 고정하게 되면 상기의 멈춤키(50)는 비회전기어(30)를 향하여 밀착되려는 힘을 받게 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압축스프링(91)의 탄발력으로 인해 상기 멈춤키(50)의 걸림턱(51)은 래칫기어인 비회전기어(30)의 치형에 맞물리게 되므로 결국 상기의 멈춤키(50)를 포함하고 있는 회전스토퍼(40)는 일방향으로의 회전력만 갖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회전 방향을 갖는 회전스토퍼(40)로 인해 문짝(110)의 개방시에는 회전스토퍼(40)가 함께 회전하게 될 것이고, 개방된 문짝(110)은 회전스토퍼(40)의 멈춤키(50)와 자석체(60)에 의해 닫힘 방향으로 임의 회전될 수 없는 것이며, 개방 상태인 문짝(110)에 인위적인 힘을 가하여 닫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자석체(60)와 문짝(110)이 서로 분리되면서 문짝(110)에 대한 닫힘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오픈 스토퍼는 설치가 매우 간단하면서도 개방되는 문짝(110)에 대한 개방각도의 조절이 매우 용이한 것이며, 문짝(110)에 대한 개방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바람이 불거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혹은 문짝(110)의 기울어짐에 의해 도어가 자연스럽게 닫히는 것을 모두 방지할 수 있어 문짝(110)에 대한 임의 닫힘으로 인한 각종 안전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고정편 11 : 삽입공
20 : 비회전축
30 : 비회전기어 31 : 끼움공
40 : 회전스토퍼 41 : 결합공
42 : 안내돌부 43 : 지지돌부
50 : 멈춤키 51 : 걸림턱
52 : 누름부 53 : 핀삽입공
54 : 안내홈부 55 : 레버부
56 : 끼움부
60 : 자석체 61 : 자력확장링
62 : 도어장착구 63 : 부착홈
64 : 고정플랜지 65 : 고정볼트
70 : 마감캡
80 : 고정핀
90 : 탄발스프링 91 : 압축스프링
100 : 문틀
110 : 문짝

Claims (8)

  1. 도어의 문틀(100)에 결합 설치되는 고정편(10)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편(10)의 일측에는 비회전축(20)을 결합 형성하며, 상기 비회전축(20)에는 각기 비회전기어(30)와 회전스토퍼(40)를 삽입 형성하되, 상기 회전스토퍼(40)에는 비회전기어(30)의 치형과 맞물림이 단속되게 한 멈춤키(50)와 문틀(100)과 부착되게 한 자석체(60)를 결합 형성하여,
    문틀(100)에 힌지 결합된 문짝(110)이 개방되는 경우 회전스토퍼(40)가 문짝(110)과 함께 회전되게 하고, 자석체(60)에 의해 회전스토퍼(40)가 부착된 문짝(110)의 개방 상태에서는 비회전기어(30)의 치형에 맞물림 된 멈춤키(50)로 인해 개방 상태인 문짝(110)이 임의로 닫히지 않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오픈 스토퍼.
  2. 제 1항에 있어서,
    비회전축(20)은 수직길이방향으로의 다각면체로 구성하고, 상기 비회전축(20)이 결합되는 고정편(10)의 일측에는 다각면의 삽입공(11)을 형성하며, 상기 비회전축(20)에 결합되는 비회전기어(30)에는 다각면의 끼움공(31)을 형성하고, 상기 비회전축(20)에 결합되는 회전스토퍼(40)에는 원형의 결합공(41)을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오픈 스토퍼.
  3. 제 2항에 있어서,
    고정편(10)의 삽입공(11)에는 삽입공(11)의 상,하단을 밀폐하는 마감캡(70)을 결합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오픈 스토퍼.
  4. 제 1항에 있어서,
    멈춤키(50)는 일측 끝단에 비회전기어(30)의 치형과 맞물림되게 한 걸림턱(51)을 형성하고, 타측 끝단에는 누름부(52)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멈춤키(50)가 회전스토퍼(40)에 안치되게 하되,
    상기 회전스토퍼(40)를 향하는 멈춤키(50)의 저면에는 핀삽입공(53)을 관통 형성하여 회전스토퍼(40)의 외측으로부터 끼워지는 고정핀(80)에 의해 결합되게 하고, 상기 회전스토퍼(40)와 멈춤키(50)의 사이 일측에는 탄발스프링(90)을 삽입 형성하여 상기 걸림턱(51)이 비회전기어(30)의 치형에 탄력적으로 계지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오픈 스토퍼.
  5. 제 1항에 있어서,
    멈춤키(50)는 일측 끝단에 비회전기어(30)의 치형과 맞물림되게 한 걸림턱(51)을 형성하고 타측 끝단에는 내측으로의 레버부(55)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의 멈춤키(50)가 회전스토퍼(40)의 내측으로부터 회전스토퍼(40)와 멈춤키(50)를 축결합하는 고정핀(80)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멈춤키(50)의 중간부에는 회전스토퍼(40)의 내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지지돌부(43)가 삽입되게 한 끼움부(56)를 형성하고, 상기 끼움부(56)와 지지돌부(43)의 사이에는 탄발스프링(90)을 삽입 형성하여 상기 레버부(55)의 외향 가압에 따라 멈춤키(50)가 회전하며 비회전기어(30)로부터의 간섭이 해제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오픈 스토퍼.
  6. 제 1항에 있어서,
    회전스토퍼(40)의 자석체(60)는, 회전스토퍼(40)의 일측단에 원형단면을 갖고 연속하여 적층 결합되게 하되, 상기 자석체(60)의 사이에는 별도의 금속재 자력확장링(61)을 순차적으로 삽입 형성하여, 상기 자석체(60)와 자력확장링(61)을 관통하여 회전스토퍼(40)의 일측단에 나사 결합되게 한 별도의 고정볼트(65)에 의해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오픈 스토퍼.
  7. 제 6항에 있어서,
    원형 단면으로 된 자석체(60)에는 별도의 도어장착구(62)가 부착 형성되게 하되, 상기의 도어장착구(62)는 문짝(110)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고정플랜지(64)가 상,하단에 형성되고 이들 고정플랜지(64)의 사이에는 상기 자석체(60)의 외면에 밀착하여 부착되기 위한 곡면 형태의 부착홈(63)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오픈 스토퍼.
  8. 제 1항에 있어서,
    비회전기어(30)는 래칫기어로 구성되고, 멈춤키(50)는 일측에 래칫기어인 비회전기어(30)의 치형과 맞물림되게 한 걸림턱(51)과 타측에 누름부(52)를 각기 돌출 형성하여, 상기 멈춤키(50)를 회전스토퍼(40)에 안치 형성하되,
    멈춤키(50)가 안치된 회전스토퍼(40)의 내측에는 안내돌부(42)를 형성하고 멈춤키(50)의 측면에는 안내홈부(54)을 형성하여 상기 멈춤키(50)가 유동되게 하고, 상기 멈춤키(50)의 측단에는 압축스프링(91)을 삽입 형성하여 압축스프링(91)에 의해 멈춤키(50)의 걸림턱(51)이 비회전기어(30)의 치형에 탄력적으로 계지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오픈 스토퍼.
KR1020120094857A 2012-08-29 2012-08-29 도어용 오픈 스토퍼 KR201400284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857A KR20140028478A (ko) 2012-08-29 2012-08-29 도어용 오픈 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857A KR20140028478A (ko) 2012-08-29 2012-08-29 도어용 오픈 스토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478A true KR20140028478A (ko) 2014-03-10

Family

ID=50641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4857A KR20140028478A (ko) 2012-08-29 2012-08-29 도어용 오픈 스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847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56658B2 (en) 2014-08-04 2017-01-31 Hyundai Motor Company Door checker for vehicle
CN113167087A (zh) * 2018-11-30 2021-07-23 金利雷 安全磁铁铰链
KR102424335B1 (ko) * 2021-03-29 2022-07-2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어의 열림 각도 고정 장치
RU2808711C1 (ru) * 2023-05-19 2023-12-0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Норлаб" Устройство ограничения открытия двер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56658B2 (en) 2014-08-04 2017-01-31 Hyundai Motor Company Door checker for vehicle
CN113167087A (zh) * 2018-11-30 2021-07-23 金利雷 安全磁铁铰链
US20220056742A1 (en) * 2018-11-30 2022-02-24 I Re KIM Safety magnetic hinge
KR102424335B1 (ko) * 2021-03-29 2022-07-2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어의 열림 각도 고정 장치
RU2808711C1 (ru) * 2023-05-19 2023-12-0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Норлаб" Устройство ограничения открытия двер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45358B1 (en) Sliding bolt latch and use thereof
US10253537B2 (en) Roller carriage for the reception of a sliding door with a lift-off protection device
US7055217B2 (en) Hinge device
EP2212497B1 (en) Door safety mechanism
KR20140028478A (ko) 도어용 오픈 스토퍼
US10865593B2 (en) Door guard assembly
KR20140022591A (ko) 오픈 스토퍼 기능을 갖는 도어용 힌지
KR100745100B1 (ko) 도어의 힌지 장치 및 밀폐 도어
KR101994273B1 (ko) 손끼임 사고방지를 위한 완충기능 및 도어의 고정기능을 갖는 원터치형 도어용 스토퍼
JP2016510370A5 (ko)
KR101384903B1 (ko) 개방위치설정이 용이한 방화문용 클로저
EP3453915A1 (en) Carabiner
KR101015713B1 (ko) 도어클로저
JP6617943B2 (ja) 閉鎖機構付きピボットヒンジ
KR102040123B1 (ko) 도어 안전장치
US20050235461A1 (en) Compression finial
KR100629278B1 (ko) 도어 스토퍼
KR20150144198A (ko) 도어의 힌지장치
KR200207162Y1 (ko) 여닫이문용 충격방지 및 개방상태 유지용 고정구
KR20200112351A (ko) 누름타입의 방충망용 이중 잠금장치
KR200396298Y1 (ko) 원터치 고정장치
GB2452950A (en) Safety device having pivoting member preventing doors from slamming
KR200246008Y1 (ko) 개선된 베어링 결합구조를 갖는 도어용 힌지
KR20170010609A (ko) 여닫이문의 급속 닫힘 방지용 고정장치
KR101174279B1 (ko) 문닫힘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