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298Y1 - 원터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원터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298Y1
KR200396298Y1 KR20-2005-0019586U KR20050019586U KR200396298Y1 KR 200396298 Y1 KR200396298 Y1 KR 200396298Y1 KR 20050019586 U KR20050019586 U KR 20050019586U KR 200396298 Y1 KR200396298 Y1 KR 2003962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haft
fixed
fixing devic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95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환
Original Assignee
김기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환 filed Critical 김기환
Priority to KR20-2005-00195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2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2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2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 E05C17/44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of the retractable sliding feet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6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holding sliding wings o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터치 고정장치(이하 “고정장치”라 칭함)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도어의 일측에 도어스토퍼(일명“말발굽”) 및 도어충격방지장치등을 별도 설치하지 않아도 도어가 열릴때의 충격과 소음을 감소시킬수 있을뿐 아니라 일정위치에서는 도어등을 록킹상태로 둘수 있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를 열고 닫을때 본 고정장치에 별도의 조작을 할 필요가 없이 도어등을 일방향으로 밀어주는 단순 동작에 의해 도어등를 고정하거나 또는 열릴수 있도록 구성되어져 손이 닫지 않는 장소라도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설치가 가능한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여닫이문 또는 미닫이 문 등 어디라도 부착 사용 가능한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출입문(30)을 열때 홀더(20)에 의해 동작축(11)의 직선운동을 방사선상의 톱니 형상의 기어 및 복귀스프링(15)에 의해 록킹축(13)을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키게 됨으로서 달성되게 되며, 또한 복귀스프링(15)은 슬라이딩에 의해 충격을 완화할 수가 있게 된다.

Description

원터치 고정장치 {One-touch Stopping Device}
본 고안은 원터치 고정장치(이하 “고정장치”라 칭함)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도어등을 열어둔 상태로 유지하고저 도어 하부에 설치되어 사용되어지는 도어스토퍼(일명“말발굽”)와, 도어가 열릴때의 충격과 소음을 완화시켜주기 위해 하부 또는 벽체에 설치되어지는 도어충격방지장치등을 별도 설치하지 않아도 열릴때의 충격과 소음을 감소할수 있을뿐 아니라, 일정위치에서는 도어등을 록킹상태로 둘수가 있을뿐 아니라, 특히 도어를 열고 닫을때 본 고정장치에 별도의 조작을 할 필요가 없이 도어등을 일방향으로 밀어주는 단순 동작에 의해 도어등를 고정하거나 또는 열릴수 있도록 구성되어져 손이 닫지 않는 장소라도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설치가 가능한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여닫이문 또는 미닫이 문 등 어디라도 부착 사용 가능한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에는 유압등의 힘에 의해 일정한 힘으로 천천히 닫게 할수 있도록 도어 상단부에는 “도어 클로져”가 설치되어지며, 하단부에는 도어가 적당한 각도로 열림상태를 유지시켜 주기 위해 말발굽 형태의 “도어스토퍼”가 설치되어지며, 또한 하부 반대편에는 스프링의 완충력 등을 이용한 “도어충격방지장치”가 설치되어져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상기 장치들은 별도 분리설치되어 있어 미관이 좋지 않을뿐 아니라 경제적 부담의 가중되며, 또한 도어를 열어둔채로 멈추거나 닫고자 할때는 "도어스토퍼”에 별도의 개폐 조작을 가해주어야 했다.
본 고안과 같이 열릴때의 충격과 소음을 감소할수 있음과 동시에 도어스토퍼의 역할을 하게되며, 동작시에 별도의 조작없이 도어를 손으로 닫는 단순 동작에 의해 도어를 개페시킬수 있어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사용이 가능한 고정장치는 전무 하였다.
본 고안은 상술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일정각도이하에서는 통상의 도어와 같이 도어를 개페할수 있으나 일정각도이상에서는 “도어스토퍼” 및 “도어충격방지장치”의 기능을 하게될뿐 아니라, 출입구를 개폐시키는 미닫이문 또는 여닫이문등 어디라도 설치가 가능하며, 도어개폐시 본 고안품에 별도의 조작없이 출입문을 손으로 밀어주는 단순 동작에 의해 도어를 개폐시킬수 있어 손이 닫지 않는 곳이라도 장소에 구애없이 설치가 가능한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반 단면상태로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을 전체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도어(30)측에 고정되는 홀더(20)부와, 벽면등의 지지부재(40)에 설치되는 고정장치조립체(100)의 결합에 의해 구성되며, 도어(30)을 열경우에는 홀더(20)내 공간부에 고정장치조립체(100)의 록킹축(13) 일측 끝단이 삽입되게 구성되어 문을 열때마다 록킹축(13)이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여 록킹 또는 개방상태를 유지할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을 보다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의 구성품들을 일정 위치에 고정 또는 슬라이딩 할수 있도록 외부를 감싸는 몸체(10)와:
파이프형 부재로서 일측에 톱니형상의 기어가 구성되어져 아래에서 설명되는 이동톱니축(12)의 톱니기어와 치결속되며, 외주면은 몸체(10)에 고정되는 고정톱니축(14)과:
원기둥 형상의 부재로서 일측은 복귀스프링(15)을 지지하는 멈춤패드(16)와 접촉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고정톱니축(14) 및 아래의 동작축(11)과 동시에 치결속될수 있도록 톱니형상의 기어가 구성되어지며, 아래에서 설명되는 록킹축(13)과 고정 결속되어져 좌우직진 및 회전운동을 하게 되는 이동톱니축(12)과:
파이프형 부재로서 일측은 톱니형상의 기어로 구성되어져 상기 이동톱니축 (12)의 톱니기어와 치결속될수 있도록 하며, 다른 일측은 몸체(10)외부로 돌출된 플렌지 형상으로 구성되어져 홀더(20)의 측면부와 접촉할수 있도록 구성되어지며, 상기 고정톱니축(14)내에 삽입되어져 좌우로 제한되게 슬라이딩 할수 있도록 가이드 홈에 가이드핀(17)이 결속되어지는 동작축(11)과:
원기둥 형상의 부재로서 일측은 상기의 이동톱니축(12)의 내주면과 단단히 고정축결속되어지며, 다른 일측은 특정한 형상으로 아래의 홀더(20)내 공간부에 삽입 또는 이탈되어지며, 일정한 각도로 회전함으로서 문을 개방 또는 록킹시킬수 있도록 구성되는 록킹축(13)과:
록킹축(13)의 일측이 삽입되어 회전될수 있도록 좌측 상단부에 특정한 형상의 구멍 및 공간부가 형성되며, 도어(10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구멍이 원둘레상으로 구성되는 홀더(20)와:
상기 이동톱니축(12) 및 록킹축(13), 동작축(11)을 우측방향으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15)으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2에서와 같이 홀더(20)의 공간부에 록킹축 (13)의 일측 끝단이 삽입된채로 동작축(11)을 눌러게 될 때에는 동작축(11)은 복귀스프링(15)의 힘을 이기고 좌로 직선운동을 하게된다.
이와같은 동작축(11)의 직선운동은 이동톱니축(12)을 좌방향으로 밀게되며, 이때 이동톱니축톱니경사면(12a) 상단부와 동작축톱니경사면(11a) 상단부가 밀착되어져 경사면에 의해 미끄러지면서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게 되므로 이와 연결된 록킹축(13) 또한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게 되므로 록킹을 할수가 있게 되며, 복귀스프링(15)에 의해 동작축(11)을 좌우로 슬라이딩시켜 도어의 동작시 충격을 저감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미설명된 멈춤패드(16)는 복귀스프링(15)이 일정위치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며, 가이드핀(17)은 고정톱니축(14)이 몸체(10)에 고정될수 있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동작축(11)이 좌우로 제한되게 슬라이딩 할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된다.
도 2A는 도 2의 A-A에서 본 단면도이며,
도 2B는 도 2의 B-B에서 본 단면도이다.
즉, 도 2A는 홀더(20)에 의해 고정장치조립체(100)의 동작축(11)을 눌러게 되면 록킹축(13)의 일측 끝단이 홀더(20) 공간부에 삽입되어 일정각도로 회전하여 록킹됨을 나타내고 있으며, 한번더 동작축(11)을 눌러게 되면 다시 일정한 각도로 록킹축(13)이 회전하여 홀더에서 이탈될수 있을것이다.
도 2B는 가이드핀(17)에 의해 동작축(11)이 좌우로 이동될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면에서 나타낸 방사선상의 바깥쪽 부위 점선은 고정톱니축(14) 및 이동톱니축(12)의 톱니나사를 나타내며, 안쪽부위의 점선은 동작축(11)의 톱니나사를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동작축(11)의 톱니나사는 고정톱니축(14)의 톱니나사와는 일정한 각도로 회전한 상태로 직선운동을 할수 있도록 구성되어져 동작축(11)을 눌렀을때 경사면에 의해 록킹축(13)이 회전할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3A~3D는 본 고안의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동작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나타낸 개략도로서,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수 있는 구성요소들은 과감히 삭제하여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즉, 홀더(20)에 의해 동작축(11)을 놀렀을때 록킹축(13)을 일정각도로 회전시키게 하기 위하여 일측에 톱니형상의 기어가 형성된 고정톱니축(14),이동톱니축 (12) ,동작축(11), 그리고 복귀력을 갖는 복귀스프링(15)으로 구성되게 된다.
상기 구성요소들은 평상시 이동톱니축(12)의 외주면 부위로는 고정톱니축 (14)의 톱니부와 치결속되며, 내주면쪽 부위에는 동작축(11)의 톱니부가 일정한 각도로 회전된 상태로 동시에 치결속하게 된다.
즉, 이동톱니축 경사면(12a)의 상단부와 동작축 경사면(11a) 상단부가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구성품들은 도 3B와 같이 도어를 밀어주는 동작에 의해 동작축(11)을 좌로 밀게되면 동작축(11)은 도 1에서 나타낸 가이드핀(17)에 의해 평행하게 좌측부로 이동함과 동시에 이동톱니축(12)을 좌측부로 복귀스프링(15)의 힘을 이기고 이동시키게 되며, 계속해서 밀게되어 고정톱니축(14)과 이탈하게 되면 경사면과의 접촉에 의해 고정축(13)은 도 3C 와 같이 일정각도로 회전하게 된다.
이상태에서 누르고 있던 동작축(11)에서 힘을 제거하게 되면 도 3D와 같이 복귀스프링(15)의 힘에 의해 이동톱니축(12) 및 동작축(11)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동작축(11)은 고정톱니축(14)의 내주면 내로 복귀함과 동시에 고정톱니축톱니축경사면(14a) 상단부와 이동톱니축톱니부경사면(12a) 상단부가 만나게 되어 미끄러지면서 또다시 일정각도로 회전하게 된다.
이어 록킹상태를 해제하고자 할때는 상기 동작과 동일하게 도어를 한번더 밀게 되면 또다시 일정각도로 회전하게 되므로 록킹축(13)은 홀더(20)에서 이탈하여 록킹을 해제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동작에 의해 동작축(11)을 눌럴때와 복귀때 각각 일정한 각도로 회전을 하게 되어 소정의 각도로 동작축(11)을 회전시켜 홀더(20)에 의해 록킹을 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을 여닫이문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일실시예이고.
도 5는 본 고안을 미닫이문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일실시예로서 고정장치조립체 (100)는 벽체등의 지지부재(40)에 고정하며, 홀더(20)는 도어(100)에 고정함이 미관등을 고려하여 유리하다. 또한 통상의 도어스토퍼는 도어를 고정 또는 해제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조작을 해야 함으로 바닥등에 설치되어야 했으나 본 고안은 별도의 조작이 필요치 않으므로 손이 닫지 않는 장소 어디라도 설치 가능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고정장치에 의하면 도어등을 열어둔 상태로 유지하고저 할때 사용하는 도어스토퍼와 같은 고정장치와, 도어가 열릴때의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도어충격방지장치를 별도 설치하지 않아도 일정위치에서는 도어등을 록킹상태로 둘수가 있을뿐 아니라 열릴때의 충격을 감소할 수가 있으며, 또한 문등을 열고 닫을때 본 고정장치에 별도의 조작을 할 필요가 없이 도어등을 일방향으로 밀어주는 단순 동작에 의해 도어등를 고정하거나 또는 열릴수 있도록 구성되어져 손이 닫지 않는 장소라도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설치가 가능한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여닫이문 또는 미닫이 문 등 어디라도 부착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을 반 단면상태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을 전체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A는 도 2의 A-A에서 본 단면도
도 2B는 도 2의 B-B에서 본 단면도
도 3A~3D는 본 고안의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동작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을 여닫이문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을 미닫이문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1 : 동작축 11a : 동작축 톱니 경사면
12 : 이동톱니축 12a : 이동톱니축 톱니경사면
13 : 록킹축
14 : 고정톱니축 14a : 고정톱니축 톱니경사면
15 : 복귀스프링
16 : 멈춤패드 17 : 가이드핀
20 : 홀더
30 : 도어 40 : 지지부재
100 : 고정장치 조립체

Claims (1)

  1. 도어(100)에 고정되는 홀더(20)와, 지지부재(40)에 고정되는 고정장치조립체 (100)의 결속에 의해 록킹 또는 개방할수 있는 고정장치에 있어서, 본 고안의 구성품들을 일정 위치에 고정 또는 슬라이딩 할수 있도록 외부를 감싸는 몸체(10)와 : 외주면이 몸체(10)에 고정되고 일측에 톱니형상의 기어가 형성되는 고정톱니축(14)과: 몸체(10)내에서 제한되게 좌우직진 및 회전운동을 할수 있도록 구성되며 일측에 톱니형상의 기어가 형성되는 이동톱니축(12)과: 상기 이동톱니축과 고정결속되어지며, 일측끝단이 홀더(20)내에 삽입되어져 록킹 또는 해제를 하게되는 록킹축(13)과: 고정톱니축(14)내에 일정한 각도로 회전된채로 삽입되어져 가이드홈에 의해 제한되게 좌우직진할수 있도록 구성되어지며 일측에는 톱니형기어가 형성되어 이동톱니축 (12)의 기어와 치결속되고, 타측은 외부로 노출되어 홀더(20)에 의해 직선운동을 할수 있도록 구성되는 동작축(11):과 상기 이동톱니축(12) 및 동작축(11)에 복귀력을 주는 복귀스프링(15):으로 구성되며 홀더(20)에 의해 동작축(11)을 밀게되면 고정톱니축(14), 이동톱니축(12)에 형성되어 있는 톱니형 기어에 의해 록킹축(13)을 제한되게 회전시켜 홀더(20)에 의해 록킹 및 개방을 할수 있도록 구성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록킹장치.
KR20-2005-0019586U 2005-07-06 2005-07-06 원터치 고정장치 KR2003962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586U KR200396298Y1 (ko) 2005-07-06 2005-07-06 원터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586U KR200396298Y1 (ko) 2005-07-06 2005-07-06 원터치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298Y1 true KR200396298Y1 (ko) 2005-09-20

Family

ID=43697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586U KR200396298Y1 (ko) 2005-07-06 2005-07-06 원터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2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9112A (zh) * 2019-07-09 2019-08-23 郑大昌 一种防风自锁机械门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9112A (zh) * 2019-07-09 2019-08-23 郑大昌 一种防风自锁机械门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2576B1 (ko) 개방형 트레이
CA2541656C (en) Door checker for automobile
US8678525B2 (en) Furniture item
US6662405B2 (en) Detented and dampened hinge mechanism
EP1350443A1 (en) Slide mechanism
JP5254151B2 (ja) 移動体の作動機構
JP2006283973A (ja) 家具の可動部品に用いるダンパー装置
JP2016205128A (ja) 摺動ドアのためのガイドデバイス
CN112041523B (zh) 把手布置及其用途
KR20210038213A (ko) 회전도어용 힌지장치
US20130180081A1 (en) Opening device for a door of an article of furniture and an assembly comprising a hinge and the opening device
KR200396298Y1 (ko) 원터치 고정장치
KR100895900B1 (ko) 회동식 도어용 잠금장치
KR100999403B1 (ko)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KR101782579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US5269573A (en) Devices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doors
JP2021172189A (ja) 車両ドア停止装置
JP7466180B2 (ja) 回転往復作動装置、ストッパ操作装置、ストッパ、及びストッパ付扉
JP5416615B2 (ja) スライド式容器
KR101756863B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JP2010126099A (ja) 蓋体開閉機構部構造
KR100630228B1 (ko) 김치냉장고 도어용 힌지
JP4502600B2 (ja) 収納家具
CN108030294A (zh) 一种滑轨锁定拆卸结构
KR102492726B1 (ko) 도어 스토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