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5199B1 - 화장실 도어 열림 장치 - Google Patents

화장실 도어 열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5199B1
KR100925199B1 KR1020090036267A KR20090036267A KR100925199B1 KR 100925199 B1 KR100925199 B1 KR 100925199B1 KR 1020090036267 A KR1020090036267 A KR 1020090036267A KR 20090036267 A KR20090036267 A KR 20090036267A KR 100925199 B1 KR100925199 B1 KR 100925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bar
fitted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6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기철
Original Assignee
세웅건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웅건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웅건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6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1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
    • E05D15/3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 with pivoted arms and slid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of rotation not at one side of the opening, e.g. turnover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restr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실용 도어에 관한 것으로, 화장실 도어가 열리고 닫힐 때 최소한의 공간을 이용하여 열리고 닫히도록 하는 화장실 도어 열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장실 도어의 중앙에서 한쪽으로 치우친 상태로 힌지를 고정시키되 상기 힌지는 화장실 벽에 고정된 고정구에 끼워져 회전되는 걸음바에 걸쳐져 결합되게 하고, 상기 고정구에 끼워진 걸음바는 서로 연결봉을 이용하여 연결되게 하는 한편 상기 도어의 상측에는 고정구와 멀은 위치에 가이드 롤러를 설치하여 도어의 상측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에 끼워지게 하며, 상기 도어의 중앙에는 양측으로 돌출되는 고정쇠를 설치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화장실, 도어, 개폐

Description

화장실 도어 열림 장치{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oilet door}
본 발명은 화장실용 도어에 관한 것으로, 화장실 도어가 열리고 닫힐 때 최소한의 공간을 이용하여 열리고 닫히도록 하는 화장실 도어 열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장실에 설치되는 도어는 통상 힌지 방식으로 개폐되게 하거나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되게 하거나, 접철식으로 개폐되게 하고 있다.
힌지 방식으로 개폐되는 화장실 도어는 도어의 일측면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개폐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통상의 도어 개폐방식과 같으나, 화장실과 같이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힌지 방식으로 도어를 개폐시킬 경우 도어 개방에 따른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가 있게 된다.
즉, 힌지를 중심으로 도어가 원운동을 하게 되어, 도어가 이동하는 공간을 확보해주어야만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으므로,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게 된다.
그리고 슬라이드 방식의 도어를 채택하는 경우는 도어가 좌우로 슬라이드 되면서 개폐가 이루어져야 하나, 도어가 좌우로 슬라이딩 될 정도로 넓은 공간을 확 보하지 못한 경우는 사용할 수 없는 것이어서, 화장실의 도어로 사용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접철 방식의 도어를 채택하는 경우는 도어를 수직으로 여러 조각으로 나눈 후 이를 지그재그 형태로 접철되며 열리거나 닫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방식은 도어의 견고성과 내구성을 보장하기 어려워 휠체어가 이동하는 장애인용 화장실에는 적용이 가능하나, 일반적인 화장실 도어로 사용하기에는 불합리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장실 도어 개폐 장치에서, 도어 개폐시 최소한의 공간을 사용하면서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힌지 방식과 슬라이딩 방식을 조합하여 최소한의 회전반경을 갖고 최소한의 공간을 활용하여 도어를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화장실 도어의 중앙에서 한쪽으로 치우친 상태로 힌지를 고정시키되 상기 힌지는 화장실 벽에 고정된 고정구에 끼워져 회전되는 걸음바에 걸쳐져 결합되게 하고, 상기 고정구에 끼워진 걸음바는 서로 연결봉을 이용하여 연결되게 하는 한편 상기 도어의 상측에는 고정구와 멀은 위치에 가이드 롤러를 설치하여 도어의 상측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에 끼워지게 하며, 상기 도어의 중앙에는 양측으로 돌출되는 고정쇠를 설치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화장실의 도어를 개폐시킴에 있어서, 도어의 중앙쪽에 설치된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며 열리거나 닫히도록 하되 상기 힌지에 걸리는 걸음바를 회전시켜가며 도어를 열거나 닫히도록 하는 것으로, 도어 개방시 최소한의 회전반경을 이용하여 최소한의 공간을 활용하면서도 도어를 열거나 닫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화장실용 도어(10)에 관한 것으로, 화장실 도어(10)의 상하부에는 중앙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힌지(11)를 고정시키도록 하고, 상기 힌지(11)에 돌출된 힌지축(12)에는 걸음바(13)를 결합시킨다.
여기서 힌지축(12)은 걸음바(13)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게 하거나, 힌지축(12)을 걸음바(13)에 고정시키되 힌지축(12)이 힌지(11)에서 자유롭게 회동되게 한다.
상기 도어(10)가 설치되는 벽체(20)에는 상하측으로 고정구(21)를 설치하여 ㄱ자 형태를 갖는 걸음바(13)가 고정구(21)에 끼워져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고정구(21)는 벽체(20)에 고정된 상태로 걸음바(13)가 끼워지게 한다.
여기서 도어(10)의 하측에도 걸음바(13)와 고정구(21) 및 힌지(11)를 설치하여 전술된 바와 동일하게 구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고정구(21)에 끼워진 걸음바(13)는 연결봉(14)에 의해 서로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도어(10)가 열리거나 닫힐 때 걸음바(13)와 함께 연결봉(14)도 회전이 이루어지게 하며, 상기 걸음바(13)와 연결봉(14)을 분리하여 제작한 이유는 조립의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걸음바(13)의 하측을 사각봉 형태가 되게 하고, 연결봉(14)의 입구는 상기 사각봉이 끼워지는 형태로 하는 경우 걸음바(13)의 회전력이 연결봉(14)으로 전달되어 회전되게 되고, 연결봉(14)의 외측에서 걸음바(13)의 선단 측면에 밀착되는 나사를 박을 경우 견고함이 유지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고정구(21)에 끼워져 노출되는 걸음바(13)에는 외측으로 장력조절구(22)를 끼워주되 상기 장력 조절구(22)는 나사(23)를 이용하여 걸음바(13)에 고정되게 하고, 상기 걸음바(13)의 외측에 끼워진 스프링(30)은 선단이 각각 회전되는 장력조절구(22)와 고정되는 고정구(21)에 끼워짐으로써 걸음바(13)의 회전시 스프링(30)에 의한 탄성을 받도록 한다.
상기 장력 조절구(22)를 고정시키는 나사(23)를 풀고 장력조절구(22)를 일측으로 회전시킨 후 장력조절구(22)를 나사(23)로 고정시키면 스프링(3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어(10)에는 상측으로 고정구(21)와 멀은 쪽에 가이드 롤러(40)를 돌출되게 설치하되 상기 가이드 롤러(40)는 벽체(20)를 연결하는 가이드 레일(41)에 끼워진 채로 설치하여 도어(10)가 열리고 닫힐 때 가이드 롤러(40)가 가이드 레일(41)에 끼워진 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 레일(41)의 내부에는 가이드 롤러(40)를 밀어주는 밀음구(43)를 설치하되 상기 밀음구(43)는 스프링(44)에 탄지되게 함으로써 도어(10)가 닫힐 때 가이드 롤러(40)가 밀음구(43)를 밀어 스프링(44)을 압착시킨 상태로 닫히게 하고, 도어(10)를 열을 때는 스프링(44)의 복원력으로 밀음구(43)를 밀어 가이드 롤러(40)를 밀어줌으로써 도어(10)가 쉽게 열리도록 하는 한편 도어(10)가 스프링(44)의 힘에 의해 일부 열려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밀음구(43)와 스프링(44)은 평상시 도어(10)의 가이드 롤러(40)를 밀어주어 도어(10)가 완전히 닫히지 않도록 함으로써, 도어(10)가 일부 열려있는 화장실은 비어 있는 화장실로 판단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어(10)의 내측에 잠금 손잡이(50)를 설치하고, 잠금 손잡이(50)를 돌릴 경우 양측으로 링크(51)가 당겨지거나 밀리게 하고, 상기 링크(51)의 선단에는 고정쇠(52)를 결합시키되 상기 고정쇠(52)는 벽체(20)에 고정된 고정쇠 커버(55)에 끼워져 도어(10)가 열리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고정쇠(52)의 내측으로 피니언(53)이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53)이 고정쇠(52)에 결합되게 함으로써 잠금 손잡이(50)를 좌우로 회전시킴에 따라 고정쇠(52)가 도어(10)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화장실 도어(10)에 설치되어 최소한의 회전반경으로 최소한의 면적을 활용하면서 도어(10)가 열리고 닫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도어(10)는 벽체(20)에 의해 양측면이 막히고 후방은 벽면 등으로 막히게 되는 화장실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어(10)가 상하부 중앙에서 일측으로 치우친 곳에 설치된 힌지(11)를 중심으로 회동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힌지(11)는 힌지축(12)에 걸음바(13)가 결합되어 있게 되고, 상기 걸음바(13)는 고정구(21)에 끼워지게 되며, 상기 고정구(21)에 끼워진 걸음바(13)는 연결봉(14)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걸음바(13)의 회동에 따라 도어(10)는 힌지(11)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걸음바(13)의 궤적을 따라 회전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도어(10)의 회전 상태를 평면에서 보면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여기서 걸음바(13)가 회전하게 되면 걸음바(13)에 고정된 장력조절구(22)와 고정구(21) 사이에 끼워진 스프링(30)이 탄성력을 받게 되고, 이러한 탄성력은 도 어(10)를 여는 힘을 제거할 때 도어(10)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한다.
한편 도어(10)가 열릴 때 도어(10)의 상측에 고정된 가이드 롤러(40)는 가이드 레일(41)에 끼워진 채로 도어(10)가 회동하며 이동하게 되므로, 본 발명의 도어(10)는 도 2 내지 도 5와 같은 궤적을 그리며 열리거나 닫히게 된다.
따라서 도어(10)를 열고 닫을 때 최소한의 공간을 활용하면서도 도어(10)를 개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정구(21)에서 노출된 걸음바(13)에 끼워지는 스프링(30)은 도어(10)가 열린 후 다시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을 가하게 되는 것으로, 도어(10)가 열릴 때 스프링(30)은 탄성력을 축적하였다가 열리는 힘이 제거되면 스프링(30)이 원위치 되면서 도어(10)를 닫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여기서 장력 조절구(22)를 회전시킴에 따라 스프링(30)의 탄성력이 조절되게 된다.
본 발명은 가이드 레일(41)을 밀어주는 스프링(44)과 밀음구(43)를 이용하여 힘을 가하여 도어(10)를 닫아주지 않을 경우 도어(10)가 완전히 닫히지 않도록 밀어주게 함으로써, 평상시 도어(10)가 조금 열린 상태로 놓이게 하여 외부에서 보았을 때 화장실이 사용 가능함을 알리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잠금 손잡이(50)를 이용하여 고정쇠(52)를 양쪽으로 돌출시켜 잠금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도어(10)가 잠금 상태에서 열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어(10)를 잠글 때 양쪽에서 잠금이 이루어지게 하는 이유를 본 발 명의 도어(10)가 중앙 쪽에 설치된 힌지(11)를 이용하여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한 쪽만 잠가줄 경우 잠가주지 않는 쪽의 도어(10)가 열려 틈을 만들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10)를 열거나 닫을 때 도어(10)에 고정된 힌지(11)가 걸음바(13)에 의해 회전되면서 회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최소한의 공간을 활용하면서 도어(10)를 열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장실 도어 배면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화장실 도어 개방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고정구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장력 조절구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도어가 닫힌 상태의 스프링 압착 상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도어가 열린 상태의 스프링 상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잠금손잡이로 고정쇠를 돌출시키기 전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고정쇠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어 11 : 힌지
12 : 힌지축 13 : 걸음바
14 : 연결봉 20 : 벽체
21 : 고정구 22 : 장력조절구
30 : 스프링 40 : 가이드롤러
41 : 가이드레일 50 : 잠금 손잡이
52 : 고정쇠

Claims (5)

  1. 도어(10)의 상하측 중앙 쪽에서 일측으로 치우치게 힌지(11)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힌지(11)에 결합된 힌지축(12)에는 ㄱ자 형태의 걸음바(13)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걸음바(13)는 벽체(20)에 고정된 고정구(21)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고정구(21)에 끼워진 채로 노출되는 걸음바(13)에는 스프링(30)을 외삽시키되 상기 스프링(30)의 선단은 고정구(21)에 고정시키는 한편 걸음바(13)에 끼워져 나사(23)로 고정되는 장력조절구(22)에 끼워져 고정되게 하며, 상기 고정구(21) 사이에서 걸음바(13)를 벽체(20)에 설치되는 연결봉(14)으로 연결하고, 도어(10)의 상측에는 가이드 레일(41)에 끼워져 이동하는 가이드 롤러(40)를 설치하되 상기 가이드 롤러(40)는 고정구(21)에서 멀은 쪽에 설치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41)의 내측에는 도어(10)가 닫히지 않는 쪽으로 가이드 롤러(40)를 밀어주는 스프링(44)에 탄지된 밀음구(43)를 설치하고, 상기 도어(10)의 내측에는 양쪽으로 고정쇠(52)를 돌출시키는 잠금 손잡이(50)를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도어 열림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도어(10)의 내측으로 잠금 손잡이(50)를 설치하고, 상기 잠금 손잡이(50)를 돌릴 경우 도어(10)의 양측으로 링크(51)로 결합된 고정쇠(52)가 돌출되게 하며, 상기 고정쇠(52)는 벽체(20)에 고정된 고정쇠 커버(55)에 끼워져 고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도어 열림 장치.
KR1020090036267A 2009-04-25 2009-04-25 화장실 도어 열림 장치 KR100925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267A KR100925199B1 (ko) 2009-04-25 2009-04-25 화장실 도어 열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267A KR100925199B1 (ko) 2009-04-25 2009-04-25 화장실 도어 열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5199B1 true KR100925199B1 (ko) 2009-11-06

Family

ID=41561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6267A KR100925199B1 (ko) 2009-04-25 2009-04-25 화장실 도어 열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51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91104A (zh) * 2017-06-30 2017-09-22 重庆鹏颖装饰材料有限公司 一种易推防风门
KR101861669B1 (ko) * 2011-11-17 2018-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4352A (ja) * 1996-01-08 1997-07-15 Komatsu Wall Ind Co Ltd 折畳み回転扉
KR19990032984U (ko) * 1997-12-26 1999-07-26 츠카모토 미키오 화장실 부스용 회전슬라이드 도어
JPH11336413A (ja) * 1998-05-28 1999-12-07 Comany Kk 半自動式回転スライドドア
KR200325271Y1 (ko) * 2003-06-14 2003-09-02 고승범 방화셔터용 비상문 힌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4352A (ja) * 1996-01-08 1997-07-15 Komatsu Wall Ind Co Ltd 折畳み回転扉
KR19990032984U (ko) * 1997-12-26 1999-07-26 츠카모토 미키오 화장실 부스용 회전슬라이드 도어
JPH11336413A (ja) * 1998-05-28 1999-12-07 Comany Kk 半自動式回転スライドドア
KR200325271Y1 (ko) * 2003-06-14 2003-09-02 고승범 방화셔터용 비상문 힌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1669B1 (ko) * 2011-11-17 2018-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
CN107191104A (zh) * 2017-06-30 2017-09-22 重庆鹏颖装饰材料有限公司 一种易推防风门
CN107191104B (zh) * 2017-06-30 2019-02-05 重庆鹏颖装饰材料有限公司 一种易推防风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7641B1 (ko) 장착된 상태 그대로 역전이 가능한 래치볼트를 구비한 모티스 잠금장치
KR20100012532U (ko) 손잡이 연동식 미닫이문용 열림장치
CA3072800A1 (en) Low profile fenestration screen assembly and method for same
JP2013127176A (ja) ヒンジ構造
KR101138288B1 (ko) 회동식 창호용 스테이바
WO2015078311A1 (zh) 一种双向开关门装置以及具有该装置的冰箱
KR101043377B1 (ko) 회동식 창호용 스테이바
KR100925199B1 (ko) 화장실 도어 열림 장치
KR101467285B1 (ko) 래치볼트의 고정구조체
WO2015078307A1 (zh) 一种双向开关门装置以及具有该装置的冰箱
KR101331895B1 (ko) 여닫이문 잠금장치
KR101230227B1 (ko) 드롭다운식 도어용 힌지장치
KR101042192B1 (ko)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
KR200405565Y1 (ko)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
KR101411269B1 (ko)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
KR20100024649A (ko) 창호용 잠금장치
KR20090081214A (ko) 환기창의 접철식 로킹장치
CN101666028B (zh) 用于洗衣机的封闭盖的锁定装置
JPS592279Y2 (ja) スライド回転扉のストツパ装置
JP2004257177A (ja) シャッターの錠装置及びその錠装置を備えたシャッター
KR102476096B1 (ko) 기밀 효과가 높고 쉽게 열리는 창호용 잠금장치
KR20070028045A (ko) 자동 창문잠금장치
JP3546417B2 (ja) 隠し支持金具
KR101631088B1 (ko) 로드 연동장치
KR200325030Y1 (ko) 여닫이문용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