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6096B1 - 기밀 효과가 높고 쉽게 열리는 창호용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기밀 효과가 높고 쉽게 열리는 창호용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6096B1
KR102476096B1 KR1020210071607A KR20210071607A KR102476096B1 KR 102476096 B1 KR102476096 B1 KR 102476096B1 KR 1020210071607 A KR1020210071607 A KR 1020210071607A KR 20210071607 A KR20210071607 A KR 20210071607A KR 102476096 B1 KR102476096 B1 KR 102476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indow
stopper
link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1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혁
Original Assignee
이동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혁 filed Critical 이동혁
Priority to KR1020210071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0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05B65/085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comprising simultaneously pivoting double hook-like lock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3/167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latch pivo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6Rods, l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창호를 닫을 때는 잠금장치가 걸림 부재를 본체 쪽으로 당겨져서 창호 짝이 창호 틀에 밀착해서 기밀 작용이 이루어지게 하고, 창호를 개방할 때는 창호 짝에 장착된 푸리 링크가 창호 틀을 밀어내게 하여 적은 힘으로도 쉽고 창호를 개방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창호용 손잡이를 회전하면 스토퍼가 본체 길이 방향과 교차하게 움직이면서 걸림 부재를 잡아당김에 따라 상대적으로 밀착이 잘 이루어지게 하여 기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창호를 개방할 때는 이 스토퍼가 예각 형태로 연결된 회전 링크와 푸시 링크의 연결 부분을 누름에 따라 푸시 링크가 본체 밖으로 회전하면서 창호 틀을 밀어 창호 짝이 쉽게 개방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단순히 손잡이를 돌리는 조작만으로 창호 짝을 쉽고 편리하게 개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밀 효과가 높고 쉽게 열리는 창호용 잠금장치{LOCKING DEVICE FOR WINDOWS AND DOORS WITH HIGHT AIRTIGHTNESS AND EASY OPENING}
본 발명은 기밀 효과가 높고 쉽게 열리는 창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호를 닫을 때는 스토퍼가 경사지게 움직이면서 창호 짝이 창호 틀 쪽으로 당겨지게 하여 기밀 작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하고, 반대로 창호를 개방할 때는 창호용 손잡이를 회전함에 따라 스토퍼의 간섭을 받는 회전 링크가 회전하면서 여기에 함께 회전하게 설치된 푸시 암이 창호 틀을 밀어내게 하여 쉽게 개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아래의 (특허문헌 1)과 같은 창호용 잠금장치에 관해 실용신안등록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실용 제20-0484244호
통상 창호가 닫힌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는 스토퍼가 창호를 닫음에 따라 경사지게 움직이도록 구성함으로써, 이 스토퍼가 걸림 부재에 걸리면서 이 걸림 부재를 압박하여 창호와 창호틀 사이의 틈새를 없애 기밀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 창호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이처럼 스토퍼가 경사지게 움직이도록 이 스토퍼에 돌기를 형성하고, 이 돌기가 경사지게 형성한 본체의 가이드를 따라 움직일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기존 잠금장치의 구성을 간단하게 설계 변경하여 쉽고 신속하게 생산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기밀 효과를 높인 창호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 기술은 창호를 닫았을 때는 창호 짝이 창호 틀에 밀착하게 하여 기밀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반대로 창호를 개방할 때는 어느 정도 이상의 힘을 주어야 열리게 창호를 쉽게 열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국등록실용 제20-0484244호 (등록일: 2017.08.09)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창호를 닫을 때는 잠금장치가 걸림 부재를 본체 쪽으로 당기게 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창호 짝이 창호 틀 쪽으로 밀착하게 하여 기밀 작용이 잘 이루어지게 하면서도, 창호를 개방할 때는 창호 짝에 장착된 잠금장치가 창호 틀을 밀어내게 하여 이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쉽고 편리하게 창호를 개방할 수 있게 한 기밀 효과가 높고 쉽게 열리는 창호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창호용 손잡이를 회전하면 본체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는 스토퍼가 본체 길이 방향과 교차하게 움직이면서 걸림 부재를 잠금장치 쪽으로 잡아당김에 따라 상대적으로 밀착이 잘 이루어지게 하여 기밀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 기밀 효과가 높고 쉽게 열리는 창호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창호를 개방할 때는 이 스토퍼가 예각 형태로 연결된 회전 링크와 푸시 링크의 연결 부분을 누름에 따라 푸시 링크가 본체 밖으로 회전하면서 창호 틀을 밀어 창호 짝이 쉽게 개방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단순히 손잡이를 돌리는 조작만으로도 창호 짝을 쉽고 편리하게 개방할 수 있게 한 기밀 효과가 높고 쉽게 열리는 창호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밀 효과가 높고 쉽게 열리는 창호용 잠금장치는, 개폐할 수 있는 덮개(110)가 구비된 본체(100); 상기 본체(100) 안에 제자리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어 상기 본체(100) 외부에 장착된 손잡이로 회전되는 회전체(200); 상기 회전체(200)의 회전으로 간섭을 받아 탄성 지지를 받으면서 상기 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게 설치된 스토퍼(300); 및 상기 스토퍼(300)의 작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스토퍼(300)에 걸려 창호의 잠금 작용이 이루어지게 하는 걸림 부재(400);가 포함된 창호용 잠금장치에서; 상기 스토퍼(300)는 상기 본체(100)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움직이면서 상기 걸림 부재(400)가 본체(100) 방향으로 향하도록 압착하게 구성하고;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스토퍼(300)가 강제로 눌림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 링크(120') 및 한쪽이 상기 회전 링크(120')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이 상기 본체(100)에 장착되어 본체(100) 밖으로 돌출하게 회전하는 푸시 링크(120")가 추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스토퍼(300)에는 양쪽 면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310)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00)에는 가이드 돌기(310)가 끼워져서 경사지게 움직일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1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푸시 링크(120")에는 장공(121)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121)에는 상기 본체(100)에 형성된 핀(140)이 끼워져서 상기 푸시 링크(120")를 안내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회전 링크(120')와 푸시 링크(120")가 이루는 각도는 상기 스토퍼(300)가 상기 본체(100) 밖으로 일부가 돌출하여 잠금 작용을 할 때는 예각이고; 상기 스토퍼(300)가 상기 회전 링크(120')와 푸시 링크(120")를 연결한 부분을 눌러서 상기 회전 링크(120')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스토퍼(300)의 잠금이 해제될 때는 상기 회전 링크(120')와 푸시 링크(120")가 이루는 각도가 둔각으로 넓어지게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회전 링크(120')와 푸시 링크(120")가 서로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된 부분과, 상기 푸시 링크(120")의 다른 한쪽에는 각각 연질 재질로 이루어진 롤러(12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밀 효과가 높고 쉽게 열리는 창호용 잠금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창호 짝을 개방할 때 스토퍼가 링크를 회전시키면서 그 끝에 구비된 롤러가 창호 틀을 밀어내게 구성함으로, 창호 틀에서 창호 짝을 쉽고 열 수 있다. 이에, 적은 힘을 들이고도 창호 짝을 개방할 수 있다.
(2) 이때, 롤러는 창호 짝을 개방하려고 회전시키는 손잡이 구동으로 연동하는 링크의 회전으로 창호 틀을 밀어내게 되므로, 링크 구동을 위해 별도로 동작하지 않고 창호 개방을 위해 손잡이를 돌리는 동작만으로 창호 짝을 쉽게 개방할 수 있다.
(3) 한편, 스토퍼가 경사지게 움직이면서 걸림 부재를 창호가 닫히는 방향으로 밀어주므로 창호와 창호틀 사이의 밀착력을 높여 이들 사이에서 생길 수 있는 기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4) 특히, 실링(Sealing)과 같이 별도의 기밀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창호에 필수적으로 갖춰야 하는 잠금장치를 통해 이러한 기밀 효과를 높여주므로 창호 자체의 구성을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어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5) 또한, 기존 잠금장치에서 걸림 부재에 걸려 실질적으로 잠금 작용을 하는 스토퍼가 작동 방향이 수직 방향에서 경사지게 움직이도록 바꾸는 간단한 구조 변경을 통해 기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6) 이에, 기존 창호용 잠금장치에 대해서도 간단한 설계 변경을 통해 이처럼 기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줄이면서도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밀 효과가 높고 쉽게 열리는 창호용 잠금장치가 적용된 창호를 예로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밀 효과가 높고 쉽게 열리는 창호용 잠금장치의 장착 위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밀 효과가 높고 쉽게 열리는 창호용 잠금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려고 덮개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밀 효과가 높고 쉽게 열리는 창호용 잠금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려고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밀 효과가 높고 쉽게 열리는 창호용 잠금장치로 창호 짝을 잠금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밀 효과가 높고 쉽게 열리는 창호용 잠금장치로 창호 짝을 개방하는 상태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기밀 효과가 높고 쉽게 열리는 창호용 잠금장치(L)는, [도 1] 내지 [도 6]과 같이, 본체(100), 회전체(200), 스토퍼(300), 그리고 걸림 부재(400)가 포함된다.
특히, 상기 스토퍼(300)는 상기 본체(100) 내에서 회전체(200)의 회전 간섭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일 때 본체(100) 길이를 중심으로 사선 방향으로 움직이게 구성함으로써, 걸림 부재(400)가 이 스토퍼(300)에 걸릴 때 걸림 부재(400)를 본체(100) 쪽으로 당겨지게 하여 밀착 작용을 통해 기밀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스토퍼(300)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링크(120')와 이 회전 링크(120)에 서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푸시 링크(120")가 추가로 구성되되, 상기 푸시 링크(120")는 상기 스토퍼(300)로 눌림에 따라 본체(100) 밖으로 돌출하면서 창호 틀(F)을 밀어 창호 짝(S)이 쉽게 열리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F"는 창호의 외곽을 구성하는 창호 틀을, "S"은 상기 창호 틀 내에서 슬라이딩하는 창호 짝을, "L"은 상기 창호 짝에 장착되어 창호용 손잡이로 회전시킴에 따라 개폐 작용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잠금장치를 각각 나타낸다.
가. 본체
본체(100)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창호용 잠금장치(L)의 외곽을 이루며, 내부에는 후술할 다른 구성이 장착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에는 후술할 걸림 부재(400)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150)이 형성된다. 수용공간(150)은 후술할 스토퍼(300)의 한쪽 끝이 탄성 지지를 받아 항상 이 수용공간(150) 안으로 돌출된 상태로 있게 하고, 걸림 부재(140)가 이 수요공간(150)에 들어왔을 때 스토퍼(300)가 걸림 부재(140)에 걸리게 해서 잠금 작용이 이루어지게 하는 공간이다. 이러한 본체(100)는 창호 짝(S)에 장착된다.
특히, 상기 본체(100)에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개폐할 수 있는 덮개(110), 창호 짝(S)을 개방할 때 창호 틀(F)을 밀어서 쉽게 열리게 하는 회전 링크(120') 및 푸시 링크(120"), 그리고 후술할 스토퍼(300)를 안내하는 가이드(130)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푸시 링크(120")가 정해진 경로를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안내하는 핀(140)이 더 포함된다.
1. 덮개
덮개(110)는, [도 2] 및 [도 4]와 같이, 상기 본체(100) 내부에 후술할 다른 구성을 장착한 다음 개방된 면을 마감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덮개(110)는 스크루나 클립 등을 이용해서 본체(100)에서 다시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잠금장치(L)를 수리하거나 조립할 때처럼 때에 따라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회전 링크
회전 링크(12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한쪽이 상기 본체(100) 내에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고 다른 한쪽이 후술할 스토퍼(300)에 의해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회전 링크(120')는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스프링을 장착하여 항상 스토퍼(300)가 걸림 부재(400)에 걸려서 잠금 위치에 오도록 탄성 지지를 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 링크(120')의 다른 한쪽은 본체(100) 안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하되, 창호 짝(S)을 여는 순간에는 후술할 푸시 링크(120")가 본체(100) 밖으로 돌출하게 회전하면서 창호 틀(F)을 밀어 창호 짝(S)을 쉽게 개방할 수 있게 한다.
3. 푸시 링크와 핀
푸시 링크(12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한쪽이 상술한 회전 링크(120')에 서로 마주하여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고 길이 중간 부분이 상기 본체(100)에 형성된 핀(140)에 끼워져서 안내를 받을 수 있게 구성된다.
특히, 상기 푸시 링크(120")에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장공(121)이 형성되고, 이 장공(121)에는 상기 핀(141)이 끼워져서 푸시 링크(120")의 회전을 안내할 수 있게 장착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푸시 링크(120")와 회전 링크(120')는, [도 5]와 같이 서로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된 부분의 내각이 예각을 이루게 하고, [도 6]과 같이 후술할 스토퍼(300)가 움직이면서 이 연결 부분을 누름에 따라 내각이 커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 연결 부분의 예각이 넓어지면서 푸시 링크(120")가 회전하면서 본체(100) 밖으로 튀어나가면서 창호 틀(F)을 밀어 창호 짝(S)이 쉽게 열릴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장공(121)은 상기 핀(140)을 따라 움직이면서 회전 간섭이 생겨 회전에 방해되지 않게 안내한다.
한편, 상기 회전 링크(120')와 푸시 링크(120")가 서로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된 부분, 그리고 상기 푸시 링크(120")의 다른 한쪽(창호 틀(F)을 밀어내는 부분)에는 각각 연질 재질로 이루어진 롤러(122)가 구비되게 함으로써, 스토퍼(300)가 이 연결 부분을 누를 때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하면서 이 연결 부분이 스토퍼(300)의 폭 방향을 따라 부드럽게 움직이면서 작동 간섭이 생기지 않게 하고, 또한 창호 짝(S)을 개방하면서 창호 틀(F)을 밀어낼 때도 창호 틀(F)에 부딪혀서 소음이 생기지 않게 하면서도 부드럽게 개방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4. 가이드
가이드(13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후술할 스토퍼(300)와 마주하는 본체(100)의 양쪽 면에 각각 적어도 하나씩 형성된다. 특히, 상기 가이드(130)는 상기 본체(100)의 길이 방향(바람직하게는 창호 짝이 슬라이딩하는 방향과 직교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는, 후술하는 스토퍼(300)가 이 이 가이드(130)의 형성 방향을 따라 움직이게 함으로써, 스토퍼(300)가 후술할 걸림 부재(400)를 본체(100) 쪽으로 잡아당기게 하여 슬라이딩하는 창호 짝(S)이 개구부에 고정된 창호 틀(F)에 밀착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130)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후술할 걸림 부재(400)에 가까이 있는 쪽(수납공간(150)이 형성된 쪽)에서 멀어질수록 본체(100)의 바깥쪽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가이드(130)를 따라 움직이는 스토퍼(300)가 항상 탄성 지지를 받아 본체(100) 안쪽으로 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이 스토퍼(300)에 걸려 걸림 작용이 이루어지는 걸림 부재(400)가 본체(100) 쪽으로 당겨져서 밀착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나. 회전체
회전체(20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술한 본체(100) 내에 제자리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회전체(200)는 본체(100) 밖에서 설치되는 창호의 손잡이를 통해 본체(100) 안에서 제자리 회전한다.
이때, 상기 회전체(200)에는,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한쪽이 캠(210)이 형성되고, 이 캠(210)은 탄성 지지를 받는 후술할 스토퍼(300)가 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여 상술한 회전 링크(120')와 푸시 링크(120")가 강제로 회전하게 하고, 동시에 이 스토퍼(300)가 후술할 걸림 부재(400)에서 이탈하여 창호 짝(S)이 개방되게 한다.
다. 스토퍼
스토퍼(300)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상술한 본체(100) 내에 이 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300)는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스프링의 탄성 지지를 받아 한쪽이 상기 수납공간(150) 안으로 돌출하여 후술할 걸림 부재(400)에 걸릴 수 있게 하고, 동시에 이처럼 걸림 작용이 이루어질 때는 상기 걸림 부재(400)가 본체(100) 쪽으로 당겨지게 함으로써, 슬라이딩하는 창호 짝(S)이 고정된 창호 틀(F) 쪽으로 움직이게 하여 밀착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토퍼(300)에는,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가이드 돌기(310), 고정 돌기(320), 그리고 턱(330)이 형성된다.
1. 가이드 돌기
가이드 돌기(310)는,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상술한 가이드(130)와 마주하게 형성된 돌기로, 이 가이드 돌기(310)가 상기 가이드(130)를 따라 움직이면서 상기 스토퍼(300)가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이러한 가이드 돌기(310)는 상술한 가이드(130)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하나씩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고정 돌기
고정 돌기(320)는,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상기 스토퍼(300)가 스프링의 탄성 지지를 받음에 따라 항상 상기 수납공간(150) 안으로 돌출되는 돌기로, 이렇게 돌출된 고정 돌기(320)는 후술할 걸림 부재(400)가 걸리게 하여 잠금장치의 잠금 작용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에, 상기 고정 돌기(320)는 걸림 부재(400)와 마주하는 면이 곡률지게 하여 창호 짝(S)을 닫음에 따라 이 고정 돌기(320)가 걸림 부재(400)에 걸려 강제로 눌렸다가 다시 수납공간(150) 안으로 돌출하면서 걸려 잠금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물론, 이처럼 잠금 상태에 있는 고정 돌기(320)는 상기 회전체(200)의 회전으로 스토퍼(300)가 강제로 회전됨에 따라 걸림 부재(400)에서 이탈하여 잠금이 해제되게 된다.
3. 턱
턱(330)은,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상술한 캠(210)이 걸쳐지게 하여 상술한 회전체(200)를 회전시킴에 따라 이 회전체(200)가 회전하면서 턱(210)이 스토퍼(300)를 가압하여 강제로 누를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턱(330)은 상기 캠(210)이 회전하는 범위를 고려하여 고정 돌기(320)가 걸림 부재(400)에서 이탈할 수 있을 정도의 위치에 형성된다.
라. 걸림 부재
걸림 부재(40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창호 틀(F)에 장착된다. 특히, 상기 걸림 부재(400)는 창호 짝(S)을 닫음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L)가 마주하여 움직이면서 맞닿게 하는 부재이다. 이때, 상기 걸림 부재(400)는 상술한 고정 돌기(320)가 끼워져서 고정 작용을 하게 된다. 이러한 걸림 부재(400)는 통상적으로 스트라이커로 잘 알려진 창호용 하드웨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창호를 닫을 때는 스토퍼가 경사지게 움직이면서 걸림 부재를 본체 쪽으로 당겨지게 하여 밀착 효과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창호 짝을 여는 순간 링크 구조가 회전하면서 창호 틀을 밀어 쉽고 편리하게 개방할 수 있게 된다.
100: 본체
110: 덮개
120': 회전 링크
120" : 푸시 링크
121: 장공
130: 가이드
140: 핀
200: 회전체
210: 캠
300: 스토퍼
310: 가이드 돌기
320: 고정 돌기
330: 턱
400: 걸림 부재
L: 잠금장치
S: 창호 짝
F: 창호 틀

Claims (5)

  1. 개폐할 수 있는 덮개(110)가 구비된 본체(100); 상기 본체(100) 안에 제자리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어 상기 본체(100) 외부에 장착된 손잡이로 회전되는 회전체(200); 상기 회전체(200)의 회전으로 간섭을 받아 탄성 지지를 받으면서 상기 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게 설치된 스토퍼(300); 및 상기 스토퍼(300)의 작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스토퍼(300)에 걸려 창호의 잠금 작용이 이루어지게 하는 걸림 부재(400);가 포함된 창호용 잠금장치에서,
    상기 스토퍼(300)는 상기 본체(100)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움직이면서 상기 걸림 부재(400)가 본체(100) 방향으로 향하도록 압착하게 구성하고,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스토퍼(300)가 강제로 눌림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 링크(120'); 및 한쪽이 상기 회전 링크(120')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이 상기 본체(100)에 장착되어 본체(100) 밖으로 돌출하게 회전하는 푸시 링크(120")가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스토퍼(300)에는 양쪽 면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310)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00)에는 가이드 돌기(310)가 끼워져서 경사지게 움직일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130)가 형성되며,
    상기 푸시 링크(120")에는 장공(121)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121)에는 상기 본체(100)에 형성된 핀(140)이 끼워져서 상기 푸시 링크(120")를 안내하게 설치되되,
    상기 회전 링크(120')와 푸시 링크(120")가 이루는 각도는 상기 스토퍼(300)가 상기 본체(100) 밖으로 일부가 돌출하여 잠금 작용을 할 때는 예각이고,
    상기 스토퍼(300)가 상기 회전 링크(120')와 푸시 링크(120")를 연결한 부분을 눌러서 상기 회전 링크(120')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스토퍼(300)의 잠금이 해제될 때는 상기 회전 링크(120')와 푸시 링크(120")가 이루는 각도가 둔각으로 넓어지게 벌어지며,
    상기 회전 링크(120')와 푸시 링크(120")가 서로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된 부분과, 상기 푸시 링크(120")의 다른 한쪽에는 각각 연질 재질로 이루어진 롤러(12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 효과가 높고 쉽게 열리는 창호용 잠금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71607A 2021-06-02 2021-06-02 기밀 효과가 높고 쉽게 열리는 창호용 잠금장치 KR102476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607A KR102476096B1 (ko) 2021-06-02 2021-06-02 기밀 효과가 높고 쉽게 열리는 창호용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607A KR102476096B1 (ko) 2021-06-02 2021-06-02 기밀 효과가 높고 쉽게 열리는 창호용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6096B1 true KR102476096B1 (ko) 2022-12-08

Family

ID=84437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1607A KR102476096B1 (ko) 2021-06-02 2021-06-02 기밀 효과가 높고 쉽게 열리는 창호용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609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153U (ko) * 2015-03-10 2016-09-21 이동혁 기밀 효과를 높인 창호용 잠금장치
KR20190117420A (ko) * 2019-09-27 2019-10-16 주식회사 세한이엔지 보조 열림기능을 갖춘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KR20210010280A (ko) * 2019-07-17 2021-01-27 (주)에스알 창호용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153U (ko) * 2015-03-10 2016-09-21 이동혁 기밀 효과를 높인 창호용 잠금장치
KR200484244Y1 (ko) 2015-03-10 2017-08-17 이동혁 기밀 효과를 높인 창호용 잠금장치
KR20210010280A (ko) * 2019-07-17 2021-01-27 (주)에스알 창호용 잠금장치
KR20190117420A (ko) * 2019-09-27 2019-10-16 주식회사 세한이엔지 보조 열림기능을 갖춘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1775B1 (ko) 미닫이 창호의 수평밀착장치
CA3072800C (en) Low profile fenestration screen assembly and method for same
KR950010841B1 (ko) 미닫이문 잠금장치 및 방법
KR101467285B1 (ko) 래치볼트의 고정구조체
KR102476096B1 (ko) 기밀 효과가 높고 쉽게 열리는 창호용 잠금장치
KR200456588Y1 (ko) 창호용 자동 잠금장치
KR20020043421A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101841874B1 (ko)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TWI617729B (zh) 門窗
US2039048A (en) Latch fastening for doors, windows, and the like
KR101890318B1 (ko) 스윙형 래치볼트 조립체
KR102425087B1 (ko) 이지오픈 잠금장치
US20060006666A1 (en) Inside latch structure
KR20160109414A (ko) 창호용 창 잠금장치
KR101401653B1 (ko) 창호용 잠금장치
JPH0340191B2 (ko)
KR102187289B1 (ko) 보조열림기구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 록킹장치
KR102287873B1 (ko) 미닫이문 원터치 잠금장치
GB2153903A (en) Fastening means
KR100250908B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102260129B1 (ko)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
KR102026579B1 (ko) 틸트형 창호 그립핸들
KR200342341Y1 (ko) 소화전함 도어용 개폐장치의 잠금구 구조
RU2682236C1 (ru) Замок с поворотным засовом
KR102016984B1 (ko) 직접 잠금 장치(dls)용 그립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