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1669B1 -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1669B1
KR101861669B1 KR1020110120121A KR20110120121A KR101861669B1 KR 101861669 B1 KR101861669 B1 KR 101861669B1 KR 1020110120121 A KR1020110120121 A KR 1020110120121A KR 20110120121 A KR20110120121 A KR 20110120121A KR 101861669 B1 KR101861669 B1 KR 101861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main body
fixing frame
unit
rear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0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4626A (ko
Inventor
황순철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0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1669B1/ko
Publication of KR20130054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4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01D46/0006Filter elements or cartridges installed in a drawer-like mann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필터의 교체가 용이한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INDOOR UNIT OF AIR CONDITIONING SYSTEM}
본 발명은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필터의 교체가 용이한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시스템은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저온의 냉매로 열교환한 후 이를 실내로 토출하는 반복작용에 의해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또는 반대작용에 의해 실내를 난방시키는 냉/난방 시스템으로서, 압축기-실외 열교환기-팽창밸브-실내 열교환기로 이루어져 일련의 사이클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최근의 공기조화시스템은 공조공간의 냉난방 외에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링하여 공조공간 내부로 재공급하는 공기정화기능과 다습한 공기를 순환시킴과 동시에 제습과정을 수행한 뒤 제습된 공기를 공조공간으로 재공급하는 제습기능 등 여러가지 부가기능을 겸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은 크게 실외기와 실내기가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시스템 및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로 구비되는 일체형 공기조화시스템으로 나눌 수 있다. 최근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되어, 실내기는 실내에 설치되며 실외기는 실외에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시스템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분리형 공기조화시스템은 일체형 공기조화장치에 비해 실외기를 구성하는 압축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분리형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는 실외기에서 공급된 냉매를 사용하여 실내공기와 열교환을 수행하는 실내 열교환기와 실내공기를 흡입 및 토출하기 위한 송풍팬을 구비한다.
따라서, 실내기는 그 내부에 실내공기가 흡입되어 토출되는 유로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는 적절한 두께를 갖게 된다.
공기조화시스템은 주로 실내를 냉방하거나, 실내를 난방하는 경우에 많이 사용되므로, 특별한 지역을 제외하고 공기조화시스템을 사용하는 계절은 한정될 수 있다.
또한, 냉방기능이 사용되는 계절이라도, 실내기는 사용자의 요구에 의하여 제한된 시간동안만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분리형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는 실내 사물들과 조화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종 인테리어 효과를 겸비한 제품들이 소개되고 있다. 따라서, 실내 인테리어와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실내기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분리형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는 설치 위치에 따라 벽걸이형 실내기, 매립형 실내기 또는 스탠드형 실내기 등으로 분류된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탠드형 실내기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 사시도이고,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탠드형 실내기에 대한 개략적은 후면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탠드형 실내기에서 필터 교체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스탠드형 실내기는 실내기 본체, 상기 실내기 본체에 장착되는 필터 유닛, 상기 필터 유닛을 상기 실내기 본체에 고정하는 필터고정용 프레임을 포함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스탠드형 실내기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공간 내에서 벽면과 벽면이 만나는 구석 부분에 설치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스탠드형 실내기에서는 필터고정용 프레임이 실내기 본체에 고정되어 있고, 필터 유닛이 필터고정용 프레임에 대해 실내기 본체의 후방면을 따라서만 탈착되도록 구성되므로, 필터 유닛의 교체 및 유지 보수가 필요한 경우 실내기 본체가 공조공간의 구석 부분에 설치되어 있어 필터 유닛을 실내기 본체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실내기 본체를 회전시켜 필터 유닛의 이동 거리를 확보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필터 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기의 구조를 단순화하면서 필터 유닛의 교체가 용이한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공기 토출구와 후방면에 구비된 공기 흡입구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후방면에서 상기 공기 흡입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되는 필터고정용 프레임부; 및 상기 필터고정용 프레임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필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 유닛은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서 전방 대각선 방향의 이동 경로를 따라 또는 상기 본체부의 후방면을 따라 상기 본체부에 설치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고정용 프레임부는 상기 본체부에 대해 소정 각도 회동하도록 탈착가능하게 상기 본체부의 후방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고정용 프레임부는, 일측면에 형성된 장착용 개구부와, 상기 장착용 개구부의 상하부에 구비된 힌지용 연결부와, 상기 공기 흡입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흡입용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힌지용 연결부는 "ㄱ"자 형상을 가지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후방면 또는 상기 후방면의 일 모서리부에서 상기 힌지용 연결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힌지용 연결부가 힌지 결합되는 상부 힌지용 지지부 및 하부 힌지용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힌지용 지지부의 하부에는 보강리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고정용 프레임부는 상기 장착용 개구부와 마주하는 타측면에 설치된 제1 자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고정용 프레임부는 상기 본체부의 후방면과 접촉하는 면에서 상기 필터고정용 프레임부의 타측면 쪽에 위치하는 부분에 설치된 제2 자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고정용 프레임부는 타측면에 설치된 제1 자력부재와, 상기 본체부의 후방면과 접촉하는 면에서 상기 필터고정용 프레임부의 타측면 쪽에 위치하는 부분에 설치된 제2 자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자력부재의 자기적 인력은 상기 제2 자력부재의 자기적 인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고정용 프레임부는 비자성 물질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부는 적어도 상기 필터고정용 프레임부가 장착되는 부분이 강자성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 유닛은 일측면에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 유닛은 타측면에 강자성 물질로 이루어진 장착용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후방면 또는 상기 후방면의 일 모서리부에서 후방 대각선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필터 유닛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후방면 또는 상기 후방면의 일 모서리부에서 상기 필터고정용 프레임부의 상부 지지부 및 하부 지지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후방 대각선 방향으로 돌출된 상부 가이드 지지부 및 하부 가이드 지지부와, 상기 상부 가이드 지지부 및 상기 하부 가이드 지지부에서 내측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핀에는 소형 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가이드 지지부의 하부에는 보강리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 및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측면 또는 후방면으로 회동되도록 접히어 상기 본체부 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는 상기 필터고정용 프레임부의 상부 지지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본체부의 후방면 또는 상기 후방면의 일 모서리부를 따라 상부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는 상기 필터고정용 프레임부의 하부 지지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본체부의 후방면 또는 상기 후방면의 일 모서리부를 따라 하부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 유닛은 일측면에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 유닛은 상부면 및 하부면에 상기 가이드핀이 삽입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서의 전방 대각선 방향 및 상기 후방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필터 유닛의 설치 경로 또는 분리 경로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 유닛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는 상기 가이드핀이 삽입되어 통과하는 가이드홈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홈은 손잡이가 구비된 일측면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외측으로 꺽인 형태의 방향전환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홈은 양단부에 외측으로 폭이 넓어지는 전방 가이드부 및 후방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 유닛은 손잡이가 구비된 일측면의 반대 쪽인 타측면에 강자성 물질로 이루어진 장착용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고정용 프레임부는 상기 본체부의 후방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고정용 프레임부는, 상기 필터 유닛의 상부면 및 하부면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상기 필터 유닛의 후방면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노출부와, 상기 필터 유닛의 상부면, 하부면, 후방면 및 일측면을 둘러싸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펄터고정용 프레임부는 일측면에 형성된 장착용 개구부와, 상기 필터 유닛의 상부면 및 하부면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 및 하부 지지부와, 상기 상부 지지부 및 상기 하부 지지부를 연결하고 상기 필터 유닛의 후방면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후방 지지부와, 상기 공기 흡입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흡입용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고정용 프레임부는 상기 장착용 개구부와 마주하는 타측면에 설치된 제1 자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해결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은 벽면에 대한 필터 유닛의 이동 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필터 유닛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 유닛의 장착시 필터 유닛이 실내기의 흡입구에 후방면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필터 유닛의 장착시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기에서 필터 유닛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면서 실내기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탠드형 실내기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 사시도이다.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탠드형 실내기에 대한 개략적은 후면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탠드형 실내기에서 필터 교체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에 대한 개략적인 전방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에 대한 개략적인 후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에 대한 개략적인 후방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고정용 프레임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필터고정용 프레임부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유닛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유닛의 분리과정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에 대한 개략적인 전방 사시도 및 후방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에 대한 개략적인 후방 부분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고정용 프레임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고정용 프레임부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고정용 프레임부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유닛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6a 내지 도 16d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유닛의 분리과정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1000)에 대한 개략적인 전방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1000)에 대한 개략적인 후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1000)에 대한 개략적인 후방 부분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유닛(300)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1000)는 스탠드형 실내기(1000)이다.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1000)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후방면에 설치되는 필터 유닛(300)과, 상기 필터 유닛(300)을 상기 본체부(100)에 고정하는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필터 유닛(300)은 본체부(100)의 측면에서 전방 대각선 방향의 이동 경로를 따라 및/또는 상기 본체부(100)의 후방면을 따라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 유닛(300)은 전방 대각선 방향의 이동 경로를 따라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에 설치 또는 분리될 수 있어, 본체부(100)가 공조공간 내에서 벽면과 벽면 사이의 구석 부분에 설치되더라도 분리를 위한 필터 유닛(300)의 이동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필터 유닛(300)의 교체가 용이해 진다.
본체부(10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로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구와, 실내의 공기와 냉매가 열교환하는 실내측 열교환기(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냉매와 열교환한 공기를 실내로 강제 통풍시키는 실내 송풍팬과, 상기 냉매와 열교환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1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공기 흡입구는 상기 본체부(100)의 후방면에 구비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1000)는 배면 흡입 방식의 실내기(1000)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1000)는 스탠드형 실내기(1000)이다.
본체부(100)는 전방면에 실내기(1000) 및/또는 실외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20)를 구비한다. 상기 실내기(1000) 및/또는 실외기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실내온도, 실내습도, 현재 풍량, 실외온도, 실외습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0)의 후방면에는, 본체부(100)의 공기 흡입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가 장착된다. 상기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는 본체부(100)의 후방면에 회동방식으로 탈착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는 상기 본체부(100)의 후방면 또는 상기 후방면의 일 모서리부에 상부 힌지용 지지부(150) 및 하부 힌지용 지지부(150)를 구비한다. 상기 힌지용 지지부(150)는 후술할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의 힌지용 연결부(220)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힌지용 연결부(220)가 힌지 결합되는 부분이다.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하부 힌지용 지지부(150)의 하부에는 보강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 및 필터 유닛(300)의 하중이 하부 힌지용 지지부(150)에 집중되므로 하부 힌지용 지지부(150)의 기계적 강도를 보완하기 위함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체부(100)의 후방면에는,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가 본체부(100)에 고정될 때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지지턱이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는 전체적으로 박스 형태를 가지며, 본체부(100)에 대해 소정 각도 회동하도록 탈착가능하게 상기 본체부(100)의 후방면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는, 상기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의 일측면에 형성된 장착용 개구부(210)와, 상기 장착용 개구부(210)의 상하부에 구비된 힌지용 연결부(220)와, 상기 공기 흡입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흡입용 개구부(230)를 포함한다.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는 일측면에 장착용 개구부(210)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용 개구부(210)는 필터 유닛(300)이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 내로 삽입되는 입구이다.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는 본체부(100)의 공기 흡입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실내의 공기가 본체부(100)로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용 개구부(230)를 포함한다. 실내 공기의 흡입을 위해, 상기 흡입용 개구부(230)는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의 전방면 및 후방면에 모두 형성되어 있고, 전방면에 형성된 흡입용 개구부(230)와 후방면에 형성된 흡입용 개구부(230)는 서로 연통되어 있다. 이로 인해,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에 필터유닛이 설치되면, 실내의 공기는 본체부(100) 내의 송풍팬에 의해 본체부(100)로 흡입되고, 이때 실내의 공기는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의 흡입용 개구부(230)를 통과한 후, 필터 유닛(300)을 통과하여 여과된 공기가 본체부(100) 내부로 공급된다.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는 장착용 개구부(210)의 상부 및 하부에 힌지용 연결부(220)를 구비한다. 상기 힌지용 연결부(220)는 본체부(100)의 힌지용 지지부(150)에 힌지 결합되어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가 힌지용 지지부(150)를 중심으로 본체부(100)에 대해 회동할 수 있게 한다. 이로 인해,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는 힌지용 연결부(220)를 중심으로 본체부(100)의 후방면에서 탈착될 수 있다.
이러한 힌지용 연결부(220) 및 힌지용 지지부(150)를 구비함으로써,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는 본체부(100)의 후방면에서 소정 각도로 회동할 수 있어,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로의 필터 유닛(300)의 설치시 및/또는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에서의 필터 유닛(300)의 분리시 필터 유닛(300)의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에 대한 이동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필터 유닛(300)의 설치 및/또는 분리를 위해 벽면으로 인한 필터 유닛(300)의 이동 공간이 제한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필터 유닛(300)의 교체를 용이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용 연결부(220)는 "ㄱ"자 형상일 수 있다. 이렇게, 힌지용 연결부(220)가 "ㄱ"자 형상을 구비함으로써, 본체부(100)에 대한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의 회동각도를 더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에서 장착용 개구부(210)와 마주하는 타측면에는, 제1 자력부재(27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자력부재(270)는 자석으로 이루어진 판형부재이다. 상기 제1 자력부재(270)는 필터 유닛(300)에 자기적 인력을 가한다. 구체적으로, 필터 유닛(300)을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에 설치할 때 필터 유닛(300)이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에 자기적 인력이 미치는 부분까지 삽입되면 필터 유닛(300)에 자기적 인력을 가하여 필터 유닛(300)이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 내에서 정확한 설치위치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필터 유닛(300)을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 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실내기(1000)의 가동시 발생하는 진동으로 인해 필터 유닛(300)이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 내에서 진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실내기(1000)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에서 본체부(100)의 후방면과 접촉하는 면에는 제2 자력부재(280)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자력부재(280)는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에서 본체부(100)의 후방면과 접촉하는 면 중에서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의 타측면 쪽에(즉,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의 힌지용 연결부(220)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자력부재(280)는 자석으로 이루어진 판형부재이다. 상기 제2 자력부재(280)는 본체부(100)에 자기적 인력을 가하여 본체부(100)에 대해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가 정확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본체부(100)의 후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실내기(1000)의 가동시 발생하는 진동으로 인해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이 본체부(100)의 후방면에서 진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실내기(1000)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자력부재(270) 및 상기 제2 자력부재(280)는, 상기 제1 자력부재(270)의 자기적 인력이 상기 제2 자력부재(280)의 자기적 인력보다 크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필터 유닛(300)의 분리를 위해 후술할 필터 유닛(300)의 손잡이(320)를 이용해 소정 힘을 가하여 필터 유닛(300)을 측면으로 당기는 경우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가 회동방식으로 본체부(100)에서 분리되고, 이후 사용자가 상기 소정 힘보다 더 큰 힘을 가하여 필터 유닛(300)을 당기는 경우 필터 유닛(300)이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즉, 제1 자력부재(270)와 제2 자력부재(280)의 자기적 인력 차이로 인해,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을 본체부(100)의 후방면에서 분리하여 소정 각도 회동시킨 후,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에서 필터 유닛(300)을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로의 필터 유닛(300)의 설치시 및/또는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에서의 필터 유닛(300)의 분리시 필터 유닛(300)의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에 대한 이동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필터 유닛(300)의 설치 및/또는 분리를 위해 벽면으로 인한 필터 유닛(300)의 이동 공간이 제한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필터 유닛(300)의 교체를 용이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는 비자성 물질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부(100)는 적어도 상기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가 접촉하는 또는 장착되는 부분이 강자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본체부(100)의 후방면 중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이 접촉하는 또는 장착되는 부분이 강자성 물질로 구성됨으로써,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에 구비된 제2 자력부재(280)에 의해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가 본체부(100)의 후방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유닛(300)은 하나 이상의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 본체(310)와, 상기 필터 본체(31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손잡이(320)와, 상기 손잡이(320)가 구비되는 일측면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타측면에 구비되는 장착용 플레이트(330)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 유닛(300)은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의 장착용 개구부(210)를 통하여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 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탈착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필터는 집진 필터, HEPA 필터(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탈취 필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320)는 필터 유닛(300)이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 내부에 설치될 때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의 장착용 개구부(2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된다.
장착용 플레이트(330)는 필터 유닛(300)의 타측면에 설치되고, 강자성 물질(예를 들어, 철 등)로 이루어진 판형 부재이다. 상기 장착용 플레이트(330)는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의 제1 자력부재(270)의 자기적 인력이 가해지는 부분으로서, 필터 유닛(300)이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 내부에 설치될 때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의 제1 자력부재(270)와 접촉하는 부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유닛(300)의 분리과정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1000)가 공조공간 내에서 벽면과 벽면이 만나는 구석부분에 대각선으로 설치되는 경우, 사용자가 필터 유닛(300)의 손잡이(320)를 본체부(100)의 측면 외측방향으로 당기면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가 본체부(100)에서 소정 각도 회동하여 본체부(100)의 후방면에서 분리된다. 이후, 사용자가 필터 유닛(300)의 손잡이(320)를 본체부(100)의 전방 대각선 방향으로 계속 당기면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에서 필터 유닛(300)을 분리할 수 있다.
필터 유닛(300)의 설치과정은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된 필터 유닛(300)의 분리과정의 역순으로 유사하게 실행하면 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를 본체부(100)의 후방면으로부터 회동하여 본체부(100)에서 분리시킨 후,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의 장착용 개구부(210)를 통하여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 내에 필터 유닛(300)을 삽입하면 필터 유닛(300)의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 내에 소정 거리에 도달하게 되는 경우 제1 자력부재(270)의 자기적 인력에 의해 필터 유닛(300)이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 내에 정확하게 안착된다. 이후, 필터 유닛(300)의 손잡이(320) 또는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를 밀어,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를 본체부(100)에 대해 회동시켜 제2 자력부재(280)를 통하여 본체부(100)의 후방면에 필터고정용 프레임부(200)를 정확하게 장착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1000)에 대한 개략적인 전방 사시도 및 후방 사시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1000)에 대한 개략적인 후방 부분 확대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고정용 프레임부(400)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고정용 프레임부(400)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고정용 프레임부(400)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유닛(500)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1000)는 스탠드형 실내기(1000)이다.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1000)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후방면에 설치되는 필터 유닛(500)과, 상기 필터 유닛(500)을 상기 본체부(100)에 고정하는 필터고정용 프레임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필터 유닛(500)은 본체부(100)의 측면에서 전방 대각선 방향의 이동 경로를 따라 및/또는 상기 본체부(100)의 후방면을 따라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 유닛(500)은 전방 대각선 방향의 이동 경로를 따라 필터고정용 프레임부(400)에 설치 또는 분리될 수 있어, 본체부(100)가 공조공간 내에서 벽면(W)과 벽면(W) 사이의 구석 부분에 설치되더라도 분리를 위한 필터 유닛(500)의 이동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필터 유닛(500)의 교체가 용이해 진다.
본체부(10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로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구와, 실내의 공기와 냉매가 열교환하는 실내측 열교환기(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냉매와 열교환한 공기를 실내로 강제 통풍시키는 실내 송풍팬과, 상기 냉매와 열교환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1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공기 흡입구는 상기 본체부(100)의 후방면에 구비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1000)는 배면 흡입 방식의 실내기(1000)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1000)는 스탠드형 실내기(1000)이다.
본체부(100)는 전방면에 실내기(1000) 및/또는 실외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20)를 구비한다. 상기 실내기(1000) 및/또는 실외기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실내온도, 실내습도, 현재 풍량, 실외온도, 실외습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b,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는 상기 본체부(100)의 후방면 또는 상기 후방면의 일 모서리부에서 후방 대각선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필터 유닛(50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즉, 상기 가이드부재는 필터 유닛(500)을 필터고정용 프레임부(400) 또는 본체부(100)에 설치 또는 분리할 때 필터 유닛(500)의 이동 경로를 안내한다.
가이드 부재(180)는 본체부(100)의 후방면 또는 상기 후방면의 일 모서리부에서 상기 필터고정용 프레임부(400)의 상부 지지부(411) 및 하부 지지부(413)에 대응되는 위치에 후방 대각선 방향으로 돌출된 상부 가이드 지지부(181) 및 하부 가이드 지지부(181)와, 상기 상부 가이드 지지부(181) 및 상기 하부 가이드 지지부(181)에서 내측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핀(183)을 포함한다.
상부 가이드 지지부(181)는 후술할 필터고정용 프레임부(400)의 상부 지지부(411)에 대응되는 위치 또는 높이에 구비되고, 하부 가이드 지지부(181)는 후술할 필터고정용 프레임부(400)의 하부 지지부(413)에 대응되는 위치 또는 높이에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하부 가이드 지지부(181)의 하부에는 보강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필터고정용 프레임부(400) 및 필터 유닛(500)의 하중이 하부 힌지용 지지부에 집중되므로 하부 힌지용 지지부의 기계적 강도를 보완하기 위함이다.
가이드핀(183)은 후술할 필터 유닛(50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구비된 가이드홈(530)에 삽입되어 필터 유닛(500)의 이동 방향을 안내한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핀(183)의 단부에는 소형 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소형 홀러를 구비함으로 필터 유닛(500)이 필터고정용 프레임부(400) 내에 설치되거나 또는 분리될 때 필터 유닛(500)이 필터고정용 프레임부(400) 내로 용이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체부(100)의 상부 가이드 부재(180) 및 하부 가이드 부재(180)는 상기 본체부(100)의 측면 또는 후방면으로 회동되도록 접히어 상기 본체부(100)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체부(100)의 상부 가이드 부재(180) 및 하부 가이드 부재(180)는 본체부(100)가 공조공간 내에서 벽면(W)과 벽면(W)이 만나는 구석부분에 대각선으로 배치되는 경우 본체부(100)의 측면 또는 후방면에서 후방 대각선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로 고정되어 필터 유닛(500)이 필터고정용 프레임부(400) 내에 설치 또는 분리될 때 필터 유닛(500)이 본체부(100)의 측면에서 전방 대각선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부(100)의 상부 가이드 부재(180) 및 하부 가이드 부재(180)는 본체부(100)가 공조공간 내에서 벽면(W)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경우 상부 가이드 부재(180) 및 하부 가이드 부재(180)를 본체부(100)의 측면 또는 후방면으로 회동되도록 접어 상기 본체부(100) 내에 삽입하여 필터 유닛(500)이 본체부(100)의 후방면을 따라서만 필터고정용 프레임부(400) 내에 설치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상부 가이드 부재(180) 및 하부 가이드 부재(180)의 사용 및 불사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기(1000)를 벽면(W)에 평행하게 또는 대각선으로 위치시키더라도 필터 유닛(500)을 실내기(1000)에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부(100)의 측면 또는 후방면에는 상부 가이드 부재(180) 및 하부 가이드 부재(180)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변형 실시예로서, 상부 가이드 부재(180)는 상기 필터고정용 프레임부(400)의 상부 지지부(411)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본체부(100)의 후방면 또는 상기 후방면의 일 모서리부를 따라 상부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180)는 상기 필터고정용 프레임부(400)의 하부 지지부(413)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본체부(100)의 후방면 또는 상기 후방면의 일 모서리부를 따라 하부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가이드 부재(180) 및 하부 가이드 부재(180)의 사용 및 불사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기(1000)를 벽면(W)에 평행하게 또는 대각선으로 위치시키더라도 필터 유닛(500)을 실내기(1000)에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부(100)의 후방면 또는 상기 후방면의 일 모서리부에는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180) 및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180)가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될 수 있다.
도 9b 내지 도 11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유닛(500)은 하나 이상의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 본체(510)와, 상기 필터 본체(51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손잡이(520)와, 상기 손잡이(520)가 구비되는 일측면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타측면에 구비되는 장착용 플레이트(580)와, 상기 필터 유닛(50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구비되어 본체부(100)의 가이드핀(183)이 삽입되는 가이드홈(530)을 포함한다.
상기 필터 유닛(500)은 필터고정용 프레임부(400)의 장착용 개구부(414)를 통하여 필터고정용 프레임부(400) 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탈착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필터는 집진 필터, HEPA 필터(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탈취 필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520)는 필터 유닛(500)이 필터고정용 프레임부(400) 내부에 설치될 때 필터고정용 프레임부(400)의 장착용 개구부(414)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된다.
상기 가이드홈(530)은 본체부(100)의 측면에서의 전방 대각선 방향 및 상기 후방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필터 유닛(500)의 설치 경로 또는 분리 경로를 한정한다. 즉, 가이드홈(530)의 형상과 상기 가이드홈(530) 내에 삽입되는 가이드핀(183)으로 인해, 필터 유닛(500)의 설치시 필터 유닛(500)은 본체부(100)의 측면에서 전방 대각선 방향을 따라 가이드 부재(180)에 의해 안내되고, 이후 필터 유닛(500)은 가이드홈(530)의 형상으로 인해 가이드 부재(180)를 중심으로 본체부(100)의 후방면 쪽으로 회동하여 필터고정용 프레임부(40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홈(530)은 손잡이(520)가 구비된 일측면에서부터 형성되는 전방 가이드부(531)와, 상기 전방 가이드부(531)에서 연장되고 상기 전방 가이드부(531)에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방향전환 가이드부(532)와, 상기 방향전환 가이드에서 연장되어 수평방향으로 뻗어있는 직선 가이드부(533)와, 상기 직선 가이드부(533)에 연장되어 타측면까지 형성되는 후방 가이드부(534)를 포함한다.
전방 가이드부(531)는 손잡이(520)가 구비된 일측면에서부터 방향전환 가이드부(532) 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디퓨져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필터 유닛(500)을 필터고정용 프레임부(400)에서 분리할 때 본체부(100)의 가이드핀(183)이 가이드홈(530) 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방향전환 가이드부(532)는 필터 유닛(50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서 손잡이(520)가 구비된 일측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방향전환 가이드부(532)는 외측으로 꺽인 형태를 구비한다. 즉, 방향전환 가이드부(532)로 인해 전방 가이드부(531)와 직선 가이드부(533)는 상이한 직선 상에 위치된다.
이렇게 방향전환 가이드부(532)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는 필터 유닛(500)의 설치시 또는 분리시 촉감으로 필터 유닛(500)의 삽입 정도를 감지할 수 있어 필터 유닛(500)에 가하는 힘의 정도 또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필터 유닛(500)의 설치시 또는 분리시 가이드핀(183)이 가이드홈(530)을 따라 이동하여 필터 유닛(500)의 설치 또는 분리 방향을 본체부(100)의 측면에서의 전방 대각선 방향 및 본체부(100)의 후방면 방향으로 상호 전환할 수 있어 필터 유닛(500)의 설치 또는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후방 가이드부(534)는 직선 가이드부(533)의 단부에서부터 손잡이(520)가 구비된 일측면에 반대쪽인 타측면 쪽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디퓨져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필터 유닛(500)을 필터고정용 프레임부(400)에 설치할 때 본체부(100)의 가이드핀(183)이 가이드홈(530) 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필터 유닛(500)의 양측면 중에서 손잡이(520)가 구비된 일측면의 반대쪽인 타측면에는, 장착용 플레이트(580)가 구비된다. 상기 장착용 플레이트(580)는 강자성 물질(예를 들어, 철 등)로 이루어진 판형 부재이다. 상기 장착용 플레이트(580)는 후술할 필터고정용 프레임부(400)의 제1 자력부재(470)의 자기적 인력이 가해지는 부분으로서, 필터 유닛(500)이 필터고정용 프레임부(400) 내부에 설치될 때 필터고정용 프레임부(400)의 제1 자력부재(470)와 접촉하는 부분이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고정용 프레임부(400)는 상기 필터 유닛(500)의 상부면 및 하부면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상기 필터 유닛(500)의 후방면(즉, 공기 흡입면)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노출부(410)와, 상기 필터 유닛(500)의 상부면, 하부면, 후방면 및 일측면을 둘러싸는 고정부(420)를 포함한다.
노출부(410)는 필터 유닛(500)의 방향전환 가이드부(532)와 본체부(100)의 가이드핀(183)에 의해 필터 유닛(500)이 본체부(100)의 후방면 쪽으로 회동될 때 필터고정용 프레임부(400)과 필터 유닛(500) 사이에 공간적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후방면이 개방되어 있다.
또한, 펄터고정용 프레임부는 일측면에 형성된 장착용 개구부(414)와, 상기 필터 유닛(500)의 상부면 및 하부면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411) 및 하부 지지부(413)와, 상기 상부 지지부(411) 및 상기 하부 지지부(413)를 연결하고 상기 필터 유닛(500)의 후방면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후방 지지부(421)와, 상기 공기 흡입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흡입용 개구부(430)를 포함한다.
필터고정용 프레임부(400)는 일측면에 장착용 개구부(414)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용 개구부(414)는 필터 유닛(500)이 필터고정용 프레임부(400) 내로 삽입되는 입구이다.
필터고정용 프레임부(400)는 본체부(100)의 공기 흡입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실내의 공기가 본체부(100)로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용 개구부(430)를 포함한다. 실내 공기의 흡입을 위해, 상기 흡입용 개구부(430)는 필터고정용 프레임부(400)의 전방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필터고정용 프레임부(400)에 필터유닛이 설치되면, 실내의 공기는 본체부(100) 내의 송풍팬에 의해 본체부(100)로 흡입되고, 이때 실내의 공기는 필터고정용 프레임부(400)의 흡입용 개구부(430)를 통과한 후, 필터 유닛(500)을 통과하여 여과된 공기가 본체부(100) 내부로 공급된다.
필터고정용 프레임부(400)는 상기 장착용 개구부(414)와 마주하는 타측면에 재1 자력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자력부재(470)는 자석으로 이루어진 판형부재이다. 상기 제1 자력부재(470)는 필터 유닛(500)에 자기적 인력을 가한다. 구체적으로, 필터 유닛(500)을 필터고정용 프레임부(400)에 설치할 때 필터 유닛(500)이 필터고정용 프레임부(400)에 자기적 인력이 미치는 부분까지 삽입되면 필터 유닛(500)에 자기적 인력을 가하여 필터 유닛(500)이 필터고정용 프레임부(400) 내에서 정확한 설치위치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필터 유닛(500)을 필터고정용 프레임부(400) 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실내기(1000)의 가동시 발생하는 진동으로 인해 필터 유닛(500)이 필터고정용 프레임부(400) 내에서 진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실내기(1000)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고정용 프레임부(400)는 전체적으로 비자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6a 내지 도 16d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유닛(500)의 분리과정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6a 내지 도 1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1000)가 공조공간 내에서 벽면(W)과 벽면(W)이 만나는 구석부분에 대각선으로 설치되는 경우, 사용자가 필터 유닛(500)의 손잡이(520)를 본체부(100)의 측면 외측방향으로 당기면 필터고정용 프레임부(400)의 제1 자력부재(470)에서 필터 유닛(500)이 분리되고 필터 유닛(500)의 전방 가이드부(531) 내에 본체부(100)의 가이드핀(183)이 삽입되어 필터 유닛(500)을 본체부(100)의 후방면을 따라 안내한다. 이후, 필터 유닛(500)이 필터고정용 프레임부(400)의 고정부(420)에서 완전히 빠져나오게 되고, 이때 본체부(100)의 가이드핀(183)은 필터 유닛(500)의 방향전화 가이드부의 초입에 위치하게 되어 사용자에게 필터 유닛(500)의 분리된 정도를 인지할 수 있게 한다. 이후, 필터 유닛(500)의 손잡이(520)를 더 외측으로 당기면 방향전환 유닛과 가이드핀(183)의 연동으로 인해 필터 유닛(500)이 가이드핀(183)을 중심으로 필터고정용 프레임부(400)에서 분리되도록 회동한다(도 16c 참고). 이후, 필터 유닛(500)의 이동경로는 본체부(100)의 측면에서 전방 대각선 방향으로 한정되고, 필터 유닛(500)의 손잡이(520)를 전방 대각선 방향으로 당기면 본체부(100)의 가이드핀(183)이 직선 가이드부(533) 및 후방 가이드부(534)를 통과하여 필터 유닛(500)을 본체부(100) 또는 필터고정용 프레임부(400)에서 완전히 분리할 수 있다.
필터 유닛(500)의 설치과정은 도 16a 내지 도 16d에 도시된 필터 유닛(500)의 분리과정의 역순으로 유사하게 실행하면 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필터 유닛(500)의 후방 가이드부(534)를 통하여 본체부(100)의 가이드핀(183)을 가이드홈(530) 내에 위치시킨 후 전방 대각선 방향으로 필터 유닛(500)을 본체부(100)의 후방 방향으로 밀어 넣는다. 이후, 본체부(100)의 가이드핀(183)이 필터 유닛(500)의 방향전환 가이드부(532)에 위치하는 경우, 필터 유닛(500)은 상기 가이드핀(183)과 상기 방향전환 가이드부(532)의 연동으로 인해 본체부(100)의 후방면에 가까워지도록(즉, 필터 유닛(500)의 이동 경로가 본체부(100)의 후방면을 따르도록) 회동된다. 이때, 방향전환 가이드부(532)로 인한 손잡이(520)의 촉감으로 인해 사용자는 필터 유닛(500)의 설치과정이 어느 정도(어느 깊이)까지 진행되었는지를 인지할 수 있다. 이후, 필터 유닛(500)을 본체부(100)의 후방면을 따라 밀어넣어 필터고정용 프레임부(400)의 고정부(420) 내에 위치시키면 제1 자력부재(470)의 자기적 인력에 의해 필터 유닛(500)이 필터고정용 프레임부(400) 내에 정확하게 안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벽면에 대한 필터 유닛의 이동 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필터 유닛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 유닛의 장착시 필터 유닛이 실내기의 흡입구에 후방면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필터 유닛의 장착시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기에서 필터 유닛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면서 실내기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0 : 실내기 100 : 본체부
110 : 공기 토출구 120 : 디스플레이부
150 : 힌지용 지지부 180 : 가이드 부재
181 : 가이드 지지부 183 : 가이드핀
200 : 필터고정용 프레임부 210 : 장착용 개구부
220 : 힌지용 연결부 230 : 흡입용 개구부
270 : 제1 자력부재 280 : 제2 자력부재
300 : 필터 유닛 310 : 필터 본체
320 : 손잡이 330 : 장착용 플레이트
400 : 필터고정용 프레임부 410 : 노출부
411 : 상부 지지부 413 : 하부 지지부
414 : 장착용 개구부 420 : 고정부
421 : 후방 지지부 430 : 흡입용 개구부
470 : 제1 자력부재 500 : 필터 유닛
510 : 필터 본체 520 : 손잡이
530 : 가이드홈 531 : 전방 가이드부
532 : 방향전환 가이드부 533 : 직선 가이드부
534 : 후방 가이드부 580 : 장착용 플레이트

Claims (20)

  1. 공기 토출구와 후방면에 구비된 공기 흡입구를 포함하고, 후방면이 공조공간의 벽면과 벽면 사이의 코너 부분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후방면에서 상기 공기 흡입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되는 필터고정용 프레임부; 및
    상기 필터고정용 프레임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필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후방면의 일 모서리부에서 상기 필터고정용 프레임부의 상부 지지부 및 하부 지지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후방 대각선 방향으로 돌출된 상부 가이드 지지부 및 하부 가이드 지지부와, 상기 상부 가이드 지지부 및 상기 하부 가이드 지지부에서 내측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핀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가이드 지지부 및 상기 하부 가이드 지지부는 상기 필터고정용 프레임부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핀에는 소형 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가이드 지지부의 하부에는 보강리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드 지지부 및 상기 하부 가이드 지지부는 상기 본체부의 측면 또는 후방면으로 회동되도록 접히어 상기 본체부 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드 지지부는 상기 필터고정용 프레임부의 상부 지지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본체부의 후방면 또는 상기 후방면의 일 모서리부를 따라 상부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하부 가이드 지지부는 상기 필터고정용 프레임부의 하부 지지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본체부의 후방면 또는 상기 후방면의 일 모서리부를 따라 하부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유닛은 일측면에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유닛은 상부면 및 하부면에 상기 가이드핀이 삽입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서의 전방 대각선 방향 및 상기 후방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필터 유닛의 설치 경로 또는 분리 경로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유닛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는 상기 가이드핀이 삽입되어 통과하는 가이드홈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홈은 손잡이가 구비된 일측면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외측으로 꺽인 형태의 방향전환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유닛은 손잡이가 구비된 일측면의 반대 쪽인 타측면에 강자성 물질로 이루어진 장착용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고정용 프레임부의 일측면에는 장착용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고정용 프레임부의 타측면에는 제1 자력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고정용 프레임부는 상기 본체부의 후방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
KR1020110120121A 2011-11-17 2011-11-17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 KR101861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121A KR101861669B1 (ko) 2011-11-17 2011-11-17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121A KR101861669B1 (ko) 2011-11-17 2011-11-17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4626A KR20130054626A (ko) 2013-05-27
KR101861669B1 true KR101861669B1 (ko) 2018-05-28

Family

ID=48663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0121A KR101861669B1 (ko) 2011-11-17 2011-11-17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16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8778A (ko) 2017-11-22 2019-05-30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부타디엔 제조용 금속 복합 산화물 성형촉매 및 이를 이용한 부타디엔의 제조방법
KR20190124633A (ko) 2018-04-23 2019-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413948B1 (ko) * 2020-05-28 2022-06-27 황성규 냉,난방 장치를 활용한 공기 청정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199B1 (ko) * 2009-04-25 2009-11-06 세웅건업 주식회사 화장실 도어 열림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199B1 (ko) * 2009-04-25 2009-11-06 세웅건업 주식회사 화장실 도어 열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4626A (ko) 2013-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75261B (zh) 天花板埋入型空调装置及其室内机
EP1248048B1 (en) Air conditioner
US20150090429A1 (en) Indoor device for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CN100470143C (zh) 空调器
EP2075510A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2011043253A (ja) 壁掛け形空気調和機
US10197298B2 (en) Indoor device for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US11573019B2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US20100287966A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861669B1 (ko)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
CN101387425B (zh) 天花板埋入型空调装置的室内机
EP1816407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0652800B1 (ko) 공기 청정기
KR20070047103A (ko) 제습기
KR101280373B1 (ko) 공기조화기
KR101280374B1 (ko) 공기조화기
JP2004069176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13174399A (ja) ビルトイン型空気調和機
KR10044100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80026940A (ko) 다단필터 수용프레임을 구비한 스텐드형 에어컨 실내기
WO2008078906A2 (en) Controller assembly of air conditioner
KR20080055461A (ko) 공기조화기
JPH09229404A (ja) 空気調和機
CN209042599U (zh) 落地式空调室内机
KR101105756B1 (ko) 공기조화기의 전면패널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