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8409A - 도어록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8409A
KR20080088409A KR1020080025456A KR20080025456A KR20080088409A KR 20080088409 A KR20080088409 A KR 20080088409A KR 1020080025456 A KR1020080025456 A KR 1020080025456A KR 20080025456 A KR20080025456 A KR 20080025456A KR 20080088409 A KR20080088409 A KR 20080088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atch bolt
case
movabl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5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홍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크슈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크슈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크슈머
Priority to PCT/KR2008/00165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8117975A1/en
Publication of KR20080088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84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05B2047/0068Door closed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가 열려 있는 경우에는 그 도어의 열림 상태가 항상 감지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는 도어에 결합되는 케이스;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잠금쇠; 케이스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문설주에 형성된 래치볼트 삽입공에 삽입 및 이탈 가능하며, 일측이 개구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래치볼트; 및 래치볼트가 래치볼트 삽입공에 삽입되어 도어가 닫히는 도어의 닫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을 구비하며, 감지수단은, 래치볼트에 대해 래치볼트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관통공에 삽입되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래치볼트의 단부에 대하여 몰입되게 배치되는 이동부재; 및 이동부재를 래치볼트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구비한다.
도어록 장치, 도어, 문설주, 터치센서, 포토센서, 잠금쇠, 래치볼트

Description

도어록 장치 {A door lock device}
본 발명은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록 장치는 일반 가정주택이나 공공건물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현관의 출입문이나 은행의 금고, 특정 지역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출입 통제 장치에 도어록 장치가 사용된다.
도 1에는 종래의 일례에 따른 도어록 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어록 장치(100')는 도어(1)에 삽입되는 케이스(10)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잠금쇠(20) 및 래치볼트(30)를 구비한다. 잠금쇠(20) 및 래치볼트(30)는 케이스(10)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문설주(미도시)에 형성된 잠금쇠 삽입공(미도시) 및 래치볼트 삽입공(미도시)에 각각 삽입 및 이탈 가능하다. 그리고, 래치볼트는 압축코일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케이스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잠금쇠(20)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미도시)가 설치되어 있으며, 도어(1)의 실외측에는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의 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어록 장치(100')에는 도어(1)의 닫힘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감지수단은, 도 1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돌출위치와, 도 1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몰입위치 사이에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삽입돌출부재(40')와, 삽입돌출부재가 몰입위치에 위치시 삽입돌출부재를 감지하는 포토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그리고, 삽입돌출부재(40')는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돌출위치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다. 따라서, 도어가 열려있는 상태에서 닫히게 되면, 삽입돌출부재(40')가 문설주에 의해 가압되어 몰입위치로 이동하게 되며, 삽입돌출부재가 감지기에 의해 감지됨으로써 도어의 닫힘 상태가 간접적으로 감지된다. 그리고, 감지기가 삽입돌출부재를 감지하는 경우에는 그에 대응되는 감지신호가 제어부(미도시)로 출력된다.
제어부(미도시)는 감지신호의 입력 여부에 따라 도어의 열림 상태 또는 닫힘 상태를 인식한다. 또한, 제어부는 방범 업체와 연결 가능하며, 장기간 외출이나 밤에 침입자에 의해 도어가 열리게 되는 경우 도어의 열림 상태에 대한 정보가 방법 업체로 전달되어 방범 업체가 즉시 출동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어록 장치(100')에 있어서, 도어의 실외측에서 도어를 물리적으로 해킹하여 침입하는 경우에, 침입자가 삽입돌출부재(40')를 손이나 기타 공구를 이용하여 누르면, 삽입돌출부재(40')를 몰입위치에 항상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삽입돌출부재(40')가 침입자에 의해 항상 몰입위치에 위치 가능하게 되면, 도어가 해킹된 경우라도 도어(1)가 해킹되지 않은 것 으로 인식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침입자가 침입하여 도어(1)가 열려있더라도 도어가 계속해서 닫혀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 방범 업체를 무력화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가 열려 있는 경우에는 그 도어의 열림 상태가 항상 감지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도어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는 도어에 결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잠금쇠; 상기 케이스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문설주에 형성된 래치볼트 삽입공에 삽입 및 이탈 가능하며, 일측이 개구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래치볼트; 및 상기 래치볼트가 상기 래치볼트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가 닫히는 상기 도어의 닫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래치볼트에 대해 상기 래치볼트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며,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래치볼트의 단부에 대하여 몰입되게 배치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래치볼트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 달리 침입자에 의해 도어가 열려 있는 경우에는 수광소자가 광을 검출하지 못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가 도어의 열림 상태로 감지되 도록 구성하여, 도어의 열림 상태에 대응되는 감지신호가 외부의 방범 업체에 전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도어록 장치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도어가 열리는 경우에는 도어의 열림 상태가 항상 감지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 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100)도 도어(1)에 결합되는 케이스(10);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도어(1)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잠금쇠(20); 및 케이스(10)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문설주(2)에 형성된 래치볼트 삽입공(3)에 삽입 및 이탈 가능한 래치볼트(30);를 구비하는 점은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종래의 도어록 장치(100')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도어록 장치(100)에도 래치볼트(30)가 래치볼트 삽입공(3)에 삽입되어 도어(1)가 닫히는 경우 도어(1)의 닫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며 래치볼트(30)가 압축코일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케이스(10)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는 점도 종래의 도어록 장치(100')와 다를 바 없다.
한편, 본 실시예의 도어록 장치(100)에 있어서는, 감지수단이 도어(1)가 외부의 침입자에 의해 강제가 열리게 되는 경우에는 도어(1)의 열림 상태를 항상 감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측면에서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종래의 도어록 장 치(100')와는 다르다.
즉, 본 실시예의 도어록 장치(100)의 감지수단에 있어서, 종래의 도어록 장치(100')와 달리 돌출부재(40)와, 이동부재(50)와, 위치감지기(60)를 포함한다.
돌출부재(40)는 문설주에 형성된 래치볼트 삽입공(3)에 결합된다. 돌출부재(40)는 래치볼트 삽입공(3)의 내측면에 대해 돌출되게 배치된다. 돌출부재(40)의 적어도 일부분은 도어(1)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관통공(31)의 내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관통공(31)은 일측이 개구되도록 래치볼트(30)에 형성되며, 관통공(31)의 중심축 방향은 래치볼트(30)의 직선 이동방향과 동일하다. 돌출부재(40)의 선단 표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동부재(50)는 래치볼트의 관통공(31)에 삽입된다. 이동부재(50)는 래치볼트에 대해 래치볼트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동부재(50)는 접촉부(51)와, 샤프트부(52)와, 스토퍼부(53)를 포함한다.
접촉부(51)는 관통공(31)에 삽입되어, 관통공(31) 내부에서 직선 이동한다. 접촉부(51)의 선단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접촉부(51)의 선단은 래치볼트(30)의 선단부에 형성된 곡면과 매끄럽게 연결된다.
샤프트부(52)는 접촉부(51)와 연결되며, 접촉부(51)의 이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부(52)의 일부는 관통공(31) 내부에 배치된다.
스토퍼부(53)는 샤프트부(52)의 외주면에 대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토퍼부(53)는 이동부재(50)와 별개의 부품으로 제조되어 이동부재 의 샤프트부(52)에 접착되어 있다. 스토퍼부(53)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어(1)가 열려 있는 경우 래치볼트(30)에 걸리며, 이에 따라 이동부재(50)가 관통공(3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부재(50)에 스토퍼부(53)가 결합되어 있어서, 래치볼트(30)가 케이스(10)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스토퍼부(53)가 래치볼트(30)에 의해 가압되므로, 이동부재(50)도 그 가압순간부터 래치볼트(30)와 함께 케이스(10)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부재(50)는 탄성부재, 예를 들어 압축코일스프링(54)에 의해 후술하는 접촉위치로부터 접촉해제위치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압축코일스프링(54)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관통공(31)에 삽입되어 있으며, 특히 압축코일스프링(54)의 일단부가 이동부재의 접촉부(51)에 접촉 지지되며, 압축코일스프링(54)의 타단부는 관통공(31)의 내측면에 접촉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동부재(50)는 접촉해제위치와, 접촉위치 사이에서 위치 가능하다.
도어(1)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는 이동부재(50)가 돌출부재(40)와 접촉하지 않아 돌출부재(40)에 의해 가압되지 않게 되므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동부재(50)가 접촉해제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도어(1)가 닫히면, 도어(1)가 닫히는 과정에서 래치볼트(30)가 문설주(2)에 의해 가압되어 케이스(10)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이동부재(50)도 래치볼트(30)와 함께 이동한다. 그리고, 도어(1)가 완전히 닫 히면, 그 닫히는 순간에 케이스(10)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던 래치볼트(30)가 돌출방향으로 이동하여 래치볼트 삽입공(3)에 삽입된다. 이 때, 이동부재(50)도 일정 정도 래치볼트(30)의 돌출방향으로 직선 이동 하나.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는 돌출부재(40)와 접촉하게 된다. 즉, 이동부재(50)는 이동부재의 접촉부(51)가 돌출부재(40)와 접촉하는 접촉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접촉위치에서는 이동부재의 접촉부가 래치볼트의 단부에 대하여 몰입되게 배치된다.
위치감지기(60)는 이동부재(50)가 접촉위치에 위치시 이동부재(50)를 감지한다. 위치감지기(60)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특히 본 실시예에서 위치감지기(60)는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발광소자(61) 및 수광소자(62)를 포함하는 포토센서로 구성된다. 발광소자(61)는 이동부재의 샤프트부(52)에 설치되며, 수광소자(62)는 래치볼트(30)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위치감지기(60)가 발광소자(61) 및 수광소자(62)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도어(1)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열려 있는 상태에서는, 수광소자(62)가 발광소자(61)의 광을 검출하지 못하게 되나. 도어(1)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수광소자(62)가 발광소자(61)의 광을 검출하게 된다. 따라서, 수광소자(62)에 의한 광 검출 유무에 따라 도어(1)의 닫힘 또는 열림 여부가 구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도어록 장치(100)에 있어서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어(1)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 그 도어를 닫으면,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래치볼트(30) 및 이동부재(50)가 함께 케이스(10)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한 후, 도어가 완전히 닫혀서 래치볼트(30)가 래치볼트 삽입공(3)에 삽입되는 순간에는 래치볼트(30)가 케이스(10)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래치볼트 삽입공(3)에 삽입된다. 그리고, 동시에 이동부재(50)가 케이스(10)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다 돌출부재(40)와 접촉하게 되어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고,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접촉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부재(50)가 접촉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수광소자(62)가 발광소자(61)의 광을 검출하게 됨으로써, 도어(1)의 닫힘 상태가 감지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동부재(50)가 압축코일스프링(54)의 탄성력에 의해 접촉해제위치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어서, 도어(1)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침입자가 도어를 여는 경우에는, 반드시 이동부재(50)가 케이스(10)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되어 돌출부재(40)와 접촉하지 않는 접촉해제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부재(50)가 접촉해제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수광소자(62)가 광을 검출하지 못하게 되어 도어(1)가 열림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종래와 달리 침입자에 의해 도어(1)가 열려 있는 경우에는 수광소자(62)가 광을 검출하지 못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가 도어의 열림 상태로 감지되도록 구성하여, 도어의 열림 상태에 대응되는 감지신호가 외부의 방범 업체에 전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도어록 장치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 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를 개략적 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Ⅶ-Ⅶ선 방향에 바라본 개략적인 투영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지시되고 다소 변경되었으나 대응되는 구성요소에는 ‘a’가 부가되어 지시되며,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중복되므로 생략하기로 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2실시예의 도어록 장치(100a)도 제1실시예의 도어록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케이스(10)와, 잠금쇠(20)와, 래치볼트(30)와, 감지수단을 구비한다. 그리고, 감지수단은 돌출부재(40)와, 이동부재(50a)와, 압축코일스프링(54)과, 교차이동부재(70)와, 위치감지기(60a)를 구비한다.
이동부재(50a)에는 이동부재(50a)의 이동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55)가 마련되어 있다.
교차이동부재(70)에는 교차이동부재(70)의 이동방향으로 길게 장공(7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장공(71)에는 래치볼트(30)에 고정되는 고정핀(72)이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교차이동부재(70)가 고정핀(72)에 의해 래치볼트(30)에 고정되어 있어서, 교차이동부재(70)는 래치볼트(30)의 직선 이동시 래치볼트(30)와 함께 래치볼트(30)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다.
또한, 교차이동부재(70)는 케이스(10)의 내부에 이동부재(50)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특히 수직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교차이동부재(70)의 직선이동은 고정핀(72) 및 장공(71)에 의해 가이드된다. 또한, 교차이동부재(70)는 장공(72)에 삽입되는 탄성부재, 예를 들어 압축코일스프 링(73)에 의해 후술하는 이동위치로부터 정상위치 방향, 즉 하방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다. 압축코일스프링(73)의 일측은 고정핀(72)에 접촉 지지되며, 압축코일스프링(73)의 타측은 장공(71)의 내측면에 접촉 지지된다.
교차이동부재(70)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정상위치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이동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 가능하다.
도어(1)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는, 이동부재(50)가 접촉해제위치에 위치한 상태에 있게 되므로, 교차이동부재(70)가 이동부재(50)에 의해 가압되지 않게 되는 정상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도어(1)가 닫히면,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래치볼트(30) 및 이동부재(50)가 직선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래치볼트(30) 및 이동부재(50)가 함께 케이스(10)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한 후 케이스(10)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즉 래치볼트(30)가 래치볼트 삽입공(3)에 삽입됨과 동시에 이동부재(50)가 돌출부재(40)와 접촉하게 되는 과정에서 교차이동부재(70)가 이동부재(50)에 의해 가압되어 정상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직선 이동하여 이동위치에 배치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교차이동부재(70)에는 이동부재의 경사부(55)의 경사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테이퍼부(74)가 마련되어 있어서, 이동부재(50)가 접촉위치로 위치시 테이퍼부(74)가 경사부(55)에 의해 가압되어 경사부(55)와 상대 슬라이딩됨으로써 교차이동부재(70)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위치감지기(60a)는 교차이동부재(70)의 이동위치로의 이동시 교차이동부 재(70)를 감지한다. 위치감지기(60a)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교차이동부재(70)의 일측에 고정된 발광소자(61a)와, 케이스(10)에 고정되며 교차이동부재(70)가 이동위치에 위치시 발광소자(61a)의 광을 검출하는 수광소자(62a)를 포함하는 포토센서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위치감지기(60a)는 도 5 및 도 6에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터치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교차이동부재(70)가 이동위치에 위치하여 터치센서를 터치하는 경우 도어(1)의 닫힘 상태가 감지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위치감지기(60a)가 교차이동부재(70)의 이동위치를 감지함으로써 간접적으로 도어(1)의 닫힘 상태가 감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9에 도시된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 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8의 Ⅹ-Ⅹ선 방향에 바라본 개략적인 투영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지시되고 다소 변경되었으나 대응되는 구성요소에는 ‘b’가 부가되어 지시되며,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중복되므로 생략하기로 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3실시예의 도어록 장치(100b)도 제1실시예의 도어록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케이스(10)와, 잠금쇠(20)와, 래치볼트(30)와, 감지수단을 구비한다. 그리고, 감지수단은 돌출부재(40)와, 이동부재(50)와, 압축코일스프링(54)과, 회전부재(80)와, 위치감지기(60b)를 구비한다.
회전부재(80)는 케이스(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부재(80)에는 힌지핀(81)이 삽입되어 있으며, 회전부재(80)는 힌지핀(81)을 회전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힌지핀(81)은 래치볼트(30)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회전부재(80)가 힌지핀(81)에 의해 래치볼트(30)에 고정되어 있어서, 회전부재(80)는 래치볼트(30)의 직선 이동시 래치볼트(30)와 함께 래치볼트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다. 그리고, 회전부재(80)는 탄성부재, 예를 들어 압축코일스프링(82)에 의해 후술하는 회전위치로부터 정상위치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다. 즉, 회전부재(80)는 정상위치로 회전하도록 탄성바이어스되어 있다. 압축코일스프링(82)의 일측은 회전부재(80)에 접촉 지지되며, 압축코일스프링(82)의 타측은 래치볼트(30)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32)에 접촉 지지된다.
회전부재(80)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정상위치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회전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다.
도어(1)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는, 이동부재(50)가 접촉해제위치에 위치한 상태에 있게 되므로, 회전부재(80)가 이동부재(50)에 의해 가압되지 않는 정상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도어(1)가 닫히면,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같이 래치볼트(30) 및 이동부재(50)가 직선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래치볼트(30) 및 이동부재(50)가 함께 케이스(10)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한 후 케이스(10)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즉 래치볼트(30)가 래치볼트 삽입공(3)에 삽입됨과 동시에 이동부재(50)가 돌출부재(40)와 접촉하게 되는 과정에서 회전부 재(80)가 이동부재(50)에 의해 가압되어 정상위치로부터 회전하여 회전위치에 배치된다.
위치감지기(60b)는 회전부재(80)의 회전위치로의 회전시 회전부재(80)를 감지한다. 위치감지기(60b)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회전부재(80)의 일측에 고정된 발광소자(61b)와, 케이스(10)에 고정되며 회전부재(80)가 회전위치에 위치시 발광소자(61b)의 광을 검출하는 수광소자(62b)를 포함하는 포토센서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위치감지기(60b)는 도 8 및 도 9에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터치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회전부재(80)가 회전위치에 위치하여 터치센서를 터치하는 경우 도어(1)의 닫힘 상태가 감지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위치감지기(60b)가 회전부재(80)의 회전위치를 감지함으로써 간접적으로 도어(1)의 닫힘 상태가 감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잠금쇠가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잠금쇠가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잠금쇠가 움직이지 않도록 도어에 고정된 상태에서 잠금쇠 주위에 자기장을 인가하거나 자기장을 인가하지 않음으로써 도어가 록킹 및 록킹해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부재의 선단 표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동부재의 접촉부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돌출부재의 선단 표면 및 이동부재의 접촉부가 모두 평면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위치검출기가 터치센서 또는 포토센서로 구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례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 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 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Ⅶ-Ⅶ선 방향에 바라본 개략적인 투영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9에 도시된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 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Ⅹ-Ⅹ선 방향에 바라본 개략적인 투영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도어 2...문설주
3...래치볼트 삽입공 10...케이스
20...잠금쇠 30...래치볼트
31...관통공 40...돌출부재
50,50a...이동부재 51...접촉부
52...샤프트부 53...스토퍼부
54,73,82...압축코일스프링 55...경사부
60,60a,60b...위치감지기 70...교차이동부재
71...장공 72...고정핀
74...테이퍼부 80...회전부재
81...힌지핀 100,100a,100b...도어록 장치

Claims (6)

  1. 도어에 결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잠금쇠;
    상기 케이스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문설주에 형성된 래치볼트 삽입공에 삽입 및 이탈 가능하며, 일측이 개구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래치볼트; 및
    상기 래치볼트가 상기 래치볼트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가 닫히는 상기 도어의 닫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래치볼트에 대해 상기 래치볼트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며,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래치볼트의 단부에 대하여 몰입되게 배치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래치볼트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래치볼트 삽입공의 내측면에 대해 돌출되도록 상기 래치볼트 삽입공에 결합되며, 상기 도어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재와 접촉하여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관통공의 내부에 배치되는 돌출부재;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재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래치볼트 삽입공의 내측면에 대해 돌출되도록 상기 래치볼트 삽입공에 결합되며, 상기 도어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재와 접촉하여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관통공의 내부에 배치되는 돌출부재;
    상기 래치볼트와 함께 상기 래치볼트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래치볼트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부재에 대해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재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는 정상위치와, 상기 도어의 닫힘 과정에서 상기 이동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하여 상기 도어의 닫힘 상태에서 배치되는 이동위치 사이에 선택적으로 위치 가능한 교차이동부재;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위치에 배치되는 교차이동부재를 감지하는 위치감지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교차이동부재를 상기 이동위치로부터 상기 정상위치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위치감지기는, 상기 교차이동부재의 상기 이동위치에의 배치시 상기 교차이동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교차이동부재를 감지하는 터치센서 또는 상기 이동위치에서의 상기 교차이동부재를 감지하는 포토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래치볼트 삽입공의 내측면에 대해 돌출되도록 상기 래치볼트 삽입공에 결합되며, 상기 도어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재와 접촉하여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관통공의 내부에 배치되는 돌출부재;
    상기 래치볼트와 함께 상기 래치볼트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래치볼트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재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는 정상위치와, 상기 도어의 닫힘 과정에서 상기 이동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하여 상기 도어의 닫힘 상태에서 배치되는 회전위치 사이에 선택적으로 위치 가능한 회전부재;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위치에 배치되는 상기 교차이동부재를 감지하는 위치감지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회전부재를 상기 회전위치로부터 상기 정상위치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위치감지기는, 상기 회전부재의 상기 이동위치에의 배치시 상기 회전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회전부재를 감지하는 터치센서 또는 상기 회전위치에서의 상기 회전부재를 감지하는 포토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KR1020080025456A 2007-03-28 2008-03-19 도어록 장치 KR200800884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8/001657 WO2008117975A1 (en) 2007-03-28 2008-03-25 A door lock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114 2007-03-28
KR20070005114 2007-03-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8409A true KR20080088409A (ko) 2008-10-02

Family

ID=40150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5456A KR20080088409A (ko) 2007-03-28 2008-03-19 도어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8409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462B1 (ko) * 2017-12-20 2018-07-13 (주)이노인스트루먼트 모티스용 래치를 구비한 모티스
KR20190094218A (ko) * 2016-12-09 2019-08-12 비트론 에스.피.에이. 안전 시스템을 갖춘 도어 잠금 장치
CN112342742A (zh) * 2019-08-06 2021-02-09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12342740A (zh) * 2019-08-06 2021-02-09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12942990A (zh) * 2021-03-19 2021-06-11 深圳市指昂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锁体
KR102265062B1 (ko) * 2020-10-06 2021-06-14 김대규 이중금고용 도어 잠금 확인장치
CN113389012A (zh) * 2020-03-13 2021-09-14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4218A (ko) * 2016-12-09 2019-08-12 비트론 에스.피.에이. 안전 시스템을 갖춘 도어 잠금 장치
US11578508B2 (en) * 2016-12-09 2023-02-14 Bitron S.P.A. Door-locking device with safety system
KR101878462B1 (ko) * 2017-12-20 2018-07-13 (주)이노인스트루먼트 모티스용 래치를 구비한 모티스
CN112342742A (zh) * 2019-08-06 2021-02-09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12342740A (zh) * 2019-08-06 2021-02-09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13389012A (zh) * 2020-03-13 2021-09-14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
CN113389012B (zh) * 2020-03-13 2024-02-02 重庆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
KR102265062B1 (ko) * 2020-10-06 2021-06-14 김대규 이중금고용 도어 잠금 확인장치
CN112942990A (zh) * 2021-03-19 2021-06-11 深圳市指昂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锁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88409A (ko) 도어록 장치
US7843312B2 (en) Wireless control of security system with key-operated key fob
KR100747983B1 (ko) 데드볼트식 전자석도어록
CN116490907A (zh) 具有磁力计的门锁
KR101331979B1 (ko) 디지털용 도어록의 모티스 및 이를 구비한 도어록 장치
CN108222670A (zh) 具有滑动结构的电子防盗门锁
US20180106073A1 (en) Key monitoring door lock, door lock ke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0576080B1 (ko) 도어 잠금장치
JP2008255650A (ja) クレセントセンサーユニット
KR200352026Y1 (ko) 모티스 록킹 장치
KR100763821B1 (ko) 도어록 장치
KR100749697B1 (ko) 디지털 도어록
KR100849524B1 (ko) 모티스 및 그를 구비한 도어록 장치
JP3124028U (ja) スロットマシン電源ボックスの不正操作防止カバー
JP4363627B2 (ja) 扉用電気錠の防犯システム
JP2018051221A (ja) 遊技機
WO2008117975A1 (en) A door lock device
KR20090030475A (ko) 도어 흔들림 방지유닛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KR20110027170A (ko) 도어록 장치
KR20150080226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금고
KR100694542B1 (ko) 열쇠인식 도어 개폐장치
KR100418212B1 (ko) 도어록의 열쇠구멍 개폐장치
KR100543957B1 (ko) 문 잠금장치
KR20020040413A (ko) 지문취득장치가 구비된 도어개폐장치
KR20100075151A (ko) 도어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