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7170A - 도어록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7170A
KR20110027170A KR1020090085140A KR20090085140A KR20110027170A KR 20110027170 A KR20110027170 A KR 20110027170A KR 1020090085140 A KR1020090085140 A KR 1020090085140A KR 20090085140 A KR20090085140 A KR 20090085140A KR 20110027170 A KR20110027170 A KR 20110027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using
detector
hacking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5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Original Assignee
김재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형 filed Critical 김재형
Priority to KR1020090085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7170A/ko
Priority to PCT/KR2010/006153 priority patent/WO2011031081A2/ko
Publication of KR20110027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71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17Locks with sliding bolt without provision for latc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1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means carried by the bolt for interlocking with the keeper
    • E05B63/1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means carried by the bolt for interlocking with the keeper with transverse, i.e. vertically movable bolt or drop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E05B45/06Electric alarm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도어록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는 관통공이 관통 형성된 하우징; 관통공을 통해 도어가 록킹되는 록킹위치 및 록킹위치로부터 하우징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어가 록킹해제되는 록킹해제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 가능하며, 록킹위치에서 문설주와 마주하는 도어의 측면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만큼 이동 가능한 잠금쇠; 하우징에 지지되도록 결합되며, 잠금쇠의 록킹위치로부터 도어의 측면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시 잠금쇠에 의해 가압되어 잠금쇠를 도어의 측면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 잠금쇠의 록킹위치로부터 도어의 측면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감지하는 해킹감지기; 해킹감지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기초로 도어가 해킹되었음을 판단하는 제어부; 및 잠금쇠가 록킹위치 및 록킹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잠금쇠를 구동하는 구동유닛;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리적 해킹 시도를 그 시도시에 즉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으므로, 경보음을 울려 해킹 시도를 차단하거나 경찰 또는 방범원을 출동시켜 해킹자를 검거할 수 있다.
Figure P1020090085140
도어(door), 록킹(locking), 록킹해제(unlocking), 잠금쇠, 주키, 보조키

Description

도어록 장치{Door lock device}
본 발명은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록 장치는 일반 가정주택이나 공공건물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현관의 출입문이나 은행의 금고, 특정 지역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출입 통제 장치에 도어록 장치가 사용된다. 그리고, 최근에는 비밀번호 입력이나 지문 인식 등의 방법을 통하여 사용자를 인증한 후에 모터나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 잠금쇠를 직선이동시킴으로써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에는 핸들을 포함하지 않는 소위 보조키 형태의 디지털 도어록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지털 도어록 장치(100')는 도어(1)의 실내측에 결합되는 하우징(10')과, 하우징에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문설주에 결합된 캡부재(70')에 삽입 및 이탈됨에 따라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잠금쇠(20')를 구비한다. 잠금쇠(20')에는 스토퍼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스토퍼부(21')는 도어가 록킹된 상태에서 하우징(10')의 내측면에 돌출된 부분(13')에 걸려서 잠금쇠(20')가 더 이상 하우징(10')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잠금쇠(20')는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미도시) 및 도어의 실외측에 설치되며 사용자를 인증하여 사용자 인증시 모터를 작동시키는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를 포함하는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된다. 구동수단은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시 회전하며 그 회전에 연동되어 잠금쇠(20')를 가압하여 구동하는 가압부재(61')을 포함한다.
한편, 최근에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를 물리적으로 해킹하려는 시도가 빈번하게 시도되고 있다. 예를 들어, 소위 '빠루'라 불리우는 도구를 도어와 문설주 사이의 틈에 삽입한 후에 도어를 젖힘으로써 디지털 도어록 장치를 파괴하는 물리적 해킹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참고로, '빠루'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며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단부에 못을 제거하기 위한 홈이 형성된 도구를 말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디지털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물리적 해킹을 감지하여 경보음을 울려주거나 방범 업체에 물리적 해킹을 알려줘서 경비원이 즉각적으로 출동하도록 하는 구성이 전혀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물리적 해킹에 대해 매우 취약하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리적 해킹 시도를 초기에 감지하여 물리적 해킹 시도를 즉각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도어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는 도어에 결합되며, 관통공이 관통 형성된 하우징;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도어가 록킹되는 록킹위치 및 상기 록킹위치로부터 상기 하우징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도어가 록킹해제되는 록킹해제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 가능하며, 상기 록킹위치에서 상기 문설주와 마주하는 상기 도어의 측면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만큼 이동 가능한 잠금쇠;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잠금쇠의 상기 록킹위치로부터 상기 도어의 측면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시 상기 잠금쇠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잠금쇠를 상기 도어의 측면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 상기 잠금쇠의 상기 록킹위치로부터 상기 도어의 측면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감지하는 해킹감지기; 상기 해킹감지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기초로 상기 도어가 해킹되었음을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잠금쇠가 상기 록킹위치 및 록킹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잠금쇠를 구동하는 구동유닛;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리적 해킹 시도를 바로 감지할 수 있게 되므로, 경보음을 울려 해킹 시도를 차단하거나 경찰 또는 방범원을 출동시켜 해킹자를 검거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어록 장치가 물리적으로 해킹될 때의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4는 빠루를 이용하여 도어록 장치를 물리적으로 해킹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도어록 장치(100)는 하우징(10)과, 잠금쇠(20)와, 탄성부재(30)와, 해킹감지기(40)와, 록킹해제감지기(50)와, 제어부(미도시)와, 구동유닛을 구비한다.
하우징(10)은 도어(1)의 실내측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케이스(11) 및 케이스에 결합되는 커버(12)를 포함한다. 케이스(11)와 커버(12) 사이에는 각종 구성요소가 설치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다. 케이스(11)의 측면에는 관통공(111)이 관통 형성된다.
잠금쇠(20)는 도어(1)를 록킹 및 록킹 해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케이스의 관통공(111)을 통하여 하우징(10)에 수평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잠금쇠(20)가 도 2에 도시된 록킹위치에 위치하면, 잠금쇠(20)는 하우징(10)에 대해 돌출되어 캡부재(70)에 삽입된다. 반대로, 잠금쇠(20)가 도 2의 록킹위치로부터 왼쪽으로 이동하여 록킹해제위치에 위치하면, 잠금쇠(20)는 하우징(10)에 대해 돌출되지 않고 캡부재(70)에 삽입되지 않는다. 여기서, 캡부재(70)는 문설주(2), 특히 문설주의 실내측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잠금쇠(20)가 삽입되는 삽입공(71)이 잠금쇠 쪽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또한, 잠금쇠(20)의 일측에는 스토퍼부(21)가 형성되며, 스토퍼부(21)는 잠금쇠(20)의 위치에 무관하게 항상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잠금쇠(20)의 타측에는 누름돌기(22)가 형성된다. 누름돌기(22)에는 잠금쇠(20)의 이동방향에 경사진 경사면(221) 한 쌍이 대칭으로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잠금쇠(20)는 종래와 달리 록킹위치에서도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만큼 하우징(10)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여기서, 기준거리는 후술하는 탄성부재(30)의 크기나 도어(1) 및 문설주(2) 간의 틈 등 다양한 인자를 기초로 하여 설계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탄성부재(30)는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다. 탄성부재(30)의 일측은 케이스(11)의 내측면에 접촉 지지되며, 탄성부재(30)의 타측면은 잠금쇠의 스토퍼부(21)와 마주하며 도어(1)의 록킹시에는 스토퍼부(21)에 접촉한다. 도어(1)의 록킹시에는 탄성부재(30)는 스토퍼부(21)와 단지 접촉될 뿐 스토퍼부(21)에 의해 압축되지 않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스토퍼부(21)에 의해 압축되어 탄성부재(30)의 길이는 일정 정도 줄어들 수도 있다.
잠금쇠(20)가 록킹위치로부터 하우징(10)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더욱 이동하는 비정상적인 상태에서는, 탄성부재(30)가 압축될 수 밖에 없으므로, 탄성부 재(30)는 압축되는 순간부터 잠금쇠(30)를 하우징(10)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잠금쇠의 스토퍼부(21)에 인가한다. 여기서, 비정상적인 상태라 함은 록킹된 도어(1)가 '빠루' 등과 같은 해킹도구에 의해 물리적으로 해킹될 때를 의미한다. 그리고, 물리적 해킹시에는 그 초기에 도어(1)가 문설주(2)와의 사이에 형성된 틈이 증가하도록 문설주(2)에 대해 후퇴하며, 이에 따라 도어(1)의 실내측에 설치된 하우징(10)도 후퇴하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잠금쇠(20)는 하우징(10)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해킹감지기(40)는 도어(1)의 록킹 및 도어(1)의 물리적 해킹을 모두 감지한다. 해킹감지기(40)는 누름스위치로 구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터치센서, 포토센서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누름스위치(40)는 도어(1)의 록킹시에는 잠금쇠의 누름돌기(22)에 의해 눌려지게 되므로, 온(on)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잠금쇠(20)가 록킹위치로부터 더 돌출되어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동하면, 누름스위치(40)는 누름돌기(22)에 의해 더 이상 눌려지지 않으므로, 오프(off)신호를 출력한다. 물론, 도어(1)가 록킹해제되는 경우에도 누름스위치(40)는 오프신호를 출력한다.
록킹해제감지기(50)는 도어(1)의 록킹해제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누름스위치, 접점스위치 및 포토센서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록킹해제감지기(50)가 누름스위치로 구성되면, 도어(1)의 록킹 해제시 누름스위치(50)가 잠금쇠, 예를 들어 본 실시에에서는 누름돌기(22)에 의해 눌려져 온신호가 출력된다.
제어부(미도시)는 해킹감지기(40) 및 록킹해제감지기(50)로부터 신호를 입력 받아 도어(1)의 상태, 예를 들어 도어(1)의 록킹, 록킹해제 및 물리적 해킹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는, 록킹해제감지기(50)로부터 온신호가 입력되면 해킹감지기(4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무관하게 도어(1)가 록킹해제되었음을 판단한다. 그리고, 해킹감지기(40)로부터 온신호가 입력되면 록킹해제감지기(5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무관하게 도어(10가 록킹되었음을 판단한다.
한편, 해킹감지기(40)로부터 온신호가 입력된 후에 해킹감지기(40)로부터 오프신호가 추가로 입력되며 일정 시간, 예를 들어 잠금쇠(20)가 록킹해제위치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시간 동안 록킹해제감지기(50)로부터 온신호가 입력되지 않는다면, 제어부는 도어(1)가 물리적으로 해킹되었음을 판단한다. 왜냐하면, 해킹감지기(4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온신호로부터 오프신호로 변경되고 록킹해제감지기(50)로부터 온신호가 입력되지 않았다면 잠금쇠(20)가 록킹위치로부터 하우징(1)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더 이동하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물리적 해킹이 감지되면, 제어부는 도어록 장치(100)에 별도로 구비된 경고음 발생장치를 작동시켜 경고음을 요란하게 울리게 하거나 또는 경찰서나 사설방범업체에 물리적 해킹 시도를 알림으로써 경찰 등이 즉각적으로 출동하게 할 수 있다.
구동유닛은 잠금쇠(20)를 구동한다. 구동유닛은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미도시)와,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잠금쇠가 직선 이동하도록 잠금쇠를 가압하는 가압부재(61)를 포함한다. 가압부재(61)는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하우징(10)에는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버튼(미도시) 또는 가압부재를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노브(미도시)가 설치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도어(1)의 실내측에서 버튼을 누르거나 노브를 회전시킴으로써 잠금쇠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도어(1)의 실외측에는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부(62)가 설치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도어(1)의 실외측에서 인증부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하여 모터를 작동시킴으로써 잠금쇠(20)를 자동으로 구동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부는 0 ~ 9까지의 숫자가 인쇄된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나 사용자의 생체 정보, 예를 들어 지문이나 홍채 등을 스캔할 수 있는 생체정보인식유닛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빠루'와 같은 해킹도구를 이용하여 본 실시예의 도어록 장치(100)를 물리적으로 해킹하는 과정을 설명한 후에 도어록 장치(100)가 물리적 해킹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해킹자는 먼저 도 4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어(1) 및 문설주(2) 사이에 빠루(3)를 삽입한 후에, 빠루(3)를 화살표 방향으로 젖힌다. 이와 같이 빠루(3)가 젖혀지면, 도어(1)가 빠루(3)에 의해 문설주(2)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가압되어 도어(1)가 문설주(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어(1)와 문설주(2) 사이의 틈이 벌어지게 되므로, 도 4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어(1)에 고정된 하우징(10)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 때, 도어(1)는 도 4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정 정도 회전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10)이 도어(1)와 함께 이동하면, 하우징(10)도 도어(1)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10)이 움직이면, 잠금쇠(20)의 표면은 캡부재의 삽입공(71) 주변 모서리와 접촉하게 되어 잠금쇠(20)와 캡부재(70)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거나 잠금쇠(20)가 캡부재의 삽입공(71) 모서리에 걸리게 된다. 이러한 마찰력 및/또는 잠금쇠(20)의 걸림은 하우징(10)이 도어(1)와 함께 움직이더라도 잠금쇠(2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이 잠금쇠(20)가 위치 고정되면,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된 잠금쇠(20)는 상대적으로 하우징(10)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에 대해 돌출되어 탄성부재(30)가 압축된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30)가 압축되면, 누름돌기(22)는 해킹감지기(40), 즉 누름스위치를 더 이상 누르지 못하게 되므로, 누름스위치(40)는 온신호 대신에 오프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한편, 이 상태에서, 록킹해제감지기(50)는 눌려지지 않기 때문에 오프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해킹감지기(40)가 온신호 대신에 오프신호를 출력하며 록킹해제감지기(50)가 계속해서 오프신호를 출력하면, 제어부는 도어록 장치(100)가 물리적으로 해킹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물리적 해킹이 판단되면, 경고음이 울리거나 경찰 등이 바로 출동하도록 함으로써 해킹자가 도망가게 하거나 해킹자를 체포할 수 있다.
특히, 잠금쇠(20)가 도 2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조금만 오른쪽으로 움직이더라도 누름돌기(22) 및 해킹감지기(누름스위치)(40) 간의 접촉이 해제되도록 구성하면, 해킹자의 해킹 시도를 아주 빨리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면 해킹자가 빠루(3)를 삽입하고 젖히는 순간에 바로 해킹감지기(누름스위치)가 오프신호를 출력하기 때문이다.
참고로, 물리적 해킹은 빠루(3)를 한번 젖힘으로써 완성되지 않고, 도어(1) 및 문설주(2) 사이의 틈을 벌리면서 빠루의 젖힘 과정을 여러번 반복함으로써 완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도어록 장치(100)에서는 물리적 해킹 시도시에 종래와 달리 잠금쇠(20)가 하우징(10)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도어록 장치(100)의 물리적 해킹 시도를 감지하여 경고음의 발생 또는 경찰 등의 출동 등 다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누름돌기(22) 및 해킹감지기(40)의 위치를 적절하게 설정하면, 물리적 해킹을 그 순간 감지할 수 있으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물리적 해킹 시도가 있었던 도어록 장치를 다시 사용하는데에 아무런 문제가 없을 수도 있다. 왜냐하면, 해킹자가 빠루를 젖히는 순간 경고음이 울려서 이를 멈추고 도망가는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도어와 문설주 사이의 틈이 벌어지지 않고 나아가 도어록 장치가 파손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잠금쇠가 수평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잠금쇠가 수직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 캡부재(70a)는 문설주(2)의 실내측에 고정되는 고정부(701)와, 고정부(701)로부터 각각 돌출되며 삽입공(703)이 각각 관통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부(702)를 가진다. 그리고, 각 삽입공(703)의 중심축은 상하방향과 평행하며, 한 쌍의 삽입공(703)은 서로 동축적으로 배치된다.
하우징(10a)은 도어(1)의 실내측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호 결합되는 케이스(11a) 및 커버(12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0a)은 도어(1)의 측면에 대해 돌출되게 설치된다. 하우징(10a)은 전체적으로 사각의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하우징(10a)에는 하우징(10a)의 측면에 대해 오목한 한 쌍의 오목부(101,102)가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오목부(101,102)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한 쌍의 오목부(101,102)에는 도어(1)가 닫힌 상태에서 캡부재(70a)에 형성된 한 쌍의 돌출부(702)가 각각 배치된다. 또한, 하우징(10a)에는 잠금쇠(20)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잠금쇠(20)는 한 쌍의 삽입부(201)를 포함한다. 한 쌍의 삽입부(201)는 캡부재의 삽입공(703)에 각각 삽입 및 이탈되는 부분이며, 한 쌍의 삽입부(201)가 한 쌍의 삽입공(703)에 삽입 및 이탈됨에 따라 도어(1)가 록킹 및 록킹해제된다. 그리고, 한 쌍의 삽입부(201)는 한 몸체로 형성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다만, 잠금쇠는 등록특허 제813,612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삽입부를 각각 가지는 2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서로 접근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삽입부(201)에는 스토퍼부(21a)가 형성되어 있으며, 매개부재(80)를 매개로 하여 탄성부재와 항상 접촉한다. 탄성부재(30)는 일정 정도 압축되어 있어 매개부 재(80)를 항상 스토퍼부(21a) 쪽으로 가압한다. 탄성부재(30)의 일측은 케이스(11)의 내측면에 돌출된 지지부(112)에 접촉 지지되며, 탄성부재(30)의 타측은 매개부재(80)에 접촉한다. 매개부재(80)는 잠금쇠(20a)에 형성된 돌출부(202)와 항상 접촉한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어가 록킹된 상태에서는 해킹감지기(40)가 제1누름돌기(22a)에 의해 눌려 해킹감지기(40)는 온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도어가 록킹해제되도록 잠금쇠(20a)가 상승하면 해킹감지기(40)는 제1누름돌기(22a)에 의해 눌려지지 않으므로 오프신호를 출력하며, 록킹해제감지기(50)는 제2누름돌기(23)에 의해 눌려져 온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물리적 해킹시도가 이루어지면, 잠금쇠(20a)가 도어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해킹감지기(40)는 제1누름돌기(22a)에 의해 더 이상 눌려지지 않고 오프신호를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잠금쇠(20a)가 수직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된 도어록 장치(100a), 즉 후크형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도 '빠루' 등의 해킹도구를 이용한 물리적 해킹시에 잠금쇠(20a)가 도어(1)의 측면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일정 정도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물리적 해킹을 즉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에는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서 잠금쇠(20a)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유닛이 생략되어 있다. 이러한 구동유닛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유사하게 구동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잠금쇠(20a)를 가압하여 잠금쇠(20a)가 수직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유닛은 기계키 형태의 도어록 장치에도 적용되어 시판 된 바 있으며 특허출원 제2007-10983호 등 특허로도 공개된 바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잠금쇠가 모터 작동에 따라 자동으로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모터 대신에 솔레노이드가 포함되어 솔레노이드의 직선 구동력에 의해 잠금쇠가 구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해킹감지기가 도어의 록킹 및 물리적 해킹을 모두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해킹감지기가 도어록 장치의 물리적 해킹만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해킹감지기가 도어의 록킹시에는 오프신호를 출력하다가 물리적 해킹 시도가 이루어져 잠금쇠가 하우징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잠금쇠에 의해 눌려져서 온신호를 출력하는 누름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록 장치가 핸들이 구비되지 않는 보조키 형태의 도어록 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나, 핸들이 포함된 주키 형태의 도어록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잠금쇠가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잠금쇠의 이동경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쇠는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동시에 움직일 수도 있으며,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직선 이동 및 회전이 함께 모두 가능하 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례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어록 장치가 물리적으로 해킹될 때의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빠루를 이용하여 도어록 장치를 물리적으로 해킹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도어록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도어 2...문설주
3...빠루 10,10a...하우징
20,20a...잠금쇠 21,21a...스토퍼부
22,22a,23...누름돌기 30...탄성부재
40...해킹감지기 50...록킹해제감지기
61...가압부재 62...인증부
70,70a...캡부재 71...삽입공
80...매개부재 100,100a...도어록 장치
101,102...오목부 111...관통공
201...삽입부 703...삽입공

Claims (4)

  1. 도어에 결합되며, 관통공이 관통 형성된 하우징;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도어가 록킹되는 록킹위치 및 상기 록킹위치로부터 상기 하우징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도어가 록킹해제되는 록킹해제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 가능하며, 상기 록킹위치에서 상기 문설주와 마주하는 상기 도어의 측면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만큼 이동 가능한 잠금쇠;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잠금쇠의 상기 록킹위치로부터 상기 도어의 측면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시 상기 잠금쇠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잠금쇠를 상기 도어의 측면에 대해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
    상기 잠금쇠의 상기 록킹위치로부터 상기 도어의 측면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감지하는 해킹감지기;
    상기 해킹감지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기초로 상기 도어가 해킹되었음을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잠금쇠가 상기 록킹위치 및 록킹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잠금쇠를 구동하는 구동유닛;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킹감지기는 상기 록킹위치에 배치된 잠금쇠를 추가로 감지하며,
    상기 록킹해제위치에 배치된 잠금쇠를 감지하는 록킹해제감지기;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킹감지기 및 록킹해제감지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기초로 상기 도어가 해킹되었음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쇠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토퍼부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은 상기 잠금쇠의 상기 록킹위치에의 배치시 상기 스토퍼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쇠의 상기 록킹위치 및 록킹해제위치 사이에서의 이동방향은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KR1020090085140A 2009-09-10 2009-09-10 도어록 장치 KR2011002717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140A KR20110027170A (ko) 2009-09-10 2009-09-10 도어록 장치
PCT/KR2010/006153 WO2011031081A2 (ko) 2009-09-10 2010-09-10 도어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140A KR20110027170A (ko) 2009-09-10 2009-09-10 도어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7170A true KR20110027170A (ko) 2011-03-16

Family

ID=43732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5140A KR20110027170A (ko) 2009-09-10 2009-09-10 도어록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10027170A (ko)
WO (1) WO2011031081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1243A (ko) * 2014-03-25 2015-10-05 이용신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2891A1 (en) * 2018-03-06 2019-09-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oor lock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13989B2 (ja) * 1989-08-15 1998-10-22 美和ロック株式会社 作動モード切替え可能電気錠
KR20030084388A (ko) * 2002-04-26 2003-11-01 (주)동광알파 보안용 도어락 장치 및 이의 백셋
KR100510980B1 (ko) * 2004-01-06 2005-08-30 제갈훈 전자 도어록
KR100763821B1 (ko) * 2006-09-22 2007-10-12 주식회사 테크슈머 도어록 장치
KR100996111B1 (ko) * 2007-01-23 2010-11-24 김재형 도어록 장치의 제어시스템
KR20090071341A (ko) * 2007-12-27 2009-07-01 주식회사 테크슈머 도어록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1243A (ko) * 2014-03-25 2015-10-05 이용신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31081A3 (ko) 2011-08-11
WO2011031081A2 (ko) 201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6805A (ko) 보안 강화를 위한 전자식 잠금장치의 해정방법
KR101583313B1 (ko) 보안이 강화된 방화문
KR20080088409A (ko) 도어록 장치
KR20110027170A (ko) 도어록 장치
CN108222670A (zh) 具有滑动结构的电子防盗门锁
KR101471437B1 (ko) 지문인식 디지털 도어락
KR200384248Y1 (ko) 문 처짐 감지 장치
KR101810489B1 (ko)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KR101449437B1 (ko) 추가 내부 잠금장치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
KR20110048400A (ko) 도어록 장치
KR20100075151A (ko) 도어록 장치
GB2407615A (en) Security chain with mechanical lock and manual release
CN210003074U (zh) 一种箱包电子锁
KR100994344B1 (ko) 도어록 장치
KR200378836Y1 (ko) 불법 해정을 센싱할 수 있는 전자식 도어 록
KR20020040413A (ko) 지문취득장치가 구비된 도어개폐장치
KR200445180Y1 (ko) 락커용 경보기
KR100996477B1 (ko) 도어록 장치
KR20230083509A (ko) 도어락 장치의 오픈 구조체
CN214273257U (zh) 一种基于智能门锁的安防装置
KR102456722B1 (ko) 래치 볼트 이중 잠김 장치
KR101051881B1 (ko) 통공 카드 인식 록킹 해정장치
KR200284048Y1 (ko) 보안용 도어락 장치 및 이의 백셋
KR101958314B1 (ko) 패닉 기능을 구비한 출입문 제어 장치
KR20080022285A (ko) 전자식 도어록의 비상시 록킹 해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