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0980B1 - 전자 도어록 - Google Patents

전자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0980B1
KR100510980B1 KR10-2004-0000765A KR20040000765A KR100510980B1 KR 100510980 B1 KR100510980 B1 KR 100510980B1 KR 20040000765 A KR20040000765 A KR 20040000765A KR 100510980 B1 KR100510980 B1 KR 100510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ad bolt
arm
door
door lock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0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2365A (ko
Inventor
제갈훈
Original Assignee
제갈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갈훈 filed Critical 제갈훈
Priority to KR10-2004-0000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0980B1/ko
Publication of KR20050072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2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0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09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4Artificial honeycom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틈 사이로 데드볼트를 후퇴시켜 도어를 개방하거나, 데드볼트를 절단하고 무단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전자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1)의 실내측에 설치된 백세트(3)와, 도어(1)의 실외측에 설치된 버튼세트(5)로 이루어지며, 상기 백세트(3)에는 외부로 노출 설치된 회전노브(10)와, 제어부(40)에 연결되어 작동되는 모터(15)와, 이 모터(15) 및 회전노브(10)에 연결되어 백세트(3) 외부로 출몰되는 데드볼트(30)가 구비된 전자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모터(15)와 회전노브(10)에 연결되어 회전되며 그 일면에는 상기 데드볼트(30)를 향해 길게 연장된 아암(21)이 구비된 회전체(20)와, 상기 데드볼트(30)의 기단부(37)에 형성되며 회전체(20)의 아암(21)이 삽입 결합되는 푸쉬홈(35)을 포함하며, 상기 푸쉬홈(35)은 회전체(20)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개구되며, 이 개구부(32)와 인접된 부위의 측벽면에는 상기 아암(21)이 회전되면서 데드볼트(30)를 전진시켰을 때 이 아암(21)의 선단면(21a)과 일측면(21b)에 각각 걸려져서 데드볼트(30)가 후퇴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걸림턱(3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도어록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전자 도어록{Electronic door lock}
본 발명은 전자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문틈 사이로 데드볼트를 후퇴시켜 도어를 개방하거나, 데드볼트를 절단하고 무단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전자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관문 등에 장착되어 도어를 잠글 수 있도록 된 전자 도어록은 도어의 외측면에 비밀번호나 각종 기능을 입력하기 하기 위한 버튼세트가 설치되고, 도어의 내측면에는 래칫볼트와 데드볼트 등이 구비된 백세트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데드볼트는 백세트에 구비된 회전노브 또는 구동모터에 의해 출몰되면서 도어프레임의 록킹홈에 삽입되어 도어를 잠겨지도록 한다.
그런데, 종래의 전자 도어록은 상기 데드볼트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랙기어가 형성되어 상면의 랙기어는 모터 회전축의 피니언기어에 연결되어 전후진되고, 하면의 랙기어는 회전노브의 축단에 설치된 피니언기어에 연결되어 전후진된다. 따라서, 상기 데드볼트는 회전노브와 모터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출몰될 때 나머지 하나에 의해서는 저항력이 작용되지 않도록, 회전노브와 모터에 무부하 상태로 연결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전자 도어록은 도어와 도어프레임 사이의 틈새로 얇은 금속스트립을 삽입시켜서 데드볼트를 후퇴시키면 록킹상태에서 쉽게 해제되므로, 외부의 무단침입을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 외에도, 상기 데드볼트는 도어와 도어프레임 사이의 틈새로 쇠톱을 삽입하여 이를 절단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방법에 의한 무단침입도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문틈 사이로 데드볼트를 후퇴시켜 도어를 개방하거나, 데드볼트를 절단하고 무단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전자 도어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1)의 실내측에 설치된 백세트(3)와, 도어(1)의 실외측에 설치된 버튼세트(5)로 이루어지며, 상기 백세트(3)에는 외부로 노출 설치된 회전노브(10)와, 제어부(40)에 연결되어 작동되는 모터(15)와, 이 모터(15) 및 회전노브(10)에 연결되어 백세트(3) 외부로 출몰되는 데드볼트(30)가 구비된 전자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모터(15)와 회전노브(10)에 연결되어 회전되며 그 일면에는 상기 데드볼트(30)를 향해 길게 연장된 아암(21)이 구비된 회전체(20)와, 상기 데드볼트(30)의 기단부(37)에 형성되며 회전체(20)의 아암(21)이 삽입 결합되는 푸쉬홈(35)을 포함하며, 상기 푸쉬홈(35)은 회전체(20)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개구되며, 이 개구부(32)와 인접된 부위의 측벽면에는 상기 아암(21)이 회전되면서 데드볼트(30)를 전진시켰을 때 이 아암(21)의 선단면(21a)과 일측면(21b)에 각각 걸려져서 데드볼트(30)가 후퇴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걸림턱(3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도어록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데드볼트(30)가 결합되는 록킹홈(51)의 인접 부위에 설치되어 데드볼트(30)가 정해진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60)와, 이 센서(60)에 연결된 제어부(40)를 포함하며, 이 제어부(40)에는 홈오토메이션 컨트롤러(75) 또는 비상벨(65)이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작동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도어록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데드볼트(30)는 백세트(3) 외부로 출몰되는 선단부(36)와, 푸쉬홈(35)이 구비된 기단부(37)로 분할 형성되며, 상기 선단부(36)는 원주형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기단부(3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도어록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정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 도어록은 도어(1)의 실내측에 설치된 백세트(3)와, 도어(1)의 실외측에 설치된 버튼세트(5)로 이루어지며, 상기 백세트(3)에는 외부로 노출된 회전노브(10)와, 버튼세트(5)에 연결된 제어부(40)와, 이 제어부(40)에 연결된 모터(15)와, 이 모터(15) 및 회전노브(10)에 연결되어 출몰되는 데드볼트(30)가 각각 구비된 것은 종래와 동일 유사하다. 이때, 상기 백세트(3)에는 모터(15)와 회전노브(10)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체(20)가 구비되고, 이 회전체(20)의 일면에는 아암(21)이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데드볼트(30) 기단부(37)의 푸쉬홈(35)에 삽입 결합되며, 이 푸쉬홈(35)의 측벽면에는 데드볼트(30) 전진시 아암(21)의 선단면(21a)과 일측면(21b)이 걸려져서 데드볼트(30)가 후퇴되지 않도록 지지되는 걸림턱(31)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체(20)는 회전노브(10)에 동축적으로 설치된 것으로, 그 일면에는 데드볼트(30)를 향해 길게 연장된 아암(21)이 구비되며, 타측면 둘레부에는 반원형의 베벨기어(23)가 형성되어 모터(15) 회전축의 피니언기어(16)와 맞물려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체(20)는 회전노브(10)나 모터(15) 중 어느 하나만 회전되더라도 일체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데드볼트(30)는 그 기단부(37) 일면에 회전체(20)의 아암(21)이 삽입 결합되는 푸쉬홈(35)이 형성되는데, 이 푸쉬홈(35)은 회전체(20)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개구되며, 이 개구부(32)와 인접된 부위의 측벽면에는 푸쉬홈(35)의 다른 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폭으로 형성된 걸림턱(31)이 형성된다. 이 걸림턱(31)은 상기 아암(21)이 회전되면서 데드볼트(30)를 전진시켰을 때 이 아암(21)의 선단면(21a)과 일측면(21b)에 각각 걸려져서 데드볼트(30)가 후퇴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개구부(32)와 인접된 부위의 측벽면에 데드볼트(30) 선단쪽으로 갈수록 개구부(32)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단턱부(31a)와, 이 단턱부(31a)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아암(21)의 일측면(21b)에 걸려지는 보조 단턱부(31b)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데드볼트(30)를 후퇴되는 방향으로 밀게 되면, 상기 아암(21)의 선단이 단턱부(31a)와 보조 단턱부(31b) 사이의 모서리에 걸려져서 후퇴되지 않도록 지지된다. 그 외에도, 상기 개구부(32) 반대쪽의 푸쉬홈(35) 중앙부에는 상기 단턱부(31a)와 이어지도록 단턱부(31a)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회동공간부(3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데드볼트(30)는 백세트(3) 외부로 출몰되는 선단부(36)와, 상기 푸쉬홈(35)이 형성된 기단부(37)가 도 1에서와 같이, 사각 바아형태의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도 3에서와 같이 그 기단부(37)와 선단부(36)가 서로 분할 형성되며, 상기 선단부(36)는 원주형으로 이루어져서 기단부(3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건물 현관과 같이 사이즈가 큰 출입구에는 도 4에서와 같이, 한 쌍의 도어(1)가 여닫이 형태로 설치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일측 도어(1)에는 도어록이 설치되고, 타측 도어(1)에는 락킹홈(51)이 형성된 고정블록(5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정블록(50)의 록킹홈(51) 인접 부위에는 도어(1) 락킹시 데드볼트(30)가 정해진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60)가 구비되고, 이 센서(60)는 제어부(40)에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신호 전달되며, 이 제어부(40)는 비상벨(65) 또는 도 5의 홈오토메이션 컨트롤러(75)에 연결되어 데드볼트(30)가 절단되어 정위치에서 이탈되면 자동으로 비상벨(65)이 작동되거나 홈오토메이션 컨트롤러(75)에 의해 경찰서 또는 거주자의 핸드폰 등으로 연락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센서(60)는 데드볼트(30)가 절단되어 낙하되거나 이 센서(60)에 근접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으면, 근접센서나, 포토센서, 비젼감지기 등의 다양한 감지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도어록은 도 5에서와 같이, 원격지에서도 전화를 이용하여 홈오토메이션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한 구성으로는 실내의 전화기(70)에 연결되며 유무선 발신기(76)가 구비된 홈오토메이션 컨트롤러(75)와, 상기 전자 도어록의 제어부(40)에 연결된 유무선 수신부(77)로 이루어져서, 상기 홈오토메이션 컨트롤러(75)로부터 전자 도어록의 수신부(77)로 도어 개폐에 대한 신호가 입력되면, 이 신호는 제어부(40)로 전달되어 도 1의 모터(15)를 작동시켜서 도어(1)를 개폐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실내에서 회전노브(10)를 돌리거나, 외부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모터(15)가 회전되도록 하면, 상기 모터(15) 및 회전노브(10)에 연결된 회전체(20)가 소정각도로 회전되면서 이 회전체(20) 일면의 아암(21)이 데드볼트(30)의 푸쉬홈(35)을 밀게 되어 데드볼트(30)를 출몰시키므로, 도어(1)가 개폐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도어(1)를 닫게 되면, 외부에서 무단침입자가 문틈 사이로 금속 스트립 등을 삽입하여 데드볼트(30)를 후퇴시키려하더라도 상기 아암(21)의 선단부가 푸쉬홈(35)의 단턱부(31a)와 보조 단턱부(31b) 사이의 모퉁이에 걸려져서 후퇴되지 않기 때문에, 무단침입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도 3의 데드볼트(30)는 도어 프레임에 결합되는 선단부(36)가 기단부(37)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무단침입자가 문틈사이로 쇠톱 등을 삽입하여 데드볼트(30)를 절단하려 하더라도 상기 데드볼트(30)의 선단부(36)가 쇠톱의 전후진에 따라 자유롭게 회전되기 때문에, 쇠톱에 의해 절단되지 않아서 무단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도 4에서와 같이, 한 쌍의 도어(1)가 여닫이 형태로 설치된 경우 고정블록(50)의 록킹홈(51) 인접 부위에는 데드볼트(30)가 정해진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60)가 구비되어, 무단침입자가 문틈사이로 쇠톱을 삽입하여 데드볼트(30)를 절단하면, 절단된 데드볼트(30)가 낙하되면서 센서(60)에 의해 감지되어 비상벨(65)이 자동으로 작동되므로, 무단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1)를 잠그면, 상기 아암(21)의 선단부가 데드볼트(30)의 걸림턱(31)에 걸려져서, 무단침입자가 문틈 사이로 금속 스트립 등을 삽입하여 데드볼트(30)를 후퇴시키려하더라도 후퇴되지 않기 때문에, 무단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드볼트(30)의 선단부(36)를 기단부(37)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면, 무단침입자가 문틈사이로 데드볼트(30)를 쇠톱으로 절단하려 하더라도 상기 데드볼트(30)의 선단부가 쇠톱 전후진에 따라 자유롭게 회전되면서 절단되지 않기 때문에 무단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무단침입자가 문틈사이로 데드볼트(30)를 절단하면, 절단된 데드볼트(30)가 낙하되면서 센서(60)에 의해 감지되어 비상벨(65)이 자동으로 작동되므로, 무단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정단면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회전노브 15 : 모터
20 : 회전체 30 : 데드볼트
31 : 걸림턱 35 : 푸쉬홈
40 : 제어부

Claims (3)

  1. 도어(1)의 실내측에 설치된 백세트(3)와, 도어(1)의 실외측에 설치된 버튼세트(5)로 이루어지며, 상기 백세트(3)에는 외부로 노출 설치된 회전노브(10)와, 제어부(40)에 연결되어 작동되는 모터(15)와, 이 모터(15) 및 회전노브(10)에 연결되어 백세트(3) 외부로 출몰되는 데드볼트(30)가 구비된 전자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모터(15)와 회전노브(10)에 연결되어 회전되며 그 일면에는 상기 데드볼트(30)를 향해 길게 연장된 아암(21)이 구비된 회전체(20)와, 상기 데드볼트(30)의 기단부(37)에 형성되며 회전체(20)의 아암(21)이 삽입 결합되는 푸쉬홈(35)을 포함하며, 상기 푸쉬홈(35)은 회전체(20)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개구되며, 이 개구부(32)와 인접된 부위의 측벽면에는 상기 아암(21)이 회전되면서 데드볼트(30)를 전진시켰을 때 이 아암(21)의 선단면(21a)과 일측면(21b)에 각각 걸려져서 데드볼트(30)가 후퇴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걸림턱(3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도어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드볼트(30)가 결합되는 록킹홈(51)의 인접 부위에 설치되어 데드볼트(30)가 정해진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60)와, 이 센서(60)에 연결된 제어부(40)를 포함하며, 이 제어부(40)에는 홈오토메이션 컨트롤러(75) 또는 비상벨(65)이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작동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도어록.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드볼트(30)는 백세트(3) 외부로 출몰되는 선단부(36)와, 푸쉬홈(35)이 구비된 기단부(37)로 분할 형성되며, 상기 선단부(36)는 원주형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기단부(3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도어록.
KR10-2004-0000765A 2004-01-06 2004-01-06 전자 도어록 KR100510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765A KR100510980B1 (ko) 2004-01-06 2004-01-06 전자 도어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765A KR100510980B1 (ko) 2004-01-06 2004-01-06 전자 도어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365A KR20050072365A (ko) 2005-07-11
KR100510980B1 true KR100510980B1 (ko) 2005-08-30

Family

ID=37261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0765A KR100510980B1 (ko) 2004-01-06 2004-01-06 전자 도어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09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998B1 (ko) 2008-03-26 2009-10-29 주식회사 현대금속 매립식 작동레버가 구비된 실외측 도어록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7170A (ko) * 2009-09-10 2011-03-16 김재형 도어록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998B1 (ko) 2008-03-26 2009-10-29 주식회사 현대금속 매립식 작동레버가 구비된 실외측 도어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365A (ko) 2005-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0980B1 (ko) 전자 도어록
KR100718290B1 (ko) 자동방범기능을 갖춘 건축용 창구조
EP1871964B1 (en) Securing mechanism for windows and doors
JP2006125149A (ja) 引き違いサッシ
JP3841466B2 (ja) サッシ
CA2509669A1 (en) System and methods for operating a barrier
JP2002168014A (ja) ドアロック遠隔操作装置
JP2001073614A (ja) ドアのオートロック装置
JP4182893B2 (ja) 施錠装置
JP2013049977A (ja) 引き違い窓の安全装置
EP1015719B1 (fr) Serrure electronique codee pour porte et fenetre
JP2005113616A (ja) アラーム装置、および開口部装置
KR100479978B1 (ko) 도어록 백세트
KR102067908B1 (ko) 원격제어 현관문 보조 안전장치
JP2008075380A (ja) 電気錠
KR200284048Y1 (ko) 보안용 도어락 장치 및 이의 백셋
KR102626311B1 (ko)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연동 창호잠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381631Y1 (ko) 미서기창 자동 잠금장치
WO2016134724A1 (en) Locking system
JP3110708U (ja) クレセントの操作構造
KR100465408B1 (ko) 리모콘식 도어 록킹장치
JP2005155004A (ja) 戸締り確認システム用後付けキット
JP2005076323A (ja) 開口部装置
EP1422363A3 (en) A key lock handle for doors and windows
KR20030084388A (ko) 보안용 도어락 장치 및 이의 백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