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1881B1 - 통공 카드 인식 록킹 해정장치 - Google Patents

통공 카드 인식 록킹 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1881B1
KR101051881B1 KR1020090051223A KR20090051223A KR101051881B1 KR 101051881 B1 KR101051881 B1 KR 101051881B1 KR 1020090051223 A KR1020090051223 A KR 1020090051223A KR 20090051223 A KR20090051223 A KR 20090051223A KR 101051881 B1 KR101051881 B1 KR 101051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recognition
movable plate
hole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1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2571A (ko
Inventor
이병성
Original Assignee
(주)메이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이즈텍 filed Critical (주)메이즈텍
Priority to KR1020090051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1881B1/ko
Publication of KR20100132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2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1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1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5/00Locks for use with special keys or a plurality of keys ; keys therefor
    • E05B35/007Locks for use with special keys or a plurality of keys ; keys therefor the key being a card, e.g. perforated,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카드의 통공 패턴과 비통공 패턴을 인식하고, 인식 결과가 각각의 인식부에 의해 성공된 경우에만 잠금 상태 해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전원 공급 없는 상태에서도 잠금 상태를 해정할 수 있어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공 카드 인식 록킹 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통공 카드 인식 록킹 해정장치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카드가 삽입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하여 근접 또는 이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 플레이트와, 가동 플레이트가 베이스 플레이트로 근접 이동하는 과정에서 카드의 통공에 대한 삽입 여부에 따라 카드의 통공을 인식하는 제 1 인식부, 및 가동 플레이트가 베이스 플레이트로 근접 이동하는 과정에서 카드의 비통공 영역에 대한 접촉 여부에 따라 카드의 비통공을 인식하는 제 2 인식부를 포함하는 카드 인식부; 및 제1 인식부와 제 2 인식부의 인식 결과에 따라 잠금 상태를 해정하는 해정부를 포함한다.
록킹, 통공, 비통공, 카드, 인식, 해정

Description

통공 카드 인식 록킹 해정장치{PUNCH CARD RECOGNITION APPARATUS FOR RELEASING LOCKING}
본 발명은 록킹 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카드의 통공 패턴과 비통공 패턴을 인식하고, 인식 결과가 각각의 인식부에 의해 성공된 경우에만 잠금 상태 해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전원 공급 없는 상태에서도 잠금 상태를 해정할 수 있어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공 카드 인식 록킹 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락(Door Lock)은 록킹(Locking)된 도어를 해정하여 열거나 열려진 도어를 다시 록킹하기 위한 장치이다.
최근에는 보안 신뢰성 향상 및 사용의 편의성 증대를 위하여 키입력 방식, 지문 인식 방식, RF 방식, 카드 인식 방식 등의 디지털 도어락 사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기존의 키입력 방식, RF 방식, 카드 인식 방식 등의 디지털 도어락은 회로적인 고장 또는 전원이 방전된 경우에는 도어락의 기능을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편, 카드 인식 방식의 일례가 한국 등록특허 제0528505호에 "도어록 장치" 라는 제목으로 개시된 바 있다.
이 기술에 따르면, 수개의 펀칭 공이 관통된 카드와 도어록 장치의 가동판 상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펀치가 일치할 때 잠금 상태 해정 상태가 해제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펀칭 공 패턴을 가지는 카드 인식 방식의 경우 복제가 쉽다.
즉, 도어록 장치 내부에 돌출된 펀치와 펀칭 공이 일치되기만 하면 도어의 락 상태가 해정되므로, 카드 삽입부에 복제 수단을 삽입하고 손잡이 회전을 통해 펀치를 하강시켜 펀치 위치를 복사하면, 이를 이용하여 펀칭 공 카드 복제를 할 수 있으며, 카드의 모든 위치에 펀칭 공을 형성하면 도어락이 해정되므로 복제가 매우 용이하다.
따라서, 종래의 펀칭 공이 형성된 카드 인식 방식의 도어락은 보안성이 취약한 단점이 있다.
상기 배경 기술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카드의 통공 패턴과 비 통공 패턴을 각각 인식할 수 있는 각각의 인식부를 구비하여, 각각의 인식부에서의 인식이 모두 성공할 경우에만 록킹 상태가 해정되도록 할 수 있는 통공 카드 인식 록킹 해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드 통공 및 비통공 인식뿐만 아니라 인식 결과에 따른 록킹 상태 해정이 기계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회로 이상 또는 전원 방전시 해정장치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공 카드 인식 록킹 해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공 카드 인식 록킹 해정장치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카드가 삽입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하여 근접 또는 이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 플레이트와, 상기 가동 플레이트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 근접 이동하는 과정에서 카드의 통공에 대한 삽입 여부에 따라 카드의 통공을 인식하는 제 1 인식부, 및 상기 가동 플레이트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 근접 이동하는 과정에서 카드의 비통공 영역에 대한 접촉 여부에 따라 카드의 비통공을 인식하는 제 2 인식부를 포함하는 카드 인식부; 및 상기 제 1 인식부와 제 2 인식부의 인식 결과에 따라 잠금 상태를 해정하는 해정부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통공형 카드의 통공과 비통공 영역을 모두 인식할 경우 잠금 상태가 해정되도록 함으로써, 카드 통공을 불법 사용자가 쉽게 예측 또는 복사할 수 없어 카드 복제가 어렵게 함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로 이상 또는 전원 방전시 록킹 상태를 기계적으로 해정시킴으로써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공 카드 인식 록킹 해정장치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공 카드 인식 록킹 해정장치의 분해 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카드의 통공을 인식하여 잠금 상태를 해정할 수 있는 록킹 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카드 인식부(100)와 해정부(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카드 인식부(100)는 가동 플레이트(104)와 제 1 인식부(106) 및 제 2 인식부(108)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가동 플레이트(104)는 베이스 플레이트(102)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제 1 인식부(106) 및 제 2 인식부(108)는 가동 플레이트(104)가 승강함에 따라 카드의 통공에 삽입되거나 카드의 비통공에 접촉되어, 카드의 통공 또는 비통공을 각각 인식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 1 인식부(106)가 카드의 통공을 인식하고, 제 2 인식부(108)가 카드의 비통공을 인식하는 것으로 기술하도록 하였으나, 다른 변형된 실시예를 통해 제 1 인식부(106)가 카드의 비통공을, 제 2 인식부(108)가 카드의 통공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해정부(200)는 제 1 인식부(106)와 제 2 인식부(108)의 인식 결과에 따라 잠금 상태를 해정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 1 인식부(106)는 카드의 통공이 인식되는 제 1 가이드부(114a)와 카드의 비통공이 인식되는 제 2 가이드부(114b)로 구성되는 제 1 패턴홀(114)이 형성된 제 1 패턴 플레이트(106d)를 포함하여, 후술하는 제 1 인식바(106c)가 제 1 가이드부(114a)에 위치할 경우에 가동 플레이트(104)가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 2 인식부(108)는 카드의 비통공이 인식되는 제 3 가이드부(116a)와 카드의 통공이 인식되는 제 4 가이드부(116b)로 구성되는 제 2 패턴홀(116)이 형성된 제 2 패턴 플레이트(108d)를 포함하여, 후술하는 제 2 인식바(108c)가 제 3 가이드부(116a)에 위치할 경우에 가동 플레이트(104)가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또한, 해정부(200)는 가동 플레이트(104)가 제 1 가이드부(114a)와 제 3 가이드부(116a)에 의해 안내되도록 하여 록킹 상태를 해정하는 것으로서, 해정부(200)가 가동 플레이트(104)를 해정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동 플레이트(104)가 슬라이딩 가능 상태가 되어야 한다.
도 3은 도 1의 카드 인식부 일방향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카드 인식부 타방향 확대사시도로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카드 인식부(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02), 가동 플레이트(104), 제 1 인식부(106), 및 제 2 인식부(108)를 포함한다.
여기서, 베이스 플레이트(102)에는 카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면에 카드 슬롯부(102a)가 형성되고, 이 카드 슬롯부(102a)를 통해 삽입된 카드가 평행 이동 가능하도록 카드 가이드홈부(102b)가 형성된다.
가동 플레이트(104)는 베이스 플레이트(102)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베이스 플레이트(10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압축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104a)를 통해 탄성력을 제공받는다. 또한, 가동 플레이트(104)는 외력 즉, 카드 삽입에 따른 손잡이의 회동에 연동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02) 방향으로 하강하고, 카드가 정상 카드인 것으로 인식되면 베이스 플레이트(102)와 평행하게 슬라이딩된다.
한편, 제 1 인식부(106)와 제 2 인식부(108)는 각각 가동 플레이트(104)가 베이스 플레이트(102)에 근접 이동 즉, 하강 할 경우 함께 이동하여 카드의 통공 또는 비통공을 각각 인식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 인식부(106)은 카드의 통공을 인식하고 제 2 인식부(108)는 카드의 비통공을 인식하는 것으로 기술한다.
이를 위하여, 제 1 인식부(106)는 제 1 수직 프레임(106a)과, 제 1 홀더(106b)와, 복수의 제 1 인식바(106c) 및 제 1 패턴 플레이트(106d)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 1 수직 프레임(106a)은 베이스 플레이트(102)에 수직 돌출되며, 제 1 수직 프레임(106a)에는 복수의 가이드 홀(110)이 형성된다.
그리고, 복수의 가이드 홀(110) 내부에는 가이드 홀(110) 내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베이스 플레이트(102)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는 복수의 제 1 홀더(106b)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각 제 1 홀더(106b)는 가이드 홀(110) 내부에 수직하게 구비된 압축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112)를 통해 탄성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 1 인식바(106c)는 일측 돌출부가 베이스 플레이트(102)를 향하도록 절곡된 것으로서, 제 1 홀더(106b)들 중 일부에 각각 결합된다.
그리고, 제 1 패턴 플레이트(106d)에는 제 1 인식바(106c)의 일측 돌출부가 카드의 통공과 대응될 경우에만 제 1 인식바(106c)가 하강하여 가동 플레이트(104)가 슬라이딩 가능 상태가 되도록 안내하는 제 1 패턴홀(114)이 형성된다. 이때, 제 1 패턴홀(114)은 상술한 바와 같이 카드의 통공을 인식할 수 있도록 제 1 가이드부(114a)와, 카드의 비통공을 인식할 수 있도록 제 2 가이드부(114b)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제 1 패턴홀(114)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L'자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1 인식부(106)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가이드부(114a)와 제 2 가이드부(114b)로 이루어진'L'자 형상의 제 1 패턴홀(114)을 갖는 제 1 패턴 플레이트(106d)가 가동 플레이트(104)의 일측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이때, 제 1 인식바(106c)가 결합된 제 1 홀더(106b)들은 각각 압축 스프링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제 1 패턴홀(114)의 제 2 가이드부(114b)에 제 1 인식바(106c)가 걸려 있는 상태가 유지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상태에서 가동 플레이트(104)가 베이스 플레이트(102) 방향으로 하강할 경우, 제 1 패턴 플레이트(106d)는 가동 플레이트(104)와 함께 이동하게 되고, 카드 통공(302)과 제 1 인식바(106c)의 일측 돌출부가 대응되면 베이스 플레이트(102)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가지는 제 1 홀더(106b)에 의해 제 1 인식바(106c)가 베이스 플레이트(102) 방향으로 이동하여 통공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제 1 패턴 플레이트(106d)가 이동한 거리 즉, 카드의 통공 높이만큼 제 1 인식바(106c)가 이동하면, 제 1 인식바(106c)가 제 1 가이드부(114a)에 위치하기 때문에 가동 플레이트(104)는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어, 외력이 가해지면 도 7과 같이 슬라이딩 된다.
반면에, 카드 통공(302)과 제 1 인식바(106c)가 대응되지 않을 경우 제 1 인식바(106c)는 제 1 패턴홀(114)의 제 2 가이드부(114b)에 위치하므로, 가동 플레이트(104)는 슬라이딩 불가능 상태가 된다.
한편, 제 2 인식부(108)는 제 2 수직 프레임(108a)과, 제 2 홀더(108b)와, 복수의 제 2 인식바(108c) 및 제 2 패턴 플레이트(108d)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 2 수직 프레임(108a)은 베이스 플레이트(102)에 수직 돌출되며, 제 2 수직 프레임(108a)에는 복수의 가이드 홀(110)이 형성된다. 그리고, 복수의 가이드 홀(110) 내부에는 가이드 홀(110) 내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베이스 플레이트(102)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는 복수의 제 2 홀더(108b)가 구비된다. 이때, 각 제 2 홀더(108b)는 가이드 홀(110) 내부에 수직하게 구비된 압축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112)를 통해 탄성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제 2 인식바(108c)는 일측 돌출부가 베이스 플레이트(102)를 향하도록 절곡된 것으로서, 제 2 홀더(108b)들 중 일부에 각각 결합된다.
그리고, 제 2 패턴 플레이트(108d)에는 제 2 인식바(108c)의 일측 돌출부가 카드의 비통공 영역과 대응될 경우에만 가동 플레이트(104)가 슬라이딩 가능해지도록 안내하는 제 2 패턴홀(116)이 형성된다. 이때, 제 2 패턴홀(116)은 상술한 바와 같이 카드의 비통공을 인식할 수 있도록 제 3 가이드부(116a)와, 카드의 통공을 인식할 수 있도록 제 4 가이드부(116b)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제 2 패턴홀(116)은 제 2 인식바(108c) 일측 돌출부가 카드의 비통공 영역과 대응될 경우에만 가동 플레이트(104) 슬라이딩 가능해지도록 안내할 수 있는 패턴, 즉 'ㄱ' 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 패턴홀(116)은 카드의 두께를 검출할 수 있도록 'ㅓ'자형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인식부(108c)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을 참조하면, 'ㅓ'자 형상의 제 3 가이드부(116a)와 제 4 가이드부(116b)로 이루어지는 제 2 패턴홀(116)을 갖는 제 2 패턴 플레이트(108d)가 가동 플레이트(104)의 타측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이때, 제 2 인식바(108c)가 결합된 제 2 홀더(108b)들은 각각 압축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112)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제 2 인식바(108c)는 제 4 가이드부(116b)에 걸려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플레이트(104)가 베이스 플레이트(102) 방향으로 하강할 경우, 제 2 홀더(108b)에 의해 제 2 인식바(108c)는 베이스 플레이트(102)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성질을 갖게 되지만, 제 2 인식바(108c)의 하부에 카드의 비통공 영역이 위치하는 경우 제 2 인식바(108c)는 카드의 비통공에 의해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고 제 3 가이드부(116a)의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와 같이, 제 2 인식바(108c)가 제 3 가이드부(116a)에 위치함으로써, 가동 플레이트(104)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어, 외력이 가해지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된다.
반면에, 카드 비통공 영역과 제 2 인식바(108c)가 대응되지 않을 경우, 즉 제 2 인식바(108c)의 하부에 카드의 통공이 위치하는 경우 제 2 인식바(108c)는 카드의 통공 높이만큼 하강하게 되어, 제 2 인식바(108c)가 제 4 가이드부(116b)에 걸려 있는 상태가 되므로 가동 플레이트(104)는 슬라이딩 불가능 상태가 된다.
또한, 카드가 정상 카드가 아닌 경우 정상 카드와 두께 차이가 있으면, 제 2 인식바(108c)는 제 2 패턴홀(116)의 제 3 가이드부(116a)에 위치하지 않고, 제 4 가이드부(116b)에 위치하게 되므로 가동 플레이트(104)는 슬라이딩 불가능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카드 통공을 인식하는 제 1 인식부(106)와 카드 비통공을 인식하는 제 2 인식부(108)의 카드 인식이 모두 성공된 경우에만 가동 플레이트(104)는 슬라이딩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카드 통공만 인식하는 타입의 경우 카드의 통공 위치에 대한 패턴 복사가 용이하여 카드 복제가 쉬웠지만, 본 발명은 통공 영역과 비통공 영역 에 모두 인식바의 돌출바가 위치하므로 카드를 복제하려 하는 경우, 비통공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바가 통공을 인식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카드의 복제가 어려워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해정부(200)는 제 1 인식부(106)과 제 2 인식부(108)의 인식 결과에 따라 잠금 상태를 해정하는 것으로서, 손잡이(202), 회전체(204), 래치(206), 래치 이동기구(208), 안내기구(210), 잠금쇠 이동부재(2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손잡이(202)는 출입문, 금고 등의 도어에 대하여 돌출 구비되며 외력에 의해 회동하도록 구성된다.
회전체(204)는 손잡이에 고정되어 손잡이(202) 회동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것으로서, 회전체(204)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플레이트(104)를 향한 면에 오목하고 가동 플레이트(104)에 대해 깊이가 점차적으로 변화되는 캠 홈(204a)이 형성된다.
래치(206)는 캠 홈(204a)에 대해 전후진 가능하게 캠 홈(204a)에 관통 삽입되며, 가동 플레이트(104)에 나사 결합되어, 손잡이(202)의 회동시 손잡이(202)에 연동하는 회전체(204)에 의해 눌려져 가동 플레이트(104)를 베이스 플레이트(102) 방향으로 하강시킨다. 그리고, 래치(206)는 카드 삽입에 연동하는 래치 이동기구(208)에 의해 캠 홈(204a) 내부를 이동한다.
여기서, 래치 이동기구(208)는 카드 삽입시 카드에 의해 밀려 슬라이드 이동하는 랙 기어(208a)와, 그 회전 중심에 래치(206)가 고정되어 랙 기어(208a)와 맞물려 회전함에 따라 래치를 회전시키는 피니언 기어(208b)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카드가 삽입되어 카드에 의해 랙 기어(208a)가 슬라이딩되면, 이에 연동하여 피니언 기어(208b)가 회전하고, 그 결과 래치(206)가 캠 홈(204a) 내부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잠금 상태 해정이 완료되면 카드를 반환받을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랙 기어(208a)는 카드 삽입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랙 기어(208a)의 베이스 플레이트(102) 방향 측면과 베이스 플레이트의 랙 기어(208a) 방향 측면에는 인장 스프링(209)이 설치된다.
안내기구(210)는 손잡이(202)의 회동시 가동 플레이트(104)가 슬라이딩 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서, 안내기구(210)는 이동블록(210a)과, 레버(210b)와, 연결부재(210c)와 탄성부재(210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이동블록(210a)은 손잡이에 인접하게 구비되며, 레버(210b)는 손잡이(202)의 회동시 이동블록(210a)과 잠금쇠 이동부재(212)를 이동시키도록 손잡이(202)에 장착 구비된다.
그리고, 연결부재(210c)는 가동 플레이트(104)에 돌출 형성되며, 이동블록(210a)과 연결됨으로써, 이동블록(210a) 이동에 연동하여 가동 플레이트(104)를 실질적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연결부재(210c)는 이동블록(210a)의 연결부위가 가동 플레이트(104)의 전후 운동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홈을 갖는다.
또한, 탄성부재(210d)는 이동블록(210a)과 연결부재(210c) 사이에 연결 구비되어 가동 플레이트(104)가 원상태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복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잠금쇠 이동부재(212)는 안내기구(210)와 연동하여 잠금쇠(214)를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이동블록(210a)의 이동에 따라 회동하여 잠금쇠(214)를 이동시켜 록킹 상태를 해정한 후 손잡이의 원 상태 복귀 회동에 따라 복귀 이동하는 잠금쇠(214)에 연동하여 복귀한다.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통공 카드 인식 록킹 해정장치 작동 관계 설명을 위한 단면도로서, 상술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8의 카드 삽입 대기 상태에서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카드(300)를 베이스 플레이트(102)의 카드 슬롯부(102a)에 삽입하여 카드 가이드홈부(102b)를 슬라이딩시키면, 이에 연동하여 랙 기어(208a)가 슬라이딩 된다. 그러면, 랙 기어(208a)에 맞물려 있는 피니언 기어(208b)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래치(206)가 회전되어 캠 홈(204a) 내부를 이동한다.
그리고, 래치(206)가 캠 홈(204a) 내부로 이동하면 회전체(204)가 래치(206)의 회전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하고, 회전체(204)가 결합된 손잡이(202)가 일정 각도 회동하게 된다.
이렇게, 손잡이(202)가 일정 각도 회동된 상태에서 손잡이(202)에 외력을 가하게 되면, 이 손잡이(202)의 회동에 따라 래치(206)와 나사 결합된 가동 플레이트(104)가 회전없이 눌려지므로 가동 플레이트(104)가 베이스 플레이트(102) 방향으로 하강하려는 성질을 갖게 된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인식부(106)과 제 2 인식부(108)에 의한 카드 인식 결과 카드 인식에 모두 성공한 경우 가동 플레이트(104)가 슬라이딩 가능 상태가 된다. 즉, 도 6과 같이 제 1 인식부(106)에 의한 카드 통공 인식이 성공하여 제 1 인식바(106c)가 제 1 가이드부(114a)에 위치하고, 도 9와 같이 제 2 인식부(108)에 의한 카드 비통공 인식이 성공하여 제 2 인식바(108c)가 제 3 가이드부(116a)에 위치한 경우 가동 플레이트(104)가 슬라이딩 가능 상태가 된다.
여기에 지속적인 외력이 가해지면 손잡이(202)가 더 큰 각도로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플레이트(104)가 슬라이딩 되어 연결부재(210c)에 연결된 이동블록(210a)이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이동블록(210a)의 이동에 따라 회동하는 잠금쇠 이동부재(212)가 회동하게 되는바, 잠금 상태 해정이 이루어진다.
이후, 손잡이(202)에 가하는 외력이 제거되면 이동블록(210a)에 연결된 탄성부재(210d)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블록(210a)이 복귀 이동한다.
이에 따라, 이동블록(210a)의 복귀 이동에 연동하여 잠금쇠 이동부재(212)가 복귀 회동하여 잠금쇠(214)가 잠금 상태로 복귀하고, 이동블록(210a)의 이동에 연동하여 연결부재(210c)를 통해 이동블록(210a)과 연결된 가동 플레이트(104)는 원상태로 복귀 슬라이딩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도 기계식으로 카드의 통공과 비통공 인식을 수행하며, 그 인식 결과에 따라 기계식으로 잠금 상태를 해정 또는 잠금 상태로 복귀하도록 함으로써, 회로 이상 또는 전원 방전 상태에서도 록킹 장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공 카드 인식 록킹 해정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공 카드 인식 록킹 해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 인식부 일방향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 인식부 타방향 확대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인식부 작동 설명 단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인식부 작동 설명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체 확대 사시도.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통공 카드 인식 록킹 해정장치의 작동 설명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카드 인식부
102 : 베이스 플레이트, 102a : 카드 슬롯부
102b : 카드 가이드홈부
104 : 가동 플레이트, 104a : 탄성부재
106 : 제 1 인식부, 106a : 제 1 수직 프레임
106b : 제 1 홀더, 106c : 제 1 인식바
106d : 제 1 패턴 플레이트
108 : 제 2 인식부, 108a : 제 2 수직 프레임
108b : 제 2 홀더 108c : 제 2 인식바
108d : 제 2 패턴 플레이트
110 : 가이드 홀, 112 : 탄성부재
114 : 제 1 패턴홀, 114a : 제 1 가이드부, 114b : 제 2 가이드부
116 : 제 2 패턴홀, 116a : 제 3 가이드부, 116b : 제 4 가이드부
200 : 해정부
202 : 손잡이
204 : 회전체, 204a : 캠홈
206 : 래치
208 : 래치 이동기구, 208a : 랙 기어, 208b : 피니언 기어
210 : 안내기구, 210a : 이동블록
210b : 레버, 210c : 연결부재, 210d : 탄성부재
212 : 잠금쇠 이동부재
214 : 잠금쇠

Claims (10)

  1. 삭제
  2.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카드가 삽입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하여 근접 또는 이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 플레이트와, 상기 가동 플레이트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 근접 이동하는 과정에서 카드의 통공에 대한 삽입 여부에 따라 카드의 통공을 인식하는 제 1 인식부, 및 상기 가동 플레이트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 근접 이동하는 과정에서 카드의 비통공 영역에 대한 접촉 여부에 따라 카드의 비통공을 인식하는 제 2 인식부를 포함하는 카드 인식부; 및
    상기 제 1 인식부와 제 2 인식부의 인식 결과에 따라 잠금 상태를 해정하는 해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인식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수직 돌출되며, 복수의 가이드홀이 형성된 제 1 수직 프레임;
    상기 각각의 가이드홀 내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는 복수의 제 1 홀더;
    상기 제 1 홀더들 중 적어도 일부에 각각 결합되고, 일측 돌출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향하도록 절곡된 복수의 제 1 인식바; 및
    상기 가동 플레이트에 상기 제 1 수직 프레임에 대응되게 수직 돌출되며, 상기 가동 플레이트의 근접 이동시 상기 제 1 인식바의 일측 돌출부가 카드의 통공에 삽입될 경우에만 상기 가동 플레이트가 슬라이딩 가능해지도록 상기 제 1 인식바를 끼워서 안내하는 제 1 패턴홀이 형성된 제 1 패턴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공 카드 인식 록킹 해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식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수직 돌출되며 복수의 가이드홀이 형성된 제 2 수직 프레임;
    상기 각각의 가이드홀 내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는 복수의 제 2 홀더;
    상기 제 2 홀더들 중 적어도 일부에 각각 결합되고 일측 돌출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향하도록 절곡된 복수의 제 2 인식바; 및
    상기 가동 플레이트에 상기 제 2 수직 프레임에 대응되게 수직 돌출되며, 상기 가동 플레이트의 근접 이동시 상기 제 2 인식바의 일측 돌출부가 상기 카드의 비통공 영역에 접촉될 경우에만 상기 가동 플레이트가 슬라이딩 가능해지도록 상기 제 2 인식바를 끼워서 안내하는 제 2 패턴홀이 형성된 제 2 패턴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공 카드 인식 록킹 해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해정부는,
    외력에 의해 회동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에 고정되며, 상기 가동 플레이트를 향한 면에 오목하고 상기 가동 플레이트에 대해 깊이가 점차적으로 변화되게 캠 홈이 형성된 회전체와,
    상기 캠 홈에 대해 전후진 가능하게 되고, 상기 가동 플레이트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손잡이의 회동시 눌러지면서 상기 가동 플레이트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쪽으로 이동시키는 래치와,
    상기 카드가 삽입되면 상기 래치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캠 홈 내부에서 이동시키는 래치 이동기구와,
    상기 손잡이의 회동시 상기 가동 플레이트가 슬라이딩 하도록 안내하는 안내기구와,
    상기 안내기구와 연동하여 잠금쇠를 이동시키는 잠금쇠 이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공 카드 인식 록킹 해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이동기구는,
    상기 카드 삽입시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카드 삽입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는 랙 기어와,
    회전 중심에 상기 래치가 고정되고, 상기 랙 기어와 맞물려 회전함에 따라 상기 래치를 회전시키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공 카드 인식 록킹 해정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기구는,
    이동블록과,
    상기 손잡이의 회동시 상기 이동블록과 상기 잠금쇠 이동부재를 이동시키는 레버와,
    상기 가동 플레이트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이동블록과 연결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가동 플레이트가 원상태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복귀할 수 있게 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공 카드 인식 록킹 해정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90051223A 2009-06-10 2009-06-10 통공 카드 인식 록킹 해정장치 KR101051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223A KR101051881B1 (ko) 2009-06-10 2009-06-10 통공 카드 인식 록킹 해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223A KR101051881B1 (ko) 2009-06-10 2009-06-10 통공 카드 인식 록킹 해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2571A KR20100132571A (ko) 2010-12-20
KR101051881B1 true KR101051881B1 (ko) 2011-07-26

Family

ID=43508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1223A KR101051881B1 (ko) 2009-06-10 2009-06-10 통공 카드 인식 록킹 해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18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01939A (zh) * 2017-11-24 2020-08-28 株式会社马泽技术 穿孔卡钥匙推式门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7517B1 (ko) * 1991-10-24 2001-03-02 비.에프.프레데이 기계식 카드 자물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7517B1 (ko) * 1991-10-24 2001-03-02 비.에프.프레데이 기계식 카드 자물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01939A (zh) * 2017-11-24 2020-08-28 株式会社马泽技术 穿孔卡钥匙推式门锁
CN111601939B (zh) * 2017-11-24 2021-11-12 株式会社马泽技术 穿孔卡钥匙推式门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2571A (ko) 2010-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1066885A1 (en) Cylinder lock
JPH08226263A (ja) カードキーを用いる施錠装置
KR101051881B1 (ko) 통공 카드 인식 록킹 해정장치
WO2011162424A1 (ko) 통공 카드 인식 록킹 해정장치
JPH0726496B2 (ja) 安全装置の内設されたドア・ロック
JP2007285002A (ja) 施錠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ゴミ箱
KR101262790B1 (ko) 통공 카드 키, 및 이를 인식하는 록킹 해정장치
JP2012519243A (ja) 手荷物検査の際に掛け金を切断してその後再施錠することができる、例えば南京錠用の施錠機構
KR101013651B1 (ko) 금고
JPH09291729A (ja) カード式錠
KR200458319Y1 (ko) 소형 금고용 서랍 개폐장치
KR20110027170A (ko) 도어록 장치
JP4441346B2 (ja) 障子施錠機構の誤操作防止装置
KR100972305B1 (ko) 대여금고의 도어 해정장치
KR20070112372A (ko) 잠금장치
JP2883609B1 (ja) デッドボルト付きラッチ装置
KR100694542B1 (ko) 열쇠인식 도어 개폐장치
US11261620B2 (en) Blocking lock with matrix coding system
JP2011058187A (ja) 扉ロック機構
JP2003049571A (ja) 自動販売機のロック装置
KR101700112B1 (ko)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KR100528505B1 (ko) 도어 록 장치
JP2005207229A (ja) シリンダ錠
JP3516237B2 (ja) ドアの用心錠
TW201544669A (zh) 具有附加安全改善之安全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