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4542B1 - 열쇠인식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열쇠인식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4542B1
KR100694542B1 KR1020060086800A KR20060086800A KR100694542B1 KR 100694542 B1 KR100694542 B1 KR 100694542B1 KR 1020060086800 A KR1020060086800 A KR 1020060086800A KR 20060086800 A KR20060086800 A KR 20060086800A KR 100694542 B1 KR100694542 B1 KR 100694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door opening
lock
control circuit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6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재
Original Assignee
이은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재 filed Critical 이은재
Priority to KR1020060086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45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4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4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 E05B47/0603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the detent moving rectilinear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79Locks with audio features
    • E05B17/0083Sound emitting devices, e.g. loudspeak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E05B45/06Electric alarm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in-Freed Apparatuses For Hir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쇠인식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열쇠와, 동전 투입구, 배출구, 자물쇠 장착공 및 잠금편 출입구멍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열쇠를 회전시킴에 따라 중간링크기구를 통해 상기 잠금편 출입구멍을 통해 출입하는 잠금편과,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동전의 이동을 일시 정지시키고 안내하기 위한 동전통행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인식정보가 포함된 칩과 능동단자가 설치된 열쇠와; 상기 열쇠의 능동단자와 연결되기 위해 상기 자물쇠 장착공에 설치된 피동단자와; 상기 잠금편의 개폐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개폐감지수단과; 상기 자물쇠 장착공의 피동단자 및 개폐감지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회로와; 상기 제어회로에 연결되어 그 신호에 따라 열쇠의 회전을 허용하거나 규제하도록 이동하는 걸림기구와; 상기 제어회로에 연결된 전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제어회로에 의해 열쇠의 고유한 정보를 감지하는 경우에만 개방할 수 있어 임의로 복제되어 도어 안쪽의 물건을 도난당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고, 모든 열쇠의 외형을 통일시킬 수 있으며 소지가 간편하다는 이점이 있다.
열쇠, 도어, 개폐, 동전, 사물함, 감지

Description

열쇠인식 도어 개폐장치{A DEVICE FOR OPENING OR LOCKING A DOOR BY SENSING COUNTERPART KEY}
도 1은, 종래의 도어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쇠인식 도어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의 전방 분해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2의 후방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자물쇠 장착공 부근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의 (a)(b)는, 도 2에서 중간작동기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이다.
도 6은, 도 3에서 열쇠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 주요 구성부호의 설명
100... 도어 개폐장치의 몸체부
200... 열쇠
300... 중간작동기구
500... 개폐감지수단
600... 제어회로
700... 걸림기구
710... 솔레노이드 걸림장치
800... 동전통행 프레임
900... 전원
본 발명은 열쇠인식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신의 열쇠만을 정확히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임의로 열쇠가 복제되어 도어 내부의 물건이 도난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열쇠인식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편의점이나 찜질방 등에는 개인소지품과 물건을 보관하기 위한 사물함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사물함은 대체로 100원짜리나 500원짜리 동전을 투입하고 그 대신 열쇠를 빼내서 소지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도 1에는 이러한 통상적인 사물함에 사용되는 도어 개폐장치의 대표적인 예가 개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도어 개폐장치는, 자물쇠 장착공(110), 상기 자물쇠 장착공(110)에 설치된 자물쇠에 열쇠(200)를 넣고 돌림에 따라 중간작동기구(미도시)를 통해 잠금편(310)이 나오거나 들어가는 구멍(미도시), 및 동전의 투입구(130)와 배출구(140)가 각각 형성된 몸체부(100)와, 상기 자물쇠 장착공(110)에 설치된 자물쇠에 끼워지는 열쇠(200)와, 상기 몸체부(100)에 결합되어 동전을 안내하고 단속하는 동전통행 프레임(8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도어 개폐 장치의 작동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물쇠 장착공(110) 내부의 자물쇠에 회전이 저지된 상태로 열쇠(200)가 끼워진 상태가 초기 상태(도어가 개방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동전을 투입구(130)에 넣는다. 투입구(130)를 통과한 동전은 먼저 동전통행 프레임(800)의 동전 투입 안내프레임(810)과 몸체부(100) 사이의 통로를 지나 동전-열쇠 연동프레임(820)에 걸리게 된다.
또한, 내부의 중간링크기구(미도시)의 걸림이 해제되어 열쇠(200)가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결국, 열쇠(200)를 '닫힘' 위치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동전 배출구(140)는 다른 부재에 의해 막히게 되므로 동전의 배출은 방지된다.
다음, 열쇠(200)를 자물쇠(260)로부터 빼내어 개인적으로 소지한다. 열쇠(200)의 인출에 따라 중간에 일시 걸려 있던 동전도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시, 도어를 개방할 경우에는 열쇠(200)를 자물쇠(260)에 밀어넣어서 '열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잠금편(310)이 다시 들어가서 도어가 개방된다. 이 경우, 동전 배출구(140)를 막고 있던 부재가 개방되어 동전도 배출되어 회수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도어 개폐장치는 서로 짝을 이루는 열쇠와 자물쇠에 의해 도어를 개폐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무단으로 열쇠가 복제되어 사물함 내의 물건이 도난당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종래에는 열쇠의 잦은 사용으로 결합부분이 닳아서 작동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결합부분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대부분 열쇠가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비교적 무겁고 소지하기가 불편하였다.
삭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명의 목적은 열쇠가 임의로 복제되어 도어 안쪽의 물건을 도난당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열쇠인식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빈번한 사용으로 열쇠가 마모되어 제기능을 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열쇠인식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든 열쇠의 외형을 통일시킬 수 있어 제조가 용이한 열쇠인식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라스틱 소재로 단면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가볍고 소지하기가 용이한 열쇠인식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열쇠인식 도어 개폐장치는,
열쇠와, 동전 투입구, 배출구, 자물쇠 장착공 및 잠금편 출입구멍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열쇠를 회전시킴에 따라 중간링크기구를 통해 상기 잠금편 출입구 멍을 통해 출입하는 잠금편과,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동전의 이동을 일시 정지시키고 안내하기 위한 동전통행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인식정보가 포함된 칩과 능동단자가 설치된 열쇠와;
상기 열쇠의 능동단자와 연결되기 위해 상기 자물쇠에 설치된 피동단자와;
상기 잠금편의 개폐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개폐감지수단과;
상기 자물쇠 장착공의 피동단자 및 개폐감지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회로와;
상기 제어회로에 연결되어 그 신호에 따라 열쇠의 회전을 허용하거나 규제하도록 이동하는 걸림기구와;
상기 제어회로에 연결된 전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기구는 가동 로드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식 걸림장치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중간링크기구는 상기 솔레노이드식 걸림장치의 가동 로드의 신축에 따라 걸리거나 해제되는 중간 링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식 걸림장치의 가동 로드에는, 걸림봉이 평행한 상태로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중간 링크에는 상기 걸림봉의 전진시 삽입되기 위한 걸림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쇠의 선단부에 능동단자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자물쇠의 바닥에도 피동단자가 설치되어 있어, 상호 결합시 상기 능동단자와 피동단자는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폐감지수단은 리미트 스위치로 구성되되, 상기 리미트 스위치는 그 단자가 상기 중간 링크의 일면쪽으로 설치된 회전 작동봉에 의해 누름 조작되어 작동되며, 상기 회전 작동봉은 열쇠의 회전과 중간 링크의 회전에 연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쇠의 삽입시 또는 회전시에 음향을 발생시키는 스피커가 추가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스피커는 열쇠 각각의 동작시에 다른 음향을 발생시켜서 그 동작에 따른 구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짝이 맞지 않는 열쇠가 삽입될 때, 상기 제어회로가 이를 인식하여 솔레노이드식 걸림장치를 구동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짝이 맞는 열쇠가 삽입될 때, 상기 제어회로가 이를 인식하여 솔레노이드식 걸림장치를 구동시킴으로써 걸림을 해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쇠가 삽입되어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 소정 시간 방치되면, 상기 제어회로가 상기 방치 시간을 인식하여 솔레노이드식 걸림장치를 구동시켜서 원래의 잠금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몸체부를 도어나 사물함에 고착시키기 위한 별도의 몸체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경우, 전술한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적용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쇠인식 도어 개폐장치(1000)는, 자물쇠 장착공(110), 상기 자물쇠 장착공(110)에 설치된 자물쇠(260)에 열쇠(200)를 넣고 돌림에 따라 중간작동기구(300)를 통해 잠금편(310)이 나오거나 들어가는 구멍(120), 및 동전의 투입구(130)와 배출구(140)가 각각 형성된 몸체부(100)와, 동전통행 프레임(800)과, 열쇠(200)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상기 중간작동기구(300)는 상기 몸체부(100)의 배면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된 고정봉(360)(370)과, 상기 고정봉들 사이에 개재되어 이동이 가능한 이동봉(380)과, 상기 하나의 고정봉(360)과 이동봉(380) 사이에 걸쳐서 설치된 회전링크(390)와, 다른 하나의 고정봉(370)과 이동봉(380) 사이에 걸쳐서 설치된 탄성 스프링(320)과, 상기 이동봉(380)과 자물쇠 장착공(110)에 설치되는 자물쇠(260)의 회전 작동부(250) 사이에 설치된 중간 링크(33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대략 4각 형상 단면의 회전 작동부(250)에 결합하도록 상기 중간 링크(330)에는 그에 맞는 사각의 끼움구멍(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봉(380)에는 잠금편(310)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열쇠(200)를 돌리면 상기 회전 작동부(250)가 회전하고 상기 회전 작동부(250)의 일단에 연결된 중간 링크(330)가 이동한다. 상기 중간 링크(330)의 이동에 따라 이동봉(380)과 잠금편(310)이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중간 링크(330)의 상단에는 후크(330a)가 형성되어 있어, 중간 링크(330)의 이동시 상기 후크(330a)가 이동봉(380)에 걸려서 함께 이동하므로 이동봉(380)이 설치된 잠금편(310)이 왕복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중간 링크(330)의 앞면쪽에는 걸림이동봉(330b)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봉(370)에는 동전배출허용링크(340)가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동전배출허용링크(340)에는 상기 걸림이동봉(330b)이 걸리는 걸림구멍(371)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중간 링크(330)가 이동하면 상기 걸림이동봉(330b)이 걸림구멍(371)에 걸려서 동전배출허용링크(370)를 이동시키므로 상기 동전 배출구(140)의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동전통행 프레임(800)은 동전 투입구(130) 근방에 설치되어 투입 된 동전을 선별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동전 투입 안내프레임(810)과, 상기 동전 투입 안내프레임(810)으로부터 동전을 받아 일시 정지시키는 동시에 열쇠(200)의 회전을 허용하는 동전-열쇠 연동프레임(8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동전-열쇠 연동프레임(820)은 상기 몸체부(100)에 결합되어 동전의 하강이동을 안내하는 연동프레임 몸체(821)와, 상기 연동프레임 몸체(821)에 상하방향으로 힌지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중간링크 저지편(822)과, 상기 몸체부(100)에 탄성적으로 좌우 힌지 이동하는 동전 일시정지편(823)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어가 개방된 평소에는, 상기 중간링크 저지편(822)의 일단이 자중에 의해 상기 연동프레임 몸체(821)의 안쪽으로 관통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는 상기 중간링크 저지편(822)의 하부에서 중간작동기구(300)의 이동을 막기 위해 형성된 걸림홈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중간링크 저지편(822)의 걸림홈은 상기 이동봉(380)의 근방에 배치되어 그 이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동전이 상기 중간링크 저지편(822)의 일단과 몸체부(100) 사이에 멈추게 되면 중간링크 저지편(822)이 다소 위쪽으로 회전하여 중간 링크(330)의 회전을 허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동전 일시정지편(823)에는 자물쇠 장착공(110)의 축방향으로 왕복이 자유롭게 설치된 단자봉(112)이 설치되어 있다. 특히, 상기 단자봉(112)은 지렛대 링크(825)를 개재하여 동전 일시정지편(823)에 연결되어 있어, 단자봉(112)의 왕복이동에 따라 동전 일시정지편(823)이 회전하면서 연동프레임 몸체(821)에 접근하거나 멀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동전 일시정지편(823)에는 연동프레임 몸체(821)를 관통하는 동전 걸림편(826)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동전 일시정지편(823)이 연동프레임 몸체(821)에 접근할 경우에 동전 걸림편(826)에 의해 동전이 걸리는 반면, 멀어질 경우에는 동전이 통과하여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쇠인식 도어 개폐장치(1000)는, 인식정보가 포함된 칩(210)과 능동단자(220)가 설치되어 상기 자물쇠(260)에 삽입되는 열쇠(200)와, 상기 열쇠(200)의 능동단자(220)와 연결되기 위해 상기 자물쇠(260)에 설치된 피동단자(111)와, 상기 잠금편(310)의 개폐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개폐감지수단(500)과, 상기 자물쇠(260)의 피동단자(111) 및 개폐감지수단(5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회로(600), 및 상기 제어회로(600)에 연결되어 그 신호에 따라 열쇠의 회전을 허용하거나 규제하도록 이동하는 걸림기구(7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기구(700)는 상기 몸체부(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신축이 가능한 가동 로드(711)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식 걸림장치(71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식 걸림장치(710)의 가동 로드(711)에는 걸림봉(713)이 평행한 상태로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동 로드(711)와 걸림봉(713) 사이에는 연결봉(712)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간 링크(330)에는 상기 걸림봉(713)의 전진시 삽입되어 걸리기 위한 걸림구멍(333)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솔레노이드식 걸림장 치(710)의 가동 로드(711)가 전진하면 상기 가동 로드(711)에 고정 설치된 걸림봉(713)도 전진하게 되며, 결국 상기 걸림봉(713)은 중간 링크(330)의 걸림구멍(333)에 삽입되어 걸린다. 이로 인해, 상기 중간 링크(330)의 회전 이동이 저지되므로 열쇠(200)의 회전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열쇠(200)의 선단부에는 능동단자(22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자물쇠(260)의 바닥에는 피동단자(111)가 설치되어 있어, 열쇠(200)와 자물쇠(260)의 상호 결합시 상기 능동단자(220)와 피동단자(111)는 서로 접촉하여 제어회로(600)에 의한 감지가 가능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능동단자(220)는 열쇠의 축방향에서 바라볼 때 중앙과 둘레에 각각 분리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동단자(111)도 이에 대응하여 중앙과 둘레가 별도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능동단자(220)의 중앙과 둘레의 단자는 각각 내부에 포함된 칩(210)에 형성된 단자들에 연결되어 고유한 데이타가 전달될 수 있는 통로가 된다.
도면에서, 상기 피동단자(111)의 중앙부 단자는 열쇠(200)의 진퇴에 따라 자물쇠(2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 가능하게 설치된 단자봉(112)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개폐감지수단(500)은 리미트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리미트 스위치(500)의 단자가 상기 중간 링크(330)의 일면쪽에 설치된 회전 작동봉(715)에 의해 누름 조작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미트 스위치(500)는 몸체부(100)의 일부인 프레임(150) 에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 작동봉(715)은 열쇠(200)의 회전에 연동하는 중간 링크(330)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프레임(150)에 형성된 안내 구멍(151)을 관통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 작동봉(715)은 열쇠(200)의 회전에 따라 프레임(150)에 형성된 안내 구멍(151)을 따라 안내되면서 이동한다.
상기 회전 작동봉(715)에는 리미트 스위치(500)의 단자를 용이하게 누를 수 있도록 원판형의 누름판(715a)이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100)의 안쪽에는 제어회로(또는 제어회로기판, 600)가 추가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제어회로(600)에는 상기 자물쇠(260)의 피동단자(111) 및 개폐감지수단(5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또한 전원(전지나 축전지 또는 외부전원, 900)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어회로(600)를 구성하는 것은 매우 통상적이며,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299491호와 제0604082호 등에도 개시된 바 있다.
또한, 열쇠(200)의 삽입시 또는 회전시에 음향을 발생시키는 스피커(610)가 추가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피커(610)는 열쇠(200) 각각의 동작시에 다른 음향을 발생시켜서 그 동작에 따른 구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몸체부(100)에는, 상기 몸체부(100)를 도어나 사물함에 고착시키기 위한 별도의 통상적인 몸체잠금장치(L)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열쇠(200)는 비교적 굵은 단면을 가지고 있으며 그 둘레에는 자물쇠(260)의 회전 작동부(250)에 형성된 가이드홈(118)에 안내되면서 이동하기 위한 돌기(290)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열쇠(200)는 플라스 틱으로 구성될 수 있어 가벼워서 소지가 용이하다. 또한, 외형상으로 볼 때 열쇠(200)는 모두 통일된 규격으로 되어 있어 제작도 용이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열쇠인식 도어 개폐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열쇠(200)가 자물쇠(260)에 꽂힌 도어 개방상태(초기 상태)에서 도어를 폐쇄하는 상태를 설명한다.
동전을 넣기 전인 초기에는, 중간 링크(330)의 걸림구멍(333)과 가동 로드(711)의 고정축과의 위치가 맞지 않아 솔레노이드 걸림장치(710)의 가동 로드(711)가 완전히 전진한 것도 아닌 중간 전진 상태(풀림 상태)에 있다. 그러나, 이동봉(380)이 중간링크 저지편(822)의 걸림홈에 걸려서 열쇠(200)는 회전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동전을 투입구(130)에 넣으면, 이를 선별적으로 받아들여서 안내하기 위한 동전 투입 안내프레임(810)을 지나게 된다.
다음, 동전이 동전-열쇠 연동프레임(820)의 동전 일시정지편(823)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동전 일시정지편(823)이 연동프레임 몸체(821)에 접근한 상태이므로 동전 일시정지편(823)의 동전 걸림편(826)이 상기 연동프레임 몸체(821)를 관통하고 이에 따라 동전이 동전 걸림편(826)에 의해 걸리게 된다.
이 상태는 또한 동전이 중간링크 저지편(822)의 일단과 몸체부(100) 내면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서, 중간링크 저지편(822)이 다소 위쪽으로 회전하여 중간작동기구(300)의 이동봉(380)의 걸림이 해제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열쇠(200)를 '닫힘'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중간작동기구(300)가 작동하여 잠금편(310)이 몸체부(100)로부터 나오게 되어 도어를 폐쇄하게 된다. 열쇠(200)가 회전하는 순간 소정의 음향이 발생되도록 하면 사용자가 정상적인 구동상태를 확실히 인식할 수 있다.
이때, 개방되어 있던 동전 배출구(140)가 동전배출허용링크(340)에 의해 폐쇄된다.
또한, 상기 열쇠(200)의 회전과 동시에 상기 중간 링크(330)가 회전하고, 상기 중간 링크(330)의 일면쪽으로 설치된 회전 작동봉(715)이 함께 이동하면서 리미트 스위치(500)의 단자가 눌려짐과 동시에 걸림봉(713)과 걸림구멍(333)의 위치가 같아지게 되어 솔레노이드 걸림장치(710)의 가동로드(711)에 걸쳐 있는 스프링(719)의 탄성력에 의해 가동로드(711)가 완전히 전진하여 걸림봉(713)이 걸림구멍(333)에 끼워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열쇠(200)를 자물쇠(260)로부터 잡아 빼면, 열쇠(200)가 빠지는 동시에 동전 일시정지편(823)에 연결되어 있는 단자봉(112)이 후퇴함으로써 동전 일시정지편(823)의 동전 걸림편(826)이 함께 빠지므로 동전이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폐쇄되었던 도어를 개방하는 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열쇠(200)를 자물쇠(260)에 집어넣으면 열쇠(200)의 일단에 형성된 능동단자(220)가 자물쇠(260)의 바닥에 배치된 피동단자(111)에 접촉하여 열쇠(200) 내에 내장된 칩(210)의 정보가 제어회로(600)에 의해 감지된다.
만일, 칩(210)의 고유한 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인식되면 솔레노이드식 걸림장치(710)에 전원이 인가되어 가동 로드(711)가 후퇴하면서 가동 로드(711)에 고정 설치된 걸림봉(713)이 중간 링크(330)의 걸림구멍(333)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상기 가동 로드(711)가 후퇴하면서 스피커를 통해 소정의 음향을 발생시키도록 하면 현 상태를 인식하는데 보다 효과적이다.
맞는 열쇠(200)가 삽입되어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 소정 시간 방치되면, 상기 제어회로(600)가 상기 방치 시간을 인식하여 솔레노이드식 걸림장치(710)를 구동시킴으로써 원래의 신장위치로 다시 복귀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한편, 다른 열쇠(200)가 끼워졌을 때는 다른 음향이 나오도록 하여 사용자가 잘못된 사용을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솔레노이드식 걸림장치(710)가 열려진 상태(후퇴)에서 다른 열쇠(200)가 접촉하면 경고음과 함께 솔레노이드 걸림장치(710)가 잠기도록 하는 것이 좋다.
더욱이, 다른 열쇠에 의해 강제적인 힘으로 열릴 때는 경고음이 울리도록 되어 있는 것이 좋다.
이 상태에서 열쇠(200)를 '열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중간 링크(330)가 회전하고, 이어서 중간작동기구(300) 전체가 작동하여 잠금편(310)이 들어가게 된다. 열쇠(200)가 회전하는 순간에도 소정의 음향이 발생되도록 하면 사용자가 정상적인 구동상태를 확실히 인식할 수 있다.
이때, 동전배출허용링크(340)에 의해 폐쇄되었던 동전 배출구(140)가 개방되어 동전이 회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회로에 의해 열쇠의 고유한 정보를 감지하는 경우에만 개방할 수 있어 임의로 복제되어 도어 안쪽의 물건을 도난당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든 열쇠의 외형을 통일시킬 수 있고 소지가 간편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열쇠의 각 작동시에 구별할 수 있는 음향이 발생되므로 현재의 상태를 확실히 인식할 수 있다.

Claims (13)

  1. 열쇠와, 동전 투입구, 배출구, 자물쇠 장착공 및 잠금편 출입구멍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열쇠를 회전시킴에 따라 중간링크기구를 통해 상기 잠금편 출입구멍을 통해 출입하는 잠금편과,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동전의 이동을 일시 정지시키고 안내하기 위한 동전통행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인식정보가 포함된 칩과 능동단자가 설치된 열쇠와;
    상기 열쇠의 능동단자와 연결되기 위해 피동단자가 설치된 자물쇠와;
    상기 잠금편의 개폐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개폐감지수단과;
    상기 자물쇠의 피동단자 및 개폐감지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회로와;
    상기 제어회로에 연결되어 그 신호에 따라 열쇠의 회전을 허용하거나 규제하도록 이동하는 걸림기구와;
    상기 제어회로에 연결된 전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쇠인식 도어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기구는 가동 로드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식 걸림장치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중간링크기구는 상기 솔레노이드식 걸림장치의 가동 로드의 신축에 따라 걸리거나 해제되는 중간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쇠인식 도어 개 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식 걸림장치의 가동 로드에는, 걸림봉이 평행한 상태로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중간 링크에는 상기 걸림봉의 전진시 삽입되기 위한 걸림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쇠인식 도어 개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쇠의 선단부에 능동단자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자물쇠의 바닥에도 피동단자가 설치되어 있어, 상호 결합시 상기 능동단자와 피동단자는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쇠인식 도어 개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감지수단은 리미트 스위치로 구성되되, 상기 리미트 스위치는 그 단자가 상기 중간 링크의 일면쪽으로 설치된 회전 작동봉에 의해 누름 조작되어 작동되며, 상기 회전 작동봉은 열쇠의 회전과 중간 링크의 회전에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쇠인식 도어 개폐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열쇠의 삽입시 또는 회전시에 음향을 발생시키는 스피커가 추가적으로 설치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쇠인식 도어 개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열쇠 각각의 동작시에 다른 음향을 발생시켜서 그 동작에 따른 구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쇠인식 도어 개폐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짝이 맞지 않는 열쇠가 삽입될 때, 상기 제어회로가 이를 인식하여 솔레노이드식 걸림장치를 구동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쇠인식 도어 개폐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짝이 맞는 열쇠가 삽입될 때, 상기 제어회로가 이를 인식하여 솔레노이드식 걸림장치를 구동시킴으로써 걸림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쇠인식 도어 개폐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솔레노이드식 걸림장치의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 짝이 맞지 않는 열쇠가 삽입될 때, 상기 제어회로가 이를 인식하여 솔레노이드식 걸림장치가 걸림 구동하고, 경고음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쇠인식 도어 개폐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강제적인 힘으로 상기 솔레노이드식 걸림장치가 해제되었을 때 경고음이 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쇠인식 도어 개폐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열쇠가 삽입되어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 소정 시간 방치되면, 상기 제어회로가 상기 방치 시간을 인식하여 솔레노이드식 걸림장치를 구동시킴으로써 원래의 잠금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쇠인식 도어 개폐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몸체부를 도어나 사물함에 고착시키기 위한 별도의 몸체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쇠인식 도어 개폐장치.
KR1020060086800A 2006-09-08 2006-09-08 열쇠인식 도어 개폐장치 KR100694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6800A KR100694542B1 (ko) 2006-09-08 2006-09-08 열쇠인식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6800A KR100694542B1 (ko) 2006-09-08 2006-09-08 열쇠인식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4542B1 true KR100694542B1 (ko) 2007-03-14

Family

ID=38103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6800A KR100694542B1 (ko) 2006-09-08 2006-09-08 열쇠인식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45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269B1 (ko) 2013-04-17 2014-10-08 조현은 야구 연습장의 안전도어 잠금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064Y1 (ko) 2000-02-23 2001-02-15 주식회사유일테크산업 하이브리드 키 시스템
KR20060025310A (ko) * 2004-09-16 2006-03-21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자물쇠 잠금 표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064Y1 (ko) 2000-02-23 2001-02-15 주식회사유일테크산업 하이브리드 키 시스템
KR20060025310A (ko) * 2004-09-16 2006-03-21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자물쇠 잠금 표시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269B1 (ko) 2013-04-17 2014-10-08 조현은 야구 연습장의 안전도어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7298B2 (en) Double action push button locking system
JP5153627B2 (ja) 紙幣等の保管用カセット
US20200095801A1 (en) Door-locking device with safety system
US20040189021A1 (en) Sliding slam latch strike
KR100747983B1 (ko) 데드볼트식 전자석도어록
CA1303867C (en) Security system
CA2895850C (en) Latch mechanism for an exit device
KR20080088409A (ko) 도어록 장치
KR100749638B1 (ko) 데드볼트식 전자석 도어록
KR100694542B1 (ko) 열쇠인식 도어 개폐장치
CN108222670A (zh) 具有滑动结构的电子防盗门锁
JPH0726496B2 (ja) 安全装置の内設されたドア・ロック
KR100489333B1 (ko) 디지털 오토 도어록 장치
US11180931B2 (en) Door lock device
KR100576080B1 (ko) 도어 잠금장치
KR100749639B1 (ko) 데드볼트식 전자석 도어록
WO2004020769A1 (en) Lock
JP3998255B2 (ja) 指紋認証装置付き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JP4597029B2 (ja) ロッカーの施錠装置
KR20060113573A (ko) 디지털 도어록
KR200203943Y1 (ko) 물품보관함용 로크시스템
GB2572027A (en) Door lock device
KR100972305B1 (ko) 대여금고의 도어 해정장치
JP4597025B2 (ja) 電気錠
KR100903061B1 (ko) 사물함용 록커의 해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13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