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1243A -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 - Google Patents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1243A
KR20150111243A KR1020140034958A KR20140034958A KR20150111243A KR 20150111243 A KR20150111243 A KR 20150111243A KR 1020140034958 A KR1020140034958 A KR 1020140034958A KR 20140034958 A KR20140034958 A KR 20140034958A KR 20150111243 A KR20150111243 A KR 20150111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rusion
recognition
unit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4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2405B1 (ko
Inventor
이용신
Original Assignee
이용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신 filed Critical 이용신
Priority to KR1020140034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405B1/ko
Publication of KR20150111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1/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other non-mechanical means

Landscapes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도어 지지대에 형성된 제1홀에 삽입되어 도어를 잠그기 위한 잠금부; 상기 잠금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이동되는 잠금부의 이동으로 침입을 인식하여 침입인식신호를 생성시키는 침입인식부; 및 상기 침입인식부에서 생성된 침입인식신호를 인가받아 침입을 알려주는 침입 알람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의 잠금 기능을 수행하면서 외부에서 강제로 침입할 경우를 인식하여 알릴 수 있도록 구현된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함으로써, 침입 도구를 사용하여 강제적으로 도어락을 떼어내어 침입하는 경우에도 외부인의 침입을 즉시 인식할 수 있으며, 이에 외부인의 침입을 사용자에게 바로 알려 줄 수 있어 침입을 미연에 방지하거나 후속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외부인의 강제적인 침입 시에 대한 방범의 효과가 탁월한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Understand Invasion Digital Door Lock}
본 발명은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의 잠금 기능을 수행하면서 외부에서 강제로 침입할 경우를 인식하여 알릴 수 있도록 구현된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아파트, 주택, 사무실 등에 출입의 편의와 보안을 위하여 디지털 도어락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도어락은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번호와 일치하는 번호를 입력하면 도어의 잠금 기능을 해제시켜 열리도록 하며, 도어를 닫은 후 버튼을 누르거나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잠금 기능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열쇠를 별도로 소지하지 않아도 도어의 잠금과 해제가 가능해 사용이 편리하여 이용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51922호(2011.07.20 등록)는 도어 또는 주변부에 별도의 천공구멍이나 체결공을 형성시키지 않고 기존의 잠금장치 설치부를 이용하여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디지털 도어락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도어의 잠금 작용이 발생하도록 회전될 수 있는 회동체와 회동체의 상하측에 형성된 상하측 안착 홈이 포함된 도어의 잠금장치설치부에 장착되기 위한 디지털 도어락에 있어서, 도어의 개방을 위한 키패드를 구비하고 도어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 조작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전원을 공급받아 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한 전동기를 구비하고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 조작부를 포함하되, 잠금장치설치부의 상하측 안착 홈에 삽입되기 위한 결합블록이 도어를 관통하는 방향으로 외측조작부 및 내측조작부에 각각 상하 2개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결합블록에는 도어의 측면을 향하는 핀 결합공이 형성되며, 내측 조작부의 상하 2개의 결합블록의 사이에는 전동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동체를 회전시킬 수 있는 샤프트가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22414호(2003.07.28 등록)는 내부 몸체에 신속하게 도어락을 시정 및 해정시킬 수 있는 원터치 버튼이 구비되며, 배터리 감지상태를 음성 출력시킬 수 있는 디지털 도어락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비밀번호 입력 및 도어락의 시정 및 해정의 시작과 종료를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부; 배터리 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배터리 전압 감지부; 정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 도어락을 시정 및 해정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DC모터; DC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 구동부; 도어락의 시정 및 해정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시키기 위한 스피커; 스피커를 구동시키기 위한 스피커 구동부; 스피커와 연계되어 스피커에 일정 파형의 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한 음성 칩; 비밀번호의 정오를 판단할 수 있도록 설정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입력받은 비밀번호를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설정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도어락의 시정 및 해정 조작을 실행하고, 그 도어락 시정 및 해정 정보를 지시하는 음성신호를 음성 칩으로부터 독취하여 스피커를 구동시킴으로써 음성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외부인이 빠루 등과 같은 침입 도구를 도어 지지대와 도어 틈 사이에 삽입하여 강제적으로 도어락을 떼어내어 침입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외부인의 침입을 인식할 수 없으며, 이에 외부인의 침입을 사용자에게 알려 줄 수가 없기 때문에 침입을 방지하거나 후속 조치를 신속하게 취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즉, 기존의 디지털 도어락은 자동적으로 잠금 기능을 하는 등과 같은 편의성을 가지고 있지만, 외부인의 강제적인 침입 시에 대한 방범의 효과가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51922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22414호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어려운 점이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의 잠금 기능을 수행하면서 외부에서 강제로 침입할 경우를 인식하여 알릴 수 있도록 구현된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도어 지지대에 형성된 제1홀에 삽입되어 도어를 잠그기 위한 잠금부; 상기 잠금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이동되는 잠금부의 이동으로 침입을 인식하여 침입인식신호를 생성시키는 침입인식부; 및 상기 침입인식부에서 생성된 침입인식신호를 인가받아 침입을 알려주는 침입 알람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1홀에 일단이 삽입되는 잠금부재; 상기 잠금부재의 상부에 일측이 제1고정부재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 유동홀이 형성된 유동부재; 상기 유동부재의 유동홀에 삽입되어 제2고정부재로 고정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탄성부재; 및 상기 유동부재의 중간부에 결합되는 스위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재가 제1홀에 삽입고정된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되며 상기 유동부재가 상기 제1고정부재를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재가 일체로 이동되어 상기 침입인식부에 접촉됨으로써 침입인식신호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침입인식부는, 상기 유동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스위치부재의 외측에 각각 구비된 지지부재;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스위치부재와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유동부재와 일체로 이동되는 스위치부재와 접촉되면 침입인식신호를 생성하는 인식단자; 및 상기 인식단자에서 생성된 침입인식신호를 상기 침입 알람부로 전송하는 전선;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재는, 상기 유동부재의 중간부가 끼움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상부 양측에 연장돌출되어 상기 침입인식부의 인식단자와 접촉되는 접촉단자;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식단자는, 상기 전선과 각각 연결되어 전원이 인가되되 양극(+극 및 -극)이 통전되지 않도록 2개로 분리되고, 상기 접촉단자는, 2개의 인식단자와 각각 접촉되도록 2개로 분리되고 상기 고정부와 통전되게 결합되고, 상기 침입인식신호는, 2개의 접촉단자와 2개의 인식단자가 각각 접촉되면, 인식단자와 접촉단자가 통전되며, 상기 2개의 인식단자가 통전됨에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침입인식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전선이 안착되는 전선안착홈이 상측면에 형성되고, 일측 양쪽에 관통되어 상기 지지부재와 인식단자가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홈이 형성된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잠금부의 일단이 본체부의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홀과 대응되게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상부는, 상기 고정부의 유동부재가 상기 제1고정부재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회전이 자유롭게 상기 삽입홈의 하부 폭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침입알람부는, 경고음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침입인식부에서 생성된 침입인식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경고음에 대한 정보를 판독하여 경고음으로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경고음을 발생시켜 주는 스피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침입알람부는, 전화번호와 문자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침입인식부에서 생성된 침입인식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전화번호와 문자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판독하여, 판독된 전화번호로 판독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문자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의 잠금 기능을 수행하면서 외부에서 강제로 침입할 경우를 인식하여 알릴 수 있도록 구현된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함으로써, 침입 도구를 사용하여 강제적으로 도어락을 떼어내어 침입하는 경우에도 외부인의 침입을 즉시 인식할 수 있으며, 이에 외부인의 침입을 사용자에게 바로 알려 줄 수 있어 침입을 미연에 방지하거나 후속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외부인의 강제적인 침입 시에 대한 방범의 효과가 탁월한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과 지지대 사이에 빠루를 끼운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에 빠루에 의해 외력이 가해져 당겨짐에 따라 접촉단자와 인식단자가 통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탄성부재가 압축된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의 침입알람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은 본체부(10), 잠금부(20), 침입인식부(34) 및 침입알람부(41)를 포함한다.
본체부(10)는 도어의 일측에 설치된다.
본체부(10)의 내부에는, 잠금부(20), 침입인식부(34)가 설치되며, 잠금부(20) 및 침입인식부(34)를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잠금부(2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도어 지지대(1)에 형성된 제1홀(2)에 삽입되어 잠금 기능을 수행하거나, 도어 지지대(1)에 형성된 제1홀(2)로부터 이탈되어 잠금 기능을 해제시킨다. 여기서, 해당 사용자 설정은, 도어락의 외부에 구비된 버튼을 누르는 경우에 잠금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거나, 도어를 닫았을 때를 인식하여 자동으로 잠기도록 하는 자동 잠금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등을 의미한다.
침입인식부(34)는, 잠금부(20)의 양 측면에 형성되며, 외부인이 빠루(50) 등과 같은 침입 도구를 도어 지지대(1)와 도어 사이의 틈에 삽입하여 강제로 도어락을 떼어서 침입하려고 할 때에 이를 인식하고, 침입 인식 신호를 생성시켜 생성된 침입인식신호를 침입알람부(41)에 제공한다.
침입알람부(41)는 침입인식부(34)에서 생성된 침입인식신호를 인가받아 침입을 알려준다.
즉, 침입알람부(41)는, 침입인식부(34)로부터 제공되는 침입인식신호를 인가받아 외부의 강제적인 침입을 경보하거나 지정된 회선으로 통보해 준다.
실시예로, 침입알람부(41)는, 스피커를 구비하여 침입을 알리기 위한 경보음을 발생시키거나, 통신 모뎀을 이용하여 침입을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시켜 경찰서, 경비실, 사용자의 휴대전화 등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은, 보조잠금부(11)를 더 포함한다.
보조잠금부(11)는, 잠금부(20)와 높이가 동일하거나 일정 높이만큼 더 높게 형성되어 도어 지지대(1)에 형성된 제2홀(3)에 삽입되어 도어를 잠근다.
또한, 보조잠금부(11)는, 잠금부(20)와 높이가 동일하거나 높게 형성되기 때문에, 문이 닫혀 제2홀(3)에 삽입된 상태에서 바람 등의 움직임에 의해 문이 밀리더라도 도어를 고정시켜줌으로써, 잠금부(20)의 양 측면에 형성된 침입인식부(34)가 스위치 온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보조잠금부(11)는, 회전수단(12), 회전 고정수단(13)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수단(12)은, 보조잠금부(11)의 일 단부에 형성되어 도어의 설치 구조에 따라 방향을 돌려 설치가 가능하다.
회전 고정수단(13)은, 회전수단(12)의 바깥쪽에 형성되어 보조잠금부(11)를 회전시킨 후에 회전수단(12)을 끼워 보조잠금부(11)를 고정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은, 침입인식부(34)가 외부의 강제적인 침입 상태를 인식하여 침입알람부(41)를 통해 외부로 알릴 수 있기 때문에 방범의 효과를 가지며, 신속하게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과 지지대 사이에 빠루를 끼운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에 빠루에 의해 외력이 가해져 당겨짐에 따라 접촉단자와 인식단자가 통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탄성부재가 압축된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잠금부(20)와 침입인식부(34)를 설명한다.
먼저, 잠금부(20)는, 잠금부재(21), 유동부재(24), 탄성부재(27) 및 스위치부재(28)를 포함한다.
잠금부재(21)는, 제1홀(2)에 일단이 삽입되어 상술한 잠금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잠금부재(21)의 상부에는 유동부재(24)가 결합되기 위한 장착홈(22)이 내입형성된다. 그리고, 잠금부재(21)의 장착홈(22) 일측에는 제1고정부재(31)가 결합되고, 타측에는 제2고정부재(32)가 결합된다. 즉, 잠금부재(21)의 장착홈(22)에는 유동부재(24)가 장착되되 제1고정부재(31)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장착홈(22)의 타측에는, 제2고정부재(32)가 결합되되, 후술할 탄성부재(27)에 결합되어 탄성부재(27)를 지지하는 결합돌출부(23)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1홀(2)은, 잠금부재(21)의 두께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동부재(24)는, 잠금부재(21)의 상부에 결합된다.
이때, 유동부재(24)의 일측은 제1고정부재(31)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제2고정부재(32)로 결합된다.
그리고, 유동부재(24)의 타측에 유동홀(25)이 형성된다. 유동홀(25)에는 장착홈(22)에 형성된 결합돌출부(23)가 삽입되되, 유동홀(25)의 내측면과 결합돌출부(23) 사이에 탄성부재(27)가 삽입된다.
탄성부재(27)는, 유동부재(24)의 유동홀(25)에 삽입되며, 중앙에 결합돌출부(23)에 끼움결합되어 결합돌출부(23)에 지지된다. 그리고, 탄성부재(27)는 제2고정부재(32)로 결합돌출부(23)에 고정된다.
또한, 탄성부재(27)는 탄성재질인 실리콘 또는 고무로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탄성을 갖는 재질이면 충분하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탄성부재(27)는 잠금부(20)에 외력이 가해질 때, 압축된다. 다시 말해, 잠금부재(21)는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탄성부재(27)가 압축되면서 유동부재(24)가 제1고정부재(31)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그리고, 탄성부재(27)가 압축됨으로써, 유동부재(24)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스위치부재(28)와 침입인식부(34)가 서로 접촐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27)가 유동홀(25)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유동부재(24)의 유동홀(25) 상측에 고정와셔(33)가 제2고정부재(3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스위치부재(28)는, 유동부재(24)의 중간부에 결합되어 침입인식부(34)와 접촉됨으로써 침입인식부(34)를 통전시킨다.
또한, 스위치부재(28)는 전기가 통할 수 있는 금속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위치부재(28)는, 'ㄷ'형상으로 형성되어 유동부재(24)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끼워지며, 고정부(29)와 접촉단자(30)를 포함한다.
고정부(29)는, 유동부재(24)의 중간부가 끼움결합되되, 유동부재(24)의 중간부에 형성된 고정내입홈(26)에 끼움결합된다.
접촉단자(30)는 고정부(29)의 상부 양측에 연장돌출되어 침입인식부(34)의 인식단자(36)와 접촉된다. 또한, 접촉단자(30)는 외측에 위치되는 인식단자(36)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도록 중간부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인식단자(36)는, 전선(37)과 각각 연결되어 전원이 인가되되 양극(+극 및 -극)이 통전되지 않도록 2개로 분리된다.
그리고 접촉단자(30)는, 2개의 인식단자(36)와 각각 접촉되도록 2개로 분리되고 고정부(29)와 통전되게 결합형성된다.
즉, 2개의 접촉단자(30)와 2개의 인식단자(36)가 각각 접촉되면, 인식단자(36)와 접촉단자(30)가 각각 통전되며, 2개의 인식단자(36)가 통전됨에 따라 침입인식신호는 생성된다.
따라서, 침입인식호가 생성되는 원리는, 잠금부재(21)가 제1홀(2)에 삽입고정된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지면, 탄성부재(27)가 압축되며 유동부재(24)가 제1고정부재(31)를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스위치부재(28)가 일체로 이동되어 침입인식부(34)에 접촉됨으로써 침입인식신호가 생성된다.
한편, 침입인식부(34)는 지지부재(35), 인식단자(36) 및 전선(37)을 포함한다.
지지부재(35)는, 유동부재(24)의 상부에 구비된다. 즉, 지지부재(35)는, 스위치부재(28)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양쪽에 각각 구비된다.
인식단자(36)는 서로 마주보도록 지지부재(35)에 각각 구비된다.
즉, 인식단자(36)는 스위치부재(28)와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외력이 가해져 유동부재(24)가 제1고정부재(31)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만 인식단자(36)와 접촉단자(30)가 서로 접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인식단자(36)는 유동부재(24)와 일체로 이동되는 스위치부재(28)와 접촉되면 침입인식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인식단자(36)는 전기가 통할 수 있는 금속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선(37)은, 인식단자(36)에서 생성된 침입인식신호를 침입알람부로 전송한다.
이때, 전선(37)은, 2개로 각각 분리된 인식단자(36)와 각각 연결되되, 인식단자(36)로 전기가 통하도록 연결된다.
또한, 침입인식부(34)는 가이드부재(38)를 더 포함한다.
가이드부재(38)는, 본체부(10)의 내부 상부에 결합된다.
그리고 가이드부재(38)는, 전선(37)이 안착되는 전선(37)안착홈(39)이 상측면에 형성되고, 일측 양쪽에 상하가 관통되어 지지부재(35)와 인식단자(36)가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홈(40)이 형성된다.
한편 본체부(10)는, 잠금부(20)의 일단이 본체부(10)의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제1홀(2)과 대응되게 삽입홈(14)이 형성된다.
이때, 삽입홈(14)의 상부는, 고정부(29)의 유동부재(24)가 제1고정부재(31)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회전이 자유롭게 삽입홈(14)의 하부 폭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도 1에 있는 침입알람부(41)의 제1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침입알람부(41)는, 메모리부(42), 경고음출력부(43), 스피커부(44)를 포함한다.
메모리부(42)재는, 스피커부(44)에서 출력할 경고음(예를 들어, 경보음, 음성메시지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경고음출력부(43)는, 침입인식부(34)로부터 침입 인식 신호를 인가받는 경우에 메모리부(42)로부터 경보음 정보를 판독하고, 해당 판독한 경보음 정보를 스피커부(44)로 출력한다.
또한, 경고음출력부(43)는, 침입 인식 신호가 침입인식부(34)에서 생성되는지를 실시간으로 체크하면서, 침입 인식 신호가 발생하면 경보음 정보를 메모리부(42)로부터 판독하여 스피커부(44)로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다.
스피커부(44)는, 경고음출력부(43)로부터 출력되는 경보음 정보를 인가받아 침입을 알리기 위한 경고음을 발생시켜 준다.
또한, 스피커부(44)는, 경고음을 더 크게 울리기 위해 엠프(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있는 침입알람부(41)의 제2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침입알람부(41)는, 메모리부(42), 문자전송부(45)를 포함한다.
메모리부(42)는, 외부의 강제적인 침입 시에 해당 침입을 알릴 수 있는 긴급 문자메시지를 수신할 전화번호와 긴급 문자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문자전송부(45)는, 침입인식부(34)로부터 침입 인식 신호를 인가받는 경우에 메모리부(42)로부터 전화번호와 긴급 문자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판독하고, 해당 판독된 긴급 문자메시지를 해당 판독한 전화번호로 전송한다.
일 실시 예에서, 문자전송부(45)는, 침입 인식 신호가 침입인식부(34)에서 생성되는지를 실시간으로 체크하면서, 침입 인식 신호가 발생하면 전화번호와 긴급 문자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부(42)로부터 판독하여 침입이 발생한 것을 긴급 문자메시지로 신속하게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지지대 2: 제1홀
3: 제2홀 10: 본체부
11: 보조잠금부 12: 회전수단
13: 고정수단 14: 삽입홈
20: 잠금부 21: 잠금부재
22: 장착홈 23: 결합돌출부
24: 유동부재 25: 유동홀
26: 고정내입홈 27: 탄성부재
28: 스위치부재 29: 고정부
30: 접촉단자 31: 제1고정부재
32: 제2고정부재 33: 고정와셔
34: 침입인식부 35: 지지부재
36; 인식단자 37: 전선
38: 가이드부재 39: 안착홈
40: 끼움홈 41: 침입알람부
42: 메모리부 43: 출력부
44: 스피커부 45: 문자전송부

Claims (9)

  1.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도어 지지대에 형성된 제1홀에 삽입되어 도어를 잠그기 위한 잠금부;
    상기 잠금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이동되는 잠금부의 이동으로 침입을 인식하여 침입인식신호를 생성시키는 침입인식부; 및
    상기 침입인식부에서 생성된 침입인식신호를 인가받아 침입을 알려주는 침입 알람부;를 포함하는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1홀에 일단이 삽입되는 잠금부재;
    상기 잠금부재의 상부에 일측이 제1고정부재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 유동홀이 형성된 유동부재;
    상기 유동부재의 유동홀에 삽입되어 제2고정부재로 고정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탄성부재; 및
    상기 유동부재의 중간부에 결합되는 스위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재가 제1홀에 삽입고정된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되며 상기 유동부재가 상기 제1고정부재를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재가 일체로 이동되어 상기 침입인식부에 접촉됨으로써 침입인식신호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침입인식부는,
    상기 유동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스위치부재의 외측에 각각 구비된 지지부재;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스위치부재와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유동부재와 일체로 이동되는 스위치부재와 접촉되면 침입인식신호를 생성하는 인식단자; 및
    상기 인식단자에서 생성된 침입인식신호를 상기 침입 알람부로 전송하는 전선;을 포함하는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재는,
    상기 유동부재의 중간부가 끼움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상부 양측에 연장돌출되어 상기 침입인식부의 인식단자와 접촉되는 접촉단자;를 포함하는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단자는, 상기 전선과 각각 연결되어 전원이 인가되되 양극(+극 및 -극)이 통전되지 않도록 2개로 분리되고,
    상기 접촉단자는, 2개의 인식단자와 각각 접촉되도록 2개로 분리되고 상기 고정부와 통전되게 결합되고,
    상기 침입인식신호는, 2개의 접촉단자와 2개의 인식단자가 각각 접촉되면, 인식단자와 접촉단자가 통전되며, 상기 2개의 인식단자가 통전됨에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침입인식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전선이 안착되는 전선안착홈이 상측면에 형성되고, 일측 양쪽에 관통되어 상기 지지부재와 인식단자가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홈이 형성된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잠금부의 일단이 본체부의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홀과 대응되게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상부는, 상기 고정부의 유동부재가 상기 제1고정부재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회전이 자유롭게 상기 삽입홈의 하부 폭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입알람부는,
    경고음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침입인식부에서 생성된 침입인식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경고음에 대한 정보를 판독하여 경고음으로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경고음을 발생시켜 주는 스피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입알람부는,
    전화번호와 문자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침입인식부에서 생성된 침입인식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전화번호와 문자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판독하여, 판독된 전화번호로 판독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문자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
KR1020140034958A 2014-03-25 2014-03-25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 KR101582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958A KR101582405B1 (ko) 2014-03-25 2014-03-25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958A KR101582405B1 (ko) 2014-03-25 2014-03-25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243A true KR20150111243A (ko) 2015-10-05
KR101582405B1 KR101582405B1 (ko) 2016-01-05

Family

ID=54344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4958A KR101582405B1 (ko) 2014-03-25 2014-03-25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24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3972A (ko) * 2020-04-03 2021-10-14 (주)에버넷 횡방향 위치조절식 도어록 어셈블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414Y1 (ko) 2003-05-15 2003-08-09 차준상 다기능 디지털 도어락
KR20110027170A (ko) * 2009-09-10 2011-03-16 김재형 도어록 장치
KR101051922B1 (ko) 2011-03-10 2011-07-26 주식회사 시스텍원 도어 잠금장치 설치구에 장착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414Y1 (ko) 2003-05-15 2003-08-09 차준상 다기능 디지털 도어락
KR20110027170A (ko) * 2009-09-10 2011-03-16 김재형 도어록 장치
KR101051922B1 (ko) 2011-03-10 2011-07-26 주식회사 시스텍원 도어 잠금장치 설치구에 장착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3972A (ko) * 2020-04-03 2021-10-14 (주)에버넷 횡방향 위치조절식 도어록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2405B1 (ko) 2016-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72921B1 (en) Doorbell antenna
CN104809788B (zh) 基于物联网的门禁控制系统
KR101211661B1 (ko)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사용자 입출입 감시장치 및 그 방법
TWI625451B (zh) 具有認證功能之鎖系統、電子鎖、便攜裝置以及配對方法
CN202404667U (zh) 门锁的远程控制系统
CN108492498A (zh) 一种用于室内的家庭智能防盗系统
KR101582405B1 (ko)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
JP2008149865A (ja) セキュリティー装置
KR101508091B1 (ko) 침입 인식 디지털 도어락
CN103761841A (zh) 智能防忘钥匙安保装置
KR101777396B1 (ko) 지능형 댁내 문 개폐 경보 장치 및 지능형 댁내 문 개폐 경보 시스템
CN208092909U (zh) 一种防破坏的电声警报装置
ES1296836U (es) Sistema de alarma e instalación de alarmas
KR101508087B1 (ko) 안전 디지털 도어락
CN111577013B (zh) 一种钥匙忘拔及门未关提醒装置
CN204303109U (zh) 家庭隐形智能监控门窗
CN210244550U (zh) 一种居家安防用防盗监测装置
RU2723306C1 (ru) Система активной защиты двери с функцией нейролингвистического воздействия на злоумышленника и электронный модуль для этой системы
CN102915579A (zh) 远程控制门锁
KR20110034439A (ko)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사용자 입출입 관리장치 및 그 방법
TW201641797A (zh) 鎖具
JP2007126950A (ja) 生体認証を用いた無線電子ロック装置
CN205532102U (zh) 防盗安全门
CN218782642U (zh) 一种配电房门禁系统
CN213424036U (zh) 一种防忘拔钥匙和防忘带钥匙的多功能安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