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3313B1 - 보안이 강화된 방화문 - Google Patents

보안이 강화된 방화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3313B1
KR101583313B1 KR1020130086936A KR20130086936A KR101583313B1 KR 101583313 B1 KR101583313 B1 KR 101583313B1 KR 1020130086936 A KR1020130086936 A KR 1020130086936A KR 20130086936 A KR20130086936 A KR 20130086936A KR 101583313 B1 KR101583313 B1 KR 101583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oor
key
hol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6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1679A (ko
Inventor
배상윤
Original Assignee
(주)혜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혜덕 filed Critical (주)혜덕
Priority to KR1020130086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3313B1/ko
Publication of KR20150011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1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3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3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1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burgla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문에 물리적인 충격이 소정의 시간 동안 지속해서 가해질 경우, 불법 침입으로 간주하고 스피커와 경광등을 통해 외부 침입사실을 알리도록 하는 보안이 강화된 방화문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벽면에 고정된 문틀에 설치되어 상기 문틀에 의해 확보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부와, 상기 도어부와 문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도어부를 상기 문틀에 대해 고정 또는 해제하는 통공 카드 키를 인식하는 방식의 록킹 해정 장치와, 상기 도어부 또는 로킹 해정 장치에 가해지는 물리적인 충격을 검출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어 충격이 검출될 경우 비상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서 출력된 비상신호에 따라 외부로 침입 상황을 알리는 알림수단을 구비한 보안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안이 강화된 방화문{security intensification fire door}
본 발명은 보안이 강화된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등에 설치된 방화문에 물리적인 힘이 가해질 경우 외부로의 알림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방화문 파손에 의한 도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보안이 강화된 방화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문은 건축물에 화재 발생시 화기가 다른 공간으로 옮겨가 화재구역이 확대되거나 화재에 의해 발생되는 가스가 다른 구역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축물내에 구획된 공간의 비상구를 방화문으로 개폐하도록 하고 있으며, 열려진 방화문을 항상 닫히도록 하기 위하여 방화문 및 비상구 상단에 자동닫힘유닛을 장착하여 방화문이 항상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방화문은, 방화문과 인접한 곳에 인터폰 장치를 구비하여, 방문자의 신원확인을 하고 방화문의 기계식 또는 전자식 도어락 장치를 통해 방화문의 잠금과 해지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방화문은, 방화문과 인접한 곳에 화재경보장치 및 이에 연결된 네트워크를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화재경보 메시지를 출력하고 외부로 송신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종래의 방화문은, 방화문과 인접한 곳에 방범 관련장치를 구비하여, 외부 침입시에 스피커와 경광등을 통해 침입사실을 사용자에게 인지시키거나, 방범 관련장치에 연동된 네트워크를 통해 침입 여부를 경비 업체 또는 경찰서로 통보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장치를 구비하기 위해서는 각각 따로 설치해야 하는 바, 설치상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장치는 서로 연동되어 있지 않거나 부분적으로 연동되어 있는바, 사용상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26353호 '방화문 및 그 방화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방화문에 물리적인 충격이 소정의 시간 동안 지속해서 가해질 경우, 불법 침입으로 간주하고 스피커와 경광등을 통해 외부 침입사실을 알리도록 하는 보안이 강화된 방화문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보안이 강화된 방화문은, 아파트나 상가 등에 외부와의 차단 및 화재로부터 보호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벽면에 고정된 문틀에 설치되어 상기 문틀에 의해 확보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부와, 상기 도어부와 문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도어부를 상기 문틀에 대해 고정 또는 해제하는 통공 카드 키를 인식하는 방식의 록킹 해정 장치와, 상기 도어부 또는 로킹 해정 장치에 가해지는 물리적인 충격을 검출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어 충격이 검출될 경우 비상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서 출력된 비상신호에 따라 외부로 침입 상황을 알리는 알림수단을 구비한 보안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안이 강화된 방화문은, 방화문에 물리적인 충격이 소정의 시간 동안 지속해서 가해질 경우, 불법 침입으로 간주하고 스피커와 경광등 또는 긴급 문자 메시지 등을 통해 외부 침입사실을 알려, 방화문의 파손을 방지하고 도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이 강화된 방화문의 외측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이 강화된 방화문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이 강화된 방화문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공 카드 키에 대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통공 카드 키를 인식하는 록킹 해정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7는 도 6에 있어서, 키 인식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의 키 인식부에 의한 인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6에 있어서, 손잡이부와 회전력 단속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2 내지 도 14은 도 6에 있어서, 회전력 단속부의 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도 6에 있어서, 키 반환 작동부의 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안이 강화된 방화문은 건물 등에 설치된 방화문의 자물쇠에 물리적인 힘이 가해질 경우 외부로의 알림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방화문 파손에 의한 도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그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안이 강화된 방화문은 도어부(100)와, 록킹 해정 장치(200)와, 보안장치(300)를 포함한다.
도어부(100)는 벽면에 고정된 문틀(1)에 설치되어 문틀(1)에 의해 확보된 개구부를 개폐한다.
록킹 해정 장치(200)는 도어부(100)와 문틀(1)에 각각 설치되어 통공 카드 키(10)를 인식하고, 도어부(100)를 상기 문틀(1)에 대해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작용을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공 카드 키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술한 통공 카드 키(10)는 카드 본체(11)와 통공 패턴(12)과 제1 비통공 패턴(13) 및 제2 비통공 패턴(14)을 포함한다. 통공 패턴(12)은 카드 본체(11)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통공 패턴(12)은 적어도 하나의 통공부(11a)를 포함한다. 통공부(11a)는 원형 통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비통공 패턴(13)은 카드 본체(11)의 일면에 형성된다. 제1 비통공 패턴(13)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비통공부(13a)를 포함한다. 제1 비통공부(13a)는 홈이 형성되지 않고 막힌 구조로 이루어진다.
제2 비통공 패턴(14)은 제1 비통공 패턴(13)보다 얇은 두께를 갖도록 카드 본체(11)의 일면에 형성된다. 즉, 제2 비통공 패턴(14)은 홈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제2 비통공부(14a)를 포함하며, 제2 비통공부(14a)의 두께가 제1 비통공부(13a)의 두께보다 얇게 설정된다. 제2 비통공부(14a)는 원형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비통공부(14a)의 깊이는 카드 본체(11)의 두께에 비해 절반 정도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통공 카드 키(10)는 고유한 식별이 가능하도록 전술한 통공부(12a), 제1 비통공부(13a), 및 제2 비통공부(14a)가 적어도 하나 이상씩 포함되어 다양한 패턴으로 조합되고 배열됨으로써,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통공 카드 키(10)에는 제1,2 비통공부(13a)(14a)와 두께가 다른 비통공부를 갖는 비통공 패턴이 추가로 포함됨으로써, 보안성을 더욱 높이도록 된 것도 가능하다.
카드 본체(11)는 출입용 식별정보를 내장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er) 태그(15)를 포함할 수 있다. RFID 태그(15)는 출입용 식별정보가 기록된 IC 칩과, IC 칩에 기록된 출입용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RFID 안테나를 포함한다.
보안장치(300)는 도어부(100) 또는 로킹 해정 장치(200)에 가해지는 물리적인 충격을 검출하는 센서부(310)와, 센서부(310)와 연결되어 충격이 검출될 경우 비상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320)과, 제어수단(320)에서 출력된 비상신호에 따라 외부로 침입 상황을 알리는 알림수단(330)을 구비한다.
센서부(310)는 도어부(100) 또는 로킹 해정 장치(200)에 물리적인 충격이 가해지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부(100) 또는 로킹 해정 장치(200)의 여러 위치에 센서부(310)를 분산 설치하여 어느 위치에서든지 불법 침입 상황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센서부(310)는 도어부(100) 또는 로킹 해정 장치(200)에 가해지는 물리적인 충격을 감지할 수 있는 범위에서 공지의 다양한 센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특히 충격감지센서, 압전센서, 진동센서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부(310)는 통공 카드 키(10)를 이용해서 록킹 해정 장치(200)의 록킹 상태를 해정시키는 정상적인 접근이 아닌 다른 비 정상적인 방식으로 록킹 해정 장치(200)의 록킹 상태를 해제하려고 하거나, 도어부(100)를 파손하려고 할 경우, 이러한 상황을 감지할 수 있어야 한다.
제어수단(320)은 센서부(310)와 연결되어 외부의 충격이 검출될 경우 비상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320)은 비상 신호를 출력하는 송신부(322)를 포함한다. 알림수단(330)은 상기 제어수단(320)에서 출력된 비상신호를 받아 외부로 침입 상황을 소리 또는 발광 등과 같은 시청각적인 다양한 방법으로 알린다. 따라서, 상기 알림수단(330)은 상기 제어수단(320)의 송신부(322)에서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3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안장치(300)는 상기 센서부(310)와, 제어수단(320)과, 알림수단(3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360)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비상시에도 일정시간 동안 운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수단(320)은, 상기 센서부(310)에서 검출된 충격이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321)와, 상기 설정된 시간 동안 충격이 검출될 경우 상기 알림수단(330)으로 비상신호를 출력하는 송신부(322)를 포함한다. 즉, 상기 판단부(321)에서 미리 설정해둔 시간 동안 센서부(310)에서 물리적인 충격이 검출되면, 외부 침입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송신부(322)는 상기 알림수단(330)으로 비상신호를 출력한다. 일례로, 상기 판단부(321)는 10 ~ 15초 동안 센서부(310)에서 물리적인 충격이 지속해서 검출되면 외부 침입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알림수단(330)은, 경보음을 발생하는 스피커(331)나 경광등(332), 또는 음성안내장치(333)를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보안장치(300)는, 관리자의 연락처를 저장하는 저장부(340)와, 상기 제어수단(320)에서 출력된 비상신호에 따라 저장부(340)에 저장된 연락처로 침입 사실을 전송하는 무선통신부(350)를 포함한다. 상기의 경우 상기 제어수단(320)에서 외부 침입을 판단하고 비상신호를 출력하게 되면, 상기 알림수단(330)을 작동시킴과 동시에 무섭통신부(350)를 이용해서 저장부(340)에 저장되어 있던 관리자의 연락처로 전화를 걸거나, 문자를 보낸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보안이 강화된 방화문을 도 3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센서부(310)를 통해 도어부(100)또는 록킹 해정 장치(200)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S10)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수단(320)은 센서부(310)의 충격감지시간과 기준시간을 비교(S20)하여 충격감지시간이 기준시간에 도달하면, 알림수단(330)으로 비상신호를 출력하고, 알림수단(330)은 그 신호를 받아 스피커(331), 경광등(332) 등을 이용하여 경보를 발생(S30)한다. 이후, 무선통신부(350)는 저장부(340)에 저장되어 있던 관리자의 연락처로 외부 침입 사실을 문자 등으로 전송(S40)한다. 이 때, 관리자가 적절한 조치를 취해서 경보상태가 종료(S50)되기 전까지는 경보 상황이 계속해서 진행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록킹 해정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있어서, 키 인식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록킹 해정 장치(200)는, 도어부(100)의 실외 쪽에 설치된 손잡이부(210)와, 상기 도어부(100)의 실내 쪽에 설치된 잠금쇠 뭉치(미도시)의 록킹 상태를 해정시키는 해정 작동대(220)와, 상기 통공 카드 키(10)를 삽입하는 키 삽입부(230)와, 상기 키 삽입부(230)에 상기 통공 카드 키(1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210)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통공 카드 키(10)의 통공 패턴(12) 및 제1,2 비통공 패턴(13,14)에 대한 인식 작용을 수행하여, 인식 성공 시 상기 손잡이부(210)의 회전력을 상기 해정 작동대(220)로 전달하는 키 인식부(240) 및 상기 잠금쇠 뭉치의 록킹 상태가 해정된 후 상기 손잡이부(210)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통공 카드 키(10)가 상기 키 삽입부(230)로부터 반환 가능한 상태에 놓이게 작용하는 키 반환 작동부(250)를 포함한다.
손잡이부(210)는 도어부(100)의 실외 쪽에 설치된다. 해정 작동대(220)는 도어부(100)의 실내 쪽에 설치된 잠금쇠 뭉치(미도시)의 록킹 상태를 해정 상태로 전환시키거나, 잠금쇠 뭉치의 해정 상태를 록킹 상태로 전환시킨다. 잠금쇠 뭉치는 해정 작동대(220)의 록킹 또는 해정 동작에 따라 잠금쇠를 실내 쪽의 도어부(100) 걸쇠에 인입 또는 인출시켜 도어부(100)를 록킹 또는 해정 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키 삽입부(230)는 통공 카드 키(10)를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키 인식부(240)는 통공 카드 키(10)가 삽입된 상태에서, 손잡이부(210)의 회전 동작에 따라 통공 카드 키(10)의 통공 패턴(12) 및 제1,2 비통공 패턴(13)(14)에 대한 인식 작용을 수행한다.
만일, 통공 카드 키(10)에 대한 인식 성공시, 키 인식부(240)는 손잡이부(210)의 회전력을 해정 작동대(220)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해정 작동대(220)에 의해 잠금쇠 뭉치의 록킹 상태가 해정될 수 있다. 그리고, 통공 카드 키(10)에 대한 인식 실패시, 키 인식부(240)는 손잡이부(210)의 회전력을 해정 작동대(220)로 전달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잠금쇠 뭉치는 록킹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키 반환 작동부(250)는 잠금쇠 뭉치의 록킹 상태가 해정된 후 손잡이부(210)의 회전 동작에 따라 통공 카드 키(10)가 키 삽입부(230)로부터 반환 가능한 상태에 놓이게 작용한다. 따라서, 도어부(100)가 해정된 후, 사용자는 통공 카드 키(10)를 회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록킹 해정 장치(200)는 키 인식부(240)에 의해 통공 카드 키(10)의 통공 패턴(12)뿐 아니라 서로 두께가 다른 제1,2 비통공 패턴(13)(14)에 대해 모두 인식 성공한 경우에만 도어부(100)의 록킹 상태를 해정시킬 수 있다.
한편, 키 삽입부(230)는 슬롯부(231)와 케이싱(232)을 포함할 수 있다. 슬롯부(231)는 하부 프레임(2431)의 하측으로 통공 카드 키(10)가 삽입되도록 손잡이부(210)에 형성된다. 케이싱(232)은 손잡이부(210)와 결합되어 키 인식부(240)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싱(232)은 슬롯부(231)를 통해 삽입된 통공 카드 키(10)가 하부 프레임(2431)의 하측에 안착되도록 키 안착부(233)를 구비한다. 슬롯부(231)는 손잡이부(210)의 손잡이(211)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손잡이(211)는 케이싱(23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손잡이(211)는 통공 카드 키(10)가 키 삽입부(23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정확히 위치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손잡이(211)와 케이싱(232) 사이에는 손잡이(211)를 정확히 위치시키기 위한 위치결정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위치결정수단은 손잡이(211)와 케이싱(232)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된 위치결정 핀과, 다른 쪽에 형성된 위치결정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211)가 설정된 위치에 정확히 위치된 상태에서, 위치결정 핀은 위치결정 홈에 끼워질 수 있게 위치된다. 위치결정 핀은 위치결정 홈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키 인식부(240)는 복수의 인식 바(2410)들과, 인식 바 이동부와, 적어도 하나의 패턴 플레이트(2470), 및 회전력 단속부(248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식 바(2410)들은 각 하단부가 통공 카드 키(10)의 통공 패턴(12) 및 제1,2 비통공 패턴(13)(14)에 각각 대응되게 배열된다. 예컨대, 통공 패턴(12)과 제1,2 비통공 패턴(13)(14)이 조합되어 통공 카드 키(10)의 길이 방향으로 2열로 배열된 경우, 인식 바(2410)들 또한 2열로 배열되고 각 하단부가 통공 패턴(12)과 제1,2 비통공 패턴(13)(14)에 대응되게 배열된다.
인식 바(2410)들의 각 하단부는 통공 패턴(12)의 통공부(12a)와 제2 비통공 패턴(14)의 제2 비통공부(14a)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인식 바(2410)들은 각 측면에 돌출 핀(2411)이 형성된다. 인식 바(2410)들의 돌출 핀(2411)들은 패턴 플레이트(2470)의 제1,2,3 패턴 홀(2471)(2472)(2473)들에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된다.
인식 바 이동부는 인식 바(2410)들을 독립되게 승강시키기 위한 것이다. 인식 바 이동부는 인식 바 가이드부와, 인식 바용 탄성부재(2440)들과, 가동 프레임(2450), 및 가동 프레임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인식 바 가이드부는 인식 바(2410)들의 승강을 안내한다. 인식 바 가이드부는 하부 프레임(2431)과, 수직 프레임(2432), 및 상부 프레임(2434)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프레임(2431)은 인식 바(2410)들의 각 하단을 관통시켜 승강 안내한다. 수직 프레임(2432)은 패턴 플레이트(2470)와 인식 바(2410)들 사이에서 하부 프레임(2431)으로부터 수직 돌출된다. 수직 프레임(2432)에는 인식 바(2410)들의 돌출 핀(2411)들을 각각 끼워서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 홀(2433)들이 형성된다. 상부 프레임(2434)은 하부 프레임(2431)의 상측에서 수직 프레임(2432)과 결합되며, 인식 바(2410)들의 각 상단을 관통시켜 승강 안내한다.
인식 바용 탄성부재(2440)들은 돌출 핀(2411)들의 각 상측에 설치되어 인식 바(2410)들을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예컨대, 인식 바용 탄성부재(2440)들은 압축코일 스프링으로 각각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인식 바용 탄성부재(2440)는 인식 바(2410)의 상단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단이 상부 프레임(2434)의 하면에 지지되고 하단이 돌출 핀(2411)의 상측에 형성된 걸림 턱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인식 바(2410)를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가동 프레임(2450)은 돌출 핀(2411)들의 각 하측에 공히 대응되게 배치되어 승강 동작함에 따라 인식 바(2410)들을 승강시킨다. 즉, 가동 프레임(2450)이 최대로 상승 동작하는 과정에서, 돌출 핀(2411)들은 가동 프레임(2450)에 의해 모두 받쳐져 상승함에 따라 인식 바(2410)들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인식 바용 탄성부재(2440)들에 압축력이 각각 가해지며, 이로 인해 인식 바(2410)들은 하강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가동 프레임(2450)이 최대로 하강 동작하게 되면, 인식 바용 탄성부재(2440)들의 각 복원력에 의해 인식 바(2410)들이 하강하게 된다. 이때, 인식 바(2410)들 중 통공 패턴(12)에 대응되는 인식 바들은 통공부(12a)들에 삽입될 때까지 하강한다. 인식 바(2410)들 중 제1 비통공 패턴(13)에 대응되는 인식 바들은 제1 비통공부(13a)들에 접촉될 때까지 하강한다. 그리고, 인식 바(2410)들 중 제2 비통공 패턴(14)에 대응되는 인식 바들은 제2 비통공부(14a)들에 삽입되어 접촉될 때까지 하강한다.
가동 프레임 이동부는 손잡이부(210)의 회전 동작에 따라 가동 프레임(2450)을 승강시킨다. 가동 프레임 이동부는 회전 샤프트(2461) 및 한 쌍의 캠(2462)들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샤프트(2461)는 손잡이부(210)의 회전 중심에 결합되어 손잡이부(210)의 회전 동작에 따라 회전한다. 그리고, 회전 샤프트(2461)는 해정 작동대(220) 쪽으로 연장 형성된다. 한 쌍의 캠(2462)들은 회전 샤프트(2461)와 함께 회전하면서 가동 프레임(2450)을 승강시키도록 회전 샤프트(2461)에 구비된다.
예컨대, 캠(2462)들은 회전 샤프트(2461)의 양단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가동 프레임(2450)은 돌출 핀(2411)들의 각 하측에 공히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1 가동부(2451)와, 캠(2462)들의 각 상면에 접촉되는 한 쌍의 제2 가동부(2452)들이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가동부(2452)들은 인식 바용 탄성부재(2440)들에 의해 캠(2462)들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캠(2462)들의 회전 동작에 따라 승강할 수 있다. 캠(2462)들은 중심에서 가장 먼 부위가 각각 상사점으로 이동할 때 가동 프레임(2450)을 최대로 상승시키게 되며, 중심에서 가까운 부위가 각각 하사점으로 이동할 때 가동 프레임(2450)을 최대로 하강시키게 된다.
패턴 플레이트(2470)에는 제1,2,3 패턴 홀(2471)(2472)(2473)이 형성된다. 통공 패턴(12)과 제1,2 비통공 패턴(13)(14)이 조합되어 통공 카드 키(10)의 길이 방향으로 2열로 배열된 경우, 패턴 플레이트(2470)는 2개로 구비되어 각 열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패턴 플레이트(2470)들은 패턴 플레이트용 탄성부재(2476)에 의해 손잡이부(210) 쪽으로 탄성력을 제공받는다.
제1,2,3 패턴 홀(2471)(2472)(2473)은 인식 바(2410)들의 하강시 돌출 핀(2411)들의 높낮이가 통공 패턴(12) 및 제1,2 비통공 패턴(13)(14)에 맞게 위치되어 인식 성공될 때에만, 패턴 플레이트(2470)들이 패턴 플레이트용 탄성부재(2476)에 의해 손잡이부(210) 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드 이동 가능해지도록 돌출 핀(2411)들을 안내한다.
예컨대,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 와 같이, 제1 패턴 홀(2471)은 제1 수직 장홀(2471a)과 제1 수직 장홀(2471a)의 하단에 연결되어 손잡이부(2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수평 장홀(2471b)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수평 장홀(2471b)은 인식 바(2410)들 중 통공 패턴(12)에 대응되는 인식 바가 통공부(12a)에 삽입된 상태에서 돌출 핀(2411)을 수용하도록 위치됨으로써, 패턴 플레이트(2470)가 손잡이부(210)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제2 패턴 홀(2472)은 제2 수직 장홀(2472a)과 제2 수직 장홀(2472a)의 상단에 연결되어 손잡이부(2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2 수평 장홀(2472b)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수평 장홀(2472b)은 인식 바(2410)들 중 제1 비통공 패턴(13)에 대응되는 인식 바가 제1 비통공부(13a)에 접촉된 상태에서 돌출 핀(2411)을 수용하도록 위치됨으로써, 패턴 플레이트(2470)가 손잡이부(210)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제3 패턴 홀(2473)은 제3 수직 장홀(2473a)과 제3 수직 장홀(2473a)의 상단에 연결되어 손잡이부(2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3 수평 장홀(2473b)로 구성될 수 있다. 제3 수평 장홀(2473b)은 인식 바(2410)들 중 제2 비통공 패턴(14)에 대응되는 인식 바가 제2 비통공부(14a)에 삽입되어 접촉된 상태에서 돌출 핀(2411)을 수용하도록 위치됨으로써, 패턴 플레이트(2470)가 손잡이부(210)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식 바(2410)들이 상승해 있다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하면, 인식 바(2410)들 중 통공부(12a) 및 제2 비통공부(14a)에 대응되는 것들의 돌출 핀(2411)들만 제1,3 수직 장홀(2471a)(2473a)을 따라 하강하여 제1,3 수평 장홀(2471b)(2473b)에 수용되게 위치하며, 제1 비통공부(13a)에 대응되는 것의 돌출 핀(2411)은 제2 수직 장홀(2472a)을 따라 하강하지 않고 제2 수평 장홀(2472b)에 수용되게 위치된다. 그러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 플레이트(2470)는 패턴 플레이트용 탄성부재(2476)에 의해 손잡이부(210) 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회전력 단속부(2480)는 패턴 플레이트(2470)들이 손잡이부(210)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 상태에서 손잡이부(210)의 회전력을 해정 작동대(220)로 전달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손잡이부(210)는 안쪽 둘레 면을 따라 형성된 구동 기어(212)를 구비한 손잡이(211)와, 구동 기어(212)와 동일 면 상에서 회전 샤프트(2461)와 결합된 종동 기어(213), 및 구동 기어(212)와 종동 기어(213) 사이에서 구동 기어(212)와 종동 기어(213)와 치합된 유성 기어(214)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211)를 회전시키면, 구동 기어(212)와 치합된 유성 기어(214)가 회전하면서 종동 기어(213)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회전 샤프트(2461)가 회전할 수 있게 되므로, 손잡이(211)의 회전력이 회전 샤프트(2461)로 전달될 수 있다.
회전력 단속부(2480)는 종동 블록(2481)과, 지지 블록(2482), 및 구동 블록(2483)을 포함할 수 있다. 종동 블록(2481)은 손잡이부(210)를 향한 면에 한 쌍의 걸림 돌기(2481a)들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반대 면에 해정 작동대(220)가 결합된다. 종동 블록(2481)이 회전하게 되면, 해정 작동대(220)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지지 블록(2482)은 패턴 플레이트(2470)들에 결합되어 함께 슬라이드 이동하며, 종동 블록(248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구동 블록(2483)은 회전 샤프트(2461)의 단부에 구비되어 회전 샤프트(2461)와 함께 회전한다. 구동 블록(2483)은 패턴 플레이트(2470)들이 손잡이부(210)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 상태에서 걸림 돌기(2481a)들과 맞물리게 한 쌍의 걸림 홈(2483a)들을 구비한다.
전술한 회전력 단속부(2480)의 작용을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삽입부(230)에 통공 카드 키(10)가 삽입되기 전이나, 통공 카드 키(10)에 대한 인식 실패시에는 손잡이부(210)를 회전시키더라도 구동 블록(2483)과 종동 블록(2481)이 서로 이격된 상태이므로, 구동 블록(2483)의 회전력이 종동 블록(2481)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통공 카드 키(10)에 대한 인식 성공시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 플레이트(2470)들이 손잡이부(21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그에 따라 지지 블록(2482)이 패턴 플레이트(2470)들과 함께 이동하면서 종동 블록(2481)의 걸림 돌기(2481a)들이 구동 블록(2483)의 걸림 홈(2483a)들에 각각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손잡이부(210)를 회전시키게 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동 블록(2481)이 회전하면서 해정 작동대(220)를 회전시키게 된다. 해정 작동대(220)의 회전력은 잠금쇠 뭉치의 록킹 상태를 해정시키도록 작용할 수 있다.
키 반환 작동부(250)는 푸싱 핀(251) 및 푸싱 돌출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푸싱 핀(251)은 구동 블록(2483)으로부터 지지 블록(2481)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푸싱 돌출부(252)는 잠금쇠 뭉치의 록킹 상태가 해정된 상태에서 손잡이부(210)가 동일 방향으로 연속되게 회전 동작함에 따라 푸싱 핀(251)에 의해 밀려 패턴 플레이트(2470)들을 원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게 지지 블록(2482)에 돌출 형성된다.
전술한 키 반환 작동부(25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잠금쇠 뭉치의 록킹 상태가 해정된 상태에서, 손잡이부(210)를 동일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싱 핀(251)은 푸싱 돌출부(252)의 돌출 면 위로 이동하면서 푸싱 돌출부(252)와 함께 지지 블록(2482)을 손잡이부(2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로 인해, 패턴 플레이트(2470)들은 원래 위치로 복귀됨과 동시에 구동 블록(2483)과 종동 블록(2481)이 서로 이격된다.
이 상태에서, 손잡이부(210)를 동일 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면, 푸싱 핀(251)은 푸싱 돌출부(252)의 돌출 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구동 블록(2483)과 종동 블록(2481) 사이를 이격된 상태로 유지하며, 가동 프레임(2450)은 캠(2462)들에 의해 최대로 상승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인식 바(2410)들이 가동 프레임(2450)에 의해 통공 카드 키(10)로부터 모두 분리되도록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카드 삽입부(230)로부터 통공 카드 키(10)를 회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통공 카드 키(10)에 출입용 식별정보를 내장한 RFID 태그(15)를 포함하는 경우, 도시하지는 않지만, 록킹 해정 장치(200)는 RFID 인증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키 인식부(240)에 의해 인식이 성공된 상태에서, RFID 인증기는 RFID 태그(15)에 내장된 출입용 식별정보를 읽어 들여 인증 성공시 키 인식부(240)와 함께 잠금쇠 뭉치의 록킹 상태를 해정시키도록 작용한다. 예를 들어, RFID 인증기는 패턴 플레이트(2470)들의 슬라이드 이동을 구속하고 있다가, 인증 성공시 패턴 플레이트(2470)들에 대한 구속을 해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통공 카드 키(10)의 통공 패턴(12), 제1,2 비통공 패턴(13)(14)을 모두 인식 성공함과 아울러, RFID 태그(15)를 인증 성공한 경우에만, 도어부(100)의 록킹 상태가 해정되도록 함으로써, 보안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의 록킹 해정 장치(200)에 의해 잠금 상태가 해정되는 작용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록킹 해정 장치(200)의 키 삽입부(230)에 통공 카드 키(10)를 삽입한 후, 손잡이(211)를 회전시켜 회전 샤프트(2461)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가동 프레임(2450)을 최대로 상승시키고 있던 캠(2462)들이 회전하면서 가동 프레임(2450)을 하강시킨다. 그러면, 인식 바(2410)들은 인식 바용 탄성부재(2440)들에 의해 각각 하강하게 된다. 가동 프레임(2450)이 최대로 하강하게 되면, 인식 바(2410)들 중 통공 패턴(12)에 대응되는 인식 바들은 통공부(12a)에 삽입될 때까지 하강하며, 제1 비통공 패턴(13)에 대응되는 인식 바들은 제1 비통공부(13a)에 접촉될 때까지 하강하며, 제2 비통공 패턴(14)에 대응되는 인식 바들은 제2 비통공부(14a)에 삽입되어 접촉될 때까지 하강한다.
이때, 인식 바(2410)들의 돌출 핀(2411)들이 제1,2,3 패턴 홀(2471)(2472)(2473)의 제1,2.3 수평 장홀(2471b)(2472b)(2473b)에 수용되도록 위치되면, 패턴 플레이트(2470)들이 패턴 플레이트용 탄성부재(2476)에 의해 손잡이(211) 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동 블록(2481)이 구동 블록(2483)으로 이동하여 중동 블록(2481)의 걸림 돌기(2481a)들이 구동 블록(2483)의 걸림 홈(2483b)들에 삽입된다. 손잡이(211)를 동일 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게 되면, 종동 블록(2481)이 구동 블록(2483)과 맞물려 회전하면서 해정 작동대(220)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해정 작동대(220)에 의해 잠금쇠 뭉치의 록킹 상태가 해정된다.
이후, 손잡이(211)를 동일 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게 되면, 푸싱 핀(251)과 푸싱 돌출부(252)의 상호 작용에 의해 패턴 플레이트(2470)들이 원래 위치로 복귀하며 종동 블록(2481)과 구동 블록(2483) 사이가 이격된다. 또한, 가동 프레임(2450)이 캠(2462)들에 의해 최대로 상승하게 됨에 따라 인식 바(2410)들이 통공 카드 키(10)로부터 모두 분리되도록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카드 삽입부(230)로부터 통공 카드 키(10)를 회수할 수 있게 된다.
만일, 인식 실패로 인해, 인식 바(2410)들의 돌출 핀(2411)들 중 어느 하나라도 제1,2,3 패턴 홀(2471)(2472)(2473)의 제1,2,3 수평 장홀(2471b)(2472b)(2473b)에 수용되지 않는다면, 패턴 플레이트(2470)들은 슬라이드 불능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종동 블록(2481)과 구동 블록(2483) 사이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손잡이(211)를 회전시키더라도 손잡이(211)의 회전력이 해정 작동대(220)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잠금쇠 뭉치는 록킹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통공 카드 키 12..통공 패턴
13..제1 비통공 패턴 14..제2 비통공 패턴
100..도어부 200..록킹 해정 장치
210..손잡이부 220..해정 작동대
230..키 삽입부 240..키 인식부
250.. 키 반환 작동부 300..보안장치
310..센서부 320..제어수단
321..판단부 322..송신부
330..알림수단 340..저장부
350..무선통신부 360..전원부

Claims (5)

  1. 아파트나 상가 등에 외부와의 차단 및 화재로부터 보호하도록 설치되는 방화문에 있어서,
    벽면에 고정된 문틀에 설치되어 상기 문틀에 의해 확보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부;
    상기 도어부와 문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도어부를 상기 문틀에 대해 고정 또는 해제하는 통공 카드 키를 인식하는 방식의 록킹 해정 장치;
    상기 도어부 또는 록킹 해정 장치의 복수 위치에 분산 설치되어 상기 도어부 또는 록킹 해정 장치에 가해지는 물리적인 충격을 검출하며, 충격감지센서 또는 압전센서 또는 진동센서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어 충격이 검출될 경우 비상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서 출력된 비상신호에 따라 외부로 침입 상황을 알리는 알림수단을 구비한 보안장치;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비상시에도, 상기 센서부와 상기 제어수단과, 상기 알림수단에 전원을 공급하여 일정시간동안 운용되게 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센서부에서 검출된 충격이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설정 시간동안 충격이 검출될 경우 상기 알림수단으로 비상신호를 출력하는 송신부를 포함하고, 알림수단은, 경보음을 발생하는 스피커나 경광등, 또는 음성안내장치를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안장치는, 관리자의 연락처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제어수단에서 출력된 비상신호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된 연락처로 침입 사실을 전송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이 강화된 방화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해정 장치는, 도어부의 실외 쪽에 설치된 손잡이부와, 상기 도어부의 실내 쪽에 설치된 잠금쇠 뭉치의 록킹 상태를 해정시키는 해정 작동대와, 상기 통공 카드 키를 삽입하는 키 삽입부와, 상기 키 삽입부에 상기 통공 카드 키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통공 카드 키의 통공 패턴 및 제1,2 비통공 패턴에 대한 인식 작용을 수행하여, 인식 성공시 상기 손잡이부의 회전력을 상기 해정 작동대로 전달하는 키 인식부 및 상기 잠금쇠 뭉치의 록킹 상태가 해정된 후 상기 손잡이부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통공 카드 키가 상기 키 삽입부로부터 반환 가능한 상태에 놓이게 작용하는 키 반환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이 강화된 방화문.
KR1020130086936A 2013-07-23 2013-07-23 보안이 강화된 방화문 KR101583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936A KR101583313B1 (ko) 2013-07-23 2013-07-23 보안이 강화된 방화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936A KR101583313B1 (ko) 2013-07-23 2013-07-23 보안이 강화된 방화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679A KR20150011679A (ko) 2015-02-02
KR101583313B1 true KR101583313B1 (ko) 2016-01-19

Family

ID=52488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6936A KR101583313B1 (ko) 2013-07-23 2013-07-23 보안이 강화된 방화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331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390B1 (ko) 2016-02-23 2016-06-24 주식회사 탑웨어 보안성이 향상된 3중 락킹시스템
KR101633394B1 (ko) 2016-02-23 2016-06-24 주식회사 탑웨어 보안성이 향상된 스토퍼를 구비한 3중 락킹시스템
KR101633393B1 (ko) 2016-02-23 2016-06-24 주식회사 탑웨어 보안성이 향상 듀얼키패드를 채택한 3중 락킹시스템
KR20180134164A (ko) 2017-06-08 2018-12-18 최현서 교실 개폐 알림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390B1 (ko) * 2016-08-24 2018-09-06 이옥례 방화문 감시 시스템
CN107044246A (zh) * 2017-05-27 2017-08-15 厦门施米德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人脸识别与报警系统的防盗门
KR102126194B1 (ko) * 2019-12-20 2020-06-24 (주)전인씨엠건축사사무소 화재시 대피가 용이한 건축물의 피난구 구조
KR102562342B1 (ko) * 2020-11-12 2023-08-01 조상은 방범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4208Y1 (ko) * 1999-12-21 2000-06-01 주식회사에스에이 전자산업 이동 전화기를 이용한 방범 경보장치
JP2003106018A (ja) * 2001-09-28 2003-04-09 Ino Japan:Kk 無線ドアロック
KR101262790B1 (ko) * 2011-12-06 2013-05-15 (주)메이즈텍 통공 카드 키, 및 이를 인식하는 록킹 해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5711A (ko) * 2001-03-27 2002-10-05 전순용 압력 변화에 감응하는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101126353B1 (ko) 2011-06-08 2012-04-09 엄동인 방화문 및 그 방화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4208Y1 (ko) * 1999-12-21 2000-06-01 주식회사에스에이 전자산업 이동 전화기를 이용한 방범 경보장치
JP2003106018A (ja) * 2001-09-28 2003-04-09 Ino Japan:Kk 無線ドアロック
KR101262790B1 (ko) * 2011-12-06 2013-05-15 (주)메이즈텍 통공 카드 키, 및 이를 인식하는 록킹 해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390B1 (ko) 2016-02-23 2016-06-24 주식회사 탑웨어 보안성이 향상된 3중 락킹시스템
KR101633394B1 (ko) 2016-02-23 2016-06-24 주식회사 탑웨어 보안성이 향상된 스토퍼를 구비한 3중 락킹시스템
KR101633393B1 (ko) 2016-02-23 2016-06-24 주식회사 탑웨어 보안성이 향상 듀얼키패드를 채택한 3중 락킹시스템
KR20180134164A (ko) 2017-06-08 2018-12-18 최현서 교실 개폐 알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679A (ko) 2015-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3313B1 (ko) 보안이 강화된 방화문
CN101174352A (zh) 用于安全系统的无源解除收发器
KR101872136B1 (ko) 보안 시스템내에 통합시키기 위한 보안 장치
US20070176775A1 (en) Security door apparatus
GB2494229A (en) A fastening device with remote monitoring
EP3300033B1 (en) Access control system, portable user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ccess
KR101026241B1 (ko) 범죄예방을 위한 홈네트워크 연동형 가구 일체형 서랍식금고 및 이의 운용방법
JP4665649B2 (ja) 錠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3100285U (ja) アラーム発生出入装置
EP1845053B1 (en) Landing door device of elevator
KR102031324B1 (ko) 근접센서와 플랫형 터치패드를 구비한 도어록
KR101755275B1 (ko) 상황 알림기능을 갖는 비상문 잠금 시스템
JPH09184332A (ja) サッシ
KR101532696B1 (ko) 수갑찬 용의자의 도주 방지 시스템
KR101575900B1 (ko) 도어락 기능을 갖는 방범창
KR101633394B1 (ko) 보안성이 향상된 스토퍼를 구비한 3중 락킹시스템
JP4913413B2 (ja) 施錠装置および施錠方法
KR200407915Y1 (ko) 알림기능을 갖는 자물쇠
US20220172528A1 (en) Electronic door lock
KR20110027170A (ko) 도어록 장치
JP4257585B2 (ja) 電気錠装置
JP2007164714A (ja) 入室管理装置
JP5027060B2 (ja) 建物用電気錠システム
JP2003208671A5 (ko)
JP6796793B2 (ja) 電気錠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