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915Y1 - 알림기능을 갖는 자물쇠 - Google Patents

알림기능을 갖는 자물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915Y1
KR200407915Y1 KR2020050025647U KR20050025647U KR200407915Y1 KR 200407915 Y1 KR200407915 Y1 KR 200407915Y1 KR 2020050025647 U KR2020050025647 U KR 2020050025647U KR 20050025647 U KR20050025647 U KR 20050025647U KR 200407915 Y1 KR200407915 Y1 KR 2004079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lower body
hook
notification means
no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56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기춘
Original Assignee
윤기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기춘 filed Critical 윤기춘
Priority to KR20200500256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9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9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9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E05B45/06Electric alarm locks
    • E05B45/061Electric alarm locks for combination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7/00Padlocks; Details thereof
    • E05B67/06Shackles; Arrangement of the shack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Landscapes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를 잠그는 자물쇠에 관한 것으로서, 자물쇠의 잠금상태를 설정된 회수 내에 열지 못하거나, 고의로 파손 시 설정된 통신수단을 통해 건물의 책임자에게 긴급상황임을 자동으로 알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복수 개로 분할 형성되고 접속부위에는 삽입홈(11a)(12a)이 형성된 상, 하부 몸체(11)(12)와, 상기 상, 하부 몸체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 고정되어 긴급상황 시 이를 건물의 책임자에게 알리는 공지의 알림수단(13)과, 상기 삽입홈에 내장되어 알림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수단(14)과, 상기 상, 하부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는 도선(16)이 내장되어 도선의 절단 시 알림수단이 작동되도록 하는 고리쇠(15)와, 하부 몸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누름 동작에 따라 고리쇠(15)의 록킹상태를 해제하는 공지의 번호 키(17)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알림기능을 갖는 자물쇠{omitted}
도 1은 종래의 자물쇠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상부 몸체 11a, 12a : 삽입홈
12 : 하부 몸체 13 : 알림수단
14 : 전원수단 15 : 고리쇠
16 : 도선 17 : 번호 키
본 고안은 도어를 잠그는 자물쇠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자물 쇠의 잠금상태를 설정된 회수 내에 열지 못하거나, 고의로 파손 시 건물의 책임자에게 긴급상황임을 자동으로 알릴 수 있도록 하는 알림기능을 갖는 자물쇠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자물쇠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로서, 단일체로 이루어진 몸체(1)의 저면에 통공(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공의 내부에는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 설치되는 복수개의 걸림부재가 내장된 실린더(2)가 회동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어 있는데, 상기 실린더(2)의 중심부위에는 열쇠(3)를 삽입하는 열쇠 삽입공(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의 상부에는 고리쇠(4)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고리쇠(4)의 다른 일단에는 몸체(1)에 형성된 구멍(도시는 생략함)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부재에 걸려 록킹되거나, 열쇠(3)의 회동에 따라 록킹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걸림홈(4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고리쇠(4)를 문고리(도시는 생략함)에 걸은 다음 걸림홈(4a)이 형성된 고리쇠의 일단을 몸체(1)에 형성된 구멍 내에 끼우고 열쇠(3)를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실린더(2)에 설치된 록킹부재가 고리쇠(4)에 형성된 걸림홈(4a)에 걸리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실린더(2)의 열쇠 삽입공(2a)으로부터 열쇠(3)를 제거하면 자물쇠의 록킹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록킹된 자물쇠의 록킹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실린더(2)에 형성된 열쇠 삽입공(2a)으로 열쇠(3)를 집어넣으면 열쇠의 형상에 따라 고리쇠(4)의 걸림홈(4a)에 걸려 있던 록킹부재가 걸림홈으로부터 빠져 나오게 되므로 열쇠(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에 따라 자물쇠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자물쇠가 단일 몸체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열쇠가 삽입되는 실린더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첫째, 외부의 침입자가 자물쇠의 잠김상태를 강제로 해제하기 위해 여러 번 조작하더라도 이를 건물의 책임자에게 알리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자물쇠의 구조에 대해 약간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손쉽게 자물쇠를 열 수 있게 되므로 도난 사고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둘째, 핀 또는 만능키에 의한 실린더의 조작 또는 번호 키를 눌러 자물쇠를 열지 않고 고리쇠를 절단하여 잠금상태를 해제하더라도 이를 감지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전술한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셋째, 고가의 지문인식 키 등을 사용할 경우에는 침입자가 손쉽게 자물쇠를 열지 못하나, 이 또한 외부에서 이를 파손한 다음 자물쇠의 잠금상태를 강제로 해제하므로 그 효용가치가 떨어진다.
넷째, 알림수단이 구비된 자물쇠가 알려져 있으나, 전원을 인가하는 도선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침입자가 도선을 인위적으로 절단할 경우에는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게 된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자물쇠의 몸체를 복수 개로 분할 형성한 다음 알림수단 및 전원수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몸체에 내장하여 침입자가 전원수단의 차단은 물론이고 알림수단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침입자가 고리쇠의 록킹상태를 강제로 해제하기 위해 열쇠 삽입공으로 열쇠를 집어넣어 조작 또는 파손하려고 하거나, 또는 번호 키를 설정된 횟수이상으로 조작하거나, 고리쇠를 절단 시에 이를 감지하여 통신수단과 같은 알림수단에 의해 건물의 책임자에게 설정된 주파수와 연결된 별도의 알림장치를 통해 긴급상황을 자동으로 알릴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복수 개로 분할 형성되고 접속부위에는 삽입홈이 형성된 상, 하부 몸체와, 상기 상, 하부 몸체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 고정되어 긴급상황 시 이를 건물의 책임자에게 알리는 공지의 알림수단과, 상기 삽입홈에 내장되어 알림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수단과, 상기 상, 하부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는 도선이 내장되어 도선의 절단시 알림수단이 작동되도록 하는 고리쇠와, 하부 몸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누름 동작에 따라 고리쇠의 록킹상태를 해제하는 공지의 번호 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기능을 갖는 자물쇠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로 도시한 도 2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도전체로 이루어진 몸체가 상, 하부 몸체(11)(12)로 분할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몸체(12)에는 삽입홈(1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몸체에 형성된 삽입홈(12a)에는 외부의 침입자가 강제로 자물쇠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거나, 파손하는 긴급상황 시 이를 콘트롤부(도시는 생략함)가 감지하여 건물의 책임자에게 알리는 공지의 알림수단(13) 및 알림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수단(14)이 삽입 고정되어 있다.
이 때, 삽입홈을 상부 몸체(11)에도 형성하여 알림수단(13) 및 전원수단(14)을 상부 몸체(11)의 삽입홈(11a)에 고정할 수 있고, 또는 도 7과 같이 하부 몸체(12)에만 삽입홈(12a)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홈 내에 알림수단(13) 및 전원수단(14)을 고정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이에 대하여 별도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알림수단(13)의 구조 및 기능은 이미 널리 공지된 기술로서, 긴급상황 시 이를 콘트롤부가 감지하여 무선으로 건물의 책임자에게 설정된 주파수와 연결된 별도의 알림장치를 통해 알리면 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분할 형성된 상, 하부 몸체(11)(12)는 제 1, 2, 5 실시예로 나타낸 도 2, 도 4, 도 7과 같이 동일 폭으로 형성하여도 되지만, 일 측의 몸체가 다른 일 측의 몸체에 수용되도록 형성하여도 된다.
즉, 제 3, 4 실시예로 나타낸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하부 몸체(12)가 상부 몸체(11)에 수용되도록 하거나,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이와는 반대로 상부 몸체(11)가 하부 몸체(12)에 수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상, 하부 몸체(11)(1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리쇠(15)의 내부에 도선(16)이 내장되어 침입자가 강제로 고리쇠(15)를 포함하여 도선(16)을 절단할 때, 콘트롤부가 이를 감지하여 알림수단(13)에 의해 건물의 책임자에게 알리도록 되어 있고 하부 몸체(12)의 전면에는 고리쇠(15)의 록킹상태를 해제하는 공지의 번호 키(17)가 노출되게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번호 키의 구조는 이미 널리 공지되어 있어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고리쇠(15)에 내장된 도선(16)의 절단 시 알림수단(13)이 작동하는 이유는 상, 하부 몸체(11)(12)가 도전체로 이루어져 있어 상, 하부 몸체(11)(12)와 폐회로를 이루는 도선(16)이 절단될 경우에는 알림수단(13)의 콘트롤부가 이를 감지하기 때문이다.
상기 번호 키(17)의 조작에 따라 록킹부재(18)와의 록킹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하는 고리쇠(15)의 외경을 도 2, 도 5, 도 7과 같이 동일하게 구성할 경우에는 고리쇠(15)의 록킹이 분할 형성된 상, 하부 몸체(11)(12)에서 각각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도 4 및 도 6에서와 같이 고리쇠(15)의 단턱(15a)을 형성하여 상기 단턱이 상부 몸체(11)의 상면에 걸리도록 구성한 경우에는 고리쇠(15)의 삽입량이 단턱(15a)에 의해 제한되므로 고리쇠(15)의 록킹이 하부 몸체(12)에서만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분할 형성된 상, 하부 몸체(11)(12)의 삽입홈(11a)(12a)에 알림수단(13)을 내장함과 동시에 배터리 등과 같은 전원수단(14)을 내장하면 알림수단(13)에 전원이 인가되지만, 알림수단(13) 및 전원수단(14)이 상, 하부 몸체(11)(12)에 내장되어 있어 외부의 침입자가 사전에 이를 인지하지 못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알림수단(13) 및 전원수단(14)을 상부 몸체(11) 또는 하부 몸체(12)에 형성된 삽입홈(11a)(12a)에 택일적으로 고정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문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분할 형성된 상, 하부 몸체(11)(12)를 일체화한 다음 문고리(도시는 생략함)에 고리쇠(15)를 걸고 고리쇠(15)의 양단을 상, 하부 몸체(11)(12)에 끼우면 록킹부재(18)가 고리쇠(15)의 걸림홈(15a)에 걸려 하부 몸체(12) 또는 상, 하부 몸체(11)(12)에서 록킹이 이루어지므로 문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문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과정에서 외부의 침입자가 상, 하부 몸체(11)(12)의 알림수단(13)이 내장되어 있음을 인지하지 못하고 번호 키(17)를 임의로 조작하면서 자물쇠의 잠금상태를 강제로 해제하려고 할 경우에는 고리쇠(17)의 록킹상태를 단 번에 해제할 수 없으므로 여러 번을 조작하여야만 된다.
이에 따라, 번호 키(17)의 조작 횟수를 알림수단(13)의 콘트롤부에서 카운트하여 설정된 횟수(2-3회 정도) 내에 고리쇠(15)의 잠금상태를 해제하지 못하면 알림수단(13)이 이를 건물의 책임자에게 설정된 주파수와 연결된 알림장치(핸드폰 등)를 통해 알리게 되므로 가까운 경찰서나 경비실에 알려 도난에 대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침입자가 상, 하부 몸체(11)(12)의 삽입홈(11a)(12a)에 알림수단(13) 및 전원수단(14)이 내장되어 있음을 인지하고 이를 사전에 제거하기 위해 자물쇠에 충격을 가할 경우에는 알림수단(13)이 이를 감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건물의 책 임자에게 이를 통보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는 달리 침입자가 고리쇠(15)의 록킹상태를 강제로 해제하지 않고 절단기 등으로 고리쇠(15)를 절단할 경우에는 고리쇠(15)에 내장된 도선(16)이 함께 절단되어 도전체로 이루어진 상, 하부 몸체(11)(12)와의 폐회로가 끊어지게 되어 이를 알림수단(13)의 콘트롤부가 감지하게 되므로 알림수단(13)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건물의 책임자에게 알리게 되고, 이에 따라 건물의 책임자가 도난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물쇠는 종래의 자물쇠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알림수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몸체에 내장되어 있어 침입자가 알림수단의 설치를 인지하지 못하고 번호 키를 임의로 조작하여 고리쇠의 록킹상태를 고의적으로 해제하려고 하거나, 파손시키기 위해 상, 하부 몸체에 충격을 가할 때 알림수단이 건물의 책임자에게 설정된 주파수와 연결된 별도의 알림장치를 통해 긴급상황을 자동으로 통보하게 되므로 도난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삽입홈에 알림수단 및 전원수단이 안전하게 내장되어 침입자가 알림수단 및 전원수단을 강제로 해제할 수 없게 되므로 침입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셋째, 고리쇠에 도선이 내장되어 있어 침입자가 고리쇠를 절단기 등으로 절단 시 알림수단의 콘트롤부가 이를 감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건물의 책임자에게 통보하게 되므로 도난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복수 개로 분할 형성되고 접속부위에는 삽입홈이 형성된 상, 하부 몸체와, 상기 상, 하부 몸체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 고정되어 긴급상황 시 이를 건물의 책임자에게 알리는 공지의 알림수단과, 상기 삽입홈에 내장되어 알림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수단과, 상기 상, 하부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는 도선이 내장되어 도선의 절단 시 알림수단이 작동되도록 하는 고리쇠와, 하부 몸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누름 동작에 따라 고리쇠의 록킹상태를 해제하는 공지의 번호 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기능을 갖는 자물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 몸체가 동일 폭으로 분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기능을 갖는 자물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 몸체에서 어느 하나의 몸체가 다른 하나의 몸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기능을 갖는 자물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쇠를 동일 외경으로 하여 분할 형성된 상, 하부 몸체에서 고리쇠의 록킹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기능을 갖는 자물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의 상면에 걸리도록 고리쇠에 단턱을 형성하여 고리쇠의 록킹이 하부 몸체에서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기능을 갖는 자물쇠.
KR2020050025647U 2005-09-06 2005-09-06 알림기능을 갖는 자물쇠 KR2004079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647U KR200407915Y1 (ko) 2005-09-06 2005-09-06 알림기능을 갖는 자물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647U KR200407915Y1 (ko) 2005-09-06 2005-09-06 알림기능을 갖는 자물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915Y1 true KR200407915Y1 (ko) 2006-02-07

Family

ID=44481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647U KR200407915Y1 (ko) 2005-09-06 2005-09-06 알림기능을 갖는 자물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79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1405B1 (ko) * 2015-07-17 2017-08-25 주식회사 예일전자 위험상황 알림 장치 및 서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1405B1 (ko) * 2015-07-17 2017-08-25 주식회사 예일전자 위험상황 알림 장치 및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89147B1 (en) Padlock with tamper-actuated audible and/or inaudible alarm
TWI487830B (zh) 併裝警報器之圓筒鎖
TWI701378B (zh) 具鎖芯整合感測器之鎖具及偵測鎖芯之撬動之方法
KR101583313B1 (ko) 보안이 강화된 방화문
EP1595044B1 (en) Lock cylinder with key
KR200407915Y1 (ko) 알림기능을 갖는 자물쇠
KR20030083538A (ko) 중앙관리형 실린더정
US5041814A (en) Lock with alarm device
KR200400484Y1 (ko) 알림기능을 갖는 자물쇠
EP3942125B1 (en) A door lock actuation device for operating a door lock and an alarm installation with such door lock actuation device
KR20130027626A (ko) 이중 자물쇠
KR100888104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락 장치
CN2330023Y (zh) 能识别主人与小偷的智能防盗报警器
KR101498256B1 (ko) 도어락 개폐용 복합 키 구조
EP4093934B1 (de) Betätigungshandhabe und vorrichtung zur einbruchsicherung
CN221002312U (zh) 一种安全锁
CN215164995U (zh) 一种基于物联网的安全门禁通道闸
JP2003208671A5 (ko)
KR101024221B1 (ko) 해정수단을 갖는 비상문
KR820000351B1 (ko) 키이식 핀 텀블러 자물쇠와 이에 사용하는 키이
KR200223443Y1 (ko) 셔터용 자물쇠
KR200307405Y1 (ko) 도난 방지용 자동차 도어 잠금 장치의 구조
JP2004124555A (ja) 防犯機能強化扉
KR200425296Y1 (ko)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JPH09158572A (ja) 開扉阻止用ポールロック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