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4221B1 - 해정수단을 갖는 비상문 - Google Patents

해정수단을 갖는 비상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4221B1
KR101024221B1 KR1020090087849A KR20090087849A KR101024221B1 KR 101024221 B1 KR101024221 B1 KR 101024221B1 KR 1020090087849 A KR1020090087849 A KR 1020090087849A KR 20090087849 A KR20090087849 A KR 20090087849A KR 101024221 B1 KR101024221 B1 KR 101024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locking
emergency
emergency door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7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9961A (ko
Inventor
김수엽
김용부
김성군
Original Assignee
김수엽
김성군
김용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엽, 김성군, 김용부 filed Critical 김수엽
Priority to KR1020090087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4221B1/ko
Publication of KR20110029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9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1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anic or emergency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10Illuminating devices on or for locks or keys; Transparent or translucent lock parts; Indicator 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79Locks with audio features
    • E05B17/0083Sound emitting devices, e.g. loudspeak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pecial W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비상문의 잠금수단에 커버를 파손해야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정수단을 설치하고, 이 해정수단을 사용하기 위해 커버를 파손하는 경우 비상문의 위치를 알려주는 경보수단이 작동되게 하여 화재와 같은 비상 상황시에는 누구나 커버를 파손하고 해정수단을 사용하여 신속히 대피할 수 있으며, 평상시 커버를 파손하는 경우 재물손괴 등을 이유로 법률적 처벌을 면할 수 없게 함으로써 강력한 출입 통제 수단이 되도록 하여 비상문을 잠가 놓는데서 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 해정수단을 갖는 비상문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비상문, 해정

Description

해정수단을 갖는 비상문{omitted}
본 발명은 화재와 같은 비상 상황시 커버를 파손 시키면 비상문의 위치를 안내하는 음성 메시지가 출력되는 동시에 해정 수단을 이용하여 비상문을 열고 신속히 대피할 수 있도록 한 해정 수단을 갖는 비상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화재와 같은 비상 상황에서 외부로 대피할 수 있는 비상문을 설치하도록 법제화 되어있다. 이러한 비상문은 평상시에도 실내에서 신속히 열 수 있도록 잠금 수단을 해정 시켜두어야 한다.
그런데 비상문을 법규에 규정된 것과 같이 평상시에도 열어 두는 경우 비상문을 통해 출입하는 외부인을 통제할 수 없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잠금수단을 잠그고 해정수단을 건물 관리자가 보관 및 관리하고 있으나 이는 비상 상황시 건물 관리자가 없는 경우 비상문을 통해 대피가 신속히 이루어지지 못하게 됨으로써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될 수 밖에 없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 때문에 종래에는 화재 발생 감지 센서가 시건 장치에 연결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자동으로 해정되거나 잠기지 않은 비상문에 사람이 접근하게 되면 경보수단이 작동하여 비상시가 아니면 비상문으로 출입하는 것을 제한 하도록 한 발명이 제안된바 있으나 전자의 경우에는 비상문을 건물의 화재 대응 시스템과 연계 시켜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고 감지센서가 화재를 감지하기 전까지는 비상문을 이용할 수 없었으며, 후자는 비상문과 관리실의 위치가 떨어져 있는 경우 경보수단을 무시하고 출입하더라도 열린 상태의 비상문을 열고 나간 행위 자체를 법률적으로 처벌하기 어려워 강제적인 통제수단이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비상문의 잠금수단에 커버를 파손해야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정수단을 설치하고, 이 해정수단을 사용하기 위해 커버를 파손하는 경우 비상문의 위치를 알려주는 경보수단이 작동되게 하여 화재와 같은 비상 상황시에는 누구나 커버를 파손하고 해정수단을 사용하여 신속히 대피할 수 있으며, 평상시 커버를 파손하는 경우 재물손괴 등을 이유로 법률적 처벌을 면할 수 없게 함으로써 강력한 출입 통제 수단이 되도록 하여 비상문을 잠가 놓는데서 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 해정수단을 갖는 비상문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록킹 본체에 축설된 작동구의 작동부가 홈부에 끼워져 잠금쇠 부재가 좌우로 이동되도록 구성된 도어록 장치를 포함하는 해정수단을 갖는 비상문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에 돌출 형성된 돌출봉; 상기 돌출봉이 끼워지는 장공이 한쪽에 형성되고 다른쪽에는 통공을 갖는 절곡부가 형성된 해정부재; 상기 록킹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잠금쇠 부재의 후방에 위치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의 중간에 형성된 끼움홈부; 상기 장착부의 양쪽 끝에 형성된 관통공; 걸림공이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걸림판재; 중간에 상기 걸림공에 대응하는 걸림홈과 고정링이 끼워지는 지지홈이 형성되고 한쪽 끝에는 상기 통공보다 직경이 큰 당김부가 형성되어 상기 통공으로부터 관통공에 끼워지게 설치되는 해정로드; 상기 고정링과 통공사이에 설치된 해정스프링; 상 기 록킹 본체의 커버를 통해 도어록 외부케이스의 정면으로 돌출되어 걸림판재를 눌러줄 수 있도록 설치된 해정버튼; 파손시 상기 해정버튼을 누를 수 있도록 상기 외부케이스에 고정설치된 해정커버;로 이루어진 해정수단을 갖는 비상문에 의하여 달성되어진다.
이와같이 된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열쇠 또는 비밀번호,카드 등의 잠금수단을 이용하여 비상문을 잠가 두더라도 비상 상황시에는 해정커버를 파손하고 해정버튼을 누르는 것만으로 비상문을 열고 신속히 대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평상시에는 비상문을 통한 출입 통제가 가능한 동시에 비상시에도 비상문으로서의 역활을 충족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문(10) 내부에 설치된 도어록 장치와 비상문(10)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도어록 장치를 작동시키는 외부케이스(20)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록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본체(30)에 축설된 작동구(40)의 작동부(41)가 홈부(51)에 끼워져 잠금쇠부재(50)를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비상문(10)을 괘해정 시키게 된다.
상기 작동구(40)와 잠금쇠부재(50)는 도어록의 형식에 따라 열쇠 또는 키패 드의 비밀번호,카드 등에 의해하여 구동되는 모터 및 솔레노이드에 의해 작동되는 공지의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부(41)에 상부로 돌출 형성된 돌출봉(42); 상기 돌출봉(42)이 끼워지는 장공(61)이 한쪽에 형성되고 다른쪽에는 통공(63)을 갖는 절곡부(62)가 형성된 해정부재(60); 상기 록킹 본체(30)에 형성되어 상기 잠금쇠 부재(50)의 후방에 위치하는 장착부(31); 상기 장착부(31)의 중간에 형성된 끼움홈부(32); 상기 장착부(31)의 양쪽 끝에 형성된 관통공(33)(34); 걸림공(71)이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부(32)에 끼워진 상태에서 스프링(72)에 의해 지지되는 걸림판재(70); 중간에 상기 걸림공(71)에 대응하는 걸림홈(81)과 고정링(83)이 끼워지는 지지홈(82)이 형성되고 한쪽 끝에는 상기 통공(63)보다 직경이 큰 당김부(84)가 형성되어 상기 통공(63)으로부터 관통공(34)에 끼워지게 설치되는 해정로드(80); 상기 고정링(83)과 통공(63)사이에 설치된 해정스프링(85); 상기 록킹 본체(30)의 커버(35)를 통해 외부케이스(20)의 정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판재(70)를 눌러줄 수 있도록 설치된 해정버튼(21); 파손시 상기 해정버튼(21)을 누를 수 있도록 상기 외부케이스(20)에 고정설치된 해정커버(22);로 이루어진 해정수단을 갖는 비상문에 관한 것이다.
상기 외부케이스(20) 또는 해정커버(22)에는 평상시 파손할 경우 관련 법규에 의해 처벌될 수 있으므로 비상시에만 파손하라는 취지의 문구 또는 표시가 식별 가능하게 인쇄된다.
상기 해정부재(60)의 통공(63)은 해정로드(80)가 자유롭게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당김부(84)의 직경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작동구(40)에 의해 잠금쇠부재(50)가 좌우로 이동하는데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걸림공(71)은 해정로드(8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스프링(72)의 복원력에 의해 걸림홈(81)에 걸림공(71)부위가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해정스프링(85)은 고정링(83)의 위치에 의해 압축된 상태가 된다.
상기 고정링(83)은 C자 모양으로 제작되어 지지홈(82)에 끼워진 상태에서 해정스프링(85)를 지지하는 역활을 하며, 상기 해정로드(80)는 잠금쇠부재(50)가 잠김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해정부재(60)의 절곡부(62)에 당김부(84)가 인접한 위치에 있는 길이를 갖는다.
이와같이 된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열쇠 또는 모터,솔레노이드에 의해 록킹본체(30)에 축설된 작동구(40)가 회전하게 되면 작동부(41)가 홈부(51) 양쪽을 밀어 잠금쇠부재(50)가 록킹본체(30)로부터 출몰하게 된다.
평상시에는 작동구(40)를 회전시켜 잠금쇠부재(50)가 록킹본체(30)로부터 돌출되어 비상문(10)이 잠금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외부인의 출입을 통제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돌출봉(42)은 장공(61)을 따라 안내됨으로써 도 3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정부재(60)는 작동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화재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된 경우 외부케이스(20)에 설치된 해정커버(22)를 파손하고 해정버튼(21)을 누르게 되면 걸림판재(70)가 이동하여 걸림공(71) 부위에 걸려있던 걸림홈(81)이 도 5a.b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빠지게 된다.
이렇게 걸림공(71) 부위에 걸려있던 걸림홈(81)이 빠지게 되면 장착부(31)와 고정링(83)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설치된 해정스프링(85)의 복원력에 의해 해정로드(80)가 후퇴된다. 이때 해정로드(80)의 한쪽 끝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34)를 통해 비상문(10)의 내부로 돌출된다.
해정로드(80)가 후퇴되면 통공(63)보다 직경이 큰 당김부(84)에 의해 해정부재(60)가 후퇴되고, 이에따라 작동구(40)가 해정위치로 회전하여 걸림턱(52) 위치의 작동부(41)가 홈부(51)를 밀어 잠금쇠부재(50)를 후퇴시킴으로써 비상문(10)이 해정되어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해정커버(22)는 그 자체가 파손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도 8a,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정커버(22)에 외력에 의해 결합부위가 파손되어 해정버튼(21)를 누를 수 있도록 하는 파손부(23)를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8a는 해정커버(22)와 일체로 형성되어 파손부(23)가 외력이 가해졌을 때 절단되는 절취부(24)를 갖도록 한 것이고, 도 8b는 파손부(23)를 상기 해정커버(22)의 내측에 접착제(25)로 부착하여서 된 것이며, 도 8c는 해정커버(22)의 테이퍼공(26)에 파손부(23)를 내측에서 압입 설치하여서 된 실시예를 각각 보인 것이다.
도 9는 상기 외부케이스(20)에 평상시 비상문(1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역활을 하는 엘이디(27)와, 해정버튼(21)을 누르게 되면 온되는 스위치(28a)에 의해 점멸하는 유도용 엘이디(28) 및 상기 스위치(28a)에 의해 비상문(10)의 위치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29)가 더 구비된 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써 본 발 명은 이외에도 비상시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해주는 공지의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은 해정버튼(21)의 하부에 상기 스위치(28a)를 설치한 상태를 보인 다양한 실시예중 한가지를 보인 예시도이다.
상기 엘이디(27)는 평상시에도 점등되어 비상문(10)의 위치를 인식시키고 주위를 환기시켜 비상시 대응요령을 숙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역활을 하며, 유도용 엘이디(28)는 비상시 점멸됨으로써 음성신호와 함께 비상시 대피로를 안내하는 역활을 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공지의 록킹장치에 해정커버(10)를 파손시키지 않고는 해정버튼(21)을 작동시키지 못하도록 한 비상해정수단을 부가함으로써 평상시에는 비상해정수단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으면서도, 비상시에는 해정커버(22)를 파손하여 해정버튼(21)을 눌러주는 것만으로 비상문(10)을 해정시켜 신속히 대피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상문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록킹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해정버튼에 의해 작동되는 해정로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a,b는 본 발명의 록킹장치가 평상시 작동되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5a,b는 본 발명의 해정로드가 작동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해정버튼에 의해 누름판재가 눌려지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7는 본 발명의 록킹장치가 비상시 해정되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8a,b,c는 본 발명의 해정커버를 보인 실시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유도용 엘이디를 설치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유도용 엘이디 작동스위치를 보인 실시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비상문 20 : 외부케이스
21 : 해정버튼 22 : 해정커버
23 : 파손부 30 : 록킹부재
40 : 작동구 42 : 돌출봉
50 : 잠금쇠부재 60 : 해정부재
70 : 걸림판재 80 : 해정로드

Claims (2)

  1. 록킹 본체(30)에 축설된 작동구(40)의 작동부(41)가 홈부(51)에 끼워져 잠금쇠부재(50)가 좌우로 이동되도록 구성된 도어록 장치를 포함하는 해정수단을 갖는 비상문에 있어서,상기 작동부(41)에 상부로 돌출 형성된 돌출봉(42); 상기 돌출봉(42)이 끼워지는 장공(61)이 한쪽에 형성되고 다른쪽에는 통공(63)을 갖는 절곡부(62)가 형성된 해정부재(60); 상기 록킹 본체(30)에 형성되어 상기 잠금쇠 부재(50)의 후방에 위치하는 장착부(31); 상기 장착부(31)의 중간에 형성된 끼움홈부(32); 상기 장착부(31)의 양쪽 끝에 형성된 관통공(33)(34); 걸림공(71)이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부(32)에 끼워진 상태에서 스프링(72)에 의해 지지되는 걸림판재(70); 중간에 상기 걸림공(71)에 대응하는 걸림홈(81)과 고정링(83)이 끼워지는 지지홈(82)이 형성되고 한쪽 끝에는 상기 통공(63)보다 직경이 큰 당김부(84)가 형성되어 상기 통공(63)으로부터 관통공(34)에 끼워지게 설치되는 해정로드(80); 상기 고정링(83)과 통공(63)사이에 설치된 해정스프링(85); 상기 록킹 본체(30)의 커버(35)를 통해 외부케이스(20)의 정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판재(70)를 눌러줄 수 있도록 설치된 해정버튼(21); 파손시 상기 해정버튼(21)을 누를 수 있도록 상기 외부케이스(20)에 고정 설치된 해정커버(22);로 이루어진 해정수단을 갖는 비상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20)에 평상시 비상문(10)의 위치를 확 인할 수 있게 하는 역활을 하는 엘이디(27)와, 해정버튼(21)을 누르게 되면 온되는 스위치(28a)에 의해 점멸하는 유도용 엘이디(28)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정수단을 갖는 비상문.
KR1020090087849A 2009-09-17 2009-09-17 해정수단을 갖는 비상문 KR101024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849A KR101024221B1 (ko) 2009-09-17 2009-09-17 해정수단을 갖는 비상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849A KR101024221B1 (ko) 2009-09-17 2009-09-17 해정수단을 갖는 비상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961A KR20110029961A (ko) 2011-03-23
KR101024221B1 true KR101024221B1 (ko) 2011-03-29

Family

ID=43939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7849A KR101024221B1 (ko) 2009-09-17 2009-09-17 해정수단을 갖는 비상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42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777B1 (ko) * 2010-09-06 2013-02-28 김수엽 비상문의 잠금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1018A (ko) * 2002-05-24 2003-12-01 주식회사 정화테크 해정으로만 개방되는 상자형 도어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1018A (ko) * 2002-05-24 2003-12-01 주식회사 정화테크 해정으로만 개방되는 상자형 도어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777B1 (ko) * 2010-09-06 2013-02-28 김수엽 비상문의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961A (ko) 201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50381B1 (en) Mortice locking device
EP1991748B1 (en) A door strike
KR101024221B1 (ko) 해정수단을 갖는 비상문
JP2001336326A (ja) 自動解錠機能を備えたドア開放装置及びドア開放システム
ES2266290T3 (es) Modulo de seguridad.
KR200333141Y1 (ko) 방범용 창문커버
KR20110020367A (ko) 해정 수단을 갖는 비상문
JP5014057B2 (ja) 玄関ドア
KR20180055426A (ko) 도어락의 래치 조립체
AU585255B2 (en) Retaining assemblies
NO345934B1 (en) Emergency exit button for doors
JP4913413B2 (ja) 施錠装置および施錠方法
KR101588125B1 (ko) 도어 잠금 해제장치
KR101237777B1 (ko) 비상문의 잠금장치
KR200478761Y1 (ko) 화재경보기와 개폐장치가 연동되는 탈출 안전 방범창
JP4812490B2 (ja) 引き戸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0396880Y1 (ko) 비상탈출 방범창
KR200190963Y1 (ko) 도어용 보조 자물쇠
KR200410037Y1 (ko) 소화설비의 기동장치
KR20130068351A (ko) 비상문의 잠금장치
JPH0826701B2 (ja) ドア掛けロックの施解錠装置
KR900004004Y1 (ko) 비상구 문의 자동 개방장치
KR200147287Y1 (ko) 셔터의 잠금장치
JP2002256754A (ja) 防災用自閉引き戸の係止装置
US7071818B2 (en) Device used for protecting a car against thiev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