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3443Y1 - 셔터용 자물쇠 - Google Patents

셔터용 자물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3443Y1
KR200223443Y1 KR2020000032531U KR20000032531U KR200223443Y1 KR 200223443 Y1 KR200223443 Y1 KR 200223443Y1 KR 2020000032531 U KR2020000032531 U KR 2020000032531U KR 20000032531 U KR20000032531 U KR 20000032531U KR 200223443 Y1 KR200223443 Y1 KR 2002234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main body
interval
protective cap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5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수
Original Assignee
신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수 filed Critical 신현수
Priority to KR20200000325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4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4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443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셔터용 자물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 U ' 형으로 절곡되어 양측 외주면에 수 개의 걸림홈(22)을 형성한 괘정간(20)이 본체(10)에 형성된 괘정간삽입공(12)에 끼워져 본체(10) 내부에 탄설된 괘정핀(70)에 의해 괘정되게하며 해정시에는 괘정간(20)이 본체(10)에서 완전히 이탈되게 구성한 자물쇠에 있어서; 자물쇠 본체(10)의 외부에 본체(10)와 일체로 되는 보호캡(30)을 형성하되 보호캡(30)의 상부에는 본체(10)의 괘정간삽입공(12)과 열쇠투입공(14)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노출부(32)를 형성하고 보호캡(30)의 하부에는 괘정간(20)이 투입가능케 개방하되 보호캡(30)의 일측단에는 단턱부(34)를 형성하며, 본체(10) 하부에서 상부로 완전히 관통된 괘정간삽입공(12)에 끼워지는 괘정간(20)은 일측 단부를 길게 형성하여서 된 손잡이부(24)가 괘정간삽입공(12)의 상부로 노출되게 하므로서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자물쇠의 괘정간과 이 괘정간이 끼워져 셔터의 잠금체결이 되게하는 자물쇠체결판의 외부노출을 방지하므로서 절단기등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여 보다 견고하고 안전한 자물쇠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셔터용 자물쇠 {LOCK FOR SHUTTER}
본 고안은 셔터용 자물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물쇠본체의 외부에 자물쇠본체와 본체에 결합되어 괘정되는 괘정간, 그리고 괘정간이 끼워지는 장석의 자물쇠체결판까지 은폐시킬 수 있는 보호캡을 형성하여 절단기나 쇠톱등에 의한 괘정간이나 자물쇠체결판의 파손을 방지하므로서 보다 견고하고 안전한 자물쇠를 얻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외부 출입구에 많이 설치되는 셔터를 잠그기 위해서는 셔터에 전용잠금장치를 설치하거나 또는 셔터하부판에 장공을 형성하여 지면에 매설된 장석의 자물쇠체결판이 셔터하부판에 형성된 장공에 끼워지게 한 후 이 자물쇠체결판에 형성된 체결공에 자물쇠의 괘정간을 끼워서 괘정간을 자물쇠본체에 괘정시키므로서 셔터가 잠기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전자의 전용잠금장치는 설치비용이 많이들기때문에 일반적인 자물쇠를 이용하여 셔터를 잠그는 후자의 방법이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자물쇠를 이용하여 셔터를 잠글경우 자물쇠의 괘정간과 이 괘정간이 끼워지는 장석의 자물쇠체결판이 외부로 노출되기때문에 절단기를 이용하면 괘정간이나 자물쇠체결판을 쉽고 빠르게 절단할 수 있게 되므로서 자물쇠가 잠금장치로서의 제역활을 수행하지 못하게되고 이로인한 도난 사고도 매우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자물쇠본체의 외부에 자물쇠본체와 일체로 되는 보호캡을 형성하여 자물쇠를 이용해 셔터를 잠그게되면 자물쇠본체에 괘정되는 괘정간뿐 만 아니라 괘정간이 끼워지는 자물쇠체결판까지도 보호캡에 의해 씌워져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하므로서 절단기등을 이용한 자물쇠의 절단이나 해제를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자물쇠를 이용해 셔터를 잠근 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자물쇠가 열렸을때 셔터가 열리는 것을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괘정간의 괘정을 나타낸 평면 부분파절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자물쇠에 의해 셔터가 잠긴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자물쇠를 일반적인 문을 잠그기 위해 사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2 : 괘정간삽입공
14 : 열쇠투입공 20 : 괘정간
22 : 걸림홈 24 : 손잡이부
30 : 보호캡 32 : 노출부
34 : 단턱부 40 : 장석
42 : 자물쇠체결판 42a : 체결공
50 : 셔터 52 : 셔터하부판
52a : 장공 60 : 열쇠
' U ' 형으로 절곡되어 양측 외주면에 수 개의 걸림홈(22)을 형성한 괘정간(20)이 본체(10)에 형성된 괘정간삽입공(12)에 끼워져 본체(10) 내부에 탄설된 괘정핀(70)에 의해 괘정되게하며 해정시에는 괘정간(20)이 본체(10)에서 완전히 이탈되게 구성한 자물쇠에 있어서; 자물쇠 본체(10)의 외부에 본체(10)와 일체로 되는 보호캡(30)을 형성하되 보호캡(30)의 상부에는 본체(10)의 괘정간삽입공(12)과 열쇠투입공(14)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노출부(32)를 형성하고 보호캡(30)의 하부에는 괘정간(20)이 투입가능케 개방하되 보호캡(30)의 일측단에는 단턱부(34)를 형성하며, 본체(10) 하부에서 상부로 완전히 관통된 괘정간삽입공(12)에 끼워지는 괘정간(20)은 일측 단부를 길게 형성하여서 된 손잡이부(24)가 괘정간삽입공(12)의 상부로 노출되게 한 구조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셔터(50)를 잠글 때 셔터하부판(52)의 장공(52a)을 관통하여 자물쇠가 체결되는 자물쇠체결판(42)과 이 자물쇠체결판(42)의 체결공(42a)에 끼워져 본체(10)에 괘정되는 괘정간(20)이 자물쇠 본체(10)의 외부에 형성된 보호캡(30)에 의해 완전히 은폐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되므로서 절단기를 이용한 자물쇠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셔터(50)를 잠그고자할때에는 첨부도면 도 3과 같이 셔터하부판(52)이 지면에 닿도록 셔터(50)를 완전히 내린 후 지면에 설치된 장석(40)의 자물쇠체결판(42)이 셔터하부판(52)에 형성된 장공(52a)을 관통하게한다.
그리고나서 자물쇠 본체(10)에서 이탈된 괘정간(20)을 자물쇠체결판(42)에 형성된 체결공(42a)에 끼워서 괘정간(20)의 양측 단부가 상향으로 향하도록 한 후 이 괘정간(20)의 양단부가 자물쇠 본체(10)의 괘정간삽입공(12)에 끼워지도록 괘정간(20)과 본체(10)를 결합하게되는데, 이때 괘정간(20)의 일측 단부는 길게 형성되어 이 부분에 손잡이부(24)가 형성되어있으며 본체(10)에 형성되는 괘정간삽입공(12)은 하부에서 상부로 완전히 관통되어 있기때문에 괘정간(2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손잡이부(24)가 괘정간삽입공(12)을 관통하여 상부로 노출되므로서 상용자는 이 손잡이부(24)를 잡고 괘정간(20)을 잡아당길 수 있게되어 괘정간(20)과 본체(10)를 보다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괘정간(20)과 본체(10)의 결합이 완료되면 본체(10) 상부에 형성된 열쇠투입공(14)으로 열쇠(60)를 투입하여 괘정핀(70)을 작동시켜 괘정핀(70)이 괘정간(20)의 걸림홈(22)으로 투입되어 걸리게 하므로서 괘정간(20)이 괘정되어 괘정시키므로서 자물쇠가 잠겨지게되는데, 이때 본체(10)의 외부에는 본체(10)와 일체로 된 보호캡(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보호캡(30)의 일측단에는 단턱부(34)가 형성되어 있어서 보호캡(30)을 지면에 밀착시키면 상기의 단턱부(34)에 셔터하부판(52)이 끼워지게 되므로서 보호캡(30)의 저면은 지면과 완전히 밀착할 수 있게되고 이로인해 지면에 설치된 장석(40)의 자물쇠체결판(42)과 이 자물쇠체결판(42)이 체결공(42a)에 끼워진 괘정간(20)의 굴곡부가 모두 보호캡(30)에 의해 덮어씌워져 은폐되므로서 외부로 전혀 노출이 되지않기때문에 절단기나 쇠톱등에 의한 괘정간(20)이나 자물쇠체결판(4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자물쇠는 셔터용으로만 한정하는것은 아니며 첨부도면 도 6 에서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장석(43)이 설치된 문을 잠글때 사용하여도 장석(43)이 끼워지는 고정고리(43a)와 괘정간(20)이 같이 은폐되어 위에서 언급한 반와 같이 절단기등으로 인한 자물쇠나 고정고리(43a)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자물쇠의 괘정간과 이 괘정간이 끼워져 셔터의 잠금체결이 되게하는 자물쇠체결판의 외부노출을 방지하므로서 절단기등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여 보다 견고하고 안전한 자물쇠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 U ' 형으로 절곡되어 양측 외주면에 수 개의 걸림홈(22)을 형성한 괘정간(20)이 본체(10)에 형성된 괘정간삽입공(12)에 끼워져 본체(10) 내부에 탄설된 괘정핀(70)에 의해 괘정되게하며 해정시에는 괘정간(20)이 본체(10)에서 완전히 이탈되게 구성한 자물쇠에 있어서; 자물쇠 본체(10)의 외부에 본체(10)와 일체로 되는 보호캡(30)을 형성하되 보호캡(30)의 상부에는 본체(10)의 괘정간삽입공(12)과 열쇠투입공(14)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노출부(32)를 형성하고 보호캡(30)의 하부에는 괘정간(20)이 투입가능케 개방하되 보호캡(30)의 일측단에는 단턱부(34)를 형성하며, 본체(10) 하부에서 상부로 완전히 관통된 괘정간삽입공(12)에 끼워지는 괘정간(20)은 일측 단부를 길게 형성하여서 된 손잡이부(24)가 괘정간삽입공(12)의 상부로 노출되게 한 구성으로 된 셔터용 자물쇠
KR2020000032531U 2000-11-21 2000-11-21 셔터용 자물쇠 KR2002234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531U KR200223443Y1 (ko) 2000-11-21 2000-11-21 셔터용 자물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531U KR200223443Y1 (ko) 2000-11-21 2000-11-21 셔터용 자물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3443Y1 true KR200223443Y1 (ko) 2001-05-15

Family

ID=73091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531U KR200223443Y1 (ko) 2000-11-21 2000-11-21 셔터용 자물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44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5090A (en) Cylinder lock
US2883850A (en) Knob locking device
US5572890A (en) High security lock system including cover plate
US20060096345A1 (en) Safety cylinder assembly for lock
KR200223443Y1 (ko) 셔터용 자물쇠
US5297829A (en) Security lock for door
EP1024236A2 (en) Device for anchoring a protective boss for locks, particularly of the cylinder type
KR200318694Y1 (ko) 도어 잠금장치의 안전손잡이
KR200262091Y1 (ko) 강화 유리도어 보조잠금장치
JPH01299968A (ja) サイドバーロック装置
JP2869028B2 (ja) 錠前の不正解錠防止装置
KR200218026Y1 (ko) 현관문용 보조자물쇠
KR200407915Y1 (ko) 알림기능을 갖는 자물쇠
KR200371752Y1 (ko) 도어록의 데드볼트 강제 해정 방지 장치
KR960002903Y1 (ko) 키뭉치의 발취(拔取) 방지구조
KR200175232Y1 (ko) 도난방지 기능을 구비한 잠금 장치
KR100489443B1 (ko) 절단방지구를 구비한 잠금장치의 잠금걸림쇠
KR200182722Y1 (ko) 여닫이문 잠금장치
KR200355183Y1 (ko) 고정턱이 구비된 잠금 장치
KR200360348Y1 (ko) 복수층이 구비된 입설식 도어
KR860003645Y1 (ko) 부정 해정이 어려운 도어로크 설치구조
JP2005042521A (ja) 防犯プレートとこれを有する錠付きドア及び防犯器具
KR200392352Y1 (ko) 절단방지 기능을 가지는 셔터용 잠금장치
KR940007999Y1 (ko) 복수키를 사용하는 금고 자물쇠
KR900006925Y1 (ko) 셔더문의 쇄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