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8256B1 - 도어락 개폐용 복합 키 구조 - Google Patents

도어락 개폐용 복합 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8256B1
KR101498256B1 KR20130127563A KR20130127563A KR101498256B1 KR 101498256 B1 KR101498256 B1 KR 101498256B1 KR 20130127563 A KR20130127563 A KR 20130127563A KR 20130127563 A KR20130127563 A KR 20130127563A KR 101498256 B1 KR101498256 B1 KR 101498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mechanical
digital
mechanical key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7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웅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27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82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0017Key prof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26Use of special materials for key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Abstract

도어락 개폐용 복합 키 구조가 개시된다. 도어락 개폐용 복합 키 구조는 RFID 칩 및 RFID 안테나로 구성되는 디지털 키; 철제 재질로 형성되는 기계식 키; 및 상기 디지털 키와 상기 기계식 키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플라스틱 재질로 몰딩 처리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어락 개폐용 복합 키 구조{Complex key structure for controlling doorlock}
본 발명은 도어락 개폐용 복합 키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어락(doorlock)은 전기 에너지 또는 기계적 힘에 의해 구동되는 작동 매커니즘으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장치로서, 특히 현관이나 특정 공간의 출입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가 구비한 디지털 키와 RFID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여 인증이 완료되면 출입문이 개방되도록 하는 디지털 도어락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2013-0021875(알에프 데이터 통신 및 카드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출입통제시스템) 등이 있다.
즉, 디지털 도어락에는 리더기, 송수신기, 액츄에이터 및 제어기가 구비될 수 있고, 리더기가 사용자가 구비한 디지털 키와 통신하여 획득한 인증에 필요한 정보는 송수신기를 통해 인증 서버로 전송되고, 인증 서버에서 정상적으로 인증이 완료되었음을 의미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액츄에이터를 구동시켜 출입문이 개방되도록 동작된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도어락은 구동을 위해 자체 전원을 구비하거나 외부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배터리 방전, 화재나 정전 등의 사유로 디지털 키를 이용한 잠금 상태 해제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고, 정전 등의 경우 잠금 상태가 무조건 해제 상태로 전환되어 보안 유지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도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들은 긴급 대피 사유가 발생된 경우 잠금 상태 해제가 이루어지지 않아 댁내로의 신속한 대피가 곤란해지는 문제점의 원인이 될 수 있고, 또한 잠금 상태가 유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외부로부터의 침입에 취약해지는 문제점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어락 전원 공급 등의 문제로 인해 잠금 상태가 해제되지 않거나 잠금 상태로 전환되지 않는 경우 복합 키의 일 영역을 기계식 키로 분리하여 잠금 상태의 해제 또는 잠금 상태 전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락 개폐용 복합 키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합 키를 파손하여 기계식 키를 분리한 경우 파손된 복합 키의 디지털 키는 도어락 전원 공급이 재개된 이후에도 키로서 기능하지 않도록 하여 보안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도어락 개폐용 복합 키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RFID 칩 및 RFID 안테나로 구성되는 디지털 키; 철제 재질로 형성되는 기계식 키; 및 상기 디지털 키와 상기 기계식 키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플라스틱 재질로 몰딩 처리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기계식 키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기계식 키의 둘레면을 따라 절취부가 형성되는 도어락 개폐용 복합 키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 디지털 키와 상기 기계식 키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복층 구조로 배치되고, 상기 기계식 키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RFID 안테나의 전기적 연결 상태가 끊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RFID 안테나의 일측이 상기 절취부에 의해 구획된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키와 RFID 통신을 수행하는 디지털 도어락은 구동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기계식 키에 의한 개폐 조작이 제한되도록 상기 기계식 키에 의해 개폐 조작되는 기계식 개폐부에 대한 잠금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락 전원 공급 등의 문제로 인해 잠금 상태가 해제되지 않거나 잠금 상태로 전환되지 않는 경우 복합 키의 일 영역을 기계식 키로 분리하여 잠금 상태의 해제 또는 잠금 상태 전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합 키를 파손하여 기계식 키를 분리한 경우 파손된 복합 키의 디지털 키는 도어락 전원 공급이 재개된 이후에도 키로서 기능하지 않도록 하여 보안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키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A-B 단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키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B 단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 키를 형성하는 하우징(110) 내부에는 디지털 키(120)와 기계식 키(130)가 각각 배치된다.
디지털 키(120)와 기계식 키(130)를 포함하는 복합 키에 의해 개폐조작되는 디지털 도어락(도시되지 않음)은 예를 들어 디지털 키(120)와 근거리 통신 방식(예를 들어 RFID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여 전자식으로 개폐 조작하는 디지털 개폐부와 기계식 키(130)가 키통의 키 삽입구에 삽입되어 개폐 조작되도록 하는 기계식 개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자체 전원 또는 외부 전원에 의해 디지털 도어락이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상태(즉, 디지털 개폐부가 구동되는 상태)라면, 디지털 키(120)를 통해서만 개폐 조작이 수행되고 기계식 개폐부에 의해서는 개폐 조작이 수행되지 않도록 제한하기 위해 디지털 개폐부는 기계식 개폐부에 대한 잠금 설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잠금 설정은 예를 들어 키 삽입구에 삽입된 기계식 키가 도어락이 개방 조작되지 않는 소정의 각도까지만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 저항 부재가 배치되도록 하는 방법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자체 전원 방지 또는 정전 등의 이유로 디지털 도어락이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으면 전술한 회전 저항 부재가 기준 위치로 복귀되도록 구성되어 기계식 키(130)를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락의 개폐 조작이 가능하도록 디지털 도어락이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키(120)는 RFID(Radio Frequency Idntifier) 칩과 RFID 안테나로 구성되어 복합 키를 형성하는 하우징(110)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 내에는 기계식 키(130)가 더 삽입되고, 하우징(110) 내에 삽입된 디지털 키(120)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는 경우 하우징(110)으로부터 기계식 키(130)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계식 키(130)의 둘레면을 따라 절취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되는 기계식 키(130)의 두께가 키 삽입구의 폭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기계식 키(130)는 키통의 키 삽입구에 삽입되어 회전 조작 가능한 강도를 가지도록 하기 위해 예를 들어 철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복합 키를 형성하는 하우징(110)은 내부에 디지털 키(120)와 기계식 키(130)를 수용하기 위해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질로 몰딩 처리될 수 있다.
디지털 키(120)가 정상적으로 동작되지 않는 경우 하우징(110)으로부터 기계식 키(130)를 분리하여(도 1의 (b) 참조) 디지털 도어락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이때 디지털 키(120)가 파손(즉, 디지털 키(120)를 구성하는 RFID 안테나의 전기적 연결 차단)되어 동작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디지털 키(120)와 기계식 키(130)는 복층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의 A-B 단면의 구조가 도시된 도 2를 참조하면, 상부층인 제1 층에 디지털 키(120)를 형성하는 RFID 칩과 RFID 안테나가 배치되고, 그 하부층인 제2 층에 기계식 키(1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기계식 키(130)가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디지털 키(120)를 구성하는 RFID 안테나의 전기적 연결이 끊어져 디지털 키(120)가 더 이상 동작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RFID 안테나의 일 영역은 절취부(140)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강한 강도를 가지는 기계식 키(130)를 분리할 때 하우징(110)의 형성 재질인 플라스틱에 부착된 얇은 RFID 안테나 중 절취부(140) 내측에 배치된 RFID 안테나가 기계식 키(130)와 함께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2에는 상층에 디지털 키(120)가 배치된 경우가 예시되었으나, 기계식 키(130)가 상층에 배치되는 등 디지털 키(120)와 기계식 키(130)의 수직적 배치 순서가 이와 달라질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하우징 120 : 디지털 키
130 : 기계식 키 140 : 절취부

Claims (3)

  1. RFID 칩 및 RFID 안테나로 구성되는 디지털 키;
    철제 재질로 형성되는 기계식 키; 및
    상기 디지털 키와 상기 기계식 키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몰딩 처리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기계식 키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기계식 키의 둘레면을 따라 절취부가 형성되고,
    상기 디지털 키와 상기 기계식 키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복층 구조로 배치되며,
    상기 기계식 키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RFID 안테나의 전기적 연결 상태가 끊어지도록 상기 RFID 안테나의 일측이 상기 절취부에 의해 구획된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도어락 개폐용 복합 키 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키와 RFID 통신을 수행하는 디지털 도어락은 구동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기계식 키에 의한 개폐 조작이 제한되도록 상기 기계식 키에 의해 개폐 조작되는 기계식 개폐부에 대한 잠금 설정을 수행하는, 도어락 개폐용 복합 키 구조.
KR20130127563A 2013-10-25 2013-10-25 도어락 개폐용 복합 키 구조 KR101498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7563A KR101498256B1 (ko) 2013-10-25 2013-10-25 도어락 개폐용 복합 키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7563A KR101498256B1 (ko) 2013-10-25 2013-10-25 도어락 개폐용 복합 키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8256B1 true KR101498256B1 (ko) 2015-03-04

Family

ID=53026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7563A KR101498256B1 (ko) 2013-10-25 2013-10-25 도어락 개폐용 복합 키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82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86320B2 (ja) 2020-03-19 2023-11-2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メカニカルキー、カードキー及びメカニカルキーの製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7394A (ja) * 1994-05-27 1995-12-05 Tokai Rika Co Ltd 発信素子を備えたカードキー
KR100920199B1 (ko) * 2009-05-04 2009-10-06 송승진 도어용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7394A (ja) * 1994-05-27 1995-12-05 Tokai Rika Co Ltd 発信素子を備えたカードキー
KR100920199B1 (ko) * 2009-05-04 2009-10-06 송승진 도어용 잠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86320B2 (ja) 2020-03-19 2023-11-2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メカニカルキー、カードキー及びメカニカルキー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9959B2 (en) Locking device with configurable electrical connector key and internal circuit board for electronic door locks
EP3094797B1 (en) A key box
US7843312B2 (en) Wireless control of security system with key-operated key fob
US20240144757A1 (en) Keyless puck lock apparatus and system
US11238680B2 (en) Keyless puck lock apparatus and system
EP3245363A1 (en) Security device for integration into a security system
KR100855240B1 (ko) 디지털 모티스 록
CA2920552C (en) Locking device with configurable electrical connector key and internal circuit board for electronic door locks
US9316024B2 (en) Mechatronic locking device
US10352067B2 (en) Key monitoring door lock, door lock ke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498256B1 (ko) 도어락 개폐용 복합 키 구조
KR100742263B1 (ko) 무선 id를 갖는 열쇠를 이용한 전자 시건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10553088B2 (en) Security device for integration into a security system
CN104453546B (zh) 保险箱
AU2009287425A1 (en) A safe secure lock
ES2947190T3 (es) Una cerradura inteligente para accionar una cerradura de puerta y una instalación de alarma con dicha cerradura inteligente y una unidad central
KR102113881B1 (ko) 방범기능 및 방화기능이 개선된 도어락 시스템
EP3743577B1 (en) Striking plate assembly
CN204576638U (zh) 用于电子锁的主控板及电子锁的控制电路和系统
US20110193422A1 (en) Secure non-contact switch
EP2091024A2 (en) Safe with an electronic combination opening system and alarm combination
JP2007126950A (ja) 生体認証を用いた無線電子ロック装置
EP3913172B1 (en) Electromechanical lock
US20210404216A1 (en) Security system having an electronic lock to control access to electronic devices
CN208686288U (zh) 一种独立式密室保险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