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2411A - 레버형 도어록 - Google Patents

레버형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2411A
KR20020062411A KR1020010003393A KR20010003393A KR20020062411A KR 20020062411 A KR20020062411 A KR 20020062411A KR 1020010003393 A KR1020010003393 A KR 1020010003393A KR 20010003393 A KR20010003393 A KR 20010003393A KR 20020062411 A KR20020062411 A KR 20020062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dead bolt
bolt cam
rotation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3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4748B1 (ko
Inventor
김종수
Original Assignee
김종수
박경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수, 박경숙 filed Critical 김종수
Priority to KR10-2001-0003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4748B1/ko
Publication of KR20020062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2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4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47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17Locks with sliding bolt without provision for latc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선실도어나 가정용 현관문에 설치되는 레버형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데드볼트 캠의 회전에 따른 도어의 잠금조작과 구동레버의 회전에 따른 도어의 개폐조작을 하나의 공용플레이트 또는 하나의 슬라이더로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레버형 도어록의 전체적인 크기를 소형화시키고, 데드볼트 캠에는 보조키홀을 별도의 공간으로 형성하여 도어의 잠금조작에 사용되는 손잡이 레버와 키레버를 각각 다른 공간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서 도어의 두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레버형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레버형 도어록은, 케이스(2)의 내부 상측에는 키홀(32)을 구비하는 몸체의 양측에 지지단부(33)와 회전암(34)이 형성된 데드볼트 캠(31)과, 회전암(34)에 형성된 잠금레버(35)와, 지지단부(33)가 걸리게 되는 한 쌍의 멈춤핀(38,38a)과, 멈춤핀(38,38a)에서 지지단부(33)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누름스프링(36)으로 이루어지는 잠금장치(30)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2)의 내부 하측에는 결합공(41a)을 구비하는 몸체에 레버암(42)과 스토퍼(43)가 형성된 구동레버(41)와, 스토퍼(43)가 걸리게 되는 멈춤핀(44)과, 구동레버(41)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레버스프링(45)으로 이루어지는 개폐장치(40)가 설치되며, 상기 잠금장치(30)와 개폐장치(40)의 사이에는 데드볼트 캠(31)의 회전에 의하여 잠금레버(35)가 걸리게 되는 돌출핀(53)과, 구동레버(41)의 회전에 의하여 레버암(42) 선단이 걸리게 되는 걸림부(52)가 형성된 공용플레이트(50)가슬라이드(12)의 상면에 힌지결합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잠금장치(30)의 데드볼트 캠(31) 대신에 키홀(32)을 구비하는 몸체의 양측에 지지단부(33)와 회전체(304)가 형성되고, 회전체(304)의 단부에는 한 쌍의 지지홈(305)이 형성된 데드볼트 캠(301)을 사용하여, 전기한 회전체(304)의 지지홈(305)이 걸리게 되는 돌출핀(502)과, 구동레버(41)의 레버암(42) 선단이 걸리게 되는 돌출핀(501)을 슬라이더(12)의 상면에 각각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데드볼트 캠(31,301)의 키홀(32) 외부에는 한 쌍의 보조키홀(3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레버형 도어록{A lever type door lock}
본 발명은 선박의 선실도어나 가정용 현관문에 설치되는 레버형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데드볼트 캠의 회전에 따른 도어의 잠금조작과 구동레버의 회전에 따른 도어의 개폐조작을 하나의 공용플레이트 또는 하나의 슬라이더로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레버형 도어록의 전체적인 크기를 소형화시키고, 데드볼트 캠에는 보조키홀을 별도의 공간으로 형성하여 도어의 잠금조작에사용되는 손잡이 레버와 키레버를 각각 다른 공간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서 도어의 두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레버형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선실도어나 가정의 현관문 등에 설치되는 레버형 도어록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각형상의 케이스(2) 전방면에는 케이스 플레이트(3)가 설치되고, 전기한 케이스(2)의 내부에는 도어가 잠겨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 결합공(15a)에 결합되는 레버(1)의 회전에 따라 레칫(11)을 케이스 플레이트(3)의 전방면으로 출몰시켜 선실이나 현관문으로의 상시 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개폐장치와, 키홀(23a)을 구비하는 데드볼트 캠(23)의 회전에 따라 데드볼트(21)를 케이스 플레이트(3)의 전방면으로 출몰시켜 도어의 잠금상태와 열림상태를 선택적으로 조작하는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레버형 도어록의 개폐장치와 잠금장치의 구성은 도 2의 (가) 및 (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케이스(2)의 내부 하측에는 도어의 손잡이 역할을 하는 막대형상의 레버(1)가 결합공(15a)을 통하여 결합되는 구동레버(15)와, 전기한 구동레버(15)의 회전에 의하여 도면상에서 우측으로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더(12)와, 전기한 슬라이더(12)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원스프링(16)과, 슬라이더(12)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구동레버(15)의 회전력과 복원스프링(16)의 복원력에 의하여 케이스 플레이트(3)의 외부로 출몰되는 레칫(11)으로 이루어지는 개폐장치(1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의 내부 상측에는 키홀(23a)을 구비하는 데드볼트 캠(23)과, 전기한 데드볼트 캠(23)의 좌,우회전에 의하여 토션스프링(24)의 사점(死點)을 극복하면서 좌우로 슬라이딩되어 토션스프링(24)의 탄성력으로 지지되는 데드볼트 플레이트(22)와, 전기한 데드볼트 플레이트(22)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데드볼트 캠(23)의 좌,우회전에 따라 케이스 플레이트(3)의 외부로 출몰되는 데드볼트(21)로 이루어지는 잠금장치(20)가 설치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레버형 도어록은 구동레버(15)의 회전과 복원스프링(16)의 탄성력에 의한 슬라이더(12)의 회동으로 레칫(11)을 케이스 플레이트(3)의 전방면으로 출몰시키는 개폐조작과, 데드볼트 캠(23)의 회전에 의한 데드볼트 플레이트(22)의 회동으로 데드볼트(21)를 케이스 플레이트(3)의 전방면으로 출몰시키는 잠금조작이 별도의 작동관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레버형 도어록의 전체적인 크기를 소형화시키기가 매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서, 도어의 개폐장치(10)와 잠금장치(20)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 시켜 레버형 도어록의 크기를 다소 소형화시킬 수는 있으나, 개폐장치(10)에 사용되는 슬라이더(12)와 잠금장치(20)에 사용되는 데드볼트 플레이트(22) 및 각각의 장치에 사용되는 부가적인 부품들이 개폐조작과 잠금조작에 의한 작동과정에서 서로 간의 마찰이나 접촉이 없어야 하기 때문에 단순히 개폐장치(10)와 잠금장치(20) 사이의 거리를 줄이는 것 만으로는 레버형 도어록의 소형화에 한계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개폐장치(20)의 데드볼트 캠(23)에 형성된 키홀(23a)의 일측으로는 도어의 내부에서 손잡이를 사용하여 도어를 잠그거나 열 수 있도록 손잡이 뭉치에 설치된 손잡이 레버가 삽입되고, 키홀(23a)의 타측으로는 열쇠를 사용하여 도어의 외부에서 도어를 잠그거나 열 수 있도록 키 뭉치에 설치된 키 레버가 삽입되기 때문에 도어의 전체적인 두께가 키홀(23a)의 내부에 삽입되는 손잡이 레버와 키 레버 사이의 간격에 의하여 지장을 받게 된다.
다시 말해서, 레버형 도어록에 적용되는 데드볼트 캠(23)의 두께(= 키홀의 깊이)는 개략 16 ~ 18mm가 되는 데, 도어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지게 되면, 키홀(23a)의 내부로 손잡이 레버 또는 키 레버가 삽입되지 않게 되어 도어의 잠금조작을 수행할 수 없게 되며, 도어의 두께가 너무 얇게 되면 키홀(23a)의 내부에서 손잡이 레버와 키 레버가 서로 부딪히게 되어 도어의 잠금조작을 원할하게 수행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도어에 설치되는 손잡이 뭉치와 키 뭉치가 도어의 외부로 보기 흉하게 돌출기 때문에 도어의 두께 범위가 개략 20 ~ 30mm의 범위내로 한정되며, 이로 인하여 도어의 사용장소나 사용용도에 적합하도록 도어의 두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데드볼트 캠의 회전에 따른 도어의 잠금조작과 구동레버의 회전에 따른 도어의 개폐조작을 하나의 공용플레이트 또는 하나의 슬라이더로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레버형 도어록의 전체적인 크기를 소형화시키고, 데드볼트 캠에는 보조키홀을 별도의 공간으로 형성하여 도어의 잠금조작에 사용되는 손잡이 레버와 키레버를 각각 다른 공간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서 도어의 두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레버형 도어록은, 케이스의 내부 상측에는 키홀을 구비하는 몸체의 양측에 지지단부와 회전암이 형성된 데드볼트 캠과, 회전암에 형성된 잠금레버와, 지지단부가 걸리게 되는 한 쌍의 멈춤핀과, 멈춤핀에서 지지단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누름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잠금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 하측에는 결합공을 구비하는 몸체에 레버암과 스토퍼가 형성된 구동레버와, 스토퍼가 걸리게 되는 멈춤핀과, 구동레버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레버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개폐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잠금장치와 개폐장치의 사이에는 데드볼트 캠의 회전에 의하여 잠금레버가 걸리게 되는 돌출핀과, 구동레버의 회전에 의하여 레버암 선단이 걸리게 되는 걸림부가 형성된 공용플레이트가 슬라이드의 상면에 힌지결합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잠금장치의 데드볼트 캠 대신에 키홀을 구비하는 몸체의 양측에 지지단부와 회전체가 형성되고, 회전체의 단부에는 한 쌍의 지지홈이 형성된 데드볼트 캠을 사용하여, 전기한 회전체의 지지홈이 걸리게 되는 돌출핀과, 구동레버의 레버암 선단이 걸리게 되는 돌출핀을 각각 슬라이더의 상면에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데드볼트 캠의 키홀 외부에는 한 쌍의 보조키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레버형 도어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의 (가) 및 (나)는 종래의 레버형 도어록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레버형 도어록의 내부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4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레버형 도어록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레버형 도어록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의한 레버형 도어록이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
도 7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의한 레버형 도어록의 데드볼트 캠에 형성된 보조키홀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레버 2 : 케이스 3 : 케이스 플레이트
11 : 레칫 12 : 슬라이더 12a : 걸림부
13 : 가이드 공 14 : 가이드 핀 16 : 복원스프링
30 : 잠금장치 31 : 데드볼트 캠 32 : 키홀
32a : 보조키홀 33 : 지지단부 34 : 회전암
35 : 잠금레버 36 : 누름스프링 38,38a : 멈춤핀
39 : 지지핀 40 : 개폐장치 41 : 구동레버
41a : 결합공 42 : 레버암 43 : 스토퍼
44 : 멈춤핀 45 : 레버스프링 50 : 공용플레이트
51 : 힌지결합부 52 : 걸림부 53 : 돌출핀
54 : 토션스프링 60 : 키뭉치 61 : 키 레버
70 : 손잡이 뭉치 71,72 : 손잡이 레버 80 : 도어 플레이트
301 : 데드볼트 캠 304 : 회전체 305 : 지지홈
501,502 : 돌출핀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레버형 도어록의 내부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로서, 도면중 미설명 부호 11a는 레칫(11)의 고정핀을 나타내는 것이고, 16a, 36a, 51a 및 54a는 각각 복원스프링(16), 누름스프링(36), 공용플레이트(50) 및 토션스프링(54)이 삽입되는 핀을 나타내는 것이며, 45a는 레버스프링(45)의 지지판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레버형 도어록의 구성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각형의 케이스(2) 전방면에는 케이스 플레이트(3)가 설치되고, 케이스(2)의 내부 상측에는 데드볼트 캠(31)의 회전에 의하여 도어의 잠금조작을 수행하는 잠금장치(30)가 설치되며, 케이스(2)의 내부 하측에는 구동레버(41)의 회전에 의하여 도어의 개폐조작을 수행하는 개폐장치(40)가 설치된다.
상기의 잠금장치(30)는 키홀(32)을 구비하는 몸체의 양측에 지지단부(33)와 회전암(34)이 연장 형성된 데드볼트 캠(31)과, 전기한 데드볼트 캠(31)의 회전암(34) 하측면으로부터 회전암(34)과 단지게 연장 형성된 잠금레버(35)와, 전기한 데드볼트 캠(31)의 회전에 따라 데드볼트 캠(31)의 지지단부(33)가 걸리게 되는 한 쌍의 멈춤핀(38,38a)과, 전기한 데드볼트 캠(31)의 지지단부(33)를 멈춤핀(38,38a)에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누름스프링(3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데드볼트 캠(31)은 케이스(2)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전기한 데드볼트 캠(31)의 회전은 지지단부(33)가 걸리게 되는 한 쌍의 멈춤핀(38,38a)과 회전암(34)의 선단부가 걸리게 되는 지지핀(39)에 의하여 그 회전반경이 단속되며, 상기의 누름스프링(36)은 토션스프링의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서 일단이 케이스(2)의 내측면에서 지지되고, 타단이 데드볼트 캠(31)의지지단부(33)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핀(36a)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의 개폐장치(40)는 결합공(41a)을 구비하는 몸체에 레버암(42)과 스토퍼(43)가 연장 형성된 구동레버(41)와, 전기한 구동레버(41)의 스토퍼(43)가 걸리게 되는 멈춤핀(44)과, 전기한 구동레버(41)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구동레버(41)와 결합되는 레버스프링(4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구동레버(41)는 데드볼트 캠과(31) 마찬가지로 케이스(2)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전기한 구동레버(41)의 회전은 스토퍼(43)가 걸리게 되는 멈춤핀(44)에 의하여 그 회전반경이 단속되며, 상기의 레버스프링(45)은 코일스프링의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서 구동레버(41)의 회전에 따라 레버스프링(45)이 압축되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케이스(2)의 내측면과 지지판(45a)의 사이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한 잠금장치(30)와 개폐장치(40)의 사이에는 케이스 플레이트(3)의 전방면으로 출몰하는 레칫(11)이 고정핀(11a)에 의하여 몸체의 선단부에 결합되고, 몸체의 중앙부에는 가이드 공(13)이 형성된 슬라이더(12)가 전기한 가이드 공(13)에 삽입된 가이드 핀(14)과 복원스프링(16)의 탄성력에 의하여 가이드 공(13)을 따라 탄력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전기한 슬라이더(12)의 일측면에는 데드볼트 캠(31)의 회전에 따라 데드볼트 캠(31)의 회전암(34) 선단이 걸리게 되는 걸림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복원스프링(16)은 토션스프링의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서 일단은 레칫(11)의 결합부에서 지지되고 타단은 케이스(2)의 내측면에서 지지되도록핀(16a)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더(12)의 일측면은 데드볼트 캠(31)의 회전에 의한 회전암(34)의 회전반경을 고려하여 원호상으로 만곡되어 형성되고, 회전암(34)의 회전이 끝나는 부분에서 원호상으로 만곡되는 슬라이드(12)의 일측면이 돌출되어 상기한 걸림부(12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12)의 상면에는 데드볼트 캠(31)의 회전에 의하여 데드볼트 캠(31)의 잠금레버(35)가 걸리게 되는 돌출핀(53)이 몸체의 저부로 연장형성되고, 구동레버(41)의 회전에 의하여 구동레버(41)의 레버암(42) 선단이 걸리게 되는 걸림부(52)가 몸체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공용플레이트(50)가 설치된다.
상기의 공용플레이트(50)는 슬라이드(12)의 후방 상면에 고정된 핀(51a)에 힌지식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돌출핀(53)이 슬라이드(12)의 걸림부(12a) 전방에서 슬라이드(12)에 걸쳐지게 되어, 공용플레이트(50)는 힌지결합부(51)를 중심으로 도면상에서 시계방항(우회전)으로만 회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시계방향으로 회동된 공용플레이트(51)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슬라이더(12)와 공용플레이트(50)는 토션스프링(54)에 의하여 연결되어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레버형 도어록의 작용관계를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레버형 도어록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가)는 구동레버(41)의 회전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레버형 도어록의 개폐장치(40)를 작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나)는 데드볼트 캠(31)의 회전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레버형 도어록의 잠금장치(30)를 작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레버형 도어록의 개폐장치(40)에 대한 작용관계는 도 4의 (가)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결합공(41a)을 통하여 결합되는 레버(1)의 회전에 의하여 구동레버(41)가 도면상에서 우회전하게 되면, 구동레버(41)의 레버암(42)이 결합공(41a)을 중심으로 우회전하면서 레버암(42)의 선단이 공용플레이트(50)의 걸림부(52)에 걸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레버암(42) 선단이 공용플레이트(50)의 걸림부(52)에 걸린 상태로 계속 우회전하게 되면, 공용플레이트(50)는 힌지결합부(51)를 중심으로 좌회전하려는 성질을 띠게 되나, 공용플레이트(50)의 돌출핀(53)이 슬라이드(12)의 걸림부(12a) 전방에 걸쳐져 있어 실질적으로는 공용플레이트(50)의 좌회전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구동레버(41)의 우회전에 따라 공용플레이트(50)가 도면상에서 우측으로 당겨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공용플레이트(50)와 힌지결합된 슬라이더(12)가 가이드 공(13)을 따라서 도면상에서 우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슬라이더(12)의 전방에 결합된 레칫(11)이 케이스(2)의 내부로 들어가게 됨으로서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도어를 열고 실내로 들어간 후 도어를 닫기 위하여 레버(1)를 놓게 되면, 복원스프링(16)의 탄성력에 의하여 슬라이더(12)가 도면상에서 좌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원위치로 복귀됨과 동시에 레버스프링(45)의 탄성력에 의하여 구동레버(41)가 도면상에서 좌회전하여 구동레버(41)의 스토퍼(43)가 멈춤핀(44)에 걸리게 됨으로서 구동레버(41)가 원위치로 복귀되어 도어를 닫을 수 있는 작용관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레칫(11)이 결합된 상기의 슬라이드(12)는 구동레버(41)의 회전에 의하지 않고 레칫(11)이 밀리는 것에 의해서도 도면상에서 우측으로 회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도어가 완전히 닫히기 전에 슬라이드(12)가 원위치로 복귀되어 레칫(11)이 케이스 플레이트(3)의 외부로 돌출되더라도,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도어의 회전력에 의하여 레칫(11)에 형성된 경사면을 타고 레칫(11)이 문틈으로 밀려 들어가면서 도어가 자연적으로 닫힐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슬라이드(12)의 선단부에 데드볼트를 결합하여 사용하지 않고 레칫(11)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레칫(11) 대신에 데드볼트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도어가 완전히 닫히기 전에 슬라이드(12)가 원위치로 복귀되어 데드볼트가 케이스 플레이트(3)의 외부로 돌출되면,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데드볼트가 도시되지 않은 문틀에 부딪혀 도어를 자연적으로 닫을 수 없기 때문에, 도시되지 않은 문틀에 데드볼트가 삽입되어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된 홈을 통하여 데드볼트가 안전하게 삽입되도록 한 다음, 레버(1)를 놓아 도어를 닫아야 함으로서 도어의 개폐조작이 다소 번거롭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레버형 도어록의 잠금장치(30)에 대한 작용관계는 도 4의 (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시되지 않은 손잡이나 키의 회전에 의하여 데드볼트 캠(31)이 도면상에서 우회전하게 되면, 데드볼트 캠(31)의지지단부(33)가 누름스프링(36)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키홀(32)을 중심으로 우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데드볼트 캠(31)의 회전암(34)이 키홀(32)을 중심으로 슬라이드(12)의 일측에 형성된 원호상의 곡면을 따라 도면상에서 우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암(34)이 우회전하게 되면, 회전암(34)의 하측에서 회전암(34)과 일체로 형성된 잠금레버(35)가 공용플레이트(50)의 저부로 돌출된 돌출핀(53)에 걸리게 되며, 공용플레이트(50)는 슬라이드(12)에 고정된 핀(51a)을 중심으로 힌지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잠금레버(35)의 회전에 따라 공용플레이트(50)가 힌지결합부(51)를 중심으로 우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공용플레이트(50)가 힌지결합부(51)를 중심으로 우회전하게 되면, 공용플레이트(50)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부(52)가 구동레버(41)의 레버암(42) 회전반경으로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데드볼트 캠(31)의 지지단부(33)가 멈춤핀(38a)에서 누름스프링(36)에 의하여 지지되고, 데드볼트 캠(31)의 회전암(34) 선단부가 슬라이드(12)의 걸림부(12a)에 박히게 되는 도어의 잠금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도어의 잠금상태에서는 개폐장치(40)의 구동레버(41)가 회전되더라도 구동레버(41)의 레버암(42) 선단이 공용플레이트(50)의 걸림부(52)에 걸리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데드볼트 캠(31)의 지지단부(33)와 회전암(34)이 각각 멈춤핀(38a)과 슬라이드(12)의 걸림부(12a) 사이에서 견고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완력으로 문을 열거나, 얇은 판과 같은 물건을 문틈을 통하여 레칫(11) 부분으로 밀어넣게 되더라도, 레칫(11)이 우측방향으로 밀려나지 않게 되어 도어의 잠금상태를 안전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도어의 잠금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손잡이나 키의 회전에 의하여 데드볼트 캠(31)이 도면상에서 좌회전하게 되면, 데드볼트 캠(31)의 지지단부(33)가 누름스프링(36)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키홀(32)을 중심으로 좌회전하여 멈춤핀(38)에 걸리게 됨과 동시에 데드볼트 캠(31)의 회전암(34)이 키홀(32)을 중심으로 도면상에서 좌회전하여 회전암(34)의 선단부가 지지핀(39)에 걸리게 됨으로서 데드볼트 캠(31)이 원위치로 복귀된다.
상기와 같이 데드볼트 캠(31)이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과 동시에 공용플레이트(50)의 돌출핀(53)으로부터 잠금레버(35)가 이탈되고, 이로 인하여 공용플레이트(50)가 토션스프링(54)의 복원력에 의하여 힌지결합부(51)를 중심으로 도면상에서 좌회전하게 됨으로서, 도 4의 (가)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용플레이트(50)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부(52)가 구동레버(41)의 레버암(42) 회전반경상에 위치하게 되는 초기상태가 되어 도어의 개폐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작용관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레버형 도어록의 구성 및 작용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레버형 도어록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잠금장치(30)가 잠겨져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잠금장치(30)가 잠겨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레버형 도어록의 구성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잠금장치(30) 대신에 키홀(32)을 구비하는 몸체의 양측에 지지단부(33)와 회전체(304)가 형성된 데드볼트 캠(301)과, 전기한 회전체(304)의 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지지홈(305)과, 전기한 지지단부(33)가 걸리게 되는 한 쌍의 멈춤핀(38,38a)과, 전기한 멈춤핀(38,38a)에서 지지단부(33)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누름스프링(36)으로 이루어지는 잠금장치(30)가 케이스(2)의 내부상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12)의 상면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용플레이트(50) 대신에 상기 데드볼트 캠(31)의 회전에 따라 회전체(304)의 지지홈(305)이 걸리게 되는 돌출핀(502)과, 상기 구동레버(41)의 회전에 따라 구동레버(41)의 레버암(42) 선단이 걸리게 되는 돌출핀(501)이 각각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레버형 도어록의 개폐장치(40)와 잠금장치(30)에 대한 작용관계는, 5의 (가)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잠금장치(30)가 잠겨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 결합공(41a)을 통하여 결합되는 레버(1)의 회전에 의하여 구동레버(41)가 도면상에서 우회전하게 되면, 구동레버(41)의 레버암(42)의 선단이 슬라이드(12)의 돌출핀(501)에 결려있기 때문에 구동레버(41)의 회전에 따라 슬라이드(12)가 우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슬라이더(12)의 전방에 결합된 레칫(11)이 케이스(2)의 내부로 들어가게 됨으로서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도어를 열고 실내로 들어간 후 도어를 닫기 위하여 레버(1)를 놓게 되면, 복원스프링(16)의 탄성력에 의하여 슬라이더(12)가 도면상에서 좌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원위치로 복귀됨과 동시에 레버스프링(45)의 탄성력에 의하여 구동레버(41)가 도면상에서 좌회전하여 구동레버(41)의 스토퍼(43)가 멈춤핀(44)에 걸리게 됨으로서 구동레버(41)가 원위치로 복귀되어 도어를 닫을 수 있게 되어, 개폐장치(40)의 작동이 가능하게 되며, 이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개폐장치(40)의 작동과정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손잡이나 키의 회전에 의하여 데드볼트 캠(301)이 도면상에서 우회전하게 되면, 데드볼트 캠(301)의 지지단부(33)가 누름스프링(36)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키홀(32)을 중심으로 우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데드볼트 캠(301)의 회전체(304) 일측에 형성된 지지홈(305)이 슬라이더(12)의 상면에 형성된 돌출핀(502)에 걸리게 됨으로서, 도 5의 (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데드볼트 캠(301)의 지지단부(33)와 지지홈(305)이 멈춤핀(38a)과 돌출핀(502)에 의하여 지지되는 잠금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잠금상태에서 구동레버(41)의 결합공(41a)에 결합된 레버(1)를 회전시킬 경우에는, 구동레버(41)가 도면상에서 우회전하여 구동레버(41)의 레버암(42) 선단이 슬라이드(12)의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501)에 걸리게 되나, 데드볼트 캠(301)의 지지단부(33)와 지지홈(305)이 멈춤핀(38a)과 돌출핀(502)의 사이에서 견고하게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구동레버(41)가 회전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얇은 판과 같은 물건을 문틈을 통하여 레칫(11) 부분으로 밀어넣게 되더라도, 레칫(11)이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밀려나지 않게 되어 도어의 잠금상태를 안전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도어의 잠금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손잡이나 키의 회전에 의하여 데드볼트 캠(301)이 도면상에서 좌회전하게 되면, 데드볼트 캠(301)의 지지단부(33)가 누름스프링(36)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키홀(32)을 중심으로 좌회전하여 멈춤핀(38)에 걸리게 됨과 동시에 데드볼트 캠(301)의 지지홈(305)이 슬라이더(12)의 돌출핀(502)으로부터 이탈하여, 도 5의 (가)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초기상태가 됨으로서 도어의 개폐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작용관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레버형 도어록은 구동레버(41)의 회전에 따른 슬라이더(12)의 회동으로 레칫(11)을 케이스 플레이트(3)의 전방면으로 출몰시키는 개폐조작과, 데드볼트 캠(31,301)의 회전에 따른 슬라이더(12)의 고정화로 레칫(11)을 케이스 플레이트(3)의 전방면에서 유지시키는 잠금조작을 하나의 공용플레이트(50) 또는 하나의 슬라이드(12) 만을 사용하여 병행할 수 있게 됨으로서, 레버형 도어록의 전체적인 크기를 매우 소형화 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레버형 도어록의 전체적인 크기를 매우 소형화 시키면서도 개폐장치(40)에 의한 도어의 원활한 개폐작동을 이루어 낼 수 있게 되며, 잠금장치(30)에 의한 도어의 잠금상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서와 같이 구동레버(41)의 회전에 의하여 도어의 잠금상태가 전혀 영향을 받지 않게 되거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구동레버(41) 자체가 회전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완력으로 문을 열거나, 얇은 판과 같은 물건을 문틈을 통하여 레칫(11) 부분으로 밀어넣게 되더라도, 레칫(11)이 우측방향으로 밀려나지 않게 되어 도어의 잠금상태를 안전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합리적인 구조로 레버형 도어록을 구성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레버형 도어록에서 데드볼트 캠(31,301)의 키홀(32) 외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보조키홀(32a)에 대한 작용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보조키홀(32a)에 대한 작용관계의 설명에서 데드볼트 캠(31,301)에 대한 도면부호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데드볼트 캠(31)에 사용한 도면부호 "31"을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 사용된 데드볼트 캠(31,301)을 총칭하는 도면부호로서 나타내었다.
도 6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의한 레버형 도어록이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7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의한 레버형 도어록의 데드볼트 캠에 형성된 보조키홀의 사용상태도로서, (가)는 데드볼트 캠(31)에 보조키홀(32a)을 형성하지 않은 일반적인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고, (나)는 데드볼트 캠(31)에 보조키홀(32a)을 형성시킨 본 발명의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면 중 미설명 부호 d는 손잡이 레버(71)와 키 레버(61) 사이의 간격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레버형 도어록은 도 6의 (가) 및 (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어의 외부와 내부에서 도어를 잠글 수 있도록 손잡이 뭉치(70)와 키 뭉치(60)가 도어 플레이트(80)를 통하여 레버형 도어록의 잠금장치(30)와 연결되어 설치되며, 도어의 외부와 내부에서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레버(1)가 도어 플레이트(80)를 통하여 레버형 도어록의 개폐장치(40)와 연결되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 뭉치(70)와 키 뭉치(60)가 레버형 도어록의잠금장치(30)와 연결되는 일반적인 구조는 도 7의 (가)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손잡이 뭉치(70)와 연결된 열십자(+) 단면의 손잡이 레버(71)가 데드볼트 캠(31)의 키홀(32) 일측으로 삽입되고, 키 뭉치(60)와 결합되어 키의 회전에 따라 연동회전하는 일자(-) 단면의 키 레버(61)가 데드볼트 캠(31)의 키홀(32) 타측으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데, 전기한 경우에는 종래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어의 전체적인 두께가 키홀(32)의 내부에 삽입되는 손잡이 레버(71)와 키 레버(61) 사이의 간격(d)에 의하여 지장을 받게 된다.
그러나, 도 6의 (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데드볼트 캠(31)의 키홀(32) 주변에 키홀(32)과 동일한 깊이를 가지는 한 쌍의 보조키홀(32a)을 형성시킨 본 발명에 의한 레버형 도어록을 사용하게 되면, 손잡이 뭉치(70)의 회전에 의하여 연동회전하는 손잡이 레버(72)를 한 쌍의 막대봉으로 형성하여, 전기한 손잡이 레버(72)가 데드볼트 캠(31)의 일측을 통하여 보조키홀(32a)에 삽입되도록 하고, 데드볼트 캠(31)의 키홀(32)에는 키의 회전에 의하여 연동회전하는 키 레버(61)가 삽입되도록 하여, 손잡이 레버(72)와 키 레버(61)가 데드볼트 캠(31)의 서로 다른 공간으로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게 됨으로서, 도어의 사용장소나 사용목적에 따라 도어의 두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의한 레버형 도어록에 적용되는 데드볼트 캠(31)의 두께(= 키홀의 깊이)를 개략 20mm라 하고, 도어 플레이트(80)와 레버형 도어록의 케이스(2) 사이의 간격은 임의대로 조정할 수 있다고 할 경우, 데드볼트 캠(31)의 보조키홀(32a)에 삽입되는 손잡이 레버(72)와 데드볼트 캠(31)의 키홀(32)에 삽입되는 키 레버(61)의 길이는 데드볼트 캠(31)의 두께와 동일한 최대 20mm의 길이로 형성할 수 있게 되며, 손잡이 레버(72)와 키 레버(61)가 각각 별도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도어의 최소두께는 데드볼트 캠(31)의 두께에 도어플레이트(80)의 두께를 합하여 개략 22mm 정도가 되며, 도어의 최대두께는 데드볼트 캠(31)의 두께와 각각의 레버(61,72) 길이 및 도어 플레이트(80)의 두께를 합하여 개략 62mm가 됨으로서, 도어의 두께를 매우 다양한 범위안에서 선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레버형 도어록은, 데드볼트 캠의 회전에 따른 도어의 잠금조작과 구동레버의 회전에 따른 도어의 개폐조작을 하나의 공용플레이트 또는 하나의 슬라이드로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레버형 도어록의 전체적인 크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레버형 도어록의 전체적인 크기를 매우 소형화 시키면서도 개폐장치의 작동에 따른 도어의 원활한 개폐조작과, 잠금장치의 작동에 따른 도어의 잠금상태를 안전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합리적인 구조로 레버형 도어록을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데드볼트 캠의 키홀과는 별도의 공간으로 이격되는 보조키홀을 데드볼트 캠에 형성하여 도어의 잠금조작에 사용되는 손잡이 레버와 키레버를 각각 다른 공간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서 도어의 두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도어를 그 사용장소와 사용목적에 부합되는 두께로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사각형상의 케이스(2) 전방면에는 케이스 플레이트(3)가 설치되고, 케이스(2)의 내부에는 데드볼트 캠(31)의 회전에 따른 도어의 잠금장치(30)와, 구동레버(41)의 회전에 따른 도어의 개폐장치(40)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의 잠금장치(30)는 키홀(32)을 구비하는 몸체의 양측에 지지단부(33)와 회전암(34)이 형성된 데드볼트 캠(31)과, 상기 회전암(34)에 형성된 잠금레버(35)와, 상기 지지단부(33)가 걸리게 되는 한 쌍의 멈춤핀(38,38a)과, 상기의 멈춤핀(38,38a)에서 지지단부(33)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누름스프링(3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의 개폐장치(40)는 결합공(41a)을 구비하는 몸체에 레버암(42)과 스토퍼(43)가 형성된 구동레버(41)와, 상기의 스토퍼(43)가 걸리게 되는 멈춤핀(44)과, 상기 구동레버(41)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레버스프링(4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잠금장치(30)와 개폐장치(40)의 사이에는 레칫(11)이 결합된 슬라이더(12)가 가이드 핀(14)과 복원스프링(16)에 의하여 가이드 공(13)을 따라 탄력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12)의 일측에는 데드볼트 캠(31)의 회전암(34) 선단이 걸리게 되는 걸림부(12a)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12)의 상면에는 데드볼트 캠(31)의 회전에 의하여 데드볼트캠(31)의 잠금레버(35)가 걸리게 되는 돌출핀(53)과, 구동레버(41)의 회전에 의하여 구동레버(41)의 레버암(42) 선단이 걸리게 되는 걸림부(52)가 형성된 공용플레이트(50)가 힌지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의 슬라이더(12)와 공용플레이트(50)는 토션스프링(54)에 의하여 연결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형 도어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잠금장치(30)는 키홀(32)을 구비하는 몸체의 양측에 지지단부(33)와 회전체(304)가 형성된 데드볼트 캠(301)과, 상기 회전체(304)의 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지지홈(305)과, 상기 지지단부(33)가 걸리게 되는 한 쌍의 멈춤핀(38,38a)과, 상기의 멈춤핀(38,38a)에서 지지단부(33)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누름스프링(3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더(12)의 상면에는 상기의 공용플레이트(50) 대신에 상기 데드볼트 캠(301)의 회전에 따라 회전체(304)의 지지홈(305)이 걸리게 되는 돌출핀(502)과, 상기 구동레버(41)의 회전에 따라 구동레버(41)의 레버암(42) 선단이 걸리게 되는 돌출핀(501)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형 도어록.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데드볼트 캠(31,301)의 키홀(32) 외부에는 한 쌍의 보조키홀(3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형 도어록.
KR10-2001-0003393A 2001-01-20 2001-01-20 레버형 도어록 KR100404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3393A KR100404748B1 (ko) 2001-01-20 2001-01-20 레버형 도어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3393A KR100404748B1 (ko) 2001-01-20 2001-01-20 레버형 도어록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1717U Division KR200227975Y1 (ko) 2001-01-20 2001-01-20 레버형 도어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2411A true KR20020062411A (ko) 2002-07-26
KR100404748B1 KR100404748B1 (ko) 2003-11-14

Family

ID=27692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3393A KR100404748B1 (ko) 2001-01-20 2001-01-20 레버형 도어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474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1735B1 (ko) * 2005-11-17 2006-05-22 (주)동광알파 전자 도어락의 데드볼트 락킹구조
KR100706762B1 (ko) * 2006-08-04 2007-04-13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
KR100846009B1 (ko) * 2007-03-16 2008-07-11 조현식 도어 잠금장치
KR100848704B1 (ko) * 2007-01-02 2008-07-28 배종식 현관문용 도어록장치
KR100940861B1 (ko) * 2009-04-22 2010-02-09 윤병만 현관문용 도어록 장치
KR200467764Y1 (ko) * 2012-03-19 2013-07-03 주식회사 아이레보 일체형의 후크 데드볼트가 구비된 도어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4890A (ko) * 2006-09-15 2008-03-19 주식회사 잠그미 도어록의 회전 멈춤뭉치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9753A (en) * 1977-08-18 1980-10-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oltage compensation of temperature coefficient of resistance in an integrated circuit resistor
JPH084383Y2 (ja) * 1989-10-02 1996-02-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操蛇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1735B1 (ko) * 2005-11-17 2006-05-22 (주)동광알파 전자 도어락의 데드볼트 락킹구조
KR100706762B1 (ko) * 2006-08-04 2007-04-13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
KR100848704B1 (ko) * 2007-01-02 2008-07-28 배종식 현관문용 도어록장치
KR100846009B1 (ko) * 2007-03-16 2008-07-11 조현식 도어 잠금장치
KR100940861B1 (ko) * 2009-04-22 2010-02-09 윤병만 현관문용 도어록 장치
KR200467764Y1 (ko) * 2012-03-19 2013-07-03 주식회사 아이레보 일체형의 후크 데드볼트가 구비된 도어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4748B1 (ko) 200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75797B2 (ja) ロック装置
KR101034801B1 (ko) 로크다운 패들을 구비한 회전 폴 래치
KR101968278B1 (ko) 모티스의 양방향 작동구조체
KR100404748B1 (ko) 레버형 도어록
KR200227975Y1 (ko) 레버형 도어록
KR20140125554A (ko) 래치볼트의 고정구조체
KR100686609B1 (ko) 도어 록 장치
JPH0122872Y2 (ko)
JP4171089B2 (ja) 錠装置
KR20090103531A (ko) 도어락
JP4368565B2 (ja) 錠前の反転ラッチ用ストッパー機構
KR100544963B1 (ko) 도어락 장치의 백셋
JP3710883B2 (ja) 扉用ハンドル装置
JPH0754506Y2 (ja) 電気錠
JP4126181B2 (ja) 電気錠の切換えレバーと支持枠との構造
JP2000145215A (ja) 開閉用のハンドル及びその押しボタンのスライド機構
JP3080026B2 (ja) パネルロック機構
JP3434130B2 (ja) 扉用ハンドル装置
KR102318630B1 (ko) 도어록용 래치 어셈블리
JP2002220955A (ja) 引戸用施解錠装置
JPH11141207A (ja) ラッチ錠
KR200146380Y1 (ko) 쌍수 도어 록
JPH10280768A (ja) 施錠装置
JP3075412U (ja) 開閉扉の施錠装置
JPH10246045A (ja) 引戸扉等の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