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0133B1 - 락커락 시스템 - Google Patents

락커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0133B1
KR102220133B1 KR1020190145057A KR20190145057A KR102220133B1 KR 102220133 B1 KR102220133 B1 KR 102220133B1 KR 1020190145057 A KR1020190145057 A KR 1020190145057A KR 20190145057 A KR20190145057 A KR 20190145057A KR 102220133 B1 KR102220133 B1 KR 102220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er
latch
case
security data
secu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모
Original Assignee
패스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패스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패스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5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01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 E05B65/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for lock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7Feeding
    • E05B2047/0058Feeding by batte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05B2047/0069Monitoring bolt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락커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을 유저카드 대용으로 사용하여 락커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시킬 수 있으며, 래치작동레버를 통해 데드볼트 기능 및 스프링래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락커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락커락 시스템{Locker lock system}
본 발명은 락커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을 유저카드 대용으로 사용하여 락커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시킬 수 있으며, 래치작동레버를 통해 데드볼트 기능 및 스프링래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락커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출입구에 설치되는 락커와 락커룸에 설치되는 락커에 락커락을설치하여 타인의 출입을 통제하거나 락커룸을 타인이 사용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락커락은 스프링래치 구동방식과 데드볼트 형태의 구동방식을 가지는데, 기존의 데드볼트 형태의 락 방식은 락커를 강제로 개방하려고 해도, 데드볼트 락 메커니즘에서 스토퍼가 락커를 잡고 있기 때문에 강제로 해정할 수 없으며, 스프링래치 구동방식은 락커가 열려있는 상태에서 래치가 오픈 또는 클로즈 상태로 되어 있어도 락커를 닫을 수 있는 구조로, 락커가 닫혀진 상태에서 강제 개방시키면 락 메커니즘의 래치가 내부로 들어가 버려 해정될 수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잠금장치를 락커 전면에 부착시키게 된다.
이에, 최근 아파트의 안방 문 등에 많이 적용되고 있는 모티스 락(mortise lock)은 안정성이 높은 데드볼트가 문 손잡이와 별도로 설치되는 것으로, 잠금장치가 래치볼트가 결합된 문손잡이에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문 손잡이의 하부에 데드볼트가 체결된 잠금장치가 별도로 설치되도록 하여, 문 손잡이의 내구성을 높히게 되나, 이러한 모티스 락은 락커에서의 설치면적이 넓어 설치가 용이하지 않으며, 락커의 잠금을 위해 문 손잡이와 잠금장치를 별도로 구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된다.
아울러, 잠금장치는 자물쇠와 그에 대응되는 열쇠가 대다수였으나, 현재 그 기술수준이 높아져 특정 고유식별코드를 내장하고 있는 카드키(출입카드, 인식카드 또는 유저카드)를 이용하여 출입문, 현관문 또는 개방된 공간에 설치되는 락커 등을 근거리 무선통신기술로 개폐할 수 있는 잠금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잠금장치는 키(key) 역할을 하는 인식카드 및 문/락커에 부착되는 락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인식카드와 락의 무선인식 방법으로 문/락커를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조트 또는 호텔에서 사용자는 프런트 데스크(front desk)로 가서 예약 내역을 확인하고 인식카드(RF 카드, 스마트카드)를 받고 지정된 방의 락에 인식카드를 컨텍(contact) 함으로써 락킹을 해제하여 입실하는 시스템이 일반적이다.
인식카드를 이용하는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지정된 문/락커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항시 보안코드 등이 저장된 인식카드를 소지해야 하는 불편이 있으며, 이러한 불편 등으로 사용자가 인식카드 보관을 소홀히 하여 분실하는 경우도 다수 발생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한편, 최근 통신기술 및 전자제품의 급속한 발달과 정보 획득의 용이성으로 인해 사용자는 휴대하기 편리한 통신장비(스마트폰, 테블릿 PC 등)를 항시 휴대하는 경향이 짙어지고 특히 스마트폰 휴대는 일상화되어 가고 있다. 또한, 사용자들은 이러한 통신장비 휴대를 의무가 아닌 생활의 일부로 인식하는 경향이 크며 이러한 인식도는 다양한 연구결과나 인식도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평상시 휴대하고 다니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보안성을 유지하면서도 별도의 인식카드 소지의 불편을 감소시킬 수 있는 락커락 시스템을 제공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락커락 시스템의 불합리한 점을 극복하고 데드볼트 기능과 스프링래치 기능 모드를 함께 결할 수 있도록 하여 락커룸이나 사람이 출입하는 일반 방 락커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가 평상시 휴대하고 다니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보안성을 유지하면서도 별도의 인식카드 소지의 불편을 감소시킬 수 있는 락커락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 105975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락커락이 데드볼트 기능과 스프링래치 기능 모드를 함께 겸할 수 있도록 하는 락커락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평상시 휴대하고 다니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보안성을 유지하면서도 별도의 인식카드 소지의 불편을 감소시켜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락커락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락커락 시스템은, 락커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길이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타측으로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데드볼트래치와, 상기 케이스 내측에 모터구동력에 의해 회동되도록 설치되어, 특정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데드볼트래치의 걸림부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도록 하여 상기 데드볼트래치의 이동을 제한시키는 래치작동레버와, 일측이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측으로는 상기 데드볼트래치의 이동영역으로 돌출되는 이동구속플레이트와, 상기 래치작동레버가 모터 구동력에 의해 특정방향 및 각도로 회동되도록 제어하는 구동제어부와, 상기 래치작동레버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래치작동레버를 회동시키는 모터구동부 및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모터구동부로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는 락킹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데드볼트래치의 타단부가 상기 이동구속플레이트의 타측면에 구속되어 상기 데드볼트래치가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여 락커 잠금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래치작동레버의 외연에는 일정 길이로 연속돌출된 가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래치작동레버가 일정각도로 회동되면 상기 가압돌기가 상기 이동구속플레이트의 외면에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이동구속플레이트가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으로 이동되어, 상기 데드볼트래치의 타단부가 상기 이동구속플레이트의 타단부에서 구속해제되어, 락커 잠금해제상태로 전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측에는 부품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측에 설치되는 전선케이블이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전선케이블통과공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부 개방부를 커버하여 락커의 일측면에 밀착설치되는 커버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외측면에는 상기 전선케이블 통과공에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전선케이블이 수납되는 수납용 가이드홈이 일정길이로 함몰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의 단부에는 상기 전선케이블의 단부에 설치되는 커넥터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가 삽입되는 커넥터수용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데드볼트래치의 이동상태를 센싱하여 락커의 잠금상태를 판단하는 잠금장치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잠금장치모듈은 복수개의 제1, 제2 근접센싱수단을 락커의 잠금상태 및 잠금해제상태에 해당되는 데드볼트래치의 이동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하여, 상기 제1, 제2 근접센싱수단에서의 센싱값에 의해 락커의 잠금 및 잠금해제상태를 판단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락킹장치는 유저카드로부터 전송받은 보안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락커의 보안해제 또는 보안유지를 수행하되, 유효성 검증을 통과한 보안데이터를 상기 락킹장치로부터 전송받아 저장하는 스마트폰을 더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폰은 저장된 보안데이터를 상기 락킹장치로 전송하여 락커의 보안해제를 유도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구동제어부는 보안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유저카드로부터 상기 보안데이터를 수신하는 유저카드 통신모듈, 상기 유저카드 통신모듈이 수신한 보안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상기 유저카드의 인증을 수행하는 카드 제어모듈, 상기 카드 제어모듈에 의해 유효성을 인정받은 보안데이터를 저장하는 락킹 데이터베이스, 상기 카드 제어모듈에 의해 상기 보안데이터의 유효성이 검증되어 상기 유저카드의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 락커 보안을 해제하는 잠금 장치모듈, 스마트폰과 통신을 수행하는 스마트폰 통신모듈 및 락커 보안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스마트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카드 제어모듈에 의해 유효성이 검증된 보안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할 경우 상기 스마트폰으로 상기 카드 제어모듈에 의해 유효성이 검증된 보안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스마트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폰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제공된다.
또한, 상기 보안데이터에는 멀티 유저 사용 설정, 암호화 설정, 락킹 시간 설정, 고유 ID, 보안데이터의 유효기간 및 최종 사용 시간 설정 기능을 더 포함하여, 상기 보안데이터가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되도록 하여,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락커의 보안해제를 유도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락커락 시스템은, 락커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길이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타측으로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스프링래치와. 상기 케이스 내측에 모터구동력에 의해 회동되도록 설치되어, 특정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스프링래치의 걸림부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도록 하여 상기 데드볼트래치의 이동을 제한시키는 래치작동레버와. 상기 래치작동레버가 모터 구동력에 의해 특정방향 및 각도로 회동되도록 제어하는 구동제어부와. 상기 래치작동레버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래치작동레버를 회동시키는 모터구동부 및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모터구동부로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는 락킹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스프링래치가 전후로 이동되면서 상기 락킹장치가 스프링 래치 기능을 구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측에는 부품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측에 설치되는 전선케이블이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전선케이블통과공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부 개방부를 커버하여 락커의 일측면에 밀착설치되는 커버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외측면에는 상기 전선케이블 통과공에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전선케이블이 수납되는 수납용 가이드홈이 일정길이로 함몰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의 단부에는 상기 전선케이블의 단부에 설치되는 커넥터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가 삽입되는 커넥터수용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데드볼트래치의 이동상태를 센싱하여 락커의 잠금상태를 판단하는 잠금장치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잠금장치모듈은 복수개의 제1, 제2 근접센싱수단을 락커의 잠금상태 및 잠금해제상태에 해당되는 데드볼트래치의 이동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하여, 상기 제1, 제2 근접센싱수단에서의 센싱값에 의해 락커의 잠금 및 잠금해제상태를 판단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락킹장치는 유저카드로부터 전송받은 보안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락커의 보안해제 또는 보안유지를 수행하되, 유효성 검증을 통과한 보안데이터를 상기 락킹장치로부터 전송받아 저장하는 스마트폰을 더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폰은 저장된 보안데이터를 상기 락킹장치로 전송하여 락커의 보안해제를 유도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구동제어부는 보안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유저카드로부터 상기 보안데이터를 수신하는 유저카드 통신모듈, 상기 유저카드 통신모듈이 수신한 보안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상기 유저카드의 인증을 수행하는 카드 제어모듈, 상기 카드 제어모듈에 의해 유효성을 인정받은 보안데이터를 저장하는 락킹 데이터베이스, 상기 카드 제어모듈에 의해 상기 보안데이터의 유효성이 검증되어 상기 유저카드의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 락커 보안을 해제하는 잠금 장치모듈, 스마트폰과 통신을 수행하는 스마트폰 통신모듈 및 락커 보안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폰이상기 스마트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카드 제어모듈에 의해 유효성이 검증된 보안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할 경우 상기 스마트폰으로 상기 카드 제어모듈에 의해 유효성이 검증된 보안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스마트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폰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안데이터에는 멀티 유저 사용 설정, 암호화 설정, 락킹 시간 설정, 고유 ID, 보안데이터의 유효기간 및 최종 사용 시간 설정 기능을 더 포함하여, 상기 보안데이터가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되도록 하여,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락커의 보안해제를 유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락커락 시스템은, 락커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길이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타측으로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데드볼트래치와, 상기 케이스 내측에 모터구동력에 의해 회동되도록 설치되어, 특정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일면에 돌출형성된 걸림편이 상기 데드볼트래치의 걸림부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도록 하여 상기 데드볼트래치의 이동을 제한시키는 래치작동레버와, 일측이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측으로는 상기 데드볼트래치의 이동영역으로 돌출되는 이동구속플레이트와, 상기 래치작동레버가 모터 구동력에 의해 특정방향 및 각도로 회동되도록 제어하는 구동제어부와, 상기 래치작동레버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래치작동레버를 회동시키는 모터구동부 및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모터구동부로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여, 상기 래치작동레버의 회동에 의해 상기 데드볼트래치의 타단부가 상기 이동구속플레이트의 타측면에 구속되어 상기 데드볼트래치가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데드볼트래치 기능을 구현하도록 하며, 상기 래치작동레버의 외연에는 일정 길이로 연속돌출된 가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래치작동레버가 일정각도로 회동되면 상기 가압돌기가 상기 이동구속플레이트의 외면에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이동구속플레이트가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으로 이동되어, 상기 데드볼트래치의 타단부가 상기 이동구속플레이트의 타단부에 구속되지 않고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스프링래치 기능을 구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래치작동레버를 회동시켜 데드볼트래치가 락커 잠금상태에서 락커 개방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며, 더욱이 이동구속플레이트의 동작에 의해 락킹장치가 데드볼트래치 동작모드와 스프링래치 동작모드를 함께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목적으로 락커락을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유저카드를 휴대하는 대신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보안성을 유지하면서도 락커룸의 락커나 일반 방에 사용되는 락커를 잠그거나 잠금해재할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버플레이트의 외측면에 가이드홈과 커넥터수용홈을 별도로 마련하여, 전선케이블이 커버플레이트와 일면을 이루도록 하여, 선처리가 매우 편리하며, 남는 잔여부분은 케이스 내측으로 밀어넣어 보관하도록 하고, 전선케이블의 단부에 설치되는 커넥터가 커넥터수용홈 내에서 고정되어 철제락커에 형성된 설치공으로 제어반 몸체측 단자와 직결설치되도록 하여 커넥터의 결합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에 의해, 두께가 얇은 철제락커에서도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락커락 시스템의 락킹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락킹장치의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락킹장치의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락킹장치의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래치작동레버의 회동동작에 의한 락커의 잠금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플레이트의 상세구조 및 일반 목락커에 설치하는 방법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플레이트에 전선케이블이 수납된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수납방식에 의해 두께가 얇은 철제락커에 설치되는 상태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락킹장치를 이용하여 스마트폰과 연동된 제어방식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동제어부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락킹장치의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락킹장치의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락킹장치의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래치작동레버의 회동동작에 의한 락커의 개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래치작동레버의 회동동작에 의해 락킹장치가 데드볼트래치 기능 및 스프링래치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락커락 시스템의 락킹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락킹장치의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락킹장치의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락킹장치의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4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락킹장치(30)는 케이스(300), 데드볼트래치(320), 래치작동레버(330), 이동구속플레이트(340), 구동제어부(350), 모터구동부(360) 및 배터리부(3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300)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측에는 부품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311)과, 하우징(311) 내측에 설치되는 전선케이블이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전선케이블통과공(312a)이 형성되어 하우징(311)의 상부 개방부를 커버하여 락커의 일측면에 밀착설치되는 커버플레이트(3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드볼트래치(320)는 케이스(300)의 내측에 일단이 케이스(30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락커의 잠금 및 잠금해제를 위해 케이스(300)의 내측에서 전후방으로 구동된다. 이러한 데드볼트래치(320)는 케이스(300)의 내측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데드볼트래치(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일단부가 케이스(30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아울러 데드볼트래치(320)의 타측으로는 래치작동레버(330)에 접촉되는 걸림부(321)가 별도로 돌출형성된다.
래치작동레버(330)는 케이스(300)의 내측에 모터구동력에 의해 회동되도록 설치되며, 래치작동레버(330)가 특정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래치작동레버(330)의 일면에 돌출된 걸림편(331)이 데드볼트래치(320)의 타측 걸림부(321)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면서 데드볼트래치(320)의 전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시키도록 한다.
이동구속플레이트(340)는 케이스(300)의 내측 바닥면에 일측이 고정되며, 타측으로는 데드볼트래치(320)가 이동되는 영역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이동구속플레이트(340)는 타측면에 데드볼트래치(320)의 타단부가 구속되어, 데드볼트래치(320)가 케이스(300)의 내측 즉, 후방으로 더 이상 이동되지 않도록 하여 락커 잠금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아울러, 래치작동레버(330)의 외연에는 외연을 따라 일정 길이로 연속하여 돌출된 가압돌기(332)가 형성되어, 래치작동레버(330)가 일정각도로 회동되면 가압돌기(332)가 함께 회동되면서 이동구속플레이트(340)의 외면 즉, 상부면에 슬라이동되면서 이동구속플레이트(340)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상방으로 돌출된 이동구속플레이트(340)의 타단부가 케이스(300)의 내측면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래치작동레버(330)의 가압돌기(332)에 의해 케이스(300) 내측면으로 이동된 이동구속플레이트(340)의 타측면은 더 이상 데드볼트래치(320)의 이동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게 되어, 데드볼트래치(320)의 타단부가 이동구속플레이트(340)의 타단부에서 구속해제되어, 데드볼트래치(320)가 케이스(300) 내측 즉,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락커 잠금해제상태로 전환된다.
구동제어부(350)는 래치작동레버(330)가 모터 구동력에 의해 특정방향 또는 특정각도로 회동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구동제어부(350)는 잠금장치모듈을 포함하여, 데드볼트래치(320)의 이동상태를 센싱하여 락커의 잠금상태를 판단하도록 한다.
이러한 잠금장치모듈은 복수개의 제1, 제2 근접센싱수단(354a, 354b)을 락커의 잠금상태 및 잠금해제상태에 해당되는 데드볼트래치(320)의 이동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하여, 제1, 제2 근접센싱수단(354a, 354b)에서의 센싱값에 의해 락커의 잠금 및 잠금해제상태를 판단하도록 한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자면, 본 발명에서 이러한 근접센싱수단은 포토센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데드볼트래치(320)의 타단부에 포토센서 수광부(322)를 설치하고 락커 잠금상태에 해당되는 데드볼트래치(320)의 이동위치에서 포토센서 수광부(322)와 일치되는 위치에 제1 근접센싱수단(354a)을 설치한다. 이에 따라, 제1 근접센싱수단(354a)을 통해 센싱이 이루어지면 락커가 잠금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도록 한다.
아울러, 락커 잠금해제 상태에 해당되는 데드볼트래치(320)의 이동위치에서 포토센서 수광부(322)와 일치되는 위치에 제2 근접센싱수단(354b)을 설치하여, 제2 근접센싱수단(354b)을 통해 센싱이 이루어지면 데드볼트래치(320)의 일단이 케이스(300)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고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로 락커의 잠금해제상태 인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이러한 근접센싱수단에서의 센싱값은 구동제어부(350)로 전송하여 이러한 센싱값에 기초하여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데드볼트래치(320)의 타단부에는 마이크로 스위치(354c)를 설치하여, 데드볼트래치(320)가 케이스(300) 내측으로 왕복되면서 마이크로 스위치(354c)에 접촉되어 마이크로 스위치(354c)의 단락에 의해 락커의 잠금 및 개방상태를 확인하도록 한다.
더욱이 이러한 구동제어부(350)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락커의 잠금 및 잠금해제를 위해 래치작동레버(330)의 구동제어를 수행하게 되며, 이러한 락커의 보안제어방식은 후술하는 스마트폰(40)과 연동되는 구동제어부(350)의 제어방법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모터구동부(360)는 래치작동레버(330)의 일측에 연결되어, 구동제어부(350)의 제어에 의해 래치작동레버(330)를 특정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한다.
배터리부(370)는 케이스(300)의 일측에 설치되어 구동제어부(350)의 제어에 의해 모터구동부(360)로 전원을 인가시키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래치작동레버의 회동동작에 의한 락커의 잠금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a)는 래치작동레버(330)의 일단부가 케이스(300) 외부로 완전히 노출되어 락커의 잠금상태가 유지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락커 잠금상태에서는 측단면구조에서와 같이, 이동구속플레이트(340)의 단부가 데드볼트래치(320)의 타단부에 위치하게 되어 데드볼트래치(320)가 후방으로 더 이상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도 7의 (b)는 잠금해제 제어명령에 의해 래치작동레버(3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이러한 래치작동레버(330)의 회전에 의해 래치작동레버(330)의 걸림편(331)이 데드볼트래치(320)의 걸림홈에 걸리면서 데드볼트래치(320)를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더욱이 이러한 도 7의 (b) 동작에서는 래치작동레버(330)의 외연을 따라 형성된 가압돌기(33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이동구속플레이트(340)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이동구속플레이트(340)의 단부가 데드볼트래치(320)의 이동범위 내에서 벗어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도 7의 (b) 상태에서는 데드볼트래치(320)가 전후방으로 이동이 제한되지 않아 필요에 따라 데드볼트래치(320)를 락커 잠금기능 이외 스프링래치(380)를 적용하여 락커를 여닫는 용도로 겸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7의 (c)는 래치작동레버(330)가 시계방향으로 계속 회전하면서 데드볼트래치(320)를 잡아당겨 데드볼트래치(320)의 일단부가 케이스(300)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하여 락커가 잠금해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래치작동레버(330)를 회동시켜 데드볼트래치(320)가 락커 잠금상태에서 락커 개방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며, 더욱이 이동구속플레이트(340)의 동작에 의해 락킹장치(30)가 데드볼트래치 동작모드와 스프링래치 동작모드를 모두 구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플레이트의 상세구조 및 일반 목락커에 설치하는 방법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플레이트에 전선케이블이 수납된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수납방식에 의해 두께가 얇은 철제락커에 설치되는 상태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버플레이트(312)의 외측면에는 전선케이블통과공(312a)에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전선케이블이 수납되는 수납용 가이드홈(312b)이 일정길이로 함몰형성되며, 가이드홈(312b)의 단부에는 전선케이블의 단부에 설치되는 커넥터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커넥터가 삽입되는 커넥터수용홈(312c)이 형성된다.
일반적인 두께를 가지는 목락커에 설치될 경우에는 목락커의 두께에 의해 전선케이블이 커버플레이트(312) 외측으로 연장되어 목락커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커버플레이트(312)에서 목락커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제어반몸체측으로 선이 연장되도록 한다.
이 경우에는 전선케이블의 길이가 여유가 있어야지만 제어반 몸체측에 설치가능하나, 도 10에서와 같이 락커룸과 같이 두께가 얇은 철제락커에 설치할 경우에는 전선케이블의 수납이 매우 곤란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플레이트(312)의 외측면에 가이드홈(312b)과 커넥터수용홈(312c)을 별도로 마련하여, 전선케이블이 커버플레이트(312)와 일면을 이루도록 하여, 선처리가 매우 편리하며, 남는 잔여부분은 케이스(300) 내측으로 밀어넣어 보관하도록 하며, 전선케이블의 단부에 설치되는 커넥터가 커넥터수용홈(312c) 내에서 고정되어 철제락커에 형성된 설치공으로 제어반 몸체측 단자와 직결설치되도록 하여 커넥터의 결합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도 11은 이러한 락킹장치를 이용하여 스마트폰과 연동된 제어방식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동제어부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락킹시스템은 관리서버(10), 유저카드(20), 락킹장치(30) 그리고 스마트폰(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유저카드(20)가 유효한 출입 가능한 카드임을 전제로 유효한 보안데이터가 유저카드(20)에서 락킹장치(30)로 전파를 이용하여 전송됨으로써 락킹장치(30)의 보안을 해제하여 락커가 개방되도록 하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과정을 수행한 후, 보안이 해제된 상태에서 스마트폰(40)을 락킹장치(30)에 비접촉 근접하면 유효한 보안데이터가 락킹장치(30)에서 스마트폰(40)으로 전송되어 스마트폰(40)이 등록되도록 한다.
그 결과, 등록된 스마트폰(40)을 '스마트폰 키'로서 기능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유저카드(20)를 소지하지 아니하여도 자신이 휴대하는 스마트폰(40)을 사용하여 락킹장치(30)의 보안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구동제어부(350)는 보안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유저카드(20)로부터 보안데이터를 수신하는 유저카드 통신모듈(351), 유저카드 통신모듈(351)이 수신한 보안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유저카드(20)의 인증을 수행하는 카드 제어모듈(352), 카드 제어모듈(352)에 의해 유효성을 인정받은 보안데이터를 저장하는 락킹 데이터베이스(353), 카드 제어모듈(352)에 의해 보안데이터의 유효성이 검증되어 유저카드(20)의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 락커 보안을 해제하는 잠금 장치모듈(354), 스마트폰(40)과 통신을 수행하는 스마트폰 통신모듈(355) 및 락커 보안이 해제된 상태에서 스마트폰(40)이 스마트폰 통신모듈(355)을 통해 카드 제어모듈(352)에 의해 유효성이 검증된 보안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할 경우 스마트폰(40)으로 상기 카드 제어모듈(352)에 의해 유효성이 검증된 보안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스마트폰 통신모듈(355)을 제어하는 폰 제어모듈(356)을 포함하여, 스마트폰(40)이 잠금해제용 키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이러한 보안데이터에는 멀티 유저 사용 설정, 암호화 설정, 락킹 시간 설정, 고유 ID, 보안데이터의 유효기간 및 최종 사용 시간 설정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더 포함하여, 이러한 보안데이터가 스마트폰(40)으로 전송되어 스마트폰(40)을 통해 락커의 보안해제를 유도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락킹장치의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락킹장치의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락킹장치의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락킹장치(30)는 스프링래치(380) 모드로 사용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는 달리 래치작동레버(330)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구속플레이트(340)가 설치되지 않고 래치작동레버(330)의 동작만으로 스프링래치(380) 모드가 구현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락킹장치(30)는 케이스(300), 데드볼트래치(320), 래치작동레버(330) 및 구동제어부(350), 모터구동부(360) 및 배터리부(3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300)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측에는 부품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311)과, 하우징(311) 내측에 설치되는 전선케이블이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전선케이블통과공(312a)이 형성되어 하우징(311)의 상부 개방부를 커버하여 락커의 일측면에 밀착설치되는 커버플레이트(3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프링래치(380)는 케이스(300)의 내측에 일단이 케이스(30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락커의 열고 닫힘을 위해 케이스(300)의 내측에서 전후방으로 구동된다. 이러한 스프링래치(380)는 케이스(300)의 내측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데드볼트래치(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일단부가 케이스(30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아울러 스프링래치(380)의 타측으로는 래치작동레버(330)에 접촉되는 걸림부(321)가 별도로 돌출형성된다.
래치작동레버(330)는 케이스(300)의 내측에 모터구동력에 의해 회동되도록 설치되며, 래치작동레버(330)가 특정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래치작동레버(330)의 일면에 돌출된 걸림편(331)이 스프링래치(380)의 타측 걸림부(321)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면서 스프링래치(380)의 전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시키도록 한다.
구동제어부(350)는 래치작동레버(330)가 모터 구동력에 의해 특정방향 또는 특정각도로 회동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구동제어부(350)는 잠금장치모듈을 포함하여, 데드볼트래치(320)의 이동상태를 센싱하여 락커의 잠금상태를 판단하도록 한다.
이러한 잠금장치모듈은 복수개의 제1, 제2 근접센싱수단(354a, 354b)을 락커의 잠금상태 및 잠금해제상태에 해당되는 스프링래치(380)의 이동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하여, 제1, 제2 근접센싱수단(354a, 354b)에서의 센싱값에 의해 락커의 개방을 위해 스프링래치(380)의 동작상태를 판단하도록 한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자면, 본 발명에서 이러한 근접센싱수단은 포토센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스프링래치(380)의 타단부에 포토센서 수광부(322)를 설치하고 락커 잠금상태에 해당되는 스프링래치(380)의 이동위치에서 포토센서 수광부(322)와 일치되는 위치에 제1 근접센싱수단(354a)을 설치한다. 이에 따라, 제1 근접센싱수단(354a)을 통해 센싱이 이루어지면 락커가 현재 잠김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도록 한다.
아울러, 락커 잠금해제 상태에 해당되는 데드볼트래치(320)의 이동위치에서 포토센서 수광부(322)와 일치되는 위치에 제2 근접센싱수단(354b)을 설치하여, 제2 근접센싱수단(354b)을 통해 센싱이 이루어지면 데드볼트래치(320)의 일단이 케이스(300)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고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로 락커가 개방될 수 있도록 잠금해제상태 인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이러한 근접센싱수단에서의 센싱값은 구동제어부(350)로 전송하여 이러한 센싱값에 기초하여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데드볼트래치(320)의 타단부에는 마이크로 스위치(354c)를 설치하여, 데드볼트래치(320)가 케이스(300) 내측으로 왕복되면서 마이크로 스위치(354c)에 접촉되어 마이크로 스위치(354c)의 단락에 의해 락커의 잠금 및 개방상태를 확인하도록 한다.
모터구동부(360)는 래치작동레버(330)의 일측에 연결되어, 구동제어부(350)의 제어에 의해 래치작동레버(330)를 특정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한다.
배터리부(370)는 케이스(300)의 일측에 설치되어 구동제어부(350)의 제어에 의해 모터구동부(360)로 전원을 인가시키도록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래치작동레버의 회동동작에 의한 락커의 개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의 (a)는 래치작동레버(330)의 일단부가 케이스(300) 외부로 완전히 노출되어 락커의 잠금상태가 유지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락커 잠금상태에서는 측단면구조에서와 같이, 래치작동레버(330)의 걸림편(331)은 스프링래치(380)의 걸림홈 상에 위치되나, 스프링래치(380)가 후방으로 이동할 경우 걸림편(331)이 스프링래치(380)의 이동을 제한시키는 걸림역할은 수행하지 않아 스프링래치(380)가 전후방으로 구속없이 이동되면서 스프링래치(380) 모드로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6의 (b)는 락커를 강제개방시키기 위해 래치작동레버(3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이러한 래치작동레버(330)의 회전에 의해 래치작동레버(330)의 걸림편(331)이 스프링래치(380)의 걸림홈에 걸리면서 스프링래치(380)를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도 16의 (c)에서와 같이 래치작동레버(330)가 시계방향으로 계속 회전되면서 스프링래치(380)를 잡아당겨 스프링래치(380)의 일단부가 케이스(300)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하여 락커가 강제개방 상태가 되도록 한다.
아울러,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락킹장치(3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스마트폰(40) 연동 제어방식과 동일하게 구현되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래치작동레버의 회동동작에 의해 락킹장치가 데드볼트래치 기능 및 스프링래치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실시예와 같은 구조의 락킹장치(30)에서 데드볼트래치(320) 대신 일단부가 문틀에 슬라이딩되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된 스프링래치(380)를 설치하여, 래치작동레버(330)의 회동각도에 의해 락킹장치(30)가 데드볼트래치 기능 및 스프링래치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7의 (a)는 데드볼트래치 기능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래치작동레버(330)의 가압돌기(332)가 이동구속플레이트(340)를 가압시키지 않는 상태로서, 이동구속플레이트(340)의 일단부가 스프링래치(380)의 타단부에 위치하게 되어, 스프링래치(380)가 후방으로 더 이상 이동되지 않고 락커잠금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도 17의 (b)에서는 래치작동레버(330)가 시계방향으로 45°회동되면서, 가압돌기(332)가 이동구속플레이트(340)를 가압시키면서 하방으로 눌러 이동구속플레이트(340)의 일단부가 스프링래치(380)의 전후 이동범위 내에서 벗어나게 되어, 스프링래치(380)가 전후방으로 제한없이 이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회동각도에서는 걸림편(331)이 스프링래치(380)의 걸림부(321) 내에 걸림동작이 수행되지 않은 상태로 래치작동레버(330)가 회동되면서 스프링래치(380)를 후방으로 당기지 않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스프링래치(380)는 락커를 열고 닫을때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스프링래치의 본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7의 (c)에서는 래치작동레버(330)가 시계방향으로 125°로 회동되는 상태로서, 걸림편(331)이 스프링래치(380)의 걸림부(321)에 접촉되면서 스프링래치(380)를 후방으로 당겨 이동되도록 하여 스프링래치(380)의 일단부가 케이스(310) 내측으로 인입되어, 락커가 개방상태를 유지하게 되도록 한다.
더욱이,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래치작동레버(330)가 센서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특정 각도로 회동시켜 기능모드를 변환시키도록 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 관리서버 20 : 유저카드
30 : 락킹장치 40 : 스마트폰
310 : 케이스 311 : 하우징
312 : 커버플레이트 312a : 전선케이블통과공
312b : 가이드홈 312c : 커넥터수용홈
320 : 데드볼트래치 321 : 걸림부
322 : 포토센서 수광부 330 : 래치작동레버
331 : 걸림편 332 : 가압돌기
340 : 이동구속플레이트
350 : 구동제어부 351 : 유저카드 통신모듈
352 : 카드 제어모듈 353 : 락킹 데이터베이스
354 : 잠금 장치모듈 354a : 제1 근접센싱수단
354b : 제2 근접센싱수단 354c : 마이크로 스위치
355 : 스마트폰 통신모듈 356 : 폰 제어모듈
360 : 모터구동부
370 : 배터리부
380 : 스프링래치

Claims (14)

  1. 락커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길이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타측으로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데드볼트래치;
    상기 케이스 내측에 모터구동력에 의해 회동되도록 설치되어, 특정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데드볼트래치의 걸림부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도록 하여 상기 데드볼트래치의 이동을 제한시키는 래치작동레버;
    일측이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측으로는 상기 데드볼트래치의 이동영역으로 돌출되는 이동구속플레이트;
    상기 래치작동레버가 모터 구동력에 의해 특정방향 및 각도로 회동되도록 제어하는 구동제어부;
    상기 래치작동레버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래치작동레버를 회동시키는 모터구동부; 및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모터구동부로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는 락킹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데드볼트래치의 타단부가 상기 이동구속플레이트의 타측면에 구속되어 상기 데드볼트래치가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여 락커 잠금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케이스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측에는 부품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측에 설치되는 전선케이블이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전선케이블통과공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부 개방부를 커버하여 락커의 일측면에 밀착설치되는 커버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외측면에는 상기 전선케이블 통과공에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전선케이블이 수납되는 수납용 가이드홈이 일정길이로 함몰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의 단부에는 상기 전선케이블의 단부에 설치되는 커넥터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가 삽입되는 커넥터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커락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작동레버의 외연에는 일정 길이로 연속돌출된 가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래치작동레버가 일정각도로 회동되면 상기 가압돌기가 상기 이동구속플레이트의 외면에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이동구속플레이트가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으로 이동되어,
    상기 데드볼트래치의 타단부가 상기 이동구속플레이트의 타단부에서 구속해제되어, 락커 잠금해제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커락 시스템.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데드볼트래치의 이동상태를 센싱하여 락커의 잠금상태를 판단하는 잠금장치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잠금장치모듈은
    복수개의 제1, 제2 근접센싱수단을 락커의 잠금상태 및 잠금해제상태에 해당되는 데드볼트래치의 이동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하여, 상기 제1, 제2 근접센싱수단에서의 센싱값에 의해 락커의 잠금 및 잠금해제상태를 판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커락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장치는 유저카드로부터 전송받은 보안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락커의 보안해제 또는 보안유지를 수행하되,
    유효성 검증을 통과한 보안데이터를 상기 락킹장치로부터 전송받아 저장하는 스마트폰을 더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폰은 저장된 보안데이터를 상기 락킹장치로 전송하여 락커의 보안해제를 유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커락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부는
    보안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유저카드로부터 상기 보안데이터를 수신하는 유저카드 통신모듈,
    상기 유저카드 통신모듈이 수신한 보안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상기 유저카드의 인증을 수행하는 카드 제어모듈,
    상기 카드 제어모듈에 의해 유효성을 인정받은 보안데이터를 저장하는 락킹 데이터베이스,
    상기 카드 제어모듈에 의해 상기 보안데이터의 유효성이 검증되어 상기 유저카드의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 락커 보안을 해제하는 잠금 장치모듈,
    스마트폰과 통신을 수행하는 스마트폰 통신모듈 및
    락커 보안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스마트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카드 제어모듈에 의해 유효성이 검증된 보안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할 경우 상기 스마트폰으로 상기 카드 제어모듈에 의해 유효성이 검증된 보안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스마트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폰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커락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데이터에는 멀티 유저 사용 설정, 암호화 설정, 락킹 시간 설정, 고유 ID, 보안데이터의 유효기간 및 최종 사용 시간 설정 기능을 더 포함하여, 상기 보안데이터가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되도록 하여,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락커의 보안해제를 유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커락 시스템.
  8. 락커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길이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타측으로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스프링래치;
    상기 케이스 내측에 모터구동력에 의해 회동되도록 설치되어, 특정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스프링래치의 걸림부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도록 하여 상기 스프링래치의 이동을 제한시키는 래치작동레버;
    상기 래치작동레버가 모터 구동력에 의해 특정방향 및 각도로 회동되도록 제어하는 구동제어부;
    상기 래치작동레버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래치작동레버를 회동시키는 모터구동부; 및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모터구동부로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는 락킹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스프링래치가 전후로 이동되면서 상기 락킹장치가 스프링 래치 기능을 구현하도록 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측에는 부품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측에 설치되는 전선케이블이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전선케이블통과공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부 개방부를 커버하여 락커의 일측면에 밀착설치되는 커버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외측면에는 상기 전선케이블 통과공에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전선케이블이 수납되는 수납용 가이드홈이 일정길이로 함몰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의 단부에는 상기 전선케이블의 단부에 설치되는 커넥터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가 삽입되는 커넥터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락커락 시스템.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스프링래치의 이동상태를 센싱하여 락커의 잠금상태를 판단하는 잠금장치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잠금장치모듈은
    복수개의 제1, 제2 근접센싱수단을 락커의 잠금상태 및 잠금해제상태에 해당되는 스프링래치의 이동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하여, 상기 제1, 제2 근접센싱수단에서의 센싱값에 의해 락커의 잠금 및 잠금해제상태를 판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커락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장치는 유저카드로부터 전송받은 보안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락커의 보안해제 또는 보안유지를 수행하되,
    유효성 검증을 통과한 보안데이터를 상기 락킹장치로부터 전송받아 저장하는 스마트폰을 더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폰은 저장된 보안데이터를 상기 락킹장치로 전송하여 락커의 보안해제를 유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커락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부는
    보안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유저카드로부터 상기 보안데이터를 수신하는 유저카드 통신모듈,
    상기 유저카드 통신모듈이 수신한 보안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상기 유저카드의 인증을 수행하는 카드 제어모듈,
    상기 카드 제어모듈에 의해 유효성을 인정받은 보안데이터를 저장하는 락킹 데이터베이스,
    상기 카드 제어모듈에 의해 상기 보안데이터의 유효성이 검증되어 상기 유저카드의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 락커 보안을 해제하는 잠금 장치모듈,
    스마트폰과 통신을 수행하는 스마트폰 통신모듈 및
    락커 보안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스마트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카드 제어모듈에 의해 유효성이 검증된 보안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할 경우 상기 스마트폰으로 상기 카드 제어모듈에 의해 유효성이 검증된 보안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스마트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폰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락커락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데이터에는 멀티 유저 사용 설정, 암호화 설정, 락킹 시간 설정, 고유 ID, 보안데이터의 유효기간 및 최종 사용 시간 설정 기능을 더 포함하여, 상기 보안데이터가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되도록 하여,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락커의 보안해제를 유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커락 시스템.
  14. 락커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길이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타측으로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데드볼트래치;
    상기 케이스 내측에 모터구동력에 의해 회동되도록 설치되어, 특정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일면에 돌출형성된 걸림편이 상기 데드볼트래치의 걸림부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도록 하여 상기 데드볼트래치의 이동을 제한시키는 래치작동레버;
    일측이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측으로는 상기 데드볼트래치의 이동영역으로 돌출되는 이동구속플레이트;
    상기 래치작동레버가 모터 구동력에 의해 특정방향 및 각도로 회동되도록 제어하는 구동제어부;
    상기 래치작동레버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래치작동레버를 회동시키는 모터구동부; 및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모터구동부로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여,
    상기 래치작동레버의 회동에 의해 상기 데드볼트래치의 타단부가 상기 이동구속플레이트의 타측면에 구속되어 상기 데드볼트래치가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데드볼트래치 기능을 구현하도록 하며,
    상기 래치작동레버의 외연에는 일정 길이로 연속돌출된 가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래치작동레버가 일정각도로 회동되면 상기 가압돌기가 상기 이동구속플레이트의 외면에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이동구속플레이트가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으로 이동되어, 상기 데드볼트래치의 타단부가 상기 이동구속플레이트의 타단부에 구속되지 않고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스프링래치 기능을 구현하도록 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측에는 부품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측에 설치되는 전선케이블이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전선케이블통과공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부 개방부를 커버하여 락커의 일측면에 밀착설치되는 커버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외측면에는 상기 전선케이블 통과공에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전선케이블이 수납되는 수납용 가이드홈이 일정길이로 함몰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의 단부에는 상기 전선케이블의 단부에 설치되는 커넥터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가 삽입되는 커넥터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락커락 시스템.
KR1020190145057A 2019-11-13 2019-11-13 락커락 시스템 KR102220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057A KR102220133B1 (ko) 2019-11-13 2019-11-13 락커락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057A KR102220133B1 (ko) 2019-11-13 2019-11-13 락커락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0133B1 true KR102220133B1 (ko) 2021-02-25

Family

ID=74731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057A KR102220133B1 (ko) 2019-11-13 2019-11-13 락커락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01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02934A (zh) * 2021-10-20 2021-12-17 苏州行越智能科技有限公司 Nb蓝牙组合智能锁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762B1 (ko) * 2006-08-04 2007-04-13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
KR101059753B1 (ko) 2011-02-22 2011-08-29 최명락 당김형 도어록
KR20120002473U (ko) * 2010-09-30 2012-04-09 주식회사 이랜시스 개선된 인쇄회로기판의 결합 구조를 갖는 도어록
KR101160629B1 (ko) * 2012-04-26 2012-06-28 아이리스원 주식회사 사물함에 설치되는 손잡이 일체형 전자식 록킹장치
KR101733454B1 (ko) * 2016-09-26 2017-05-10 패스테크 주식회사 등록된 스마트폰 키를 제공하는 락킹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85412B1 (ko) * 2018-09-21 2019-06-03 스마트이락 주식회사 다목적 도어락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762B1 (ko) * 2006-08-04 2007-04-13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
KR20120002473U (ko) * 2010-09-30 2012-04-09 주식회사 이랜시스 개선된 인쇄회로기판의 결합 구조를 갖는 도어록
KR101059753B1 (ko) 2011-02-22 2011-08-29 최명락 당김형 도어록
KR101160629B1 (ko) * 2012-04-26 2012-06-28 아이리스원 주식회사 사물함에 설치되는 손잡이 일체형 전자식 록킹장치
KR101733454B1 (ko) * 2016-09-26 2017-05-10 패스테크 주식회사 등록된 스마트폰 키를 제공하는 락킹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85412B1 (ko) * 2018-09-21 2019-06-03 스마트이락 주식회사 다목적 도어락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02934A (zh) * 2021-10-20 2021-12-17 苏州行越智能科技有限公司 Nb蓝牙组合智能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25105A1 (en) Electronic Cam Lock for Cabinet Doors, Drawers and Other Applications
US9536359B1 (en) Delivery system via electronic lockboxes
US9273492B2 (en) Electronic cam lock for cabinet doors, drawers and other applications
US7218202B2 (en) Biometric key
US10385589B2 (en) Electronic door lock
US20160042582A1 (en) Electronic locking system
US20100083713A1 (en) Padlock Device Using an Electromagnetic Switch Actuated System with Fingerprint Identification System
AU757159B2 (en) Biometric key
KR102220133B1 (ko) 락커락 시스템
TWM506183U (zh) 門禁系統
KR101331979B1 (ko) 디지털용 도어록의 모티스 및 이를 구비한 도어록 장치
KR101242404B1 (ko) 사물함용 전자 도어락
KR102190752B1 (ko) 공공 사용 공간의 룸 사용 인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마트 푸시풀 도어락
JP4487458B2 (ja) 住宅用ドア自動開閉システム
US20230112457A1 (en) Locking device for locker
CA3231746A1 (en) Drive mechanism for electronic deadbolt
JP4723418B2 (ja) 建物の施解錠システム
KR20160056000A (ko)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KR20200080893A (ko) 스마트 도어락
EP3428373B1 (en) Electric lock device
KR101949824B1 (ko) Iot를 활용한 복합 잠금장치
KR100808405B1 (ko) 차량용 스마트키를 구비한 지능형 디지털 도어록
JP4932541B2 (ja) 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錠装置
KR102251387B1 (ko) 공공사용 공간의 룸용 도어락 인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마트 도어락
KR20100070191A (ko) 디지털 도어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