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9824B1 - Iot를 활용한 복합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Iot를 활용한 복합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9824B1
KR101949824B1 KR1020160178114A KR20160178114A KR101949824B1 KR 101949824 B1 KR101949824 B1 KR 101949824B1 KR 1020160178114 A KR1020160178114 A KR 1020160178114A KR 20160178114 A KR20160178114 A KR 20160178114A KR 101949824 B1 KR101949824 B1 KR 101949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losing member
opening
uni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8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4233A (ko
Inventor
추철민
Original Assignee
추철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철민 filed Critical 추철민
Priority to KR1020160178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9824B1/ko
Publication of KR20180074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4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41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H04L67/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04M1/72533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E05B2047/0095Mechanical aspects of locks controlled by telephone signals, e.g. by mobile 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OT를 활용한 복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람이 출입하는 건축 구조물의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건축 구조물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도어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기 건축 구조물에 대해 상기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는 제1잠금유닛과, 상기 도어의 잠금신호 또는 잠금 해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1입력모듈과, 상기 제1입력모듈에 입력된 상기 도어의 잠금신호 또는 잠금 해제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모듈이 마련된 단말기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도어의 잠금신호 또는 잠금 해제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도어의 잠금신호를 수신시 상기 건축 구조물에 대해 상기 도어가 잠기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도어의 잠금 해제 신호가 수신시 상기 건축 구조물에 대한 상기 도어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도록 상기 제1잠금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IOT를 활용한 복합 잠금장치은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원거리에서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으므로 부재시에도 방문객이 방문하거나 운송물이 배달될 경우 도어를 용이하게 열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IOT를 활용한 복합 잠금장치{Composite locking device using IOT}
본 발명은 IOT를 활용한 복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관리자가 원거리에서 도어의 잠금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IOT를 활용한 복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록 장치는 도어 개폐를 수행하기 위해서 키패드 방식, 자석을 이용한 키 방식, 열쇠 방식, 또는 카드방식 등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도어록 장치는 보안기능에 있어 보안의 통합적 기능보다는 하나의 단말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이거나 단독으로 도어록 기능보다는 하나의 단말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이거나 단독으로 도어록 기능에 충실한 제품들이 주류를 이루어 왔고 각각의 성능개선을 통해 발전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도어록 장치는 기능적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번호나 키, 카드의 분실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둘째, 제한적인 통신 방법으로 인해 그 기능적 한계가 명백하다는 것이다. 다양한 응용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이 어렵고 이를 이용한 다양한 목적으로의 활용이 어렵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셋째, 유무선 통신과 연계된 통합적 보안가능을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안 기능을 구현하고자 할 경우 기존의 오프라인 시장의 보안업체의 서비스를 활용해야 하기 때문에 초기의 고가의 투자 부담을 가져야 하며,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비용을 부담해야만 한다.
최근 집이나 사무실 등의 도어에 열쇠가 아닌 마그네틱 카드, 스마트 카드 등을 이용한 키를 사용하거나 지문인식, 홍채인식 등과 같은 생체인식기술을 이용한 키 등에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도어록 장치는 주거인이 도어록 장치가 설치된 도어에 접근하여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해야 하므로 주거인이 부재시 방문객이 방문하거나 운송물이 배달될 경우에 도어를 열어주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84521호: 도어키 및 도어 잠금 장치로 이루어지는 IOT를 활용한 복합 잠금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주거인이 부재시에도 방문객이 방문하거나 운송물이 배달될 경우 도어를 열어줄 수 있는 IOT를 활용한 복합 잠금장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IOT를 활용한 복합 잠금장치은 사람이 출입하는 건축 구조물의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건축 구조물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도어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기 건축 구조물에 대해 상기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는 제1잠금유닛과, 상기 도어의 잠금신호 또는 잠금 해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1입력모듈과, 상기 제1입력모듈에 입력된 상기 도어의 잠금신호 또는 잠금 해제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모듈이 마련된 단말기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도어의 잠금신호 또는 잠금 해제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도어의 잠금신호를 수신시 상기 건축 구조물에 대해 상기 도어가 잠기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도어의 잠금 해제 신호가 수신시 상기 건축 구조물에 대한 상기 도어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도록 상기 제1잠금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도어는 상기 출입구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건축 구조물 내부로 운송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가 형성되고, 본 발명에 따른 IOT를 활용한 복합 잠금장치은 상기 투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개폐부재와, 상기 도어에 대해 상기 개폐부재를 잠그거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제2잠금유닛을 더 구비한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개폐부재의 잠금신호 또는 잠금 해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2입력모듈을 더 구비하며, 상기 개폐부재의 잠금신호 또는 잠금 해제 신호는 상기 통신모듈에 의해 상기 통신부로 전송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개폐부재의 잠금신호를 수신시 상기 도어에 대해 상기 개폐부재가 잠기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개폐부재의 잠금 해제 신호가 수신시 상기 도어에 대한 상기 개폐부재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도록 상기 제2잠금유닛을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IOT를 활용한 복합 잠금장치은 상기 개폐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가 개폐되도록 상기 개폐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개폐부재의 잠금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개폐부재가 회전되게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투입구가 상기 개폐부재에 의해 폐쇄되면 상기 도어에 대해 상기 개폐부재가 잠기도록 상기 제2잠금유닛을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개폐부재의 잠금 해제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도어에 대한 상기 개폐부재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도록 상기 제2잠금유닛을 제어하고, 상기 투입구가 개방되도록 상기 개폐부재가 회전되게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킨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투입구를 개방시 상기 도어에 대한 상기 개폐부재의 회전각도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각도입력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각도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상기 개폐부재의 회전각도 정보를 상기 통신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개폐부재의 잠금 해제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개폐부재의 회전각도 정보에 대응되는 각도만큼 상기 도어에 대해 상기 개폐부재를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IOT를 활용한 복합 잠금장치은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건축 구조물의 내부로 투입되는 상기 운송물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운송물의 투입이 감지되면 상기 센서부의 감지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입구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운송물의 투입이 감지될 경우, 상기 운송물의 투입이 완료된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투입구가 폐쇄되도록 상기 개폐부재가 회전할 수 있게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고, 상기 투입구가 상기 개폐부재에 의해 폐쇄되면 상기 도어에 대해 상기 개폐부재가 잠기도록 상기 제2잠금유닛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IOT를 활용한 복합 잠금장치은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원거리에서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으므로 부재시에도 방문객이 방문하거나 운송물이 배달될 경우 도어를 용이하게 열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IOT를 활용한 복합 잠금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OT를 활용한 복합 잠금장치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IOT를 활용한 복합 잠금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IOT를 활용한 복합 잠금장치에 대한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를 활용한 복합 잠금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IOT를 활용한 복합 잠금장치(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IOT를 활용한 복합 잠금장치(100)은 사람이 출입하는 건축 구조물(10)의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건축 구조물(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도어(15)에 마련된 제1잠금유닛(110)과, 도어(15)의 잠금신호 또는 잠금 해제 신호를 입력하여 전송하는 단말기(120)와, 상기 단말기(12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130)와, 상기 통신부(13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토대로 상기 제1잠금유닛(110)을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구비한다.
제1잠금유닛(110)은 건축 구조물(10)의 내측에 노출된 도어(15)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제1본체(111)와, 상기 제1본체(111)에 외부로 진퇴가능하게 설치된 제1잠금봉(미도시)과, 상기 제1본체(111)에 대향되는 위치의 건축 구조물(10)의 내벽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1본체(111)로부터 돌출된 제1잠금봉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1삽입구가 형성된 제1잠금블럭(112)과, 상기 제1본체(111)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잠금봉을 진퇴시키는 제1진퇴작동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제1본체(111) 외부에는 제1잠금봉을 제1본체(111)에 대해 진퇴시킬 수 있도록 제1진퇴작동부를 제어하는 작동레베가 설치되어 있다. 출입구를 폐쇄하도록 도어(15)를 위치시킨 다음, 제1본체(111)로부터 제1잠금봉이 돌출되도록 작동레버를 조작하면 제1잠금봉은 제1잠금블럭(112)의 제1삽입구에 삽입되어 도어(15)는 건축 구조물(10)에 잠긴 상태가 된다. 또한, 제1잠금봉이 제1본체(111)로 인입되도록 작동레베를 조작하면 제1잠금봉은 제1잠금블럭(112)으로부터 이탈되어 도어(15)는 건축 구조물(10)에 대한 잠금상태가 해제된다.
한편, 잠금유닛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도어(15)를 건축 구조물(10)에 대해 잠그거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구조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단말기(120)는 상기 도어(15)의 잠금신호 또는 잠금 해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1입력모듈과, 상기 제1입력모듈에 입력된 상기 도어(15)의 잠금신호 또는 잠금 해제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단말기(120)는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120)로서, 통신모듈,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위성으로부터 지피에스 신호를 수신하는 지피에스 수신모듈, 음성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스피커의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조절스위치 등이 마련된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마트폰이 적용된다.
제1입력모듈은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단말기(120)에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가 제1입력모듈을 실행하면 단말기(120)의 디스플레이부에 도어(15)의 잠금신호 또는 잠금 해제 신호 입력을 위한 아이콘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상기 아이콘을 파지하면 제1입력모듈은 단말기(120)의 통신모듈을 통해 도어(15)의 잠금신호 또는 잠금 해제 신호를 송신한다.
통신부(130)는 인터넷과 같은 무선통신망을 통해 단말기(120)로부터 전송된 도어(15)의 잠금신호 또는 잠금 해제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통신부(130)는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신호 수신 수단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140)는 통신부(130) 및 잠금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통신부(130)를 통해 상기 도어(15)의 잠금신호를 수신시 상기 건축 구조물(10)에 대해 상기 도어(15)가 잠기고, 상기 통신부(130)를 통해 상기 도어(15)의 잠금 해제 신호가 수신시 상기 건축 구조물(10)에 대한 상기 도어(15)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도록 상기 제1잠금유닛(110)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40)는 통신부(130)를 통해 도어(15)의 잠금 해제 신호가 수신시 제1잠금봉이 제1본체(111)로 인입되도록 잠금유닛의 제1진퇴작동부를 제어하여 도어(15)의 잠금상태를 해제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통신부(130)를 통해 도어(15)의 잠금신호가 수신되면 제1잠금봉이 제1본체(111)로부터 돌출되어 제1잠금블럭(112)에 삽입되도록 잠금유닛의 제1진퇴작동부를 제어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도어(15) 잠금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단말기(120)를 통해 원거리에서 도어(15)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으므로 부재시에도 방문객이 방문하거나 운송물이 배달될 경우 도어(15)를 용이하게 열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IOT를 활용한 복합 잠금장치(200)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IOT를 활용한 복합 잠금장치(200)은 상기 출입구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건축 구조물(10) 내부로 운송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도어(15)에 형성된 투입구(25)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1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개폐부재(210)와, 상기 도어(15)에 대해 상기 개폐부재(210)를 잠그거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제2잠금유닛(220)과, 상기 도어(15)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25)를 통해 상기 건축 구조물(10)의 내부로 투입되는 상기 운송물을 감지하는 센서부(230)와, 상기 개폐부재(210)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25)가 개폐되도록 상기 개폐부재(21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240)를 구비한다. 상기 투입구(25)는 도어(15)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부재(210)는 도어(15)의 투입구(25)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며, 일단부가 도어(1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잠금유닛(220)은 건축 구조물(10)의 내측에 노출된 개폐부재(210)의 타단부 가장자리에 설치된 제2본체(221)와, 상기 제2본체(221)에 외부로 진퇴가능하게 설치된 제2잠금봉(미도시)과, 상기 제2본체(221)에 대향되는 위치의 도어(15)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2본체(221)로부터 돌출된 제2잠금봉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2삽입구가 형성된 제2잠금블럭(222)과, 상기 제2본체(221)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잠금봉을 진퇴시키는 제2진퇴작동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제2본체(221) 외부에는 제2잠금봉을 제2본체(221)에 대해 진퇴시킬 수 있도록 제2진퇴작동부를 제어하는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2잠금유닛(220)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개폐부재(210)를 도어(15)에 대해 잠그거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구조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센서부(230)는 투입구(25)의 상측 가장자리에 인접된 위치의 도어(15)에 설치되어 하방으로 광을 발생시키는 발광부재(231)와, 상기 발광부재(231)에 대향되는 위치의 투입구(25) 하측 도어(15)에 설치되어 발광부재(231)로부터 발생된 광을 감지하는 수광부재(232)를 구비한다. 상기 발광부재(231) 및 수광부재(232)는 건축 구조물(10)의 내측면에 도출된 도어(15)의 내측면에 설치된다. 투입구(25)를 통해 운반물이 투입시 운반물에 의해 발광부재(231)에 의해 발생된 광이 수광부재(232)에 미감지되는데, 제어부(140)는 수광부재(232)에 광이 미감지되면 투입구(25)를 통해 운반물이 투입된 상태로 판단한다.
한편, 센서부(230)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투입구(25)로 투입되는 운반물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수단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구동부(240)는 건축 구조물(10)의 내부에 노출된 도어(15)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개폐부재(210)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개폐부재(210)를 회전시킨다. 상기 구동부(24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도어(15)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된 구동기어와, 개폐부재(210)의 회전축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되는 피동기어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모터는 제어부(140)에 의해 작동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이때, 단말기(12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개폐부재(210)의 잠금신호 또는 잠금 해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2입력모듈과, 상기 투입구(25)를 개방시 상기 도어(15)에 대한 상기 개폐부재(210)의 회전각도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각도입력모듈을 더 구비한다.
제2입력모듈 및 각도입력모듈은 모두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단말기(120)에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가 제2입력모듈 및 각도입력모듈을 실행하면 단말기(120)의 디스플레이부에 개폐부재(210)의 잠금신호 또는 잠금 해제 신호 입력을 위한 아이콘 및 개폐부재(210)의 회전각도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아이콘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상기 아이콘들을 조작하여 개폐부재(210)의 잠금신호 또는 잠금 해제 신호와 개폐부재(210)의 회전각도 정보를 입력한다. 이때, 단말기(120)의 통신모듈은 입력된 개폐부재(210)의 잠금신호 또는 잠금 해제 신호와 개폐부재(210)의 회전각도 정보를 통신부(130)로 전송한다.
제어부(140)는 상기 통신부(130)를 통해 상기 개폐부재(210)의 잠금신호를 수신시 상기 도어(15)에 대해 상기 개폐부재(210)가 잠기도록 상기 제2잠금유닛(220)의 제2진퇴작동부를 작동시킨다. 즉, 제어부(140)는 통신부(130)를 통해 개폐부재(210)의 잠금신호가 수신되면 제2잠금봉이 제2본체(221)로부터 돌출되어 단부가 제2잠금블럭(222)에 삽입되도록 제2진퇴작동부를 제어한다. 이때, 개폐부재(210)가 회전되어 투입구(25)가 개방된 상태이면, 상기 개폐부재(210)가 상기 투입구(25)를 폐쇄하도록 상기 개폐부재(210)가 회전되게 구동부(240)를 제어하고, 상기 투입구(25)가 상기 개폐부재(210)에 의해 폐쇄되면 상기 도어(15)에 대해 상기 개폐부재(210)가 잠기도록 상기 제2잠금유닛(220)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통신부(130)를 통해 개폐부재(210)의 잠금 해제 신호가 수신될 경우, 제어부(140)는 통신부(130)를 통해 상기 개폐부재(210)의 잠금 해제 신호가 수신시 상기 도어(15)에 대한 상기 개폐부재(210)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도록 상기 제2잠금유닛(220)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40)는 통신부(130)를 통해 개폐부재(210)의 잠금 해제 신호가 수신되면 제2잠금봉이 제2잠금블럭(222)으로부터 분리되어 제2본체(221) 내부로 인입되게 제2진퇴작동부를 제어한다. 다음, 제어부(140)는 상기 투입구(25)가 개방되도록 상기 개폐부재(210)가 회전되게 상기 구동부(240)를 작동시킨다. 이때, 제어부(140)는 상기 개폐부재(210)의 회전각도 정보에 대응되는 각도만큼 도어(15)에 대해 상기 개폐부재(210)를 회전시킨다. 이처럼 제어부(140)는 단말기(120)를 통해 입력된 각도 만큼만 개폐부재(210)를 회전시키므로 운반물에 따라 필요이상으로 개폐부재(21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개폐부재(210)의 회전으로 투입구(25)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230)를 통해 상기 운송물의 투입이 감지되면 제어부(140)는 상기 센서부(230)의 감지정보를 상기 통신부(130)를 통해 상기 단말기(120)로 전송하고, 상기 운송물의 투입이 완료된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투입구(25)가 폐쇄되도록 상기 개폐부재(210)가 회전할 수 있게 상기 구동부(240)를 작동시키고, 상기 투입구(25)가 상기 개폐부재(210)에 의해 폐쇄되면 상기 도어(15)에 대해 상기 개폐부재(210)가 잠기도록 상기 제2잠금유닛(220)을 제어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통신부(130)를 통해 잠금 해제 신호를 수신시 제2잠금유닛(220)을 제어하여 도어(15)에 대한 개폐부재(210)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단말기(120)를 통해 입력된 회전각도 정보 만큼 개폐부재(210)를 도어(15)에 대해 회전시키므로 도어(15)의 잠금상태를 해제하지 않더라도 운반물을 건축 구조물(10)의 내부로 투입할 수 있다. 또한, 건축 구조물(10) 내부로 운송물의 투입이 완료되면 센서부(230)가 이를 감지하며, 투입구(25)가 폐쇄되도록 개폐부재(210)를 회전시키고, 제2잠금유닛(220)을 통해 개폐부재(210)를 도어(15)에 잠그므로 자동으로 운반물의 투입이 완료되면 도어(15)의 투입구(25)가 폐쇄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IOT를 활용한 복합 잠금장치
110: 제1잠금유닛
111: 제1본체
112: 제1잠금블럭
120: 단말기
130: 통신부
140: 제어부

Claims (8)

  1. 사람이 출입하는 건축 구조물의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건축 구조물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출입구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건축 구조물 내부로 운송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가 형성된 도어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기 건축 구조물에 대해 상기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는 제1잠금유닛;
    상기 도어의 잠금신호 또는 잠금 해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1입력모듈과, 상기 제1입력모듈에 입력된 상기 도어의 잠금신호 또는 잠금 해제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모듈이 마련된 단말기;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도어의 잠금신호 또는 잠금 해제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도어의 잠금신호를 수신시 상기 건축 구조물에 대해 상기 도어가 잠기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도어의 잠금 해제 신호가 수신시 상기 건축 구조물에 대한 상기 도어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도록 상기 제1잠금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투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개폐부재;
    상기 도어에 대해 상기 개폐부재를 잠그거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제2잠금유닛; 및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건축 구조물의 내부로 투입되는 상기 운송물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투입구의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광을 발생시키는 발광부재와;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발광부재에 대향되는 상기 투입구의 타측 가장자리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수광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잠금유닛은
    상기 건축 구조물의 내측에 노출된 상기 개폐부재의 단부 가장자리에 설치된 제2본체와;
    상기 제2본체에 외부로 진퇴가능하게 설치된 제2잠금봉과;
    상기 제2본체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도어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2본체로부터 돌출된 상기 제2잠금봉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2삽입구가 형성된 제2잠금블럭과;
    상기 제2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제2잠금봉을 진퇴시키는 제2진퇴작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개폐부재의 잠금신호 또는 잠금 해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2입력모듈을 더 구비하며, 상기 개폐부재의 잠금신호 또는 잠금 해제 신호는 상기 통신모듈에 의해 상기 통신부로 전송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개폐부재의 잠금신호를 수신시 상기 도어에 대해 상기 개폐부재가 잠기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개폐부재의 잠금 해제 신호가 수신시 상기 도어에 대한 상기 개폐부재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도록 상기 제2잠금유닛을 제어하되, 상기 수광부재에 광이 미감지되면 상기 투입구를 통해 운반물이 투입된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센서부의 감지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IOT를 활용한 복합 잠금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가 개폐되도록 상기 개폐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개폐부재의 잠금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개폐부재가 회전되게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투입구가 상기 개폐부재에 의해 폐쇄되면 상기 도어에 대해 상기 개폐부재가 잠기도록 상기 제2잠금유닛을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개폐부재의 잠금 해제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도어에 대한 상기 개폐부재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도록 상기 제2잠금유닛을 제어하고, 상기 투입구가 개방되도록 상기 개폐부재가 회전되게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IOT를 활용한 복합 잠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투입구를 개방시 상기 도어에 대한 상기 개폐부재의 회전각도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각도입력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각도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상기 개폐부재의 회전각도 정보를 상기 통신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개폐부재의 잠금 해제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개폐부재의 회전각도 정보에 대응되는 각도만큼 상기 도어에 대해 상기 개폐부재를 회전시키는,
    IOT를 활용한 복합 잠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건축 구조물의 내부로 투입되는 상기 운송물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구비하는,
    IOT를 활용한 복합 잠금장치.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입구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운송물의 투입이 감지될 경우, 상기 운송물의 투입이 완료된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투입구가 폐쇄되도록 상기 개폐부재가 회전할 수 있게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고, 상기 투입구가 상기 개폐부재에 의해 폐쇄되면 상기 도어에 대해 상기 개폐부재가 잠기도록 상기 제2잠금유닛을 제어하는,
    IOT를 활용한 복합 잠금장치.

KR1020160178114A 2016-12-23 2016-12-23 Iot를 활용한 복합 잠금장치 KR101949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114A KR101949824B1 (ko) 2016-12-23 2016-12-23 Iot를 활용한 복합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114A KR101949824B1 (ko) 2016-12-23 2016-12-23 Iot를 활용한 복합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4233A KR20180074233A (ko) 2018-07-03
KR101949824B1 true KR101949824B1 (ko) 2019-02-19

Family

ID=62918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8114A KR101949824B1 (ko) 2016-12-23 2016-12-23 Iot를 활용한 복합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98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6943B1 (ko) * 2022-11-30 2023-05-02 (주)동화이엔씨 정보통신을 활용한 공동주택의 방범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2130A (ja) * 2002-10-15 2004-04-30 Tokai Rika Co Ltd 自動ドア装置及び自動ドア制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4521A (ko) 2005-01-20 2006-07-25 (주)케이비씨 도어키 및 도어 잠금 장치로 이루어지는 도어 잠금 시스템
KR100643199B1 (ko) * 2005-04-25 2006-11-10 주식회사 미래건설 택배도어를 포함하는 지능형 도어 시스템
KR101511848B1 (ko) * 2013-09-27 2015-04-15 이상구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2130A (ja) * 2002-10-15 2004-04-30 Tokai Rika Co Ltd 自動ドア装置及び自動ドア制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4233A (ko) 201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1024B1 (en) Device for locking and unlocking a door lock
EP2971417B1 (en) Interconnected locking system
EP1408184A8 (en) Automatic vehicle door locking/unlocking apparatus
JP2019512630A (ja) キーを保持及び共有するための安全デバイス
JP2014148842A (ja) 車両扉開閉装置
US9551168B2 (en) Furniture embedded locking device
KR101949824B1 (ko) Iot를 활용한 복합 잠금장치
US11846125B2 (en) Locking device for car doors
CN110446822B (zh) 用于门的锁定系统和可延伸的导线管
US10352067B2 (en) Key monitoring door lock, door lock ke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JP4487458B2 (ja) 住宅用ドア自動開閉システム
CN110439384A (zh) 一种基于物联网的远程控制智能门锁
JP4839701B2 (ja) 車両用ロック制御装置およびロック制御方法
US20240046725A1 (en) Manual electronic deadbolt
US11859417B2 (en) Locking device for car doors
KR102220133B1 (ko) 락커락 시스템
KR20180116616A (ko) 디지털도어록의 개폐장치 구조
KR101456214B1 (ko)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826692B1 (ko) 디지털 도어 록 장치
US20220172528A1 (en) Electronic door lock
KR101866535B1 (ko) 스마트폰 도킹 도어락
TWI569994B (zh) Induction lock system for locomotive
US20220325557A1 (en) Detection and correction of insufficient locking behavior of an electronic lockset
KR200486251Y1 (ko) 양방향 잠금기능을 구비하는 도어 잠금장치
KR200208031Y1 (ko) 도어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