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1848B1 -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 - Google Patents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1848B1
KR101511848B1 KR20130114906A KR20130114906A KR101511848B1 KR 101511848 B1 KR101511848 B1 KR 101511848B1 KR 20130114906 A KR20130114906 A KR 20130114906A KR 20130114906 A KR20130114906 A KR 20130114906A KR 101511848 B1 KR101511848 B1 KR 101511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re door
smart
module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4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4930A (ko
Inventor
이상구
Original Assignee
이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구 filed Critical 이상구
Priority to KR20130114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1848B1/ko
Publication of KR20150034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4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1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1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1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burgla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물품 투입구(11), 방화문 개폐 구동부(10a), 카메라부(10b), 스마트키 감지부(10c), 물품 투입구 구동부(11a), 센서부(12), 송수신부(13), 저장부(14) 및 제어부(15)를 포함하는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에 있어서, 물품 투입구(11)는 제어부(15)에 의한 방화문 개폐 구동부(10a)에 대한 제어를 통해 개폐가 되며, 통신망(20)을 통한 스마트폰(30)에 의한 제어에 따라도 동일하게 제어부(15)에 의한 방화문 개폐 구동부(10a)에 대한 제어를 통해 개폐가 수행되어, 택배 물품을 외부로부터 전달받기 위해 형성되며, 센서부(12)는 외부 및 내부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 프레임 내부에 삽입된 다수의 모션센서로 이루어진 모션센서모듈(12a), 그리고 미리 설정된 구역 통과를 감지하기 위해 면상 전도체를 이용한 면상 전도체 파괴시 경보장치(미도시)를 작동시키기 위한 면상 전도체 센서(12b)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면상 전도체 센서(12b)는 면상 전도체가 방화문(10) 프레임을 구성하는 재질로 적용되어 부착되거나 방화문(10) 내부의 공간에 설치됨으로써 외부에서 침입자가 핸들 레버 주변을 파괴시 면상 전도체가 손상되거나 절단 파괴가 되면 면상 전도체에 흐르는 전류 변화의 감지를 통해 침입 여부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작동하게 되며, 송수신부(13)는,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 프레임에 대한 원격 제어 및 카메라부(10b)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에 대한 통신망(20)을 통한 스마트폰(30)으로의 전송을 위해 형성되며,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을 사용하며, 제어부(15)는, 모션센싱 기반 제어모듈(15a), 스마트키 제어모듈(15b), 스마트폰 기반 인터폰 모듈(15c), 물품 투입구 제어모듈(15d), 자동 녹화 전송모듈(15e), 출입 정보 관리모듈(15f), 블랙박스 제공모듈(15g) 및 자동 경보 제공모듈(15h)을 구비하며, 모션센싱 기반 제어모듈(15a)은, 고강도 금속 두 장을 절곡하여 생성되는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 프레임 내부에 형성된 모션센서모듈(12a)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외부로부터 침입하고자 하는 객체(Object)에 대한 감지 정보 수신시, 감지 정보를 통신망(20)을 통해 스마트폰(30)으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13)를 제어하며, 상기 스마트폰(30)으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스마트 안전 방화문(10) 프레임의 전방을 향하여 형성된 카메라부(10b)로부터 촬영된 동영상을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13)를 제어하여, 상기 스마트폰(30)에 의해 공공기관 또는 사설 보안 업체로의 신고가 수행되도록 하며, 스마트키 제어모듈(15b)은, 스마트키 감지부(10c)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 프레임의 전방 또는 후방에 스마트키(40)의 위치가 검출시, 방화문 개폐 구동부(10a)를 구동하여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에 대한 개방 명령(Open control command)을 수행하며, 내부에서 외부로 나가려는 사용자의 스마트키(40)에 대한 소지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비밀번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된 비밀번호와 미리 설정되어 저장부(14)에 저장된 번호가 매칭되는 경우, 방화문 개폐 구동부(10a)를 구동하여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에 대한 개방 명령(Open control command)을 수행하며, 스마트폰 기반 인터폰 모듈(15c)은, 상기 송수신부(13)를 통해 상기 통신망(20)과 연결된 상기 스마트폰(30)으로부터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에 대한 개방 명령(Open control command) 또는 폐쇄 명령(Close control command)을 수신한 뒤, 개방 명령 수신시 방화문 개폐 구동부(10a)를 제어하여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에 대한 개방을 수행하며, 폐쇄 명령 수신시 방화문 개폐 구동부(10a)를 제어하여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모션센서모듈(12a)에 의해 방문객이 감지된 경우, 상기 카메라부(10b)를 통해 촬영된 방문객에 대한 동영상을 상기 스마트폰(30)으로 전송할 뿐만 아니라, 상기 스마트폰(30)을 이용해 사용자에 대해 촬영된 동영상을 수신하여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상기 스마트 안전 방화문(10) 상의 출력부(미도시)로 출력하며, 물품 투입구 제어모듈(15d)은, 물품 투입구 구동부(11a)에 대한 제어를 통해 물품 투입구(11)에 대한 개폐를 수행하며, 상기 스마트폰(30)과 상기 통신망(20)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 방식을 통해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떨어진 위치에 있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물품 투입구 구동부(11a)에 대한 제어를 통해 물품 투입구(11)에 대한 개폐를 수행하며, 자동 녹화 전송모듈(15e)은, 스마트폰(30)에 의한 통신망(20)을 통한 카메라부(10b)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카메라부(10b)를 제어하여 동영상 정보를 촬영하여 저장부(14)에 저장한 뒤, 저장된 동영상에 대한 실시간 전송이 설정된 경우, 통신망(20)을 통해 스마트폰(30)으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13)를 제어함으로써, 카메라부(10b)에 의해 촬영된 정보를 자동 송신하여 증거 확보로 가능하도록 하며, 출입 정보 관리모듈(15f)은, 모션센싱 기반 제어모듈(15a)에 의한 객체에 대한 감지에 따라 자동으로 녹화가 설정된 자동 녹화 전송모듈(15e)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 정보, 그리고 모션센싱 기반 제어모듈(15a)에 의해 생성된 감지 시간 정보를 통신망(20)을 통해 스마트폰(30)으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13)를 제어함으로써, 스마트폰(30) 사용자에 의해 각 객체에 대한 출입 데이터에 대한 열람 기능을 제공하며, 블랙박스 제공모듈(15g)은, 상시 녹화 기능으로의 설정에 따라, 카메라부(10b)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 정보를 저장부(14)에 실시간으로 저장하며, 저장 용량이 모두 다 찬 경우, 재녹화하는 방식을 통해 블랙박스 기능을 통해 동영상을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자동 경보 제공모듈(15h)은, 방해 전파 감지를 수행하며, 스마트폰(30)과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교란하기 위한 전파를 감지시, 자동 경보 모드로 전환하여, 경보장치(미도시)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종래의 일반적인 개폐를 위한 문이 아니라 돌리는 레버 핸들은 있지만 키 꽂는 열쇠 구멍은 없고, 미리 설정된 조건하에 출입하는 사람에 대한 자동 감지를 통해 개폐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션센싱 기반으로의 자동 개폐뿐만 아니라, 스마트키에 대한 자동 개폐가 가능하며, 원격지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원격 개폐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종래의 택배나 배달 등에 의한 물품에 대한 투입시의 안보 문제를 해결하며, 출입 정보 관리 외에 블랙박스 등의 기능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Smart safety door with open and close function based on auto-sensing}
본 발명은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일반적인 개폐를 위한 문이 아니라 돌리는 레버 핸들은 있지만 키 꽂는 열쇠 구멍은 없고, 미리 설정된 조건하에 출입하는 사람에 대한 자동 감지를 통해 개폐되도록 하기 위한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에 관한 것이다.
기존 방화문은 잠금 장치를 쉽게 해정(release) 하지 못하도록 개발되어 왔으며 그로 인하여 외부 침입자들은 잠금 장치를 해정(release) 하지 못하는 경우 문에 드릴로 구멍을 뚫어 안쪽에 열림 버튼을 눌러서 침입을 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어 문제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철사뿐만 아니라 내시경을 사용하여 그 수법이 날로 고도해지고 있다.
이로 인하여 기존의 방화문은 아무리 잠금 장치가 개발되어도 문에 구멍을 뚫거나 산소 등으로 절단을 하여 침입하는 경우에는 거의 무방비 상태일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방화문을 기반으로 종래의 일반적인 개폐를 위한 문이 아니라 돌리는 레버 핸들은 있지만 키 꽂는 열쇠 구멍은 없고, 미리 설정된 조건하에 출입하는 사람에 대한 자동 감지를 통해 개폐되도록 하기 위한 스마트 기반의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관련기술문헌]
1. 무선통신 스마트 키 기술을 이용한 건물용 문 잠금 장치와 그 운용 방법(Door latch using technology of smart key with wireless communication and business method thereof) (특허출원번호 제10-2011-0012380호)
2. 도어 개폐를 위한 스마트 장치, 도어 매니저 장치 및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Smart apparatus, door manager apparatus and door locking/unlocking control system for door locking/unlocking) (특허출원번호 제10-2011-0091179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일반적인 개폐를 위한 문이 아니라 돌리는 레버 핸들은 있지만 키 꽂는 열쇠 구멍은 없고, 미리 설정된 조건하에 출입하는 사람에 대한 자동 감지를 통해 개폐되도록 하기 위한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모션센싱 기반으로의 자동 개폐뿐만 아니라, 스마트키에 대한 자동 개폐가 가능하며, 원격지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원격 개폐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택배나 배달 등에 의한 물품에 대한 투입시의 안보 문제를 해결하며, 출입 정보 관리 외에 블랙박스 등의 기능을 추가로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은, 물품 투입구(11), 방화문 개폐 구동부(10a), 카메라부(10b), 스마트키 감지부(10c), 물품 투입구 구동부(11a), 센서부(12), 송수신부(13), 저장부(14) 및 제어부(15)를 포함하는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에 있어서, 물품 투입구(11)는 제어부(15)에 의한 방화문 개폐 구동부(10a)에 대한 제어를 통해 개폐가 되며, 통신망(20)을 통한 스마트폰(30)에 의한 제어에 따라도 동일하게 제어부(15)에 의한 방화문 개폐 구동부(10a)에 대한 제어를 통해 개폐가 수행되어, 택배 물품을 외부로부터 전달받기 위해 형성되며, 센서부(12)는 외부 및 내부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 프레임 내부에 삽입된 다수의 모션센서로 이루어진 모션센서모듈(12a), 그리고 미리 설정된 구역 통과를 감지하기 위해 면상 전도체를 이용한 면상 전도체 파괴시 경보장치(미도시)를 작동시키기 위한 면상 전도체 센서(12b)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면상 전도체 센서(12b)는 면상 전도체가 방화문(10) 프레임을 구성하는 재질로 적용되어 부착되거나 방화문(10) 내부의 공간에 설치됨으로써 외부에서 침입자가 핸들 레버 주변을 파괴시 면상 전도체가 손상되거나 절단 파괴가 되면 면상 전도체에 흐르는 전류 변화의 감지를 통해 침입 여부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작동하게 되며, 송수신부(13)는,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 프레임에 대한 원격 제어 및 카메라부(10b)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에 대한 통신망(20)을 통한 스마트폰(30)으로의 전송을 위해 형성되며,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을 사용하며, 제어부(15)는, 모션센싱 기반 제어모듈(15a), 스마트키 제어모듈(15b), 스마트폰 기반 인터폰 모듈(15c), 물품 투입구 제어모듈(15d), 자동 녹화 전송모듈(15e), 출입 정보 관리모듈(15f), 블랙박스 제공모듈(15g) 및 자동 경보 제공모듈(15h)을 구비하며, 모션센싱 기반 제어모듈(15a)은, 고강도 금속 두 장을 절곡하여 생성되는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 프레임 내부에 형성된 모션센서모듈(12a)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외부로부터 침입하고자 하는 객체(Object)에 대한 감지 정보 수신시, 감지 정보를 통신망(20)을 통해 스마트폰(30)으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13)를 제어하며, 상기 스마트폰(30)으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스마트 안전 방화문(10) 프레임의 전방을 향하여 형성된 카메라부(10b)로부터 촬영된 동영상을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13)를 제어하여, 상기 스마트폰(30)에 의해 공공기관 또는 사설 보안 업체로의 신고가 수행되도록 하며, 스마트키 제어모듈(15b)은, 스마트키 감지부(10c)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 프레임의 전방 또는 후방에 스마트키(40)의 위치가 검출시, 방화문 개폐 구동부(10a)를 구동하여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에 대한 개방 명령(Open control command)을 수행하며, 내부에서 외부로 나가려는 사용자의 스마트키(40)에 대한 소지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비밀번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된 비밀번호와 미리 설정되어 저장부(14)에 저장된 번호가 매칭되는 경우, 방화문 개폐 구동부(10a)를 구동하여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에 대한 개방 명령(Open control command)을 수행하며, 스마트폰 기반 인터폰 모듈(15c)은, 상기 송수신부(13)를 통해 상기 통신망(20)과 연결된 상기 스마트폰(30)으로부터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에 대한 개방 명령(Open control command) 또는 폐쇄 명령(Close control command)을 수신한 뒤, 개방 명령 수신시 방화문 개폐 구동부(10a)를 제어하여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에 대한 개방을 수행하며, 폐쇄 명령 수신시 방화문 개폐 구동부(10a)를 제어하여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모션센서모듈(12a)에 의해 방문객이 감지된 경우, 상기 카메라부(10b)를 통해 촬영된 방문객에 대한 동영상을 상기 스마트폰(30)으로 전송할 뿐만 아니라, 상기 스마트폰(30)을 이용해 사용자에 대해 촬영된 동영상을 수신하여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상기 스마트 안전 방화문(10) 상의 출력부(미도시)로 출력하며, 물품 투입구 제어모듈(15d)은, 물품 투입구 구동부(11a)에 대한 제어를 통해 물품 투입구(11)에 대한 개폐를 수행하며, 상기 스마트폰(30)과 상기 통신망(20)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 방식을 통해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떨어진 위치에 있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물품 투입구 구동부(11a)에 대한 제어를 통해 물품 투입구(11)에 대한 개폐를 수행하며, 자동 녹화 전송모듈(15e)은, 스마트폰(30)에 의한 통신망(20)을 통한 카메라부(10b)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카메라부(10b)를 제어하여 동영상 정보를 촬영하여 저장부(14)에 저장한 뒤, 저장된 동영상에 대한 실시간 전송이 설정된 경우, 통신망(20)을 통해 스마트폰(30)으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13)를 제어함으로써, 카메라부(10b)에 의해 촬영된 정보를 자동 송신하여 증거 확보로 가능하도록 하며, 출입 정보 관리모듈(15f)은, 모션센싱 기반 제어모듈(15a)에 의한 객체에 대한 감지에 따라 자동으로 녹화가 설정된 자동 녹화 전송모듈(15e)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 정보, 그리고 모션센싱 기반 제어모듈(15a)에 의해 생성된 감지 시간 정보를 통신망(20)을 통해 스마트폰(30)으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13)를 제어함으로써, 스마트폰(30) 사용자에 의해 각 객체에 대한 출입 데이터에 대한 열람 기능을 제공하며, 블랙박스 제공모듈(15g)은, 상시 녹화 기능으로의 설정에 따라, 카메라부(10b)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 정보를 저장부(14)에 실시간으로 저장하며, 저장 용량이 모두 다 찬 경우, 재녹화하는 방식을 통해 블랙박스 기능을 통해 동영상을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자동 경보 제공모듈(15h)은, 방해 전파 감지를 수행하며, 스마트폰(30)과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교란하기 위한 전파를 감지시, 자동 경보 모드로 전환하여, 경보장치(미도시)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은, 종래의 일반적인 개폐를 위한 문이 아니라 돌리는 레버 핸들은 있지만 키 꽂는 열쇠 구멍은 없고, 미리 설정된 조건하에 출입하는 사람에 대한 자동 감지를 통해 개폐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은, 모션센싱 기반으로의 자동 개폐뿐만 아니라, 스마트키에 대한 자동 개폐가 가능하며, 원격지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원격 개폐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은, 종래의 택배나 배달 등에 의한 물품에 대한 투입시의 안보 문제를 해결하며, 출입 정보 관리 외에 블랙박스 등의 기능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의 내부 및 외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의 내부 및 외부의 구성요소 중 제어부(15)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을 포함한 자동 감지 개폐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의 내부 및 외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의 내부 및 외부의 구성요소 중 제어부(15)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을 포함한 자동 감지 개폐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을 포함한 자동 감지 개폐 시스템은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 통신망(20), 스마트폰(30) 및 스마트키(40)를 포함한다.
여기서, 통신망(2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통신망(20)이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통신망(20)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통신망(20)은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과 스마트폰(30),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스마트폰(30)은 컴퓨팅 기능을 구비하며, 무선링크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인터넷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기로서, 이는 포괄적인 개념의 휴대기기들이다. 즉, 컴퓨팅 기능을 구비한 핸드폰, 무선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 and System)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와 같이 멀티미디어 폰 및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MBS폰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제 4 세대 시스템에서 사용될 핸드폰일 수 있다.
그리고,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은 물품 투입구(11), 방화문 개폐 구동부(10a), 카메라부(10b), 스마트키 감지부(10c), 물품 투입구 구동부(11a), 센서부(12), 송수신부(13), 저장부(14) 및 제어부(15)를 포함한다.
물품 투입구(11)는 제어부(15)에 의한 방화문 개폐 구동부(10a)에 대한 제어를 통해 개폐가 되며, 통신망(20)을 통한 스마트폰(30)에 의한 제어에 따라도 동일하게 제어부(15)에 의한 방화문 개폐 구동부(10a)에 대한 제어를 통해 개폐가 수행되어, 택배 물품을 외부로부터 전달받기 위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물품 투입구(11)는 과일 박스가 투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부(12)는 외부 및 내부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 프레임 내부에 삽입된 다수의 모션센서로 이루어진 모션센서모듈(12a), 그리고 미리 설정된 구역 통과를 감지하기 위해 면상 전도체를 이용한 면상 전도체 파괴시 경보장치(미도시)를 작동시키기 위한 면상 전도체 센서(12b)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의 면상 전도체 센서(12b)는 면상 전도체가 방화문(10) 프레임을 구성하는 재질로 적용되어 부착되거나 방화문(10) 내부의 공간에 설치됨으로써 외부에서 침입자가 핸들 레버 주변을 파괴시 면상 전도체가 손상되거나 절단 파괴가 되면 면상 전도체에 흐르는 예를 들면 전류 변화의 감지를 통해 침입 여부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작동하게 된다.
송수신부(13)는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 프레임에 대한 원격 제어 및 카메라부(10b)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에 대한 통신망(20)을 통한 스마트폰(30)으로의 전송을 위해 형성되며,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저장부(14)는 주기억장치 또는 보조기억장치 형태로 형성가능하며,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NVM)로써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데이터를 계속 유지하며 삭제되지 않으며,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MRAM(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PRAM(Phase-change Random Access memory: 상변화 램), FRAM(Ferroelectric RAM: 강유전체 램)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5)는 모션센싱 기반 제어모듈(15a), 스마트키 제어모듈(15b), 스마트폰 기반 인터폰 모듈(15c), 물품 투입구 제어모듈(15d), 자동 녹화 전송모듈(15e), 출입 정보 관리모듈(15f), 블랙박스 제공모듈(15g) 및 자동 경보 제공모듈(15h)을 구비함으로써, 종래의 일반적인 개폐를 위한 문이 아니라 돌리는 레버 핸들은 있지만 키 꽂는 열쇠 구멍은 없고, 미리 설정된 조건하에 출입하는 사람에 대한 자동 감지를 통해 개폐되는 기능을 기본적으로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제어부(15)를 중심으로, 도 4의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을 포함한 자동 감지 개폐 시스템을 참조하여,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모션센싱 기반 제어모듈(15a)은 철,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등과 같은 고강도 금속을 이용해 두 장을 절곡하여 생성되는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 프레임 내부에 형성된 모션센서모듈(12a)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외부로부터 침입하고자 하는 객체(Object)에 대한 감지 정보 수신시, 감지 정보를 통신망(20)을 통해 스마트폰(30)으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13)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스마트폰(30)을 소지한 사용자는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 프레임의 전방을 향하여 형성된 카메라부(10b)로부터 촬영된 동영상을 모션센싱 기반 제어모듈(15a)의 제어에 따라 수신함으로써, 즉각적으로 경찰서, 파출소 등의 공공기관 내지는 사설 보안 업체 등으로 신고가 가능하다.
스마트키 제어모듈(15b)은 스마트키 감지부(10c)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 프레임의 전방 또는 후방에 스마트키(40)의 위치가 검출시, 방화문 개폐 구동부(10a)를 구동하여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에 대한 개방 명령(Open control command)을 수행한다.
한편, 스마트키 제어모듈(15b)은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스마트키(40)의 위치가 검출시, 방화문 개폐 구동부(10a)를 구동하여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에 대한 폐쇄 명령(Close control command)을 수행한다. 이에 의해 스마트키 제어모듈(15b)은 스마트키(40)에 대한 검출을 통해 아동과 치매노인 보호를 위한 효과를 제공한다.
부가적으로, 스마트키 제어모듈(15b)은 내부에서 외부로 나가려는 사용자의 스마트키(40)에 대한 소지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비밀번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된 비밀번호와 미리 설정되어 저장부(14)에 저장된 번호가 매칭되는 경우, 방화문 개폐 구동부(10a)를 구동하여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에 대한 개방 명령(Open control command)을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폰 기반 인터폰 모듈(15c)은 송수신부(13)를 통해 통신망(20)과 연결된 스마트폰(30)으로부터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에 대한 개방 명령(Open control command) 또는 폐쇄 명령(Close control command)을 수신한다.
이후, 스마트폰 기반 인터폰 모듈(15c)은 개방 명령 수신시 방화문 개폐 구동부(10a)를 제어하여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에 대한 개방을 수행하며, 폐쇄 명령 수신시 방화문 개폐 구동부(10a)를 제어하여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에 대한 폐쇄를 수행함으로써, 외부에 위치한 사용자에 의한 원격으로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스마트폰 기반 인터폰 모듈(15c)은 스마트폰(30)과 통신망(20)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인터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폰 기반 인터폰 모듈(15c)은 모션센서모듈(12a)에 의해 방문객(객체)이 감지된 경우, 카메라부(10b)를 통해 촬영된 방문객(객체)에 대한 동영상을 스마트폰(30)으로 전송할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30)을 이용해 사용자에 대해 촬영된 동영상을 수신하여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 상의 출력부(미도시)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외부에서도 방문객을 확인하고 대화를 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방식으로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에 대한 개폐를 수행할 수 있다.
물품 투입구 제어모듈(15d)은 물품 투입구 구동부(11a)에 대한 제어를 통해 물품 투입구(11)에 대한 개폐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물품 투입구 제어모듈(15d)은 스마트폰(30)과 통신망(20)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 방식을 통해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떨어진 위치에 있는 사용자에 의한 물품 투입구 구동부(11a)에 대한 제어를 통해 물품 투입구(11)에 대한 개폐를 수행할 수 있다.
자동 녹화 전송모듈(15e)은 스마트폰(30)에 의한 통신망(20)을 통한 카메라부(10b)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카메라부(10b)를 제어하여 동영상 정보를 촬영하여 저장부(14)에 저장한 뒤, 저장된 동영상에 대한 실시간 전송이 설정된 경우, 통신망(20)을 통해 스마트폰(30)으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13)를 제어함으로써, 카메라부(10b)에 의해 촬영된 정보를 자동 송신하여 증거 확보로 가능하도록 한다.
출입 정보 관리모듈(15f)은 모션센싱 기반 제어모듈(15a)에 의한 객체에 대한 감지에 따라 자동으로 녹화가 설정된 자동 녹화 전송모듈(15e)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 정보, 그리고 모션센싱 기반 제어모듈(15a)에 의해 생성된 감지 시간 정보를 통신망(20)을 통해 스마트폰(30)으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13)를 제어함으로써, 스마트폰(30) 사용자에 의해 각 객체에 대한 출입 데이터에 대한 열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폰(30) 사용자는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의 관리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블랙박스 제공모듈(15g)은 상시 녹화 기능으로의 설정에 따라, 카메라부(10b)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 정보를 저장부(14)에 실시간으로 저장하며, 저장 용량이 모두 다 찬 경우, 재녹화하는 방식을 통해 블랙박스 기능을 통해 동영상을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자동 경보 제공모듈(15h)은 방해 전파 감지를 수행하며, 스마트폰(30)과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교란하기 위한 전파를 감지시, 자동 경보 모드로 전환하여, 경보장치(미도시)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은, 미리 설정된 조건하에 출입하는 사람에 대한 자동 감지를 통해 개폐되도록 하며, 모션센싱 기반으로의 자동 개폐뿐만 아니라, 스마트키에 대한 자동 개폐가 가능하며, 원격지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원격 개폐도 가능하도록 하고, 택배나 배달 등에 의한 물품에 대한 투입시의 안보 문제를 해결하며, 출입 정보 관리 외에 블랙박스 등의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
10a: 방화문 개폐 구동부
10b: 카메라부
10c: 스마트키 감지부
11: 물품 투입구
12: 센서부
12a: 모션센서모듈
12b: 면상 전도체 센서
13: 송수신부
14: 저장부
15: 제어부
15a: 모션센싱 기반 제어모듈
15b: 스마트키 제어모듈
15c: 스마트폰 기반 인터폰 모듈
15d: 물품 투입구 제어모듈
15e: 자동 녹화 전송모듈
15f: 출입 정보 관리모듈
15g: 블랙박스 제공모듈
15h: 자동 경보 제공모듈
20: 통신망
30: 스마트폰
40: 스마트키

Claims (10)

  1. 물품 투입구(11), 방화문 개폐 구동부(10a), 카메라부(10b), 스마트키 감지부(10c), 물품 투입구 구동부(11a), 센서부(12), 송수신부(13), 저장부(14) 및 제어부(15)를 포함하는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에 있어서,
    물품 투입구(11)는 제어부(15)에 의한 방화문 개폐 구동부(10a)에 대한 제어를 통해 개폐가 되며, 통신망(20)을 통한 스마트폰(30)에 의한 제어에 따라도 동일하게 제어부(15)에 의한 방화문 개폐 구동부(10a)에 대한 제어를 통해 개폐가 수행되어, 택배 물품을 외부로부터 전달받기 위해 형성되며,
    센서부(12)는 외부 및 내부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 프레임 내부에 삽입된 다수의 모션센서로 이루어진 모션센서모듈(12a), 그리고 미리 설정된 구역 통과를 감지하기 위해 면상 전도체를 이용한 면상 전도체 파괴시 경보장치(미도시)를 작동시키기 위한 면상 전도체 센서(12b)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면상 전도체 센서(12b)는 면상 전도체가 방화문(10) 프레임을 구성하는 재질로 적용되어 부착되거나 방화문(10) 내부의 공간에 설치됨으로써 외부에서 침입자가 핸들 레버 주변을 파괴시 면상 전도체가 손상되거나 절단 파괴가 되면 면상 전도체에 흐르는 전류 변화의 감지를 통해 침입 여부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작동하게 되며,
    송수신부(13)는,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 프레임에 대한 원격 제어 및 카메라부(10b)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에 대한 통신망(20)을 통한 스마트폰(30)으로의 전송을 위해 형성되며,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을 사용하며,
    제어부(15)는, 모션센싱 기반 제어모듈(15a), 스마트키 제어모듈(15b), 스마트폰 기반 인터폰 모듈(15c), 물품 투입구 제어모듈(15d), 자동 녹화 전송모듈(15e), 출입 정보 관리모듈(15f), 블랙박스 제공모듈(15g) 및 자동 경보 제공모듈(15h)을 구비하며,
    모션센싱 기반 제어모듈(15a)은, 고강도 금속 두 장을 절곡하여 생성되는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 프레임 내부에 형성된 모션센서모듈(12a)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외부로부터 침입하고자 하는 객체(Object)에 대한 감지 정보 수신시, 감지 정보를 통신망(20)을 통해 스마트폰(30)으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13)를 제어하며, 상기 스마트폰(30)으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스마트 안전 방화문(10) 프레임의 전방을 향하여 형성된 카메라부(10b)로부터 촬영된 동영상을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13)를 제어하여, 상기 스마트폰(30)에 의해 공공기관 또는 사설 보안 업체로의 신고가 수행되도록 하며,
    스마트키 제어모듈(15b)은, 스마트키 감지부(10c)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 프레임의 전방 또는 후방에 스마트키(40)의 위치가 검출시, 방화문 개폐 구동부(10a)를 구동하여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에 대한 개방 명령(Open control command)을 수행하며,
    내부에서 외부로 나가려는 사용자의 스마트키(40)에 대한 소지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비밀번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된 비밀번호와 미리 설정되어 저장부(14)에 저장된 번호가 매칭되는 경우, 방화문 개폐 구동부(10a)를 구동하여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에 대한 개방 명령(Open control command)을 수행하며,
    스마트폰 기반 인터폰 모듈(15c)은, 상기 송수신부(13)를 통해 상기 통신망(20)과 연결된 상기 스마트폰(30)으로부터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에 대한 개방 명령(Open control command) 또는 폐쇄 명령(Close control command)을 수신한 뒤, 개방 명령 수신시 방화문 개폐 구동부(10a)를 제어하여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에 대한 개방을 수행하며, 폐쇄 명령 수신시 방화문 개폐 구동부(10a)를 제어하여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모션센서모듈(12a)에 의해 방문객이 감지된 경우, 상기 카메라부(10b)를 통해 촬영된 방문객에 대한 동영상을 상기 스마트폰(30)으로 전송할 뿐만 아니라, 상기 스마트폰(30)을 이용해 사용자에 대해 촬영된 동영상을 수신하여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상기 스마트 안전 방화문(10) 상의 출력부(미도시)로 출력하며,
    물품 투입구 제어모듈(15d)은, 물품 투입구 구동부(11a)에 대한 제어를 통해 물품 투입구(11)에 대한 개폐를 수행하며, 상기 스마트폰(30)과 상기 통신망(20)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 방식을 통해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떨어진 위치에 있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물품 투입구 구동부(11a)에 대한 제어를 통해 물품 투입구(11)에 대한 개폐를 수행하며,
    자동 녹화 전송모듈(15e)은, 스마트폰(30)에 의한 통신망(20)을 통한 카메라부(10b)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카메라부(10b)를 제어하여 동영상 정보를 촬영하여 저장부(14)에 저장한 뒤, 저장된 동영상에 대한 실시간 전송이 설정된 경우, 통신망(20)을 통해 스마트폰(30)으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13)를 제어함으로써, 카메라부(10b)에 의해 촬영된 정보를 자동 송신하여 증거 확보로 가능하도록 하며,
    출입 정보 관리모듈(15f)은, 모션센싱 기반 제어모듈(15a)에 의한 객체에 대한 감지에 따라 자동으로 녹화가 설정된 자동 녹화 전송모듈(15e)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 정보, 그리고 모션센싱 기반 제어모듈(15a)에 의해 생성된 감지 시간 정보를 통신망(20)을 통해 스마트폰(30)으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13)를 제어함으로써, 스마트폰(30) 사용자에 의해 각 객체에 대한 출입 데이터에 대한 열람 기능을 제공하며,
    블랙박스 제공모듈(15g)은, 상시 녹화 기능으로의 설정에 따라, 카메라부(10b)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 정보를 저장부(14)에 실시간으로 저장하며, 저장 용량이 모두 다 찬 경우, 재녹화하는 방식을 통해 블랙박스 기능을 통해 동영상을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자동 경보 제공모듈(15h)은, 방해 전파 감지를 수행하며, 스마트폰(30)과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1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교란하기 위한 전파를 감지시, 자동 경보 모드로 전환하여, 경보장치(미도시)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20130114906A 2013-09-27 2013-09-27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 KR101511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4906A KR101511848B1 (ko) 2013-09-27 2013-09-27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4906A KR101511848B1 (ko) 2013-09-27 2013-09-27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4930A KR20150034930A (ko) 2015-04-06
KR101511848B1 true KR101511848B1 (ko) 2015-04-15

Family

ID=53030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4906A KR101511848B1 (ko) 2013-09-27 2013-09-27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18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93181A (zh) * 2017-01-04 2017-04-26 广州供电局有限公司 常开式防火门开关控制系统和电力隧道常开式防火门
KR101841731B1 (ko) * 2017-10-10 2018-03-23 주식회사 태양자동문 블루투스를 이용한 방화문잠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668B1 (ko) * 2015-04-14 2017-01-20 이상구 드릴 진동 및 소음 감지를 통한 침입 감지 기능을 구비한 도어안전시스템, 이를 이용한 침입 감지 방법
KR102446635B1 (ko) 2015-09-08 2022-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식품 저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86390B1 (ko) * 2016-08-24 2018-09-06 이옥례 방화문 감시 시스템
KR101949824B1 (ko) * 2016-12-23 2019-02-19 추철민 Iot를 활용한 복합 잠금장치
KR102167186B1 (ko) * 2020-04-16 2020-10-16 나영선 비상 탈출이 가능한 도어 장치
KR102716322B1 (ko) * 2024-02-28 2024-10-15 (주) 지트시스템 방염포의 랙 밀폐가 가능한 방화 스크린 셔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799Y1 (ko) * 2003-06-18 2003-09-06 중앙텔레콤주식회사 무선을 이용한 방화도어 개폐 및 감시장치
KR100578489B1 (ko) * 2004-03-05 2006-05-15 종 해 김 보안 도어록 시스템
KR100958420B1 (ko) 2008-04-14 2010-05-18 전승찬 사용자와 방문자의 인증 데이터 조합에 의한 도어 개폐시스템 및 이를 위한 도어 개폐장치
KR101266937B1 (ko) * 2011-09-08 2013-05-28 조승래 도어 개폐를 위한 스마트 장치, 도어 매니저 장치 및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799Y1 (ko) * 2003-06-18 2003-09-06 중앙텔레콤주식회사 무선을 이용한 방화도어 개폐 및 감시장치
KR100578489B1 (ko) * 2004-03-05 2006-05-15 종 해 김 보안 도어록 시스템
KR100958420B1 (ko) 2008-04-14 2010-05-18 전승찬 사용자와 방문자의 인증 데이터 조합에 의한 도어 개폐시스템 및 이를 위한 도어 개폐장치
KR101266937B1 (ko) * 2011-09-08 2013-05-28 조승래 도어 개폐를 위한 스마트 장치, 도어 매니저 장치 및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93181A (zh) * 2017-01-04 2017-04-26 广州供电局有限公司 常开式防火门开关控制系统和电力隧道常开式防火门
KR101841731B1 (ko) * 2017-10-10 2018-03-23 주식회사 태양자동문 블루투스를 이용한 방화문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4930A (ko) 2015-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1848B1 (ko)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
US10049560B1 (en) Handling duress input
US10033972B2 (en) Electronic lock with remote monitoring
CN110383356B (zh) 监视系统
US20130215276A1 (en) Enhanced-security door lock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CN206574156U (zh) 一种带有报警系统的新型智能闸机
KR200448955Y1 (ko) 이동 가능한 감시시스템
US20150348340A1 (en) Remotely actuated door lock
CN104240354A (zh) 一种智能门户锁系统
KR20110086254A (ko) 웹카메라를 이용한 침입감지정보 실시간 전송 시스템
KR20030085921A (ko) 원격 감시 시스템
KR101446416B1 (ko) 자동 녹화 및 실시간 영상 통화가 가능한 가정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 시스템
CN205532105U (zh) 多功能音像智能防盗门
KR20100009883U (ko) 원격 출입 보안시스템이 적용된 도어록
KR20090100841A (ko) 빈 영업점의 자가 무인방범 및 그 제어방법
KR10152302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활용한 침입 감지 시스템
CN115836516A (zh) 监视系统
KR20000059174A (ko) 인터넷을 이용한 방범장치
EP2698773A1 (en) An intruder alarm system and a method of arming an intruder alarm system
KR20150137539A (ko)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5094642A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
JP4929493B2 (ja) ホームセキュリティーシステム
JP5733802B2 (ja) 防犯装置及び防犯装置を利用可能で出入口の施錠装置を有する建築構造物
CN106791594A (zh) 一种视频安防联动系统
Lakshmi et al. IOT and GSM integrated multi purpose securit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0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4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4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