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2025Y1 -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2025Y1
KR200352025Y1 KR20-2004-0005804U KR20040005804U KR200352025Y1 KR 200352025 Y1 KR200352025 Y1 KR 200352025Y1 KR 20040005804 U KR20040005804 U KR 20040005804U KR 200352025 Y1 KR200352025 Y1 KR 2003520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clutch
jaw
protrusion
selective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58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T4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T4 filed Critical 주식회사 T4
Priority to KR20-2004-00058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20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20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20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4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for alternative use on the right-hand or left-hand side of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좌수용 도어락 및 우수용 도어락에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Door lock clutch apparatus for both hands}
본 고안은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좌수용 도어락 및 우수용 도어락에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락은 도어의 바깥쪽과 안쪽에 각각 설치된 손잡이의 회전에 의하여 래치 또는 데드볼트가 출몰하면서 도어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도어락에 설치되는 클러치 장치는 출입자가 입력한 비밀번호 또는 카드가 미리 입력된 신호와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외부 손잡이의 회전을 데드 볼트 또는 래치에 전달하거나 차단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클러치 장치라 함은 외부 손잡이의 회전을 문 내측에 설치된 별도의 잠금장치에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장치를 뜻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상기 도어락은 도어의 열림 방향에 따라 좌수용과 우수용이 있다.
상기 좌수용 도어락의 경우에는 도어 좌측단에 힌지가 설치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대개 왼손(左手)을 이용하여 도어의 회전 손잡이를 회전시킨다. 즉, 사용자는 회전 손잡이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도어락을 열게 된다.
이에 비하여, 우수용 도어락의 경우에는 도어 우측단에 힌지가 설치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대개 오른손(右手)을 이용하여 도어의 회전 손잡이를 회전시킨다. 즉, 사용자는 회전 손잡이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도어락을 열게(解鍵) 된다.
이와 같이, 좌수용 도어락과 우수용 도어락의 회전 손잡이의 회전 방향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도어락에 설치되는 클러치 장치는 좌수용과 우수용이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도어락이 좌수용인지 또는 우수용인지에 따라 클러치를 따로 각각 제조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도어 잠금 장치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30586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도어 잠금 장치는 도어에 최초 설치시에 좌수용 또는 우수용으로 설정되면, 전자제어회로에 의하여 자동으로 좌수용 또는 우수용 도어락에 적합하도록 제어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도어 잠금 장치는 전자제어회로에 의하여 제어되는 전자식 도어 잠금장치이기 때문에 매우 복잡하고 고장이 자주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좌수용 도어락 및 우수용 도어락에 모두 사용될 수 있는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도어에 설치될 때 간단한 조작으로 좌수용 또는 우수용으로 설정될 수 있는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고, 간단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가 외부 손잡이와 결합되어 설치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의 외측 클러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의 내측 클러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C-C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의 돌기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의 탄성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외측 클러치와 내측 클러치가 분리된 것을 나타낸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외측 클러치와 내측 클러치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외측 클러치와 내측 클러치가 분리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외측 클러치와 내측 클러치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의 외측 클러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의 내측 클러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0:외부 손잡이 20:내측 클러치
30:외측 클러치 40:돌기부
50:결합 유니트 100, 100a: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는, 도어락의 외부 손잡이와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하며, 그 중심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를 이루는 두 개의 턱을 구비하는 외측 클러치; 내부 손잡이와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두 개의 턱 중 어느 하나의 턱과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한 돌기부를 구비하는 내측 클러치; 및,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돌기부와 상기 턱을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결합 유니트를 구비하여, 상기 도어락이 좌수용 또는 우수용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돌기부가 상기 두 개의 턱 중 어느 하나의 턱과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내측 클러치와 외측 클러치가 함께 회전 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는, 외부 손잡이와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며, 그 중심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를 이루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두 개의 돌기부를 구비하는 외측 클러치; 내부 손잡이와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한 내측 클러치; 및,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외측 클러치와 상기 내측 클러치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레버 부재를 포함하는 결합 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 클러치는, 상기 도어락이 좌수용 또는 우수용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두 개의 돌기부 중 어느 하나의 돌기부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턱; 및 상기 턱과 형합하며, 상기 턱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딩 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결합 유니트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슬라이딩함에 따라 상기 돌기부와 턱이 결합 또는 분리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돌기부는 상기 내측 클러치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결합 유니트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회동하며 상기 돌기부를 슬라이딩 시켜 상기 턱과 결합되도록 하는 레버 부재를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 유니트는 외부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레버부재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전자석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
또한, 상기 결합 유니트는 상기 레버부재를 가압하여 회동시키는 캠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돌기부는 탄성 회복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가 외부 손잡이와 결합되어 설치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상기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의 외측 클러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아울러, 도 4는 상기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의 내측 클러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100)는 외부 손잡이(10)와 연결된 외측 클러치(20)와, 내부 손잡이와 연결된 내측 클러치(30), 및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외측 클러치(20)와 내측 클러치(30)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결합 유니트(50)를 구비한다.
상기 외측 클러치(20)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외부 손잡이 회전축(22)과, 외부 손잡이 회전축(22)과 일체로 형성된 디스크 부재(24)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손잡이 회전축(22)은 외부 손잡이(10)와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고, 외부 손잡이(10)의 회전력을 디스크 부재(24)에 전달한다.
상기 디스크 부재(24)는 측면에 형성된 제1턱(26) 및 제2턱(27)을 구비한다.
상기 제1턱(26) 및 제2턱(27)은 디스크 부재(24)의 중심을 중심으로 소정각도를 이룬다. 바람직하게, 상기 소정 각도는 약 170°이다. 이것은 좌수용 도어락의 외부 손잡이(10b)의 위치와 우수용 도어락의 외부 손잡이(10c)의 위치가 약 180°를 이루고, 후술할 돌기부(40)의 크기를 고려한 각도이다.
도어락이 좌수용인지 또는 우수용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두 개의 턱(26)(27) 중 어느 하나의 턱이 후술할 돌기부(40)와 선택적으로 결합한다. 즉, 도 2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외부 손잡이가 중립축(10a)에 위치한 경우에는 제1턱(26) 및 제2턱(27)이 돌기부(40)와 소정 각도를 이룬다. 상기 소정각도는 약 90°정도가 바람직하다. 이것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좌수용(10b) 또는 우수용(10c) 도어락의 외부 손잡이가 중립축(10a)을 중심으로 약 90°를 이루기 때문이다.
좌수용 도어락인 경우에는 제1턱(26)이 돌기부(40)와 결합한다. 즉, 도 2b에나타난 바와 같이, 제1턱(26)이 돌기부(40)와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 손잡이(10b)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 외측 클러치(20)와 내측 클러치(30)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우수용 도어락인 경우에는 제2턱(27)이 돌기부(40)와 결합한다. 즉, 도 2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턱(27)이 돌기부(40)와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 손잡이(10c)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외측 클러치(20)와 내측 클러치(30)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내측 클러치(30)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내부 손잡이 회전축 홈(32)과, 상기 홈(32)과 일체로 형성된 원형 평판(34)을 구비한다. 상기 내측 클러치(30)는 외측 클러치(20)로부터 전달된 외부 손잡이(10)의 회전력을 문 내측의 별도의 잠금장치 예를 들면, 모티스에 선택적으로 전달한다.
상기 내부 손잡이 회전축 홈(32)은 내부 손잡이 회전축(미도시)이 삽입될 수 있는 홈으로써, 외측 클러치(20)와 원형 평판(34)으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내부 손잡이 회전축에 전달한다.
상기 원형 평판(34)은 외측 클러치(20)를 내측 클러치(30)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돌기부(40)와, 상기 돌기부(40)와 상응하는 슬라이딩 홈(36)을 구비한다.
상기 돌기부(40)는 슬라이딩 홈(3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돌기부(40)는 후술할 결합 유니트(50)에 의하여 슬라이딩 되어 상기 제1턱(26) 또는 제2턱(27)과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돌기부(40)는 탄성 회복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한다. 상기 돌기부(40)는 결합 유니트(50)에 의하여 슬라이딩 되어 상기 제1턱(26) 또는 제2턱(27)과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결합 유니트(50)의 가압력이 제거되면 탄성부재의 탄성회복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회복된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42)는 그 일단(42a)이 돌기부(40)에 형성된 제1홈(44)에 삽입되고, 그 타단(42b)이 내측 클러치(30)에 형성된 제2홈(38)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결합 유니트(50)는,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캠부재(52)와, 캠부재(52)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 어셈블리(53), 구동모터(54) 및 캠부재(52)에 의하여 가압되어 회동되는 레버부재(56)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모터(54)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작동된다. 예를 들어, 구동모터(54)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 또는 비밀번호가 미리 입력된 신호 또는 비밀번호와 일치되면 작동된다. 구동모터(54)가 작동되면 그 회전력은 기어 어셈블리(53)를 통하여 캠부재(52)에 전달된다. 즉,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 또는 비밀번호가 미리 입력된 신호 또는 비밀번호와 일치되면 캠부재(52)가 회전하게 되고, 캠부재(52)의 회전은 레버부재(56)를 가압하여 회동하게 한다.
상기 레버 부재(56)는 캠부재(52)에 의하여 회동축(57)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돌기부(40)를 가압하여 슬라이딩 하게 한다. 슬라이딩된 돌기부(40)는 제1턱(26) 또는 제2턱(27) 중 어느 하나의 턱과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내측 클러치(30)와 외측 클러치(20)가 함께 회전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 유니트(50)는 외부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레버부재(56)의 일단(58)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전자석 부재(59)를 더 구비한다. 즉,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외측 클러치(20)와 내측 클러치(30)가 분리되면 전자석 부재(59)가 작동하여 레버 부재(56)의 일단(58)과 전자석 부재(59)가 결합한다. 또한,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캠부재(52)가 회전하여 레버부재(56)가 회동하면, 캠부재(52)의 회전 또는 레버부재(56)의 회동과 동시에 전자석 부재(59)의 전원이 차단되어 레버부재(56)의 일단(58)이 전자석 부재(59)와 분리된다.
한편,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를 나타난 평면도이고, 도 12는 상기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의 외측 클러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3은 상기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의 내측 클러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100a)는 외부 손잡이와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한 외측 클러치(20a)와, 내부 손잡이와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한 내측 클러치(30a), 및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외측 클러치(20a)와 내측 클러치(30a)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레버 부재(56a)를 포함하는 결합 유니트(50a)를 구비한다.
상기 외측 클러치(30a)는 외측 클러치(30a)의 중심을 중심으로 서로 소정각도를 이루는 두 개의 돌기부(26a)(27a)를 포함한다. 좌수용 도어락인지 또는 우수용 도어락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두 개의 돌기부(26a)(27a) 중 어느 하나의 돌기부가 후술할 턱(36a)과 선택적으로 결합한다. 즉, 도어에 중립으로 설치된 외부 손잡이(10)가 좌측으로 90°회전하여 좌수용(10b)으로 설치되면, 상기 두 개의 돌기부 중 어느 하나의 돌기부가 턱(36a)과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만약, 도어에 중립으로 설치된 외부 손잡이가 우측으로 90°회전하여 우수용(10c)으로 설치되면, 상기 두 개의 돌기부(26a)(27a) 중 나머지 하나의 돌기부가 턱(36a)과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100a)는 좌ㆍ우수 겸용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돌기부(26a)(27a)는 외측 클러치(20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돌기부(26a)(27a)는 탄성 회복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미도시)를 더 구비한다. 즉, 탄성부재는 후술할 레버부재(56a)에 의하여 가압된 돌기부(26a)(27a)를 원상 회복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내측 클러치(30a)는 도어락이 좌수용 또는 우수용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두 개의 돌기부(26a)(27a) 중 어느 하나의 돌기부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턱(36a) 및, 상기 턱(36a)과 형합되게 형성되며, 내측 클러치(30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딩 부재(38a)를 구비한다.
상기 턱(36a)은 돌기부(26a)(27a)와 상응하도록 형성되어 두 개의 돌기부(26a)(27a) 중 어느 하나의 돌기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38a)는 결합 유니트(50a)에 의하여 슬라이딩되어 돌기부(26a)(27a)를 턱(37a)과 분리시키거나 결합 가능하도록 한다. 즉,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38a)는 레버 부재(56a)에 의하여 가압되면 내측 클러치(30a)의 중심쪽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돌기부(26a)(27a)를 턱(36a)으로부터분리시킨다. 돌기부(26a)(27a)가 턱(36a)으로부터 분리되면 외측 클러치(20a)와 내측 클러치(30a)가 분리되어 외부에서는 도어를 개방할 수 없게 된다.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레버 부재(56a)가 회동되어 가압력이 해소되면 슬라이딩 부재(38a)가 내측 클러치(30a)의 중심의 반대쪽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돌기부(26a)가 턱(36a)과 결합된다. 상기 돌기부(26a)가 턱(36a)과 결합되면 외측 클러치(20a)와 내측 클러치(30a)가 함께 회전 가능하게 되어 외부 손잡이를 회전시켜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결합 유니트(50a)는 캠부재(52a)와, 캠부재(52a)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 어셈블리(53a), 구동모터(54a), 및 캠부재(52a)에 의하여 가압되어 회동되는 레버부재(56a)를 구비한다. 상기 캠부재(52a)와, 기어 어셈블리(53a), 구동모터(54a), 및 레버 부재(56a)에 관해서는 위에서 설명을 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 유니트(50a)는 외부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레버부재(56a)의 일단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전자석 부재(미도시)를 더 구비한다. 즉,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외측 클러치(20a)와 내측 클러치(30a)가 분리되면 전자석 부재가 작동하여 레버 부재(56a)의 일단(58a)과 전자석 부재가 결합한다. 또한,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캠부재(52a)가 회전하여 레버부재(56a)가 회동하면, 캠부재(52a)의 회전 또는 레버부재(56a)의 회동과 동시에 전자석 부재의 전원이 차단되어 레버부재(56a)의 일단이 전자석 부재와 분리된다.
그러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100)의 작동과정을 도 1,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100)는 좌수용 도어락 및 우수용 도어락에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데에 그 특징이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는 좌수용 도어락에 설치된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100)를 나타낸다.
먼저, 좌수용 또는 우수용 도어락인지 여부에 따라 도어에 중립으로 설치된 외부 손잡이(10a)를 좌측(A 방향) 또는 우측(B 방향)으로 90°회전시킨다. 좌측 또는 우측으로 외부 손잡이(10)를 90°회전시킴에 따라 외측 클러치(20)의 제1턱(26) 또는 제2턱(27) 중 어느 하나의 턱이 돌기부(40)와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출입자가 신호 또는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제어회로(미도시)는 상기 신호 또는 비밀번호가 미리 입력된 신호 또는 비밀번호와 일치하는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제어회로는 도어락에서 널리 쓰이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만약, 상기 신호 또는 비밀번호가 미리 입력된 신호 또는 비밀번호와 일치하면, 전원이 구동모터(54)에 공급된다. 상기 구동모터(54)의 회전력은 캠부재(52)에 전달되어 캠부재(52)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캠부재(52)의 회전은 레버 부재(56)를 회동시켜 돌기부(40)를 두 개의 턱(26)(27) 중 어느 하나의 턱과 결합되도록 한다. 레버 부재(56)의 회동과 동시에, 또는 캠부재(52)의 회전과 동시에 전자석 부재(59)에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되어 레버 부재(56)의 일단(58)과 전자석 부재(59)가 서로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레버 부재(56)의 회동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두 개의 턱(26)(27) 중 어느 하나의 턱과 돌기부(40)가 결합되면 외측 클러치(20)와 내측 클러치(30)가 함께 회전가능하게 된다. 즉, 외부 손잡이를 회전시켜 도어를 개방(解鍵:도어락을 여는 것)할 수 있게 된다.
도어락의 해건(解鍵) 후에는 상기 구동모터(54)가 반대로 회전하여 캠부재(52)가 원위치로 회전하게 되고, 이어서 레버 부재(56)가 원위치로 회동한다. 레버 부재(56)가 회동하면 돌기부(40)에 가해지던 가압력이 해소되어 돌기부(40)가 탄성부재(42)의 복원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와 동시에, 전자석 부재(59)에 전원이 공급되어 전자석 부재(59)와 레버 부재(56)의 일단(58)이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좌수용 도어락 및 우수용 도어락에 모두 사용될 수 있는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를 제공한다.
둘째, 간단한 조작으로 좌수용 또는 우수용으로 설정될 수 있는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를 제공한다.
셋째,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고, 간단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를 제공한다.

Claims (5)

  1. 도어락에 있어서,
    외부 손잡이와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며, 그 중심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를 이루는 두 개의 턱을 구비하는 외측 클러치;
    내부 손잡이와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두 개의 턱 중 어느 하나의 턱과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한 돌기부를 구비하는 내측 클러치; 및,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돌기부와 상기 턱을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결합 유니트를 구비하여, 상기 도어락이 좌수용 또는 우수용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돌기부가 상기 두 개의 턱 중 어느 하나의 턱과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내측 클러치와 외측 클러치가 함께 회전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
  2. 도어락에 있어서,
    외부 손잡이와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며, 그 중심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를 이루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두 개의 돌기부를 구비하는 외측 클러치;
    내부 손잡이와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한 내측 클러치; 및,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외측 클러치와 상기 내측 클러치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레버 부재를 포함하는 결합 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 클러치는,
    상기 도어락이 좌수용 또는 우수용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두 개의 돌기부 중 어느 하나의 돌기부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턱; 및
    상기 턱과 형합하며, 상기 턱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딩 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결합 유니트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슬라이딩함에 따라 상기 돌기부와 턱이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내측 클러치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결합 유니트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회동하며 상기 돌기부를 슬라이딩 시켜 상기 턱과 결합되도록 하는 레버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유니트는 외부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레버부재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전자석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유니트는 상기 레버부재를 가압하여 회동시키는 캠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돌기부는 탄성 회복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
KR20-2004-0005804U 2004-03-04 2004-03-04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 KR2003520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804U KR200352025Y1 (ko) 2004-03-04 2004-03-04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804U KR200352025Y1 (ko) 2004-03-04 2004-03-04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2025Y1 true KR200352025Y1 (ko) 2004-06-02

Family

ID=49431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5804U KR200352025Y1 (ko) 2004-03-04 2004-03-04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202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5592B1 (ko) 2004-07-30 2006-05-02 주식회사 아이레보 좌우수 공용 도어록의 강제 잠금장치
KR100807590B1 (ko) 2006-12-20 2008-02-28 주식회사 테크업 방향전환 기능을 가지는 이단 돌출식 도어록 모티스
KR101184352B1 (ko) * 2010-10-05 2012-09-20 주식회사 티랩코리아 도어록의 가변위치 고정구조
KR101840848B1 (ko) * 2016-04-28 2018-03-21 강재석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 이중 기능을 갖는 좌우수문 겸용 상자형 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도어락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5592B1 (ko) 2004-07-30 2006-05-02 주식회사 아이레보 좌우수 공용 도어록의 강제 잠금장치
KR100807590B1 (ko) 2006-12-20 2008-02-28 주식회사 테크업 방향전환 기능을 가지는 이단 돌출식 도어록 모티스
KR101184352B1 (ko) * 2010-10-05 2012-09-20 주식회사 티랩코리아 도어록의 가변위치 고정구조
KR101840848B1 (ko) * 2016-04-28 2018-03-21 강재석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 이중 기능을 갖는 좌우수문 겸용 상자형 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도어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8728B2 (en) Window fastener
US6535380B1 (en) Portable computer with an unlatching member movable in either of two opposite directions to permit opening of a computer lid
CN105298225A (zh) 插锁
KR200352025Y1 (ko)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
CN112282514A (zh) 一种复位结构、防猫眼开锁结构及具有换向功能的防盗锁
KR101767495B1 (ko) 양방향 열림 동작이 가능한 안티패닉 모티스락
US5540066A (en) Bilateral-type door locking handle assembly
KR100976818B1 (ko) 자동 도어락 장치
KR101948719B1 (ko) 주키 기능형 핸들리스 디지털 도어록
KR101037203B1 (ko) 개폐 기능이 개선된 디지털 도어록 장치
KR101992267B1 (ko) 푸쉬풀 도어 잠금장치
KR101695847B1 (ko) 일시 열림 조작 기능을 겸한 트리거 레버를 이용한 래치볼트의 좌, 우수 전환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락용 모티스
KR101018022B1 (ko) 디지털 도어록의 좌우수 공용장치
KR101955317B1 (ko) 주키 기능 핸들리스 디지털 도어록의 래치볼트 홀딩 장치
CN211286985U (zh) 一种智能门锁及其执手机构
KR200248023Y1 (ko) 도어록의손잡이구
KR101732967B1 (ko) 도어락 장치
KR20160048253A (ko) 도어락 장치용 내부 핸들
CN211173536U (zh) 推拉门锁止结构
CN215830218U (zh) 智能识别门锁
CN113294030B (zh) 智能门锁
CN115432093B (zh) 一种车筐锁及电动自行车
CN209780458U (zh) 可机械开锁的电子密码锁
CN217950013U (zh) 一种电子球形房门锁
KR101867234B1 (ko) 선택적 사용이 가능한 잠금작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