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7234B1 - 선택적 사용이 가능한 잠금작동장치 - Google Patents

선택적 사용이 가능한 잠금작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7234B1
KR101867234B1 KR1020170086030A KR20170086030A KR101867234B1 KR 101867234 B1 KR101867234 B1 KR 101867234B1 KR 1020170086030 A KR1020170086030 A KR 1020170086030A KR 20170086030 A KR20170086030 A KR 20170086030A KR 101867234 B1 KR101867234 B1 KR 101867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button
gear
hinge
stroke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경규섭
최기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086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7234B1/ko
Priority to PCT/KR2018/007108 priority patent/WO201900954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72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84Key or electric means; Emergency release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택적 사용이 가능한 잠금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잠금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잠금장치를 기계식과 전자식으로 변환시켜 가면서 록킹력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정역모터(200)의 정, 역구동에 따라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케이스(100)의 일측부에 설치되는 기어부(300)와, 상기 기어부(300)를 통해 전달되는 정역모터(200)의 작동방향에 따라 상부가 힌지(410)를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하단부가 좌우로 슬라이드이동 가능하게 케이스(100)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제어버튼(400)과, 상기 제어버튼(400)의 이동량에 따라 케이스(100)에 설치된 입력버튼(600)의 작동력을 케이스(100)에 설치된 출력버튼(700)에 전달 및 차단하도록 케이스(100)의 타측부에 설치되는 스트로크링크(500)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선택적 사용이 가능한 잠금작동장치{Optionally available lock actuators}
본 발명은 선택적 사용이 가능한 잠금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잠금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잠금장치를 기계식과 전자식으로 변환시켜 가면서 록킹력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선택적 사용이 가능한 잠금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가전, 주택 등에 사용되는 잠금장치는 상기 잠금장치를 해제하는 물리적 작용을 발생시키는 방법에 따라 기계식과 전자식으로 분류된다.
기계식 잠금장치에서는 키(key)를 분실 또는 제3자에 의해 복제될 우려가 있거나, 전문적인 절도범이 사용하는 마스터키 앞에서는 침입을 차단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키를 보관하기 위한 불편함과 보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키를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과 보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식으로서, 키패드에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비밀번호를 등록된 비밀번호와 대조하여 진정한 사용자를 판단하고 전자신호에 의해 잠금장치의 록킹력을 해제하는 비밀번호 입력방식과, 사용자의 지문을 입력하여 등록된 지문과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여 사용자를 인식하는 지문입력방식과, 사용자의 홍채를 입력하여 등록된 홍채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홍채입력방식과, 시스템과 인접한 위치에서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무선으로 비밀번호를 전송하여 시스템에서 수신된 비밀번호를 해독하여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RF식 비밀번호 입력방식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전자식 잠금장치는 일반적으로 보안강화의 목적상 마스터키를 유지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 지문, 또는 홍채 신호를 등록된 정보와 비교하여 처리하기 위한 내부회로 또는 키입력 등의 장애가 발생하여 정상적인 절차로 잠금장치의 록킹력을 해제시킬 수 없거나, 배터리가 방전되어 잠금장치의 록킹력을 해제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외부에서 전자식 잠금장치를 해제하는 잠금해제수단이 없어 전자식 잠금장치를 물리적으로 파괴하여 록킹력을 해제시키고 있다.
이러한 물리적인 파괴해제 방법은 시간도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추후에 파괴된 부분을 교체해야 함으로써 많은 유지보수 비용이 들게 되어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 - 0368607호(2004.11.15.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잠금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잠금장치를 기계식과 전자식으로 변환시켜 가면서 록킹력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선택적 사용이 가능한 잠금작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선택적 사용이 가능한 잠금작동장치는, 정역모터(200)의 정, 역구동에 따라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케이스(100)의 일측부에 설치되는 기어부(300)와,
상기 기어부(300)를 통해 전달되는 정역모터(200)의 작동방향에 따라 상부가 힌지(410)를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하단부가 좌우로 슬라이드이동 가능하게 케이스(100)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제어버튼(400)과,
상기 제어버튼(400)의 이동량에 따라 케이스(100)에 설치된 입력버튼(600)의 작동력을 케이스(100)에 설치된 출력버튼(700)에 전달 및 차단하도록 케이스(100)의 타측부에 설치되는 스트로크링크(500)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상기 스트로크링크(500)는 상단부가 입력버튼(600)에 접촉되는 상부스트로크링크(510)와, 하단부가 출력버튼(700)에 접촉되는 하부스트로크링크(520)로 분활되어 구성되고, 상기 하부스트로크링크(520)의 상단부와 상부스트로크링크(510)의 하단부는 절첩 가능하게 힌지(530)에 의해 결합됨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기어부(300)는 정역모터(200)의 회전축에 형성되는 워엄기어(210)와,
상기 워엄기어(210)에 치합되어 샤프트(S)를 중심으로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채꼴형상의 구동기어(310)와, 상기 구동기어(310)의 일측면에 중심이 일치된 상태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피니언기어(320)와, 상기 피니언기어(320)에 치합되어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채꼴형상의 피동기어(330)로 구성됨을 밝혀 둔다.
한편, 상기 부채꼴형상의 피동기어(330) 일측 외측면에는 상부가 힌지(410)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케이스(100)의 중앙부에 설치된 제어버튼(400)의 하부가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있어, 상기 부채꼴형상의 피동기어(330)가 회전되는 방향을 따라 힌지(410)를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됨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입력버튼(600)과 출력버튼(700)은 스프링(80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래위치로 원상복귀되도록 케이스(100)에 설치됨을 밝혀 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역모터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피동기어가 샤프트를 중심으로 일측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입력버튼을 손으로 누르는 경우에는 하부스트로크링크의 상단부와 상부스트로크링크의 하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있는 결합부위가 절첩되면서 스트로크링크를 통해 출력버튼에 스트로크량이 전달되지 않아 상기 출력버튼이 잠금장치 스위치를 작동시키지 않게 됨으로써 전자식으로만 잠금장치를 제어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정역모터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푸시핀이 케이스의 전방으로 전진되도록 작동시키면 제어버튼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입력버튼과 출력버튼에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연결된 스트로크링크 일측면이 접촉되어, 입력버튼을 손으로 누르면 스트로크링크를 통해 출력버튼에 스트로크량이 전달됨에 따라 상기 출력버튼이 케이스의 외부로 인출되면서 잠금장치의 래치버튼을 작동시켜 잠금장치의 록킹력을 해제시킴은 물론, 정역모터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푸시핀(300)을 더욱 전진시키는 경우에도 스트로크링크를 통해 출력버튼이 케이스의 외부로 인출되면서 잠금장치의 래치버튼을 작동시켜 잠금장치의 록킹력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잠금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편리하게 잠금장치를 기계식과 전자식으로 변환시켜 가면서 록킹력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선택적 사용이 가능한 잠금작동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선택적 사용이 가능한 잠금작동장치가 기계식 록킹력 해제 기능상태로 작동된 상태를 보인 작동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선택적 사용이 가능한 잠금작동장치가 전동식 록킹력해제기능상태로 작동된 상태를 보인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선택적 사용이 가능한 잠금작동장치가 기계식 록킹력 해제기능이 차단되도록 작동된 상태를 보인 작동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선택적 사용이 가능한 잠금작동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선택적 사용이 가능한 잠금작동장치가 기계식 록킹력 해제 기능상태로 작동된 상태를 보인 작동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선택적 사용이 가능한 잠금작동장치가 전동식 록킹력해제기능상태로 작동된 상태를 보인 작동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선택적 사용이 가능한 잠금작동장치가 기계식 록킹력 해제기능이 차단되도록 작동된 상태를 보인 작동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선택적 사용이 가능한 잠금작동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정역모터(200)의 정, 역구동에 따라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케이스(100)의 일측부에 설치되는 기어부(300)와, 상기 기어부(300)를 통해 전달되는 정역모터(200)의 작동방향에 따라 상부가 힌지(410)를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하단부가 좌우로 슬라이드이동 가능하게 케이스(100)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제어버튼(400)과, 상기 제어버튼(400)의 이동량에 따라 케이스(100)에 설치된 입력버튼(600)의 작동력을 케이스(100)에 설치된 출력버튼(700)에 전달 및 차단되도록 케이스(100)의 타측부에 설치되는 스트로크링크(50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스트로크링크(500)는 상단부가 입력버튼(600)에 접촉되는 상부스트로크링크(510)와, 하단부가 출력버튼(700)에 접촉되는 하부스트로크링크(520)로 분활되어 구성되고, 상기 하부스트로크링크(520)의 상단부와 상부스트로크링크(510)의 하단부는 절첩 가능하게 힌지(530)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상기 기어부(300)는 정역모터(200)의 회전축에 형성되는 워엄기어(210)와, 상기 워엄기어(210)에 치합되어 샤프트를 중심으로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채꼴형상의 구동기어(310)와, 상기 구동기어(310)의 일측면에 중심이 일치된 상태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피니언기어(320)와, 상기 피니언기어(320)에 치합되어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채꼴형상의 피동기어(33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부채꼴형상의 피동기어(330)의 일측 외측면에는 상부가 힌지(410)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케이스(100)의 중앙부에 설치된 제어버튼(400)의 하부가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입력버튼(600)과 출력버튼(700)은 스프링(80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래위치로 원상복귀되도록 케이스(100)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정역모터(200)의 작동방향에 따라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기어부(300)가 케이스(100)의 일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기어부(300)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량만큼 상부가 힌지(410)를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하단부가 케이스(100)의 좌우로 슬라이드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버튼(40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기어부(300)는 정역모터(200)의 회전축에 형성되는 워엄기어(210)와, 상기 워엄기어(210)에 치합되어 샤프트를 중심으로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채꼴형상의 구동기어(310)와, 상기 구동기어(310)의 일측면에 중심이 일치된 상태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피니언기어(320)와, 상기 피니언기어(320)에 치합되어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채꼴형상의 피동기어(330)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정역모터(20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작동되면, 상기 정역모터(200)의 회전방향에 따라 워웜기어(210)가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워웜기어(210)의 회전방향에 의해 상기 워웜기어(210)에 치합되어 있는 부채꼴형상의 구동기어(310)가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구동기어(310)가 회전되는 것에 의해 피니언기어(320)도 동시에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부채꼴형상의 피동기어(330)를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피동기어(330)의 일측 외측면에는 상부가 힌지(410)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케이스(100)의 중앙부에 설치된 제어버튼(400)의 하부가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피동기어(330)의 회전방향에 따라 힌지(410)를 중심으로 제어버튼(400)이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케이스(100)의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원활하게 슬라이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어버튼(400)이 중앙부에 설치된 케이스(100)의 타측부에는 스프링(800)에 의해 탄지되면서 원래위치로 원상복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입력버튼(600)과 출력버튼(700)이 각각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입력버튼(600)과 출력버튼(700)사이에는 제어버튼(400)의 이동량에 따라 케이스(100)에 설치된 입력버튼(600)의 작동력을 출력버튼(700)에 전달 및 차단시키는 스트로크링크(50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스트로크링크(500)는 상단부가 입력버튼(600)에 접촉되는 상부스트로크링크(510)와, 하단부가 출력버튼(700)에 접촉되는 하부스트로크링크(520)로 분활되어 구성되고, 상기 하부스트로크링크(520)의 상단부와 상부스트로크링크(510)의 하단부는 절첩 가능하게 힌지(530)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530) 결합된 절첩부위가 제어버튼(400)의 외측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이로 인해 잠금장치(미도시)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기계식으로 록킹력을 해제시키고자 하는 경우, 먼저 도 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입력버튼(600)을 손으로 눌러 가압시키면, 상기 입력버튼(600)이 스프링(800)을 압축변형시키면서 케이스(100) 내부로 인입되고,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로 인입된 인입량만큼 스트로크링크(500)로 연결된 출력버튼(700)이 스트로크량을 전달받으며 케이스(100)의 외부로 인출되어지게 되며, 상기 케이스(100)의 외부로 인출된 출력버튼(700)은 잠금장치(미도시)의 래치버튼(미도시)을 작동시키면서 잠금장치의 록킹력을 해제시켜 주게 된다.
한편, 상기 잠금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전자식으로 록킹력을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정역모터(20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는 것에 의해 기어부(300)의 피동기어(330)가 샤프트(S)를 중심으로 케이스(100)의 일측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피동기어(330)가 회전된 양만큼 힌지(410)를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수직상태가 되도록 제어버튼(400)이 이동되며, 상기 제어버튼(400)이 수직상태가 되도록 이동되는 것에 의해 힌지(530) 결합된 스트로크링크(500)의 절첩부위가 펼쳐지게 되고, 상기 스트로크링크(500)의 절첩부위가 펼쳐지는 것에 의해 하부스트로크링크(520)와 연결된 출력버튼(700)이 케이스(100)의 외부로 인출되어지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케이스(100)의 외부로 인출된 출력버튼(700)은 잠금장치(미도시)의 래치버튼(미도시)을 작동시키면서 잠금장치의 록킹력을 해제시켜 주게 된다.
또한, 상기 잠금장치가 기계식으로 록킹력이 해제되는 것을 차단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정역모터(20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기어부(300)의 피동기어(330)를 케이스(100)의 타측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는 것에 의해, 입력버튼(600)을 손으로 누르는 경우에도 스트로크링크(500)를 통해 출력버튼(700)에 스트로크량이 전달되지 않아 상기 출력버튼(700)이 잠금장치 스위치를 작동시키지 않게 됨으로써 전자식으로만 잠금장치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 케이스 200 : 정역모터
210 : 워엄기어 300 : 기어부
310 : 구동기어 320 : 피니언기어
330 : 피동기어 400 : 제어버튼
410 : 힌지 500 : 스트로크링크
510 : 상부스트로크링크 520 : 하부스트로크링크
530 : 힌지 600 : 입력버튼
700 : 출력버튼 800 : 스프링

Claims (5)

  1. 정역모터(200)의 정, 역구동에 따라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케이스(100)의 일측부에 설치되는 기어부(300)와,
    상기 기어부(300)를 통해 전달되는 정역모터(200)의 회전량만큼 상부가 힌지(410)를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하단부가 좌우로 슬라이드이동 가능하게 케이스(100)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제어버튼(400)과,
    상기 제어버튼(400)의 이동량에 따라 케이스(100)에 설치된 입력버튼(600)의 작동력을 케이스(100)에 설치된 출력버튼(700)에 전달 및 차단하도록 케이스(100)의 타측부에 설치되는 스트로크링크(5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사용이 가능한 잠금작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크링크(500)는 상단부가 입력버튼(600)에 접촉되는 상부스트로크링크(510)와, 하단부가 출력버튼(700)에 접촉되는 하부스트로크링크(520)로 분활되어 구성되고, 상기 하부스트로크링크(520)의 상단부와 상부스트로크링크(510)의 하단부는 절첩 가능하게 힌지(530)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사용이 가능한 잠금작동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300)는 정역모터(200)의 회전축에 형성되는 워엄기어(210)와, 상기 워엄기어(210)에 치합되어 샤프트를 중심으로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채꼴형상의 구동기어(310)와, 상기 구동기어(310)의 일측면에 중심이 일치된 상태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피니언기어(320)와, 상기 피니언기어(320)에 치합되어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채꼴형상의 피동기어(3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사용이 가능한 잠금작동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부채꼴형상의 피동기어(330) 일측 외측면에는 상부가 힌지(41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케이스(100)의 중앙부에 설치된 제어버튼(400)의 하부가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사용이 가능한 잠금작동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버튼(600)과 출력버튼(700)은 스프링(80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래위치로 원상복귀되도록 케이스(10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사용이 가능한 잠금작동장치.
KR1020170086030A 2017-07-06 2017-07-06 선택적 사용이 가능한 잠금작동장치 KR101867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030A KR101867234B1 (ko) 2017-07-06 2017-07-06 선택적 사용이 가능한 잠금작동장치
PCT/KR2018/007108 WO2019009548A1 (ko) 2017-07-06 2018-06-22 선택적 사용이 가능한 잠금작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030A KR101867234B1 (ko) 2017-07-06 2017-07-06 선택적 사용이 가능한 잠금작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7234B1 true KR101867234B1 (ko) 2018-07-17

Family

ID=63048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030A KR101867234B1 (ko) 2017-07-06 2017-07-06 선택적 사용이 가능한 잠금작동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67234B1 (ko)
WO (1) WO2019009548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878A (ko) * 2004-03-31 2004-05-03 남정호 전자식 도어록이 내장된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
KR200368607Y1 (ko) 2004-08-25 2004-11-26 신종균 자동차 시동키 잠금장치
KR100756333B1 (ko) * 2006-06-29 2007-09-06 김종엽 전자식 문 잠금장치용 백셋
KR20150012564A (ko) * 2013-07-25 2015-02-04 남경훈 강화 유리도어의 기계식 겸용 디지털 도어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054B1 (ko) * 2001-07-03 2004-01-16 (주)중경 감속기어 조합체가 구비된 도어록 장치
KR100403644B1 (ko) * 2001-11-05 2003-10-30 주식회사 뉴웰 키실린더 제어기능을 갖는 전자식 도어록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878A (ko) * 2004-03-31 2004-05-03 남정호 전자식 도어록이 내장된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
KR200368607Y1 (ko) 2004-08-25 2004-11-26 신종균 자동차 시동키 잠금장치
KR100756333B1 (ko) * 2006-06-29 2007-09-06 김종엽 전자식 문 잠금장치용 백셋
KR20150012564A (ko) * 2013-07-25 2015-02-04 남경훈 강화 유리도어의 기계식 겸용 디지털 도어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09548A1 (ko) 2019-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1051B1 (en) Electric padlock
US7827837B2 (en) Electro-mechanical lock assembly
KR101214002B1 (ko) 도어락 손잡이 축의 클러치 조립체
KR100543831B1 (ko) 패닉기능을 갖는 도어락장치의 자동 및 수동제어 겸용구조
US6655179B2 (en) Automotive door lock assembly
CN102575490B (zh) 锁组件
KR101867234B1 (ko) 선택적 사용이 가능한 잠금작동장치
KR20200048955A (ko) 파워 랫치 장치
KR100976818B1 (ko) 자동 도어락 장치
KR960007634B1 (ko) 잠금장치
KR100961878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도어록
KR101409397B1 (ko) 도어 자동 잠금 장치
KR100763884B1 (ko) 도어록 장치
KR101243364B1 (ko) 기계식 해정 구조를 갖는 전자식 도어락 조립체
TWI321186B (en) Combination deadbolt
JP5965532B1 (ja) 錠開閉装置
KR100856743B1 (ko) 모티스 및 그를 구비한 도어록 장치
KR200438624Y1 (ko) 디지털식 도어록의 데드볼트 제어장치
KR100581520B1 (ko) 좌/우수 겸용 이중 잠금장치를 갖는 디지털 도어락
WO2018160713A1 (en) Lockbox index drive
KR20020047648A (ko) 잠금장치
JP2016188466A (ja) 収納装置
KR101652166B1 (ko) 도어록 장치
KR200231771Y1 (ko) 전자식 도어록의 개폐장치
JP6951843B2 (ja) ラッ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ド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