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8773B1 - 디지털 도어록의 록킹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디지털 도어록의 록킹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8773B1
KR101008773B1 KR1020100055199A KR20100055199A KR101008773B1 KR 101008773 B1 KR101008773 B1 KR 101008773B1 KR 1020100055199 A KR1020100055199 A KR 1020100055199A KR 20100055199 A KR20100055199 A KR 20100055199A KR 101008773 B1 KR101008773 B1 KR 101008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locking lever
switch
cas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5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민
Original Assignee
김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민 filed Critical 김상민
Priority to KR1020100055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87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8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8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2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록의 록킹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도어록의 록킹 어셈블리는, 회전도어에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는 록킹바를 출몰시켜 상기 회전도어를 선택적으로 록킹시킬 수 있도록, 상기 록킹바에 동력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회전도어에 설치되는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록킹레버를 구비하는 디지털 도어록의 록킹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록킹레버에 구비되고, 사용자에 의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부; 상기 록킹레버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부와 록킹바를 서로 동력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록킹레버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마이컴에 인가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를 온(On)시키는 제1위치와 상기 스위치를 오프(Off)시키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록킹레버의 일측에 접촉되는 작동판; 및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를 강제회전시키기 않고 상기 조작부를 누르는 동작에 의해 상기 록킹바를 출몰시킬 수 있도록 상기 작동판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작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도어록의 록킹 어셈블리{Locking assembly of digital door lock}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회전도어를 록킹 및 언록킹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간소한 구성과 간단한 조작에 의해 외부에서의 록킹해제가 불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디지털 도어록의 록킹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도어록은 회전도어를 록킹 및 언록킹시키기 위한 록킹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록킹은 상기 회전도어가 문틀에 대해 개폐가 불가능한 상태를 의미하고, 언록킹은 상기 회전도어의 개폐가 가능한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록킹수단은 실내에서 회전도어를 록킹시키기 위한 실내록킹수단과 실외에서 회전도어를 록킹시키기 위한 실외록킹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내록킹수단으로는, 상기 회전도어를 록킹시키기 위한 전기회로가 내장되는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록킹레버를 구비한다.
이러한 록킹레버는 사용자가 실내에서 조작하여 상기 회전도어의 록킹 및 언록킹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도어를 록킹시키기 위한 록킹바와 동력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사용자가 실내에서 상기 록킹레버를 파지하고 일정힘을 가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록킹바가 상기 문틀 측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회전도어를 록킹시키고, 반대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록킹바가 상기 회전도어 측으로 인입되면서 상기 회전도어를 언록킹시킨다.
그런,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기술에 의한 디지털 도어록의 록킹 어셈블리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사용자가 실내에서 상기 록킹레버를 이용하여 회전도어를 록킹 및 언록킹시키기 위해서는 일정 크기의 회전력을 상기 록킹레버에 가하여야 한다. 그러나, 힘이 약한 노인 또는 어린이의 경우 충분한 회전력을 상기 록킹레버에 전달하지 못하여 사용상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단점이 있다.
둘째, 상기 록킹레버를 이용하여 회전도어를 록킹시키는 상태는 일시적으로 지속된다. 즉, 실외에서 상기 록킹레버를 회전시키는 열쇠 또는 RFID 카드 등에 의해 상기 록킹레버의 록킹상태의 해제가 가능하다. 이러한 메카니즘은 디지털 도어록의 기본적인 설계사항이기는 하나, 예컨대 실외에서의 록킹해제가 불가능한 상태가 지속되기를 희망하는 수요자의 요구에는 부합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편리한 방법으로 상기 록킹레버를 조작할 수 있게 하는 수단과 실외에서의 록킹해제가 불가능한 상태를 지속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을 상기 록킹레버에 채용하는 경우에는, 종래의 구성의 큰 변화없는 간소한 구성으로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고 수요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합할 수 있는 제품설계에 일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편리한 방법으로 록킹레버를 조작하여 회전도어의 록킹 및 언록킹을 가능하게 하고 수요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합하는 제품설계에 일조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록의 록킹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회전도어에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는 록킹바를 출몰시켜 상기 회전도어를 선택적으로 록킹시킬 수 있도록, 상기 록킹바에 동력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회전도어에 설치되는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록킹레버를 구비하는 디지털 도어록의 록킹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록킹레버에 구비되고, 사용자에 의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부; 상기 록킹레버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부와 록킹바를 서로 동력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록킹레버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마이컴에 인가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를 온(On)시키는 제1위치와 상기 스위치를 오프(Off)시키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록킹레버의 일측에 접촉되는 작동판; 및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를 강제회전시키기 않고 상기 조작부를 누르는 동작에 의해 상기 록킹바를 출몰시킬 수 있도록 상기 작동판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작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록킹레버의 상기 조작부와 연결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작동판의 일면에 접촉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조작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 및 상기 조작부의 눌림으로 상기 작동판이 상기 스위치를 온시키는 제1위치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스위치가 온(On)된 경우에,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록킹레버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판은,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의 이동이 탄성변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위치는, 상기 작동판이 제1위치에 위치된 경우에 눌려지고 상기 작동판이 제2위치에 위치된 경우에 원래의 위치로 원복되는 누름스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도어록의 록킹 어셈블리는, 간소한 구성으로 상기 록킹레버의 수동조작 및 자동조작에 의한 회전도어의 록킹 및 언록킹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하드웨어의 변경 없이 소프트웨어적인 설계변경으로 회전도어의 록킹상태를 유지시키고자 하는 수요자의 요구에 부합할 수 있게 하여 제품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의 록킹 어셈블리의 채용상태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되는 작동판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부분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동작상태를 정면에서 보인 동작상태도.
도 6은 도 5의 Ⅵ-Ⅵ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도 6에 도시된 동작상태에서 록킹레버가 눌려진 상태를 보인 다른 동작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의 록킹 어셈블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의 록킹 어셈블리의 채용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되는 작동판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부분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동작상태를 정면에서 보인 동작상태도이며, 도 6은 도 5의 Ⅵ-Ⅵ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도 6에 도시된 동작상태에서 록킹레버가 눌려진 상태를 보인 다른 동작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도어록의 록킹 어셈블리는, 회전도어(D)에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는 록킹바(R)를 출몰시켜 상기 회전도어(D)를 선택적으로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기 위한 것으로, 록킹레버(10)와 스위치(20)와 작동판(30)과 작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록킹은 상기 회전도어(D)가 문틀에 대해 개폐가 불가능한 상태를 의미하고, 언록킹은 상기 회전도어(D)의 개폐가 가능한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록킹레버(10)는, 상기 록킹바(R)에 동력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회전도어(D)에 설치되는 케이스(C)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사용자의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 회전력(수동조작)에 의해 상기 회전도어(D)의 록킹 및 언록킹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실시예는 종래와 같이 상기 록킹레버(10)의 수동조작(도 5 참조)에 의한 회전도어(D)의 록킹은 물론, 상기 록킹레버(10)와 스위치(20)와 작동판(30)과 작동수단에 의해 유기적인 결합에 의해 전기적인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록킹레버(10)의 자동조작(도 6 및 도 7 참조)에 의한 회전도어(D)의 록킹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종래와 차별화되는 상기 록킹레버(10)의 자동조작에 의한 회전도어(D)의 록킹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즉, 상기 록킹레버(10)에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C)의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부(12)와 상기 케이스(C) 내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부(12)와 록킹바(R)를 서로 동력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14)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조작이라 함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레버(10)의 조작부(12)를 화살표 방향으로 누르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스위치(20)는, 상기 케이스(C) 내부에 상기 연결부(14)의 외주면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록킹레버(10)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마이컴(22)에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록킹레버(10)의 조작부(12)가 눌려짐으로써 상기 스위치(20)가 상기 마이컴(22)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록킹바(R)의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록킹레버(10)의 조작부(12)를 이용하여 상기 스위치(20)를 온(On)/오프(Off)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조작부(12)와 스위치(20) 사이에 동력전달을 위한 매개체가 요구된다. 상기 작동판(30)과 작동수단은 상기 매개체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작동판(30)은, 상기 스위치(20)를 온(On)시키는 제1위치(도 7 참조)와 상기 스위치(20)를 오프(Off)시키는 제2위치(도 6 참조)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상기 케이스(C) 내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20)가 상기 작동판(30)에 의해 가압된 경우에 눌려지고 상기 작동판(30)에 의한 가압이 해제된 경우에 원래의 위치로 원복되는 누름스위치(20)인 경우에, 상기 제1위치는 상기 작동판(30)이 도 7과 같이 가압되어 동작된 상태를 의미하고 상기 제2위치는 상기 작동판(30)이 도 6과 같이 가압해제되어 동작된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작동판(30)은 상기 록킹레버(10)로부터 전달되는 힘을 상기 스위치(20)에 가할 수 있도록, 상기 록킹레버(10)의 일측에 접촉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작동판(30)과 접촉되는 상기 록킹레버(10)의 일측은 상기 록킹레버(10)의 조작부(12)와 연결부(14) 사이에 형성되는 가압부(16)이다. 상기 가압부(16)는 상기 작동판(3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작동수단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이하 작동수단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작동수단은, 상술한 가압부(16)와 스프링(40)과 모터(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부(16)는 상기 작동판(30)의 일면에 접촉됨으로서 상기 록킹레버(10)의 조작부(12)로부터 가해진 힘을 상기 작동판(30)에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프링(40)은 상기 가압부(16)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조작부(12)를 탄성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상기 조작부(12)가 도 7과 같이 가압된 상태에서 도 6과 같이 원래의 위치로 원복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모터는, 상기 록킹레버(10)의 조작부(12)의 눌림으로 상기 작동판(30)이 상기 제1위치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스위치(20)가 온(On)된 경우에, 상기 마이컴(22)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록킹레버(10)를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작동판(30)은, 상기 케이스(C) 내부에서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도어록의 록킹 어셈블리는, 사용자가 상기 록킹레버(10)를 종래와 같이 수동조작에 의해 동작시킬 수 있음은 물론, 도 7과 같이 상기 록킹레버(10)를 누르는 자동조작에 의해 동작시킬 수 있어서, 회전도어(D)를 록킹 및 언록킹시키기 위한 조작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즉, 사용자가 상기 록킹레버(10)를 누르게 되면, 상기 록킹레버(10)가 상기 작동판(30)을 가압하여 그 작동판(30)이 상기 스위치(20)를 온(On)시킴으로써, 전기적인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모터가 회전되고 상기 모터에 동력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록킹바(R)가 문틀 측으로 돌출 또는 회전도어(D) 측으로 인입되는 과정에 의해 상기 회전도어(D)의 록킹 및 언록킹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단순히 상기 록킹레버(10)를 누르는 동작에 의해 상기 회전도어(D)의 록킹 및 언록킹을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함으로써 노인이나 어린이들이 쉽고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마이컴(22)을, 상기 록킹레버(10)를 예컨대 5초 동안 누른 경우 상기 회전도어(D)의 록킹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하고 다시 록킹레버(10)를 5초 동안 누른 경우 상기 회전도어(D)의 록킹이 해제되도록 소프트웨어적으로 설계한다면, 앞에서 설명한 제품의 구조(하드웨어)를 변경하지 않고 상기 회전도어(D)의 록킹상태 유지 및 해제를 가능하게 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은 간소한 구성으로 상기 록킹레버(10)의 수동조작 및 자동조작에 의한 회전도어(D)의 록킹 및 언록킹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하드웨어의 변경 없이 소프트웨어적인 설계변경으로 회전도어(D)의 록킹상태를 유지시키고자 하는 수요자의 요구에 부합할 수 있게 하여 제품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도면 중 미설명부호 H는 상기 작동판(30)과 디지털 도어록에 전력을 인가하기 위한 배터리가 설치되는 하우징이고, 32는 상기 작동판(30)에 형성되고 상기 록킹레버(10)의 연결부(14)가 관통하는 관통공이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0:록킹레버 12:조작부
14:연결부 16:가압부
20:스위치 22:마이컴
30:작동판 32:관통공
40:스프링 C:케이스
D:회전도어 H:하우징
L:록킹바

Claims (4)

  1. 삭제
  2. 회전도어에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는 록킹바를 출몰시켜 상기 회전도어를 선택적으로 록킹시킬 수 있도록, 상기 록킹바에 동력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회전도어에 설치되는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록킹레버를 구비하는 디지털 도어록의 록킹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록킹레버(10)에 구비되고, 사용자에 의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C)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부(12); 상기 록킹레버(10)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C) 내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부(12)와 록킹바(R)를 서로 동력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14); 상기 케이스(C) 내부에 상기 연결부(14)의 외주면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록킹레버(10)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마이컴(22)에 인가하는 스위치(20); 상기 스위치(20)를 온(On)시키는 제1위치와 상기 스위치(20)를 오프(Off)시키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상기 케이스(C)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록킹레버(10)의 일측에 접촉되는 작동판(30); 및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12)를 강제회전시키기 않고 상기 조작부(12)를 누르는 동작에 의해 상기 록킹바(R)를 출몰시킬 수 있도록 상기 작동판(3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작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록킹레버(10)의 상기 조작부(12)와 연결부(14)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작동판(30)의 일면에 접촉되는 가압부(16); 상기 가압부(16)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조작부(12)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40); 및 상기 조작부(12)의 눌림으로 상기 작동판(30)이 상기 스위치(20)를 온시키는 제1위치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스위치(20)가 온(On)된 경우에, 상기 마이컴(22)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록킹레버(10)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의 록킹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판(30)은, 상기 케이스(C) 내부에서의 이동이 탄성변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의 록킹 어셈블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20)는, 상기 작동판(30)이 제1위치에 위치된 경우에 눌려지고 상기 작동판(30)이 제2위치에 위치된 경우에 원래의 위치로 원복되는 누름스위치(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의 록킹 어셈블리.
KR1020100055199A 2010-06-11 2010-06-11 디지털 도어록의 록킹 어셈블리 KR101008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199A KR101008773B1 (ko) 2010-06-11 2010-06-11 디지털 도어록의 록킹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199A KR101008773B1 (ko) 2010-06-11 2010-06-11 디지털 도어록의 록킹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8773B1 true KR101008773B1 (ko) 2011-01-14

Family

ID=43616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5199A KR101008773B1 (ko) 2010-06-11 2010-06-11 디지털 도어록의 록킹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877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8643A (en) 1991-02-26 1993-03-30 Computerized Security Systems, Inc. Adaptable electronic key and lock system
KR100756673B1 (ko) * 2006-11-30 2007-09-07 주식회사 케이코하이텍 도어록킹장치
KR100869705B1 (ko) * 2007-03-14 2008-11-21 (주)엔담 도어록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8643A (en) 1991-02-26 1993-03-30 Computerized Security Systems, Inc. Adaptable electronic key and lock system
KR100756673B1 (ko) * 2006-11-30 2007-09-07 주식회사 케이코하이텍 도어록킹장치
KR100869705B1 (ko) * 2007-03-14 2008-11-21 (주)엔담 도어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9408B2 (en) Indicator-type door lock
EP2384385A1 (en) Mechanically operated electric lock
US8199011B2 (en) Lock with electric locking function
CA2952854A1 (en) Accessory for security locking of a lock
KR200434418Y1 (ko) 그립형 개폐 손잡이
LU100905B1 (en) Changing a State of a Lock
KR101599410B1 (ko) 디지털 도어록의 턴-노브 개폐장치
KR101008773B1 (ko) 디지털 도어록의 록킹 어셈블리
KR101767967B1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의 그립 핸들
KR102159312B1 (ko) 도어락용 손잡이 조립체
KR101037203B1 (ko) 개폐 기능이 개선된 디지털 도어록 장치
CN201351394Y (zh) 电子锁的传动结构
KR100821308B1 (ko) 무선 도어락 장치
KR100669495B1 (ko) 도어록 메카니즘
KR20000065346A (ko) 배전반용 핸들
CN206722586U (zh) 一种环网柜门锁
KR101793491B1 (ko)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환 구조체
KR100834212B1 (ko) 연결 구조가 개선된 슬라이딩 도어의 도어 래치
KR200438624Y1 (ko) 디지털식 도어록의 데드볼트 제어장치
KR101889930B1 (ko) 푸시풀 도어락
KR101965533B1 (ko) 박스형 도어락 장치
KR101440528B1 (ko) 다중 래치 멀티 록 장치
KR101867234B1 (ko) 선택적 사용이 가능한 잠금작동장치
KR200364392Y1 (ko) 모티스의 데드볼트 위치감지구조
KR102136225B1 (ko) 인디케이터형 도어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