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7967B1 -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의 그립 핸들 - Google Patents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의 그립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7967B1
KR101767967B1 KR1020160040875A KR20160040875A KR101767967B1 KR 101767967 B1 KR101767967 B1 KR 101767967B1 KR 1020160040875 A KR1020160040875 A KR 1020160040875A KR 20160040875 A KR20160040875 A KR 20160040875A KR 101767967 B1 KR101767967 B1 KR 101767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dle
handle
interlocking
moving body
lin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0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Priority to KR1020160040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79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3/2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선이동체의 직선운동을 스핀들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할 때, 스핀들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180도 간격으로 양쪽에서 회전력이 가해지도록 하여 스핀들의 기울어짐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직선이동체의 직선운동을 스핀들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할 때, 회전력을 분산 없이 전달하여 원활한 잠금장치의 록킹해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고, 창문의 열림방향에 대하여 손잡이의 조작각을 최대한 작게 하고, 회동축의 회전중심에서 손잡이의 선단까지의 거리보다 회동축의 회전중심에서 손잡이의 가압 끝단까지의 거리를 최대한 짧게 형성함으로써 손잡이의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의 그립 핸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그립 핸들은, 직선이동체에 장방형의 연동구멍을 형성하고, 스핀들에는 스핀들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에 제1 및 제2 연동홈을 180도 간격으로 형성하며, 연동부재는 스핀들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으로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고, 스핀들의 제1 및 제2 연동홈에 연동가능하게 삽입된 제1 및 제2 돌기와, 상기 직선이동체의 연동구멍에 연동가능하게 삽입된 제3 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직선이동체의 직선운동을 스핀들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회전력이 스핀들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에 180도 간격으로 위치된 2지점에서 작용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의 그립 핸들{Grip Handle Locking Device for Sliding Window}
본 발명은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의 그립 핸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잠금장치의 록킹해제시 손잡이의 조작감을 좋게 함과 동시에 각 구성부품의 연결 동작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의 그립 핸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는 창틀에 설치된 스트라이커와, 창문에 설치된 잠금장치로 이루어지며, 창문을 닫을 때에는 잠금장치의 록커가 상기 스트라이커에 록킹되어 잠기게 되고, 창문을 열 때에는 잠금장치의 손잡이를 조작하여 스핀들을 회전시키게 되면, 록커가 스트라이커로부터 록킹해제되어 창문을 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잠금장치의 록킹해제를 위해 스핀들을 회전시키는 방식은, 스핀들에 손잡이를 직접 고정하여 손으로 손잡이를 잡고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스핀들을 회전시키는 손잡이 회전식과, 직선운동하는 손잡이와 스핀들 사이에 연동수단을 설치하여 손잡이를 직선운동시키는 조작을 하면, 연동수단이 직선운동을 스핀들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방식의 그립 핸들이 있다.
손잡이 회전식은, 손잡이의 회전력이 스핀들에 직접 전달되어 잠금장치의 록킹해제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으나, 손잡이가 긴 바의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부딪히는 경우에는 부상의 위험이 있고, 손잡이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손잡이 끝단까지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손잡이 조작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사용자가 손잡이를 파지하여 회전시킬 때, 손목을 많이 비틀어야 하므로 조작성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사용자의 부상 위험이 없고 조작공간을 작게 차지하며 손잡이를 손으로 파지하면서 직선이동시키는 간편한 조작에 의해 잠금장치를 록킹해제시킬 수 있는 그립 핸들이 더 인기를 얻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그립 핸들에 있어서도, 손잡이를 직선이동시키는 힘이 어느 한쪽으로 편중되는 경우, 원활한 직선운동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손잡이를 회전시켜 연동수단을 직선운동시키고 연동수단의 직선이동을 회전축의 회전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방식으로 개선되었다.
이와 같이 개선된 그립 핸들의 종래 예로서, 국내 등록특허 제10-1216733호(이하, 종래기술이라 약칭함.)에 알려진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1)의 양측에 측벽(112)이 형성되어 슬라이딩 창호에 설치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측벽(112) 사이에 회동축(121)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손잡이(120)와, 적어도 일측에 삽입홈(132)이 형성된 관통공(131)이 판면에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120)와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120)의 회동에 따라 직선운동하는 이동체(130)와, 일단부 외측에 상기 이동체(130)의 삽입홈(132)에 삽입되는 작용돌기(141)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잠금장치에 연결되는 스핀들(140)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120)를 조작하여 회동축(121)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손잡이(120)의 하단인 삽입돌기(123)가 이동체(130)를 직선이동시키고, 이로 인해 이동체(130)의 삽입홈(132)이 스핀들(140)의 작용돌기(141)를 가압하여 스핀들(140)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여 잠금장치를 록킹해제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도 1의 (a) 및 (b)에서와 같이 손잡이(120)의 조작부위인 선단 위치가 회동축(121)의 회전중심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손잡이(120)의 조작방향은 화살표 방향(Y)과 같이 창문의 열림방향(X)에 대하여 큰 조작각(θ)을 형성하게 되고, 더욱이 회동축(121)의 회전중심에서 손잡이(120)의 선단까지의 거리(L1)와, 회동축(121)의 회전중심에서 손잡이(120)의 삽입돌기(123)까지의 거리(L2)가 비슷하여 손잡이의 조작력과 이동체에 전달되는 가압력이 별차이가 없다. 따라서 종래기술은 사용자가 창문의 열림방향(X)에 대하여 큰 조작각(θ)으로 손잡이(120)를 조작함과 동시에, 큰 조작력이 필요하게 되므로, 잠금장치의 록킹해제시 조작감을 크게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도 2에서와 같이 이동체(130)의 삽입홈(132)이 스핀들(140)의 작용돌기(141)를 가압하여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할 때, 상기 작용돌기(141)가 스핀들(140)의 상단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것이므로, 스핀들(140)에 작용하는 회전력은 스핀들(14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한쪽에서만 작용하게 되고, 이로 인해 도 3에서와 같이 스핀들(140)의 하단 쪽 끝단은 축선에서 벗어나려고 하는 기울어짐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은 이동체(130)의 직선운동을 스핀들(140)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할 때, 가압력이 분산되어 원활한 연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직선이동체의 직선운동을 스핀들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할 때, 스핀들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에 180도 간격으로 양쪽에서 회전력이 가해지도록 하여 가압력 분산 및 스핀들의 기울어짐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직선이동체의 직선운동을 스핀들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할 때, 원활한 연동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의 그립 핸들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창문의 열림방향에 대하여 손잡이의 조작각을 최대한 작게 하고, 회동축의 회전중심에서 손잡이의 선단까지의 거리보다 회동축의 회전중심에서 손잡이의 가압 끝단까지의 거리를 최대한 짧게 형성함으로써 손잡이의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의 그립 핸들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몸체; 상기 몸체에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어 조작 전 대기위치와 조작 후 잠금장치의 록킹해제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며, 상기 몸체 외부에 위치한 조작핸들부와 몸체 내부에 위치한 연동가압부를 구비한 손잡이;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의 연동가압부와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직선운동하는 직선이동체; 상기 직선이동체와 몸체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상기 손잡이가 조작 전 대기위치에 있도록 상기 직선이동체에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 상기 몸체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스핀들; 및 상기 직선이동체와 스핀들 사이에 구비되어 직선이동체의 직선운동을 스핀들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연동부재를 포함하는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의 그립 핸들에 있어서, 상기 직선이동체에는 장방형의 연동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스핀들에는 스핀들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에 제1 및 제2 연동홈을 180도 간격으로 형성하며, 상기 연동부재는 스핀들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으로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고, 상기 스핀들의 제1 및 제2 연동홈에 연동가능하게 삽입된 제1 및 제2 돌기와, 상기 직선이동체의 연동구멍에 연동가능하게 삽입된 제3 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직선이동체의 직선운동을 스핀들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회전력이 스핀들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에 180도 간격으로 위치된 2지점에서 작용하도록 된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의 그립 핸들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조작핸들부는 창문의 열림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연동가압부는 상기 조작핸들부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회동축은 상기 연동가압부의 중간지점에 구비되며, 상기 회동축의 회전중심에서 연동가압부의 끝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회동축의 회전중심에서 조작핸들부의 선단까지의 거리에 대하여 1/2~1/4이 되도록 설정한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의 그립 핸들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체, 하체 및 바닥체로 분리형성되고, 상기 하체에는 회동축의 상측 원주면 일부를 지지하는 상부지지홈을 형성하고, 상기 바닥체에는 회동축의 하측 원주면 일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홈을 형성하여 상기 하체와 바닥체를 결합하는 것에 의해 회동축을 상부지지홈과 하부지지홈으로 회전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상부지지홈과 이에 회전지지되는 회동축의 상측 원주면 일부의 직경을 상기 하부지지홈과 이에 회전지지되는 회동축의 하측 원주면 일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고, 상기 회동축의 상측 원주면 일부와 하측 원주면 일부 사이에는 상기 손잡이가 조작 전 대기위치에 있을 때 하체에 걸림유지되는 제1 단턱과, 손잡이가 조작 후 잠금장치의 록킹해제위치에 있을 때 하체에 걸림유지되는 제2 단턱을 형성한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의 그립 핸들에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의 그립 핸들에 의하면, 직선이동체의 직선운동을 스핀들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할 때, 스핀들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연동부재의 제1 및 제2 돌기가 스핀들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의 180도 양쪽에서 회전력을 작용시킴에 따라, 스핀들이 축선을 중심으로 안정되고 원활하게 회전하여 기울어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직선이동체의 직선운동을 스핀들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할 때, 회전력을 분산 없이 전달할 수 있어 원활한 잠금장치의 록킹해제 동작이 이루어져 기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의 조작핸들부를 창문의 열림방향으로 연장형성하고, 손잡이의 연동가압부를 조작핸들부에 대하여 직각으로 형성하며, 손잡이의 회동축을 연동가압부의 중간지점에 형성함에 따라, 창문의 열림방향에 대하여 손잡이의 조작각을 최대한 작게 함과 동시에, 회동축의 회전중심에서 조작핸들부의 선단까지의 거리보다 회동축의 회전중심에서 연동가압부의 끝단까지의 거리를 최대한 짧게 형성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손잡이를 힘들이지 않고 편안하게 파지하여 창문의 열림방향으로 조작하는 것에 의해 잠금장치의 록킹해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더욱 향상된 조작감과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의 (a) 및 (b)는 종래의 그립 핸들에 따른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이동체와 스핀들의 연동관계를 나타낸 저면도.
도 3은 도 2에서 이동체와 스핀들의 연동관계를 나타낸 주요부 단면도.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립 핸들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a)는 손잡이의 조작 전 대기위치 상태 사시도, (b)는 손잡이의 조작 후 잠금장치의 록킹해제위치 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립 핸들의 분해 사시도.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립 핸들에서 손잡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립 핸들에서 손잡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립 핸들에서 손잡이와 직선이동체의 연동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9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립 핸들에서 직선이동체, 연동부재 및 스핀들의 연동 관계를 나타낸 저면도.
도 10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립 핸들에서 직선이동체, 연동부재 및 스핀들의 연동 관계를 나타낸 저면도로서, 스핀들의 회전방향이 반대인 경우의 저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의 그립 핸들을 나타낸 것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에 설치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에 회동축(21)을 중심으로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는 손잡이(20)를 구비한다.
손잡이(20)는 도 4의 (a) 및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20)의 조작 전인 대기위치와, 도 4의 (b) 및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20)의 조작 후인 잠금장치의 록킹해제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손잡이(20)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 외부에 위치한 조작핸들부(22)와, 몸체(10) 내부에 위치한 연동가압부(23)를 구비한다. 상기 조작핸들부(22)는 창문의 열림방향(X)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동가압부(23)는 조작핸들부(22)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연장되어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손잡이(20)의 회동축(21)은 상기 연동가압부(23)의 중간지점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회동축(21)의 회전중심 위치는, 회동축(21)의 회전중심에서 연동가압부(23)의 끝단까지의 거리(L2)가 회동축(21)의 회전중심에서 조작핸들부(22)의 선단까지의 거리(L1)보다 짧게 형성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회동축(21)의 회전중심에서 연동가압부(23)의 끝단까지의 거리(L2)는 상기 회동축(21)의 회전중심에서 조작핸들부(22)의 선단까지의 거리(L1)에 대하여 1/2~1/4이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몸체(10)는 상체(11), 하체(12) 및 바닥체(13)으로 분리형성된다. 상기 하체(12)에는 회동축(21)의 상측 원주면(21a) 일부를 지지하는 상부지지홈(12a)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체(13)에는 회동축(21)의 하측 원주면(21b) 일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홈(13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체(12)와 바닥체(13)를 결합하는 것과 동시에, 회동축(21)을 상부지지홈(12a)과 하부지지홈(13a)으로 회전지지하게 되므로, 몸체(10)에 손잡이(20)를 회전 자유롭게 조립하는 작업이 매우 간단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부지지홈(12a) 및 이에 회전지지되는 회동축(21)의 상측 원주면(21a) 일부의 직경보다 상기 하부지지홈(13a) 및 이에 회전지지되는 회동축(21)의 하측 원주면(21b) 일부의 직경을 크게 형성하고, 상기 회동축(21)의 상측 원주면(21a) 일부와 하측 원주면(21b) 일부 사이에는 상기 손잡이(20)가 조작 전 대기위치에 있을 때 하체(12)에 걸림유지되는 제1 단턱(21c)과, 손잡이(20)가 조작 후 잠금장치의 록킹해제위치에 있을 때 하체(12)에 걸림유지되는 제2 단턱(21d)을 형성함으로써 손잡이(20)의 회전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
몸체(10) 내에는 직선이동체(30)가 설치된다. 직선이동체(30)는 도 5,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20)의 연동가압부(23) 끝단과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20)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직선운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스핀들(40)의 회전중심인 축선을 기준으로 일측에 장방형의 연동구멍(30a)을 형성하고 있다.
도 9에서와 같이 직선이동체(30)와 몸체(10) 사이에는 탄성부재(60)가 탄력설치된다. 탄성부재(60)는 압축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손잡이(20)가 항상 조작 전 대기위치에 있도록 상기 직선이동체(30)에 탄성력을 작용한다.
스핀들(40)은 몸체(10)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고, 직선이동체(30)와 스핀들(40) 사이에는 연동부재(50)가 구비되어 직선이동체(30)의 직선운동을 스핀들(40)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직선이동체(30)에는 장방형의 연동구멍(30a)을 형성하고, 상기 스핀들(40)에는 스핀들(40)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에 제1 및 제2 연동홈(41,42)을 180도 간격으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연동부재(50)는 스핀들(40)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으로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고, 상기 스핀들(40)의 제1 및 제2 연동홈(41,42)에 연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 및 제2 돌기(51,52)와, 상기 직선이동체(30)의 연동구멍(30a)에 연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3 돌기(53)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직선이동체(30)의 직선운동을 스핀들(40)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회전력이 스핀들(40)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에 180도 간격으로 위치된 2지점에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잠금장치의 록킹해제를 위해 도 4,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20)의 조작핸들부(22)를 조작하여 손잡이(20)를 대기위치에서 록킹해제위치로 회전시키면, 손잡이(20)가 회동축(2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몸체(10) 내에 위치한 연동가압부(23)가 직선이동체(30)를 연동시켜 직선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조작핸들부(22)는 창문의 열림방향(X)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동가압부(23)는 조작핸들부(22)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연장되어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손잡이(20)의 회동축(21)은 상기 연동가압부(23)의 중간지점에 구비된 것이므로, 창문의 열림방향(X)에 대한 조작핸들부(22)의 조작각(θ)을 최대한 작게 할 수 있고, 도 7의 (b)에서와 같이 록킹해제위치로 회전할수록 창문의 열림방향(X) 대한 조작각(θ)이 점점 작아져 록킹해제위치에서는 창문의 열림방향(X)과 조작각(θ)이 거의 동일하게 된다.
또한 회동축(21)의 회전중심에서 연동가압부(23)의 끝단까지의 거리(L2)는 상기 회동축(21)의 회전중심에서 조작핸들부(22)의 선단까지의 거리(L1)에 대하여 1/2~1/4로서 짧게 설정된 것이므로, 작은 조작력으로도 직선이동체(30)를 직선이동시키는 가압력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창문의 열림방향(X)에 대한 조작핸들부(22)의 조작각(θ)을 최대한 작게 하여 거의 창문의 열림방향(X)과 같은 방향으로 조작할 수 있고 또한 작은 조작력으로도 직선이동체(30)를 연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잠금장치의 록킹해제시 손잡이(20)의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회동축(21)에 형성된 제1 및 제2 단턱(21c,21d)에 의해서는, 도 6의 (a)에서와 같이 손잡이(20)가 조작 전 대기위치에 있을 때 제1 단턱(21c)이 하체(12)에 걸림 유지되고, 도 6의 (b)에서와 같이 손잡이(20)가 조작 후 잠금장치의 록킹해제위치에 있을 때 제2 단턱(21d)이 하체(12)에 걸림 유지됨에 따라 손잡이(20)가 대기위치와 록킹해제위치 사이에서 과도하게 회전하지 않도록 회전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이어서, 도 9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이동체(30)가 직선이동하면, 탄성부재(60)가 압축되면서 장방형의 연동구멍(30a)에 삽입된 연동부재(50)의 제3 돌기(53)를 연동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연동부재(50)는 스핀들(40)의 축선을 중심으로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연동부재(50)의 제1 및 제2 돌기(51,52)는 스핀들(40)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에 180도 간격으로 형성한 제1 및 제2 연동홈(41,42)과 연동가능하게 연결된 것이므로, 연동부재(50)의 회전력이 스핀들(40)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의 180도 위치에서 동일하게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양쪽에서 동일한 회전력을 스핀들(40)에 전달할 수 있고, 이로써 스핀들(40)의 기울어짐 현상 및 회전력의 분산 없이 축선을 중심으로 안정되게 회전시켜 잠금장치의 록킹해제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잠금장치의 록킹해제 후, 손잡이(20)의 조작력을 해제하면,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재(6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직선이동체(30)가 원위치하게 되므로, 이와 연동하는 손잡이(20)는 대기위치로 원위치하고, 연동부재(50) 및 스핀들(40)도 원위치하여 잠금장치의 록킹해제 기능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창문에 설치되는 잠금장치의 위치에 따라 록킹해제시키기 위한 스핀들(40)의 회전방향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변경된다.
이를 위해,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이동체(30)를 메인이동체(31)와 보조이동체(32)로 분리형성하여 분리결합 가능하게 구성하고, 보조이동체(32)에 장방형의 연동구멍(30a)을 형성하면, 도 9의 (a) 및 (b)에서와 같이 스핀들(4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조에서 보조이동체(32)만 바꾸어 조립하는 것에 의해 도 10의 (a) 및 (b)에서와 같이 스핀들(4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잠금장치의 록킹해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시공자는 창문에 설치되는 잠금장치의 위치에 따라 신속하고 편리하게 스핀들(40)의 록킹해제시의 회전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몸체 12 : 하체
12a : 상부지지홈 13 : 바닥체
13a : 하부지지홈 20 : 손잡이
21 : 회동축 21a : 상측 원주면
21b : 하측 원주면 21c,21d : 제1 및 제2 단턱
30 : 직선이동체 30a : 연동구멍
40 : 스핀들 41,42 : 제1 및 제2 연동홈
50 : 연동부재 51,52,53 : 제1 내지 제3 돌기
60 : 탄성부재

Claims (3)

  1. 몸체; 상기 몸체에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어 조작 전 대기위치와 조작 후 잠금장치의 록킹해제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며, 상기 몸체 외부에 위치한 조작핸들부와 몸체 내부에 위치한 연동가압부를 구비한 손잡이;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의 연동가압부와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직선운동하는 직선이동체; 상기 직선이동체와 몸체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상기 손잡이가 조작 전 대기위치에 있도록 상기 직선이동체에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 상기 몸체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스핀들; 및 상기 직선이동체와 스핀들 사이에 구비되어 직선이동체의 직선운동을 스핀들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연동부재를 포함하는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의 그립 핸들에 있어서,
    상기 직선이동체에는 장방형의 연동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스핀들에는 스핀들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에 제1 및 제2 연동홈을 180도 간격으로 형성하며,
    상기 연동부재는 스핀들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으로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고, 상기 스핀들의 제1 및 제2 연동홈에 연동가능하게 삽입된 제1 및 제2 돌기와, 상기 직선이동체의 연동구멍에 연동가능하게 삽입된 제3 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직선이동체의 직선운동을 스핀들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회전력이 스핀들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에 180도 간격으로 위치된 2지점에서 작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의 그립 핸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조작핸들부는 창문의 열림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연동가압부는 상기 조작핸들부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회동축은 상기 연동가압부의 중간지점에 구비되며, 상기 회동축의 회전중심에서 연동가압부의 끝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회동축의 회전중심에서 조작핸들부의 선단까지의 거리에 대하여 1/2~1/4이 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의 그립 핸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체, 하체 및 바닥체로 분리형성되고, 상기 하체에는 회동축의 상측 원주면 일부를 지지하는 상부지지홈을 형성하고, 상기 바닥체에는 회동축의 하측 원주면 일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홈을 형성하여 상기 하체와 바닥체를 결합하는 것에 의해 회동축을 상부지지홈과 하부지지홈으로 회전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상부지지홈과 이에 회전지지되는 회동축의 상측 원주면 일부의 직경을 상기 하부지지홈과 이에 회전지지되는 회동축의 하측 원주면 일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고, 상기 회동축의 상측 원주면 일부와 하측 원주면 일부 사이에는 상기 손잡이가 조작 전 대기위치에 있을 때 하체에 걸림유지되는 제1 단턱과, 손잡이가 조작 후 잠금장치의 록킹해제위치에 있을 때 하체에 걸림유지되는 제2 단턱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의 그립 핸들.
KR1020160040875A 2016-04-04 2016-04-04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의 그립 핸들 KR101767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875A KR101767967B1 (ko) 2016-04-04 2016-04-04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의 그립 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875A KR101767967B1 (ko) 2016-04-04 2016-04-04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의 그립 핸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7967B1 true KR101767967B1 (ko) 2017-08-14

Family

ID=60142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0875A KR101767967B1 (ko) 2016-04-04 2016-04-04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의 그립 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79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9708B1 (ko) 2018-05-23 2018-12-14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창호용 그립핸들
KR102026579B1 (ko) 2019-01-04 2019-09-27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틸트형 창호 그립핸들
KR102425087B1 (ko) * 2021-11-09 2022-07-27 주식회사 대돈엔지니어링 이지오픈 잠금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248B1 (ko) 2011-07-21 2013-05-27 구관영 냉장 및 냉동고 도어록 장치
KR101446682B1 (ko) 2013-07-31 2014-10-06 주식회사 이에스 슬라이딩 도어 손잡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248B1 (ko) 2011-07-21 2013-05-27 구관영 냉장 및 냉동고 도어록 장치
KR101446682B1 (ko) 2013-07-31 2014-10-06 주식회사 이에스 슬라이딩 도어 손잡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9708B1 (ko) 2018-05-23 2018-12-14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창호용 그립핸들
KR102026579B1 (ko) 2019-01-04 2019-09-27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틸트형 창호 그립핸들
KR102425087B1 (ko) * 2021-11-09 2022-07-27 주식회사 대돈엔지니어링 이지오픈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4685B1 (ko) 도어록 장치
KR101767967B1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의 그립 핸들
EP2985397B1 (en) Mortise lock
US10119219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2000186440A (ja) 引き出し回転操作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KR101012498B1 (ko) 레버의 방향전환이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 잠금장치용 손잡이
KR102452891B1 (ko) 창호용 잠금장치
WO2004076786A1 (en) Door lock device
US8628125B2 (en) Lock structure
KR100903246B1 (ko) 슬라이딩도어 잠금장치용 손잡이
KR101924465B1 (ko) 일체형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KR100293030B1 (ko) 배전반용 핸들
KR101666764B1 (ko) 푸시풀형 도어락
KR102165867B1 (ko) 미닫이 창호용 핸들조립체
CN110134196B (zh) 电子设备
KR101407437B1 (ko) 푸쉬-풀 타입 도어록
KR101889930B1 (ko) 푸시풀 도어락
KR101916098B1 (ko) 그립 방식의 손잡이
EP3498949B1 (en) Locking device for hinged door
KR102336019B1 (ko) 다방향 개폐 조작 기능을 갖는 도어 핸들 장치
KR101204371B1 (ko) 선루프 개폐용 핸들
KR101633752B1 (ko) 도어록
CN221002306U (zh) 门把手组件
KR20040009067A (ko) 도어락 장치의 백셋
KR102647823B1 (ko) 파손 방지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