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5361A - 잠금장치용 핸들 - Google Patents

잠금장치용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5361A
KR20110125361A KR1020100044846A KR20100044846A KR20110125361A KR 20110125361 A KR20110125361 A KR 20110125361A KR 1020100044846 A KR1020100044846 A KR 1020100044846A KR 20100044846 A KR20100044846 A KR 20100044846A KR 20110125361 A KR20110125361 A KR 20110125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housing
plate
handl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4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5836B1 (ko
Inventor
김용범
Original Assignee
(주)성림금속
김용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림금속, 김용범 filed Critical (주)성림금속
Priority to KR1020100044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5836B1/ko
Publication of KR20110125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002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locking the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07Knob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금장치용 핸들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용 핸들은 개폐축을 중심으로 잠금장치를 회전시킴으로써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잠금장치용 핸들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개폐축과 동축상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편이 형성되는 회전체; 상기 걸림편의 회동공간을 제한하는 잠금위치와, 상기 잠금위치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걸림편의 회동공간을 벗어나는 풀림위치의 사이를 왕복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잠금위치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방지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용 핸들.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작동을 방지하거나 이를 해제할 수 있는 잠금장치용 핸들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잠금장치용 핸들 {HANDLE FOR LOC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잠금장치용 핸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잠금장치를 회전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잠금장치용 핸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 또는 도어 잠금장치는 스트라이커와, 스트라이커에 걸려 잠금 역할을 하는 후크와, 후크를 부착하여 후크를 움직이는 핸들로 크게 나눌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핸들은 손잡이를 회전시켜 창문을 개폐하는 형식의 회전식 핸들과, 손잡이를 손으로 가압하여 끝단에 연결된 후크를 회전시킴으로써 창문을 개폐하는 구조의 그립형 핸들로 분류될 수 있다.
다만, 종래의 회전식 핸들 또는 그립형 핸들은 특수한 사정으로 인하여 손잡이가 회전하거나 가압됨으로써 의도하지 않게 창문 또는 도어가 개방되며 이로 인하여 보안기능을 수행하는데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임의 동작을 방지하는 잠금부에 의하여 안전성이 확보되는 잠금장치용 핸들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잠금부가 잠금위치 또는 풀림위치 사이를 탄성적으로 이동하므로 잠금부를 용이하게 위치이동 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잠금장치용 핸들에 잠금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개폐축을 중심으로 잠금장치를 회전시킴으로써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잠금장치용 핸들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개폐축과 동축상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편이 형성되는 회전체; 상기 걸림편의 회동공간을 제한하는 잠금위치와, 상기 잠금위치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걸림편의 회동공간을 벗어나는 풀림위치의 사이를 왕복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잠금위치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방지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용 핸들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벽면을 관통하는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잠금부는 일면은 상기 하우징의 외벽면과 접촉하고, 타면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판; 및 상기 노출판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벽면과 접촉하는 홀딩판; 상기 관통부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노출판과 홀딩판을 연결하는 중간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벽면과 접촉하는 홀딩판의 면에는 가이드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홀딩판과 접촉하는 하우징의 내벽면에는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가이드 홈이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복수의 가이드 홈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잠금부를 상기 풀림위치 또는 잠금위치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부는 가이드 돌기를 상기 하우징의 내벽면 측으로 탄성 가압함으로써 상기 가이드 홈의 내부에 탄성적으로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의 단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압부를 가압하면 상기 개폐축과 수직을 이루는 면상에서 직선이동하는 이동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이동판의 직선이동시에 상기 이동판과 접촉한 걸림편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부가 상기 풀림위치 또는 상기 잠금위치 중 어느 하나로 위치하여 상기 이동판과 접촉하여 이동을 억제함으로써, 상기 이동판과 접촉하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길이방향이 상기 개폐축과 수직을 이루고, 일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개폐축을 중심으로 하는 토크를 가함으로써, 타단부와 연결되는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레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부가 상기 풀림위치 또는 상기 잠금위치 중 어느 하나로 위치하면 단부가 상기 걸림편의 회전방향 쪽 단부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택적으로 작동을 방지하거나 작동 방지를 해제할 수 있는 잠금장치용 핸들이 제공된다.
또한, 잠금부가 잠금위치 또는 풀림위치 사이를 탄력적으로 이동하므로 용이한 위치 이동이 가능하고, 잠금부의 위치 고정시에 별도의 탄성부재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전체적으로 경량화될 수 있다.
회전식 핸들 또는 그립형 핸들 등 다양한 형태의 핸들에 잠금부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용 핸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잠금장치용 핸들을 다른 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잠금장치용 핸들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1의 잠금장치용 핸들이 풀림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4(b)는 도 1의 잠금장치용 핸들이 잠금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용 핸들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잠금장치용 핸들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a)는 도 5의 잠금장치용 핸들이 풀림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7(b)는 도 5의 잠금장치용 핸들이 잠금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용 핸들(1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용 핸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잠금장치용 핸들을 다른 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잠금장치용 핸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용 핸들(100)은 하우징(110)과 회전체(120)와 변환부(130)와 잠금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후술하는 부재들을 내부에 수용함으로써 본 실시예의 잠금장치용 핸들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외부에 완전히 개방되는 개구면과, 개구면의 단부로부터 수직 연장되는 베이스(113)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는 'L'자의 형태를 가진다.
또한, 하우징(110)은 개구면으로부터 평행하게 소정간격 이격되되 후술하는 제1패널(111)로부터 수직 연장되는 제2패널(112)과, 베이스(113)로부터 평행하게 소정간격 이격되되 제2패널(112)으로부터 수직 연장되는 제1패널(111)을 포함하며, 제1패널(111)과 제2패널(112)은 전체적으로 'L'자의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하우징(110)은 개구면과 베이스(113)가 형성하는 'L' 자형의 벽면으로부터, 제1패널(111)과 제2패널(112)이 형성하는 'L' 자형의 벽면이 소정간격 이격되므로, 내부에는 상술한 부재간의 이격에 의하여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한편, 제1패널(111)에는 후술하는 회전체(120)의 단부를 일부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회전홀이 형성되며, 제2패널(112)에는 후술하는 가압부(131)를 수용하여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한 수용부가 관통되게 형성된다.
개구면과 접하는 베이스(113)의 중앙부에는 후술하는 중간판(144)을 수용하여, 중간판(144)의 이동공간으로서 관통부(114)가 소정길이 형성된다. 베이스(113) 내측면에는 관통부(114)의 일측방에 세 개의 가이드홈(115)이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베이스(113)의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또한, 관통부(114)를 중심으로 베이스(113) 내측면의 대칭되는 위치에 세 개의 가이드홈(115)이 더 형성되므로, 관통부(114)를 중심으로 양측에 총 6개의 가이드홈(115)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체(120)는 소정 외경의 원통형상의 몸체부(121), 몸체부(121)의 단부로부터 개폐축(A)방향으로 연장되며 단면의 모서리가 몸체부(121)의 직경보다 작은 사각형인 스핀들(123)을 포함하며, 몸체부(121)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편(122)이 형성된다. 회전체(120)의 축을 개폐축(A)이라한다.
스핀들(123)과 체결되는 별도의 잠금장치(미도시)가 개폐축(A)을 중심으로 하는 몸체부(121)의 회전회동에 의하여 창문, 도어 등에 형성된 홈으로 수용되거나 수용 해제됨으로써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회전체(120)는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지만, 각각이 별도로 구비되어 체결될 수도 있다.
상기 변환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발생하는 병진운동을 회전체(120)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가압부(131)와 이동판(132)을 포함한다.
상기 가압부(131)는 제2패널(112)의 수용부에 수용되어 하우징(110)의 외부에 노출되며 사용자가 압력을 인가하기 위하여 접촉하게 되는 부재이다.
상기 이동판(132)은 소정두께의 판상으로서 가압부(131)의 단부로부터 수직 연장형성되며, 중앙부에는 몸체부(121)와 걸림편(122)을 수용하여 이동판(132)의 직선운동을 회전체(120)의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변환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이동판(132)의 하면은 중앙부의 제1단차면(133)과, 제1단차면(133)의 양측으로 제1단차면(133)보다 하방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2단차면(134)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가압부(131)와 이동판(132)을 포함하는 변환부(130)는 하우징(110)과 마찬가지로 'L' 자 형태를 가지므로, 가압부(131)는 상면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수용부에 수용되고, 이동판(132)은 변환공간의 내부에 회전체(120)를 수용하며 제1패널(111)의 내벽면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L' 자형태의 변환부(130)가 'L' 자형태의 하우징(110) 내부 공간에 수용된다.
상기 잠금부(140)는 이동판(132)의 하방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이동판(132)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노출판(141)과 홀딩판(142)과 중간판(144)과 멈춤돌기(145)를 포함한다.
상기 노출판(141)은 베이스(113)의 외벽면과 접촉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홀딩판(142)은 노출판(141)으로부터 평행하게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홀딩판(142)에는 중심으로부터 대칭되도록 양측에 한 쌍의 가이드돌기(143)가 베이스(113) 내벽면 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중간판(144)은 노출판(141)과 홀딩판(142)을 연결하는 부재로서 관통부(114)의 내부에 수용된다.
상기 멈춤돌기(145)는 홀딩판(142)으로부터 이동판(132) 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로서, 멈춤돌기(145)가 제1단차면(133)의 하방에 위치하면 이동판(132)의 직선이동을 허용하게 되고, 멈춤돌기(145) 중 일부가 제2단차면(134)의 하방에 위치하면 이동판(132)의 이동을 억제한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잠금장치용 핸들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도 1의 잠금장치용 핸들이 풀림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4(b)는 도 1의 잠금장치용 핸들이 잠금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노출판(141)과 홀딩판(142) 사이의 이격공간 내부에 베이스(113)의 벽면이 개재되고, 중간판(144)이 수용된 채로 이동판(132)은 소정간격 이동가능하다.
이때, 노출판(141)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멈춤돌기(145) 중 일부가 제2단차면(134)의 하방에 배치되는 경우에 잠금부(140)의 위치를 잠금위치로 정의한다. 또한, 노출판(141)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치지 않아 멈춤돌기(145) 전부가 제1단차면(133)의 하방에 배치되는 경우에 잠금부(140)의 위치를 풀림위치로 정의한다.
먼저, 도 4(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140)가 풀림위치에 위치하면 멈춤돌기(145)가 제1단차면(133)의 하방에만 배치되고, 멈춤돌기(145)과 제1단차면(133)의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간격이 마련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사용자가 가압부(131)에 압력을 인가하면, 가압부(131)와 연결된 이동판(132)은 멈춤돌기(145)를 수용하면서 하방으로 직선이동하며, 변환공간 내에 수용되는 걸림편(122)이 이동판(132)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체(120)가 회전회동한다. 따라서, 이를 이용하면, 스핀들(123)의 단부에 체결되는 잠금장치(미도시)가 회전회동되므로 창문 또는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다.
한편, 사용자가 잠금부(14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가이드돌기(143)는 수용된 가이드홈(115)에서 이탈하여 이웃하는 가이드홈(115) 측으로 이동하고, 홀딩판(142) 자체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가이드돌기(143)는 베이스(113) 측으로 탄성가압되므로 이탈한 가이드홈(115)과 이웃하는 가이드홈(115)의 내부로 가이드돌기(143)가 탄성적으로 수용된다.
상술한 조작에 의하여 도 4(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140)는 잠금위치에 위치하면, 멈춤돌기(145)의 일부가 제2단차면(134)의 하방에 배치되고, 제2단차면(134)과 멈춤돌기(145)의 사이에는 이동판(132)이 이동할 수 있을 정도의 이격간격이 제공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가압부(131)에 압력인가를 시도하더라도 이동판(132)은 직선이동하지 못하므로 이와 연동하여 회전체(120)의 회전회동 역시 억제된다, 따라서, 잠금부(140)가 잠금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의도하지 않게 가압부(131)를 조작하는 경우에도 스핀들(123)의 단부에 체결되는 잠금장치(미도시)가 회전하지 못하므로 창문 또는 도어를 개방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용 핸들(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용 핸들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잠금장치용 핸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용 핸들(200)은 하우징(210)과 레버부(220)와 회전체(230)와 잠금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10)은 속이 비는 사각 박스의 형태로 구성된다. 하우징(210)의 내벽면에는 관통부(211)가 형성되며, 관통부(211)는 내부에 수용되는 중간판(244)이 왕복 이동함으로써 잠금부(240)의 잠금위치와 풀림위치가 결정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하우징(210)의 내벽면에는 관통부(211)의 양측에는 가이드홈(212) 한 쌍이 각각 함몰 형성되며, 가이드홈(212) 각각은 가이드돌기(243)를 수용하여 잠금부(240)가 잠금위치 또는 풀림위치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하우징(210)에는 소정직경의 회전홀이 관통 형성되어 후술하는 레버부(220)의 일단부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레버부(220)는 절곡되어 소정 직경의 원통의 형상의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210)의 회전홀에 수용되고, 타단부는 긴 바의 형태로 마련되어 사용자가 회전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회전체(230)는 회전홀에 수용되는 원통 형상의 레버부(220) 단부의 외주면과 체결되며, 레버부(220)가 회전하면 회전하는 몸체부(231)와, 몸체부(231)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편(232)으로 구성된다.
상기 잠금부(240)는 돌출부의 회동방향 측 단부에 위치함으로써 회전체(230)의 회전을 강제로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 노출판(241)과 홀딩판(242)과 중간판(244)과 멈춤돌기(245)를 포함한다.
상기 노출판(241)은 일단면이 하우징(210)의 외벽면과 접촉하고, 타단면은 외부로 노출되되 사용자가 접촉하여 조작하는 경우에 접촉부위와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소정 굴곡의 패턴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홀딩판(242)은 노출판(241)으로부터 하우징(210)의 내부쪽으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배치되며, 단면이 하우징(210)의 내벽면과 접촉한다.
홀딩판(242)의 하우징(210) 내벽면과 접촉하는 면에는 가이드돌기(243)가 돌출형성되며, 가이드돌기(243)는 홀딩판(242)의 중심부에서 양측으로 한 쌍이 대칭되게 마련된다.
상기 중간판(244)은 노출판(241)과 홀딩판(242)을 연결하는 부재로서 관통부(211)의 내부에 수용된다.
상기 멈춤돌기(245)는 홀딩판(242)의 하면에서 회전체(230) 측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단부가 몸체부(231)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몸체부(231)의 곡률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잠금장치용 핸들의 제2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a)는 도 5의 잠금장치용 핸들이 풀림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7(b)는 도 5의 잠금장치용 핸들이 잠금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노출판(241)과 홀딩판(242) 사이의 이격공간 내부에 하우징(210)의 벽면이 개재되고, 관통부(211)에 중간판(244)이 수용된 채로 이동판은 소정간격 왕복 이동이 가능하다.
이때, 도 7(a)에서와 같이, 노출판(241)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멈춤돌기(245)가 몸체부(231)의 외주면에 밀착하여 걸림편(232)의 회전방향 쪽에 배치되는 경우에 잠금부(240)의 위치를 잠금위치로 정의한다. 또한, 노출판(241)이 좌측으로 이동하여 멈춤돌기(245)가 몸체부(231)의 외주면에서 이격되어 걸림편(232)의 회전회동 구간의 외부에 배치되는 경우에 잠금부(240)의 위치를 풀림위치로 정의한다.
가이드돌기(243)가 가장 좌측에 배치되는 가이드홈(212)에 탄성 수용될 때까지 노출판(241)을 이동시키켜 잠금부(240)를 풀림위치로 위치시키면 멈춤돌기(245)가 걸림편(232)의 회전회동 구간외에 배치된다. 따라서, 레버부(220)에 개폐축(A)을 중심으로 토크를 가하면 이와 연동되는 회전체(230)도 개폐축(A)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도 7(b)에서와 같이, 가이드돌기(243)가 최우측에 있는 가이드홈(212)에 탄성 수용되는 경우에 노출판(241)의 위치를 걸림위치로 정의한다.
따라서, 상술한바와 같이 잠금부(240)를 잠금위치로 위치시키면, 멈춤돌기(245)는 걸림편(232)의 회전방향 쪽 전방 회전체(230) 외주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레버부(220)에 개폐축(A)을 중심으로 토크를 가하더라도 멈춤돌기(245)에 의하여 걸림편(232)의 회전이 억제되므로 회전체(230)의 회전도 방지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용 핸들 140 : 잠금부
110 : 하우징 141 : 노출판
114 : 관통부 142 : 홀딩판
115 : 가이드홈 143 : 가이드돌기
120 : 회전체 144 : 중간판
130 : 변환부 145 : 멈춤돌기

Claims (8)

  1. 개폐축을 중심으로 잠금장치를 회전시킴으로써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잠금장치용 핸들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개폐축과 동축상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편이 형성되는 회전체;
    상기 걸림편의 회동공간을 제한하는 잠금위치와, 상기 잠금위치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걸림편의 회동공간을 벗어나는 풀림위치의 사이를 왕복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잠금위치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방지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용 핸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벽면을 관통하는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잠금부는 일면은 상기 하우징의 외벽면과 접촉하고, 타면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판; 및 상기 노출판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벽면과 접촉하는 홀딩판; 상기 관통부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노출판과 홀딩판을 연결하는 중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용 핸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벽면과 접촉하는 홀딩판의 면에는 가이드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홀딩판과 접촉하는 하우징의 내벽면에는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가이드 홈이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복수의 가이드 홈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잠금부를 상기 풀림위치 또는 잠금위치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도록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용 핸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가이드 돌기를 상기 하우징의 내벽면 측으로 탄성 가압함으로써 상기 가이드 홈의 내부에 탄성적으로 수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용 핸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의 단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압부를 가압하면 상기 개폐축과 수직을 이루는 면상에서 직선이동하는 이동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이동판의 직선이동시에 상기 이동판과 접촉한 걸림편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용 핸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가 상기 풀림위치 또는 상기 잠금위치 중 어느 하나로 위치하여 상기 이동판과 접촉하여 이동을 억제함으로써, 상기 이동판과 접촉하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용 핸들.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길이방향이 상기 개폐축과 수직을 이루고, 일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개폐축을 중심으로 하는 토크를 가함으로써, 타단부와 연결되는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레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용 핸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가 상기 풀림위치 또는 상기 잠금위치 중 어느 하나로 위치하면 단부가 상기 걸림편의 회전방향 쪽 단부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용 핸들.
KR1020100044846A 2010-05-13 2010-05-13 잠금장치용 핸들 KR101195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846A KR101195836B1 (ko) 2010-05-13 2010-05-13 잠금장치용 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846A KR101195836B1 (ko) 2010-05-13 2010-05-13 잠금장치용 핸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361A true KR20110125361A (ko) 2011-11-21
KR101195836B1 KR101195836B1 (ko) 2012-10-30

Family

ID=45394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4846A KR101195836B1 (ko) 2010-05-13 2010-05-13 잠금장치용 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58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163B1 (ko) 2019-01-10 2020-02-11 주식회사 제이켐 그립형태를 갖는 무락형 핸들 조립체
KR102076141B1 (ko) 2019-01-10 2020-02-11 주식회사 제이켐 잠금과 풀림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무락형 핸들 조립체
KR102076160B1 (ko) 2019-01-10 2020-02-11 주식회사 제이켐 잠금과 풀림이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무락형 핸들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902B1 (ko) * 2007-04-13 2008-02-15 이병노 미닫이문의 잠금 해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5836B1 (ko) 2012-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9753B1 (ko) 당김형 도어록
KR101916103B1 (ko) 잠금장치를 포함한 창호용 그립 손잡이
JP5358027B2 (ja) 鍵穴隠れ式解錠装置用鍵
KR101191925B1 (ko) 푸쉬타입의 레버형 도어록
EP2985397B1 (en) Mortise lock
KR101195836B1 (ko) 잠금장치용 핸들
KR101370517B1 (ko)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
KR200411519Y1 (ko) 폴딩도어의 이동안내부재 고정구조
CA2609647A1 (en) Door lock assembly having a cam associated with a handle to transmit movements to a latch operating spindle
KR101862511B1 (ko) 잠금 기능을 갖춘 창호용 레버
KR101943733B1 (ko)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JP6367141B2 (ja) 扉施錠装置
JP2008208588A (ja) アウトサイドドアハンドル
JP5281061B2 (ja) キャスター及びキャスターユニット
KR101941589B1 (ko) 레버 타입 dls 창호용 손잡이
JP4530332B2 (ja) ドア用ハンドル及びその取付構造
KR101407437B1 (ko) 푸쉬-풀 타입 도어록
KR101916098B1 (ko) 그립 방식의 손잡이
KR102290788B1 (ko) 누름 방식으로 개방하는 창호용 잠금장치
GB2534682A (en) Lock assembly and spindle therefor
KR20160048253A (ko) 도어락 장치용 내부 핸들
JPH08282277A (ja) スナッチロック装置
KR102498722B1 (ko) 비밀번호 설정이 용이한 다이얼 자물쇠
KR102385348B1 (ko) 자동 해정이 가능한 도어용 도어래치
KR101525830B1 (ko) 펫 드라이 룸용 안전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