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5348B1 - 자동 해정이 가능한 도어용 도어래치 - Google Patents

자동 해정이 가능한 도어용 도어래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5348B1
KR102385348B1 KR1020200148161A KR20200148161A KR102385348B1 KR 102385348 B1 KR102385348 B1 KR 102385348B1 KR 1020200148161 A KR1020200148161 A KR 1020200148161A KR 20200148161 A KR20200148161 A KR 20200148161A KR 102385348 B1 KR102385348 B1 KR 102385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atch bolt
latch
support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8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창목
Original Assignee
백창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창목 filed Critical 백창목
Priority to KR1020200148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3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07Securing, deadlocking or "dogg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1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means carried by the bolt for interlocking with the keeper
    • E05B63/127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means carried by the bolt for interlocking with the keeper the bolt having an additional rotating bolt or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05B2047/0013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more than one motor for the same function, e.g. for redundancy or increased pow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Abstract

본 발명은 내·외측 손잡이(1)와 연동되는 회전축(2)의 회전을 통해 도어(D)의 개폐가 가능하게 형성되는 도어용 도어래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D) 상에 삽설되는 본체(10)의 전방에 설치되어 문틈의 요홈(3)과의 삽설과 이탈이 가능하게 힌지축(21)으로부터 회전되어 도어(D)를 개방하는 래치볼트(20); 상기 본체(10) 상에 래치볼트(20)가 도어(D)의 내·외측 설치에 맞게 장착 가능하도록 방향을 조절하게 회전 가능하도록 래치볼트(20)의 힌지축(21)에 장착되는 장착부(31)를 구비하는 회전수단(30); 상기 본체(10) 상에 내·외측 손잡이(1)와 연동되는 회전축(2)과 연동되어 래치볼트(20)가 힌지축(21)으로부터 회전 가능하면서 도어(D)의 개방이 가능하게 래치볼트(20)가 본체(10)의 내부로 수용과 배출의 이동을 제어하게 회전축(2)과 연동되어 함께 회전하는 회전체(41)와, 회전체(41)의 회전을 통해 가압됨으로 이동이 가능하면서 스프링(43)에 의해 지지되는 절곡프레임(44)과, 절곡프레임(44)의 끝단에 장착되어 지지대(33)를 지지하면서 래치볼트(20)에 삽설되어 지지하는 지지프레임(45)을 구비하는 조절수단(40); 및 상기 본체(10) 상에 조절수단(40)에 의해 함께 이동하면서 래치볼트(20)의 회전 시 잠금핀(3)을 가압하여 항상 잠금 상태를 해지하게 조절수단(40)에 의해 함께 이동하는 절곡프레임(44) 상에 형성되는 가압부(51)와, 잠금핀(3) 상에 가압부(51)의 이동으로 맞닿아 가압하여 잠금핀(3)이 해정되는 해정부(52)를 구비하는 해정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내·외측 손잡이의 회전을 통해 래치볼트가 회전됨에 따라 사용자가 내·외측 손잡이를 회전반경을 적게 하여도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고, 래치볼트와 문틈의 용홈과의 충돌을 방지하여 도어래치의 파손 및 작동 불량을 줄여주며, 래치볼트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도어 내부에서 원활한 잠금을 실행하면서도 외부로 이동할 때, 도어를 개방하면 자동으로 잠금이 풀려 외부에서 손쉽게 도어를 개방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 해정이 가능한 도어용 도어래치{Door latch for door with automatic unlocking}
본 발명은 자동 해정이 가능한 도어용 도어래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외측 손잡이의 회전을 통해 래치볼트가 회전됨에 따라 사용자가 내·외측 손잡이를 회전반경을 적게 하여도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고, 래치볼트와 문틈의 용홈과의 충돌을 방지하여 도어래치의 파손 및 작동 불량을 줄여주며, 래치볼트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도어 내부에서 원활한 잠금을 실행하면서도 외부로 이동할 때, 도어를 개방하면 자동으로 잠금이 풀려 외부에서 손쉽게 도어를 개방 가능하도록 하는 개폐가 용이한 도어용 도어래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내·외측 손잡이를 통해 회전되는 랫치의 랫치볼트의 이동을 통해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한다. 하지만 이러한 내·외측 손잡이를 회전시킬 때, 사용자는 회전 각도를 40∼45°가량을 회전시켜야만 문틈 상에 요홈으로부터 이탈되면서 랫치볼트가 랫치 상에 완전히 수용되어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사용자가 내·외측 손잡이를 통해 회전시킨다고 하여도 40∼45°가량의 완전히 회전되지 않은 상태 즉, 랫치볼트가 문틈 상에 요홈으로부터 걸려있는 상황에서도 도어를 밀거나 당겨 압력이 발생하게 되면 충격이 발생하여 파손의 위험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도어 내측에서 잠금핀을 눌러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면 외부에서 당연히 도어를 개방하지 못하도록 하지만 내부에 잠금핀을 누른 상태로 외부로 나가버리게 되면 외부에서 도어를 개방하지 못하고 억지로 레버를 돌리다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가 허다하였다.
일예로, 한국 등록 특허 제1034015호에 따르면, '도어의 안팎에 설치되는 노브(10)에 체결되며 케이스 내부에 안쪽캠과 바깥쪽캠이 설치되어 각 캠의 회전에 의해 랫치 볼트가 작동되고, 상기 캠의 스핀들 삽입구에 체결되며 노브의 인가된 힘을 전달하는 스핀들로 구성된 도어랫치와 문틀에 설치되어 도어랫치의 랫치 볼트가 삽입 또는 이탈되는 커버로 구성된 도어랫치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100)은 일단에 머리가 형성된 원기둥 형태의 축(120)과; 상기 안쪽캠과 바깥쪽캠에 형성된 스핀들 삽입구(113)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은 노브에 체결되며, 상기 축(120)이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된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안쪽캠과 바깥쪽캠의 스핀들 삽입구(113)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삽입방지 리브(131)가 형성된 내편(130) 및 삽입방지리브(141)가 형성된 외편(140)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 랫치를 구성하는 랫치 볼트(111)는 랫치 볼트가 삽입 및 돌출되는 평면(111a)이 문틀 커버(160)면에 대하여 직각에서 내측으로 일정한 각도(θ)만큼 테이퍼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랫치 어셈블리.'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도어랫치 어셈블리는 캠의 회전이 완전하게 작동되지 않을 경우 랫치 볼트에 의해 문틈의 요홈과 충돌이 발생하여 파손의 위험이 발생하고, 내부에서 문을 잠근 상태로 외부로 이동한다면 외부에서 열쇠가 없을 경우 도어를 개방하지 못한다.
또 다른예로,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0293455호에 따르면, '본체케이스(10)에 코일스프링(22)(23)(24)으로 탄설되는 랫치볼트(20)와, 랫치볼트(20)의 일측단부에 결합되며 양측에 캠걸림부(42)를 형성한 가동플레이트(40)와, 문손잡이의 스핀들이 끼워지는 스핀들결합공(50a)(60a)을 형성하여 가동플레이트(40)를 작동시키는 한쌍의 캠(50)(60)과, 본체케이스(10) 내부의 안내블럭(14)에 설치되어 캠의 회전을 제어하는 록킹바(30)로 구성된 통상의 도어랫치에 있어서, 본체케이스(10)의 전, 후면에 각각 통공부(12)를 형성하여 록킹바(30)의 전, 후 양단부가 돌출되게하고, 록킹바(30)의 일측면에는 대향면의 모서리부분이 테이퍼가공된 제1해제돌부(32)와 제2해제돌부(34)를 서로 마주보게 형성하되, 제1해제돌부(32)의 내측면에는 제1걸림편(32a)을 형성하고 제2해제돌부(34)의 외측면에는 제2걸림편(34a)을 형성하며, 서로 맞붙게 설치되는 제1캠(50)과 제2캠(60)의 외주면에는 각각 돌편(52)(62)을 형성하되, 제1캠(50)의 돌편(52) 중앙에는 걸림홈(524)를 형성하여 그 일측면의 상하 모서리가 테이퍼가공된 안착부(522)을 형성하고, 제2캠(60)의 돌편(62) 일측에는 캠의 외주를 따라서 호형의 걸림편안내홈(626)을 형성하여 그 중앙에 돌편(62)을 관통하는 통공(628)을 형성하고, 통공(628)의 외측으로 테이퍼 가공된 걸림홈(624)를 형성하여 록킹바(30)에 의해 제1캠(50)과 제2캠(60)이 선택적으로 고정되게 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랫치의 양방향 잠금장치'를 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도어랫치의 양방향 잠금장치는 제2캠의 회전에 따라 랫치볼트의 수용이 가능하지만 사용자의 회전이 부족할 경우 랫치볼트와 문틈의 충격을 통해 파손이 발생하고, 내부에서 문을 잠근 상태로 외부로 이동한다면 외부에서 열쇠가 없을 경우 도어를 개방하지 못한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34015호 "도어랫치 어셈블리"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0293455호 "도어랫치의 양방향 잠금장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외측 손잡이의 회전을 통해 래치볼트가 회전됨에 따라 사용자가 내·외측 손잡이를 회전반경을 적게 하여도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고, 래치볼트와 문틈의 용홈과의 충돌을 방지하여 도어래치의 파손 및 작동 불량을 줄여주며, 래치볼트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도어 내부에서 원활한 잠금을 실행하면서도 외부로 이동할 때, 도어를 개방하면 자동으로 잠금이 풀려 외부에서 손쉽게 도어를 개방 가능하도록 하는 개폐가 용이한 도어용 도어래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외측 손잡이와 연동되는 회전축의 회전을 통해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게 형성되는 도어용 도어래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 상에 삽설되는 본체의 전방에 설치되어 문틈의 요홈과의 삽설과 이탈이 가능하게 힌지축으로부터 회전되어 도어를 개방하는 래치볼트; 상기 본체 상에 래치볼트가 도어의 내·외측 설치에 맞게 장착 가능하도록 방향을 조절하게 회전 가능하도록 래치볼트의 힌지축에 장착되는 장착부를 구비하는 회전수단; 상기 본체 상에 내·외측 손잡이와 연동되는 회전축과 연동되어 래치볼트가 힌지축으로부터 회전 가능하면서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게 래치볼트가 본체의 내부로 수용과 배출의 이동을 제어하게 회전축과 연동되어 함께 회전하는 회전체와, 회전체의 회전을 통해 가압됨으로 이동이 가능하면서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절곡프레임과, 절곡프레임의 끝단에 장착되어 지지대를 지지하면서 래치볼트에 삽설되어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구비하는 조절수단; 및 상기 본체 상에 조절수단에 의해 함께 이동하면서 래치볼트의 회전 시 잠금핀을 가압하여 항상 잠금 상태를 해지하게 조절수단에 의해 함께 이동하는 절곡프레임 상에 형성되는 가압부와, 잠금핀 상에 가압부의 이동으로 맞닿아 가압하여 잠금핀이 해정되는 해정부를 구비하는 해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회전수단은 본체 상에 래치볼트가 내·외측 설치에 맞게 장착 가능하도록 방향을 조절하게 회전 가능하도록 래치볼트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장착부를 가지면서 래치볼트가 수용되어 회전하게 라운드 형태의 수용홈을 갖는 지지대와, 본체 상에 래치볼트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지지대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외측 손잡이의 회전을 통해 래치볼트가 회전됨에 따라 사용자가 내·외측 손잡이를 회전반경을 적게 하여도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고, 래치볼트와 문틈의 용홈과의 충돌을 방지하여 도어래치의 파손 및 작동 불량을 줄여주며, 래치볼트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도어 내부에서 원활한 잠금을 실행하면서도 외부로 이동할 때, 도어를 개방하면 자동으로 잠금이 풀려 외부에서 손쉽게 도어를 개방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해정이 가능한 도어용 도어래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와 2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해정이 가능한 도어용 도어래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a와 3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해정이 가능한 도어용 도어래치의 래치볼트에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a와 4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해정이 가능한 도어용 도어래치의 래치볼트에 사용 방향에 따라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해정이 가능한 도어용 도어래치의 해정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내·외측 손잡이(1)와 연동되는 회전축(2)의 회전을 통해 도어(D)의 개폐가 가능하게 형성되는 도어용 도어래치에 관련되며 래치볼트(20), 회전수단(30), 조절수단(40), 해정수단(50)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래치볼트(20)는 상기 도어(D) 상에 삽설되는 본체(10)의 전방에 문틈의 요홈(3)과의 삽설과 이탈이 가능하게 힌지축(21)으로부터 회전되어 도어(D)를 개방한다. 이러한, 래치볼트(20)는 도어(D)에 삽설된 본체(10)의 전방에 돌출 형성되어 문틈에 형성된 요홈(3)으로 삽설됨에 따라 도어(D)를 닫고, 요홈(3)으로부터 이탈됨에 따라 도어(D)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래치볼트(20)는 내·외측 손잡이(1)와 연동되는 힌지축(21)의 회전을 통해 래치볼트(20) 전체가 본체(10)의 내부로 이동하여 수용되어야만 도어(D)의 개방이 가능하지만 본 발명의 래치볼트(20)는 완전히 본체(10)의 내부로 이동되지 않아도 문틈에 형성된 요홈(3)으로 이탈될 수 있도록 회전하게 된다. 이는, 사용자가 내·외측 손잡이(1)를 40∼45°가량 회전을 시켜야지만 래치볼트(20)가 완전히 본체(10)의 내부로 수용되어 도어(D)를 개방할 수 있었던 점을 10∼20°의 회전으로도 도어(D)를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회전수단(30)은 상기 본체(10) 상에 래치볼트(20)가 내·외측 설치에 맞게 장착 가능하도록 방향을 조절하게 회전한다. 회전수단(30)은 래치볼트(20)가 도어(D)를 중심으로 내측 개방될지 외측으로 개방될지에 따라 도어(D)가 개방되는 반대방향으로 힌지축(2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야 함으로 이에 따라 래치볼트(20)는 그에 맞게 회전되어야 한다. 그럼으로 이를 설정하여야 하는데 회전수단(30)을 통해 래치볼트(20)를 회전시켜 그 방향을 맞춰주도록 한다.
이때, 상기 회전수단(30)은 본체(10) 상에 래치볼트(20)가 내·외측 설치에 맞게 장착 가능하도록 방향을 조절하게 회전 가능하도록 래치볼트(20)의 힌지축(21)에 장착되는 장착부(31)를 가지면서 래치볼트(20)가 수용되어 회전하게 라운드 형태의 수용홈(32)을 갖는 지지대(33)와, 본체(10) 상에 래치볼트(20)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지지대(33)를 제한하는 스토퍼(3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래치볼트(20)는 본체(10) 상에 수용된 상태로 힌지축(21)에 장착부(31)를 통해 지지대(33)가 장착되고, 지지대(33)는 래치볼트(20)가 수용되어 회전이 원활하도록 지지하는 라운드 형태의 수용홈(32)을 가진다. 이러한 지지대(33)를 통해 안착된 래치볼트(20)는 라운드 형태의 수용홈(32)을 따라 회전이 원활하도록 하고, 안착된 래치볼트(20)가 본체(10)의 외부로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체(10)의 내부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34)를 형성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조절수단(40)은 상기 본체(10) 상에 내·외측 손잡이(1)와 연동되는 회전축(2)과 연동되어 래치볼트(20)가 힌지축(21)으로부터 회전 가능하면서 도어(D)의 개방이 가능하게 래치볼트(20)가 본체(10)의 내부로 이동을 제어한다. 조절수단(40)은 사용자가 내·외측 손잡이(1)를 회전시켜 도어(D)를 개방할 때, 내·외측 손잡이(1)와 연동되는 회전축(2)이 회전하면서 래치볼트(20)가 본체(10)의 내부로 이동하면서 래치볼트(20)가 힌지축(21)으로부터 회전하여 사용자가 내·외측 손잡이(1)를 10∼20°의 회전하여 손쉽게 도어(D)를 개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조절수단(40)은 래치볼트(20)의 수용과 배출의 이동을 제어하게 회전축(2)과 연동되어 함께 회전하는 회전체(41)와, 회전체(41)의 회전을 통해 가압됨으로 이동이 가능하면서 스프링(43)에 의해 지지되는 절곡프레임(44)과, 절곡프레임(44)의 끝단에 장착되어 지지대(33)를 지지하면서 래치볼트(20)에 삽설되어 지지하는 지지프레임(4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절수단(4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조절수단(40)은 사용자가 내·외측 손잡이(1)를 회전시켜 함께 회전축(2)도 회전하여 래치볼트(20)가 본체(10)의 내부로 이동과 함께 래치볼트(20)가 힌지축(21)으로부터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조절수단(40)은 회전축(2)과 연동되어 함께 회전하는 회전체(41)가 회점함에 따라 절곡프레임(44)을 가압하여 후방으로 밀어내고, 절곡프레임(44) 상에 장착되면서 래치볼트(20)에 삽설되어 지지하는 지지프레임(45)이 래치볼트(20)로부터 이탈됨으로 래치볼트(20)가 회전축(21)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도어(D)의 개방이 끝나고 닫히게 되면 스프링(43)의 탄성력에 의해 절곡프레임(44)을 밀어 지지프레임(45)이 래치볼트(20)에 삽설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해정수단(50)은 상기 본체(10) 상에 조절수단(40)에 의해 함께 이동하면서 래치볼트(20)의 회전 시 잠금핀(3)을 가압하여 항상 잠금 상태를 해지하게 구비한다. 해정수단(50)은 본체(10) 상에 조절수단(40)에 의해 함께 이동하면서 래치볼트(20)의 회전 시 잠금핀(3)을 가압함에 따라 내부에 잠금핀(3)을 누른 상태로 외부로 나가버리면 도어(D)는 개방되지 않음으로 내부에 사용자가 외부로 나갈 때, 자동으로 잠금핀(3)을 눌러 항상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해정수단(50)은 조절수단(40)에 의해 함께 이동하는 절곡프레임(44) 상에 형성되는 가압부(51)와, 잠금핀(3) 상에 가압부(51)의 이동으로 맞닿아 가압하여 잠금핀(3)이 해정되는 해정부(5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해정수단(50)은 절곡프레임(44) 상에 형성되는 가압부(51)를 형성하여 절곡프레임(44)이 이동할 때, 가압부(51)가 잠금핀(3)에 형성되어 있는 해정부(52)를 밀어주어 잠금핀(3)이 해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내부에서 도어(D)를 잠금핀(3)을 통해 도어(D)의 개방을 제한한 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자가 도어(D)를 내·외측 손잡이(1)를 회전하게 되면 회전축(2)의 회전으로 절곡프레임(44)은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이동에 의해 가압부(51)가 해정부(52)를 가압하여 도어(D)의 잠금 상태는 해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내·외측 손잡이의 회전을 통해 래치볼트가 회전됨에 따라 사용자가 내·외측 손잡이를 회전반경을 적게 하여도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고, 래치볼트와 문틈의 용홈과의 충돌을 방지하여 도어래치의 파손 및 작동 불량을 줄여주며, 래치볼트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도어 내부에서 원활한 잠금을 실행하면서도 외부로 이동할 때, 도어를 개방하면 자동으로 잠금이 풀려 외부에서 손쉽게 도어를 개방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내·외측 손잡이 2: 회전축
3: 요홈 10: 본체
20: 래치볼트 21: 회전축
30: 회전수단 31: 장착부
32: 수용홈 33: 지지대
34: 스토퍼 40: 조절수단
41: 회전체 43: 스프링
44: 절곡프레임 45: 지지프레임
50: 해정수단 51: 가압부
52: 해정부 D: 도어

Claims (4)

  1. 내·외측 손잡이(1)와 연동되는 회전축(2)의 회전을 통해 도어(D)의 개폐가 가능하게 형성되는 도어용 도어래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D) 상에 삽설되는 본체(10)의 전방에 설치되어 문틈의 요홈(3)과의 삽설과 이탈이 가능하게 힌지축(21)으로부터 회전되어 도어(D)를 개방하는 래치볼트(20);
    상기 본체(10) 상에 래치볼트(20)가 도어(D)의 내·외측 설치에 맞게 장착 가능하도록 방향을 조절하게 회전 가능하도록 래치볼트(20)의 힌지축(21)에 장착되는 장착부(31)를 구비하는 회전수단(30);
    상기 본체(10) 상에 내·외측 손잡이(1)와 연동되는 회전축(2)과 연동되어 래치볼트(20)가 힌지축(21)으로부터 회전 가능하면서 도어(D)의 개방이 가능하게 래치볼트(20)가 본체(10)의 내부로 수용과 배출의 이동을 제어하게 회전축(2)과 연동되어 함께 회전하는 회전체(41)와, 회전체(41)의 회전을 통해 가압됨으로 이동이 가능하면서 스프링(43)에 의해 지지되는 절곡프레임(44)과, 절곡프레임(44)의 끝단에 장착되어 지지대(33)를 지지하면서 래치볼트(20)에 삽설되어 지지하는 지지프레임(45)을 구비하는 조절수단(40); 및
    상기 본체(10) 상에 조절수단(40)에 의해 함께 이동하면서 래치볼트(20)의 회전 시 잠금핀(3)을 가압하여 항상 잠금 상태를 해지하게 조절수단(40)에 의해 함께 이동하는 절곡프레임(44) 상에 형성되는 가압부(51)와, 잠금핀(3) 상에 가압부(51)의 이동으로 맞닿아 가압하여 잠금핀(3)이 해정되는 해정부(52)를 구비하는 해정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해정이 가능한 도어용 도어래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30)은 본체(10) 상에 래치볼트(20)가 내·외측 설치에 맞게 장착 가능하도록 방향을 조절하게 회전 가능하도록 래치볼트(20)의 힌지축(21)에 장착되는 장착부(31)를 가지면서 래치볼트(20)가 수용되어 회전하게 라운드 형태의 수용홈(32)을 갖는 지지대(33)와, 본체(10) 상에 래치볼트(20)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지지대(33)를 제한하는 스토퍼(3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해정이 가능한 도어용 도어래치.
  3. 삭제
  4. 삭제
KR1020200148161A 2020-11-07 2020-11-07 자동 해정이 가능한 도어용 도어래치 KR102385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161A KR102385348B1 (ko) 2020-11-07 2020-11-07 자동 해정이 가능한 도어용 도어래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161A KR102385348B1 (ko) 2020-11-07 2020-11-07 자동 해정이 가능한 도어용 도어래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5348B1 true KR102385348B1 (ko) 2022-04-08

Family

ID=81182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161A KR102385348B1 (ko) 2020-11-07 2020-11-07 자동 해정이 가능한 도어용 도어래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34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3455B1 (ko) 1998-08-31 2001-07-12 김영환 반도체메모리소자의전압공급장치
KR20060134417A (ko) * 2005-06-22 2006-12-28 유재준 도어 록 장치
KR101034015B1 (ko) 2008-10-29 2011-05-11 이준규 도어랫치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3455B1 (ko) 1998-08-31 2001-07-12 김영환 반도체메모리소자의전압공급장치
KR20060134417A (ko) * 2005-06-22 2006-12-28 유재준 도어 록 장치
KR101034015B1 (ko) 2008-10-29 2011-05-11 이준규 도어랫치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6277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자동잠금장치
KR20050036950A (ko) 도어 록킹 메카니즘
KR20200123755A (ko) 록킹수단을 갖는 푸쉬풀 도어록
JP2002364213A (ja) 2箇錠型ドアロックハンドル装置
KR102385348B1 (ko) 자동 해정이 가능한 도어용 도어래치
KR200416926Y1 (ko) 사물함용 핸들 일체형 록킹장치
KR200456588Y1 (ko) 창호용 자동 잠금장치
KR20100011513A (ko) 도어 자동잠금장치
US4048822A (en) Locks for doors and the like
KR102462356B1 (ko) 미닫이문용 오목형 잠금장치
KR102375245B1 (ko) 개폐가 용이한 도어용 도어래치
JPH08282277A (ja) スナッチロック装置
KR200479071Y1 (ko) 미닫이 도어용 잠금장치
KR20110125361A (ko) 잠금장치용 핸들
KR20180004547A (ko) 창호의 자동 록킹장치
JP4235444B2 (ja) クレセント
KR102016984B1 (ko) 직접 잠금 장치(dls)용 그립 손잡이
KR200293455Y1 (ko) 도어랫치의 양방향 잠금장치
JP2524824Y2 (ja) 開き窓のあおり止め装置
KR102356619B1 (ko) 안티패닉 기능을 갖는 푸쉬풀 도어록
KR102618779B1 (ko) 도어용 비상 개방장치
KR102290788B1 (ko) 누름 방식으로 개방하는 창호용 잠금장치
JPH0245406Y2 (ko)
JPH0516375Y2 (ko)
KR200446702Y1 (ko) 문잠금장치의 손잡이 고정용 리테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