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0848B1 -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 이중 기능을 갖는 좌우수문 겸용 상자형 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도어락 - Google Patents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 이중 기능을 갖는 좌우수문 겸용 상자형 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도어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0848B1
KR101840848B1 KR1020160052186A KR20160052186A KR101840848B1 KR 101840848 B1 KR101840848 B1 KR 101840848B1 KR 1020160052186 A KR1020160052186 A KR 1020160052186A KR 20160052186 A KR20160052186 A KR 20160052186A KR 101840848 B1 KR101840848 B1 KR 101840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holder
door
arm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3043A (ko
Inventor
강재석
Original Assignee
강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재석 filed Critical 강재석
Priority to KR1020160052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0848B1/ko
Publication of KR20170123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12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for lock parts held in place before or during mounting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2Casings of latch-bolt or deadbolt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금장치와 이를 구비한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별도의 모터나 제어회로 없이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며 별도의 분해나 조립 과정 없이 좌수 문 또는 우수 문에 모두 설치할 수 있는 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는 레버의 키 커플러가 삽입되어 레버의 회전에 따라 움직이는 키 커플러에 의해 회전력을 받는 캠 조립체와, 상기 캠 조립체의 회전력을 병진 운동으로 전환하는 슬라이더 조립체와, 상기 슬라이더 조립체의 병진 운동에 의해 회전하는 암 조립체와, 홀더에 래치볼트/데드볼트가 체결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암 조립체의 회전 방향에 따라 홀더가 이동하면서 래치볼트/데드볼트가 외부로 돌출되거나 내부로 들어가도록 하는 홀더 조립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 이중 기능을 갖는 좌우수문 겸용 상자형 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도어락{Mortise lock device for left-hand door and right-hand door which has dual function of latch bolt and dead bolt, and door lock having it}
본 발명은 잠금장치와 이를 구비한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별도의 모터나 제어회로 없이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며 별도의 분해나 조립 과정 없이 좌수 문 또는 우수 문에 모두 설치할 수 있는 상자형 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현관문에 주로 사용되는 상자형 잠금장치는 래치볼트 유형, 데드볼트 유형, 혼합형으로 구성된다. 혼합형은 래치볼트와 데드볼트가 함께 장착된 형태이다. 래치볼트 유형은 단순 도어 개폐만 할 수 있는 것으로 잠금 기능이 없으며, 데드볼트 유형은 잠금 기능만 갖는 것으로 도어 개폐를 위해서 별도의 래치볼트가 필요하다.
일반적인 디지털 도어락은 혼합형 상자형 잠금장치를 사용하며, 잠금장치 내부에 데드볼트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와 그에 따른 전자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식 잠금장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전력소비량 및 제품 단가를 증가시키고, 결로 현상 등의 내구성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디지털 도어락의 상자형 잠금장치는 좌수문용, 우수문용 또는 좌우수문 겸용으로 구성되는데, 좌우수문 겸용은 상대적으로 가격이 높은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1790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소비량 및 제품 단가를 낮추며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혼합형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순한 구조로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좌우수문 겸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는 레버의 키 커플러가 삽입되어 레버의 회전에 따라 움직이는 키 커플러에 의해 회전력을 받는 캠 조립체와, 상기 캠 조립체의 회전력을 병진 운동으로 전환하는 슬라이더 조립체와, 상기 슬라이더 조립체의 병진 운동에 의해 회전하는 암 조립체와, 홀더에 래치볼트/데드볼트가 체결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암 조립체의 회전 방향에 따라 홀더가 이동하면서 래치볼트/데드볼트가 외부로 돌출되거나 내부로 들어가도록 하는 홀더 조립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은 내측 레버를 구비하는 내기와, 외측 레버를 구비하는 외기와, 상기 내측 레버 및 외측 레버에 설치된 키 커플러가 삽입되는 캠 조립체를 구비한 잠금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내측 레버 및 외측 레버를 상기 잠금장치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 중립 상태로 하고, 우수 문 또는 좌수 문에 따라 상기 내측 레버 및 외측 레버를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잠금장치에 대하여 수평으로 하여 우수 문 또는 좌수 문에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는 별도의 모터나 제어회로 없이 기계식 메커니즘을 통해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서 도어락의 전력소비량 및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는 좌수 문 또는 우수 문에 따라 레버의 회전방향을 달리하는 것으로 도어락을 설치할 수 있어서 잠금장치의 분해나 조립이 필요 없이 간단히 도어락을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중립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을 좌수 문 또는 우수 문에 따라 레버의 회전 방향을 달리하여 설치한 도면.
도 6은 레버를 45도 회전했을 때 잠금장치의 캠 조립체의 내부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레버를 90도 회전했을 때 잠금장치의 캠 조립체의 내부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에서 래치볼트/데드볼트를 체결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홀더의 사시도.
도 10은 데드볼트 기능으로 작동하는 잠금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더 조립체의 사시도.
도 12는 캠 조립체가 4도 회전한 상태에서 잠금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캠 조립체가 18도 회전한 상태에서 잠금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도어 오픈 후 레버를 놓았을 때 잠금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타임락 스프링이 홀더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서, 상자형 잠금장치(300)는 도어(10)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도어락 내기(100) 및 외기(200)는 상자형 잠금장치(300)에 체결되는데, 내기(100)의 체결볼트(120)(일부 도시)와 외기(200)의 체결너트(220)가 상자형 잠금장치(300)의 체결 홀(305)에 삽입 및 체결되어 도어(10)에 장착된다. 내기(100) 및 외기(200)의 키 커플러(130, 230)는 도 2의 (a)와 같이, 상자형 잠금장치(300)의 캠 조립체(350)에 체결된다. 상자형 잠금장치(300)가 우수 문 또는 좌수 문에 설치되느냐에 따라 키 커플러(130, 230)의 위치는 바뀔 수 있다.
캠 조립체(350)는 도 2의 (b)와 같이, 캠(351), 캠 샤프트(354), 캠 롤러(352, 353)로 구성되며, 키 커플러(130, 230)는 캠 샤프트(354)의 양측 내부 홈에 삽입된다.
도 3에서, 상자형 잠금장치(300)는 크게 브라켓(301), 커버(302), 몸체(303), 래치볼트/데드볼트(321) 및 홀더(320)로 이루어진 홀더 조립체(320), 암 조립체(330), 슬라이더 조립체(340), 캠 조립체(350)로 구성된다. 몸체(303)에는 검출기(390)가 구비되어 있다. 검출기(390)는 상자형 잠금장치(300)가 래치볼트 상태인지 데드볼트 상태인지를 검출한다. 검출기(390)의 스위치(391)에서 상자형 잠금장치(300)가 래치볼트 상태인지 데드볼트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신호가 생성되어 커넥터(392)를 통해 도어락의 프로세서(미도시)로 전달된다.
도 4의 (a)와 같이, 도어락을 도어에 설치할 때, 레버(101, 201)가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체결된다. 이러한 레버(101, 201)의 체결 상태가 중립상태이다. 중립 상태에서, 키 커플러(130, 230)는 도 4의 (b)와 같이, 캠 샤프트(354) 내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자형 잠금장치(300)에서는 도어가 좌수 문인지 우수 문인지에 따라 도 5와 같이, 레버(101, 201)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세팅한다. 도 5의 (a)는 우수 문을 설치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도 5의 (b)는 좌수 문을 설치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은 일반적인 도어락과 달리 좌수 문 또는 우수 문 설치를 위해 잠금장치에 대한 별도의 분해 및 조립과정이 필요하지 않다. 즉, 내기(100) 및 외기(200)를 잠금장치(300)에 체결한 후 도어(10)의 상태에 따라 직관적으로 레버(101, 201)를 90도 회전시키면 좌수 문 또는 우수 문 세팅이 완료된다.
우수 문 세팅을 위해 레버(101, 201)를 도 5의 (a)와 같이, 회전시키면 초기 45도 회전상태는 도 6과 같다. 도 6에서, 레버(101, 201)가 회전하면 키 커플러(130, 230)도 함께 회전하며, 레버(201) 및 키 커플러(230)가 45도 회전하면 키 커플러 제1 측면(230a)이 캠 샤프트 제1 내면(354a)에 걸리게 된다.
이후 레버(101, 201)를 계속해서 90도까지 회전시키면 도 7과 같이, 레버(101, 201)의 회전에 의해 키 커플러(130, 230)도 계속 회전하고, 키 커플러 제1 측면(230a)은 캠 샤프트 제1 내면(354a)을 밀면서 캠 샤프트(354)를 같이 회전시킨다.
레버(101, 201)가 90도까지 회전하여 우수 문 세팅이 완료되면, 캠 샤프트 제1 외면(354c)이 캠 제1 내면(351a)에 걸리게 된다. 그러면 키 커플러(130, 230), 캠 샤프트(354) 및 캠(351)은 밀착되어 이후 도어 개폐를 위해 레버(101, 201)의 우수 문 회전방향으로 레버(101, 201)를 회전시키면 키 커플러(130, 230), 캠 샤프트(354) 및 캠(351)은 한 몸체처럼 회전하게 된다.
좌수 문 설치의 경우, 레버(101, 201)는 우수 문 설치 시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도 6 및 도 7에서 키 커플러(130, 230)가 반대로 회전하는 경우와 같다.
좌수 문 또는 우수 문 세팅 후, 도어의 개폐 방향이 좌우수문 또는 역 좌우수문인지에 따라 도 8과 같이, 래치볼트/데드볼트(321)를 회전시켜 도어(10)에 맞춘다. 그리고 브라켓(301)을 도어(10) 및 상자형 잠금장치(300)에 체결하여 고정한다.
도 9는 홀더 조립체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홀더 조립체(320)는 래치볼트/데드볼트(321)와 홀더(323)가 핀 스프링(322)(도 13 참조)에 의해 체결되어 구성된다. 래치볼트/데드볼트(321)는 래치볼트 기능과 데드볼트 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는 볼트 부재로서, 이하에서는 이러한 볼트 부재가 두 가지 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래치볼트/데드볼트로 표현하기로 한다. 래치볼트/데드볼트(321)의 후면의 홀(미도시)에 홀더 돌기(323a)가 삽입되고, 핀 스프링(322)이 홀더 돌기 홈(323b)에 끼워져 래치볼트/데드볼트(321)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상자형 잠금장치(300)의 구동 메커니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도어락 구동 전 잠금장치(300)의 내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어락 구동 전은 도어락의 인증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서 상자형 잠금장치(300)는 데드볼트 상태이다. 이때, 암 조립체(330)는 암 스프링(333)의 복원력에 의해 암 걸림면(331b)이 홀더 제1 걸림턱(323c)에 밀착되면서 홀더(323)를 밀어내고 있다. 즉, 홀더 조립체(320)가 브라켓(301) 밖으로 돌출되도록 암 조립체(330)가 홀더(323)에 힘을 가하고 있다.
홀더 조립체(320)가 브라켓(301) 내부로 이동하도록 외부에서 힘을 가하는 경우, 홀더 제1 걸림턱(323c)이 암 걸림면(331b)에 힘을 전달하게 되지만, 이 힘에 의한 암 조립체(330)의 회전방향이 다시 홀더 제1 걸림턱(323c)을 밀어내는 방향이 된다. 따라서 홀더 조립체(320)가 브라켓(301) 내부로 움직이도록 외부에서 힘이 작용할 경우, 암 조립체(330)가 멈춤(stopper) 역할을 수행하여 도 10에서, 홀더 조립체(320)가 데드볼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슬라이더 조립체(340)는 슬라이더 스프링(347)에 의해 스프링 탄성력을 받는다. 슬라이더 조립체(340)는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슬라이더 스프링(347)의 탄성력은 슬라이더 제1 수용부(341a)와 슬라이더 제2 수용부(341b)에 작용한다. 슬라이더 제1 수용부(341a)는 캠 제1 롤러(352)에 힘을 전달하고, 슬라이더 제2 수용부(341b)는 캠 제2 롤러(353)에 힘을 전달하고 있는 상태이다.
도어락 인증 후, 도어 오픈을 위해 레버(101, 201)를 최초 4-5도 정도 회전시킬 때, 키 커플러(130, 230) 및 캠 조립체(35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도 12와 같이, 캠 제2 롤러(353)가 슬라이더 제2 수용부(341b)를 밀게 되어 슬라이더 조립체(340)가 내부로 후퇴하게 된다. 이때, 슬라이더 제1 롤러(342)가 암 수용면(331a)을 밀게 되어 암 조립체(330)를 회전시키고, 암 걸림면(331b)은 홀더 제1 걸림턱(323c)에서 이탈하게 되면서 홀더 조립체(320)가 데드볼트 기능에서 해제된다. 이후 홀더 조립체(320)는 래치볼트 기능으로 작용하게 된다.
암 조립체(330)는 계속 회전하여 암 롤러(332)가 홀더 제2 걸림턱(323d)에 접촉하여 암 조립체(330)가 홀더 조립체(320)에 힘을 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별도의 조작 없이 도어(10)를 열기 위해 레버(101, 201)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데드볼트 기능을 해제할 수 있다.
슬라이더 조립체(340)는 캠 조립체(350)의 회전력을 병진운동으로 전환하고 이러한 슬라이더 조립체(340)의 병진운동이 암 조립체(320)를 회전시킨다. 슬라이더조립체(340)의 병진운동이 암 조립체(320)의 회전력으로 전달되므로 슬라이더 조립체(340)의 병진운동은 흔들리면 안 된다. 이를 위해 슬라이더 조립체(340)는 슬라이더 가이드(341)를 구비한다.
도 3, 도 11 및 도 12에서, 슬라이더 제1 가이드(341f)는 몸체 제1 가이드(303a, 303b)에 의해 가이드 되고, 슬라이더 제2 가이드(341d, 341e)는 몸체 제2 가이드(303c, 303d)에 의해 가이드 된다. 또한 슬라이더 조립체(340)가 상하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캠 조립체(350) 및 홀더 조립체(320)가 커버(302)에 의해 지지되면서 슬라이더 조립체(340)를 가이드 한다. 이처럼 슬라이더 조립체(340)는 슬라이더 가이드(341)와 커버(302)에 의해 안정된 상태로 움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자형 잠금장치(300)는 도어락의 고급스러운 움직임을 구현하기 위해 레버(101, 201)의 회전각이 최소화되도록 구현하였다. 즉, 캠 조립체(350)가 18도 회전하는 것만으로 홀더 조립체(320)의 이동거리가 26mm가 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잠금장치(300)의 부품 간 공차 및 여유를 고려하여 레버(101, 201)의 회전각은 20도 정도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3은 레버가 계속 회전했을 때 잠금장치의 내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에서, 잠금장치(300)의 데드볼트 기능이 해제된 후 레버(101, 201)가 계속 회전하여 캠 조립체(350)가 18도 회전했을 때 홀더 조립체(320)가 26mm 이동한 상태로 도어가 오픈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3을 참조하면, 암 롤러(332)가 홀더 제2 걸림턱(323d)에 접촉하여 4도 회전한 상태에서(도 12 참조) 캠 조립체(350)가 계속 회전하여 18도까지 회전하게 되면, 슬라이더 조립체(340)는 캠 조립체(350)에 의해 더욱 밀려나고 암 조립체(330)는 슬라이더 제1 롤러(342)에 의해 회전하면서 암 롤러(332)가 홀더 제2 걸림턱(323d)을 더욱 밀어 홀더 조립체(320)를 브라켓(301)의 내부로 이동시킨다.
검출기(390)의 스위치(391)는 도 10에서 홀더 제1 가이드면(323e)에 접촉된 상태로 오픈 상태이나, 도 13에서 스위치(391)는 홀더 조립체(320)가 이동함에 따라 홀더 제1 가이드면(323e), 홀더 제2 가이드면(323f), 홀더 제3 가이드면(323g)을 따라 접촉하면서, 홀더 제3 가이드면(323g)에 의해 스위치(391)가 눌린다. 스위치(391)가 눌리면 스위치(391)에서 신호가 발생하여 잠금장치(300)가 현재 래치볼트 상태임을 나타낸다.
타임락 스프링(360)은 토션 스프링의 복원력과 함께 홀더 조립체(320)를 누르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서 홀더 레일면(323k)과 떨어지지 않고 접촉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타임락 스프링(360)은 도 10에서 홀더 레일면(323k)의 수평 부분에 위치하지만, 도 13에서는 홀더 조립체(320)가 이동함에 따라 타임락 스프링(360)이 홀더 레일면(323k)의 경사 부분을 따라 움직이면서 토션 스프링의 복원력이 증가한다. 타임락 걸림부(361)는 홀더 레일면(323k)을 따라 이동하면서 도 9의 (b)의 홀더 레일 걸림턱(323m)을 넘어 홀더 레일 단부(323p)에 위치하게 된다. 홀더 레일 걸림턱(323m)은 경사부가 있어서 한쪽 방향으로만 통과할 수 있는 구조이다.
레버(101, 201)를 회전시켜 도어(10)를 오픈하고 난 후에 사용자는 레버(101, 201)를 놓고 도어(10)를 밀어서 닫는다. 이때 잠금장치(300)는 래치볼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도 14는 사용자가 도어(10)를 오픈한 후 레버(101, 201)를 놓았을 때 잠금장치(300)의 내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레버(101, 201)를 놓게 되면, 캠 조립체(350)를 회전시켰던 구동력이 없어지고 슬라이더 스프링(347)에 의해 슬라이더 조립체(340)는 다시 원래의 위치로 밀리게 되고, 슬라이더 수용부(341a, 341b)에 의해 캠 조립체(350)도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다. 이때 암 조립체(330)를 회전시켰던 슬라이더 제1 롤러(342)도 더 이상 암 조립체(330)에 힘을 작용하지 않는다. 슬라이더 제1 롤러(342)에 의한 힘이 해제되면 암 조립체(330)는 암 스프링(333)에 의해 원래 상태로 돌아가기 위해 반대로 회전하게 되면서 홀더 제3 걸림턱(323t)에 접촉하여 홀더 조립체(320)를 브라켓(301) 밖으로 밀어낸다.
이때 타임락 스프링(360)의 타임락 걸림부(361)는 홀더 조립체(320)의 이동에 따라 도 1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 레일 단부(323p)에서 토션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홀더 레일 걸림턱(323m)에 걸린 후 홀더 레일 걸림턱(323m)의 제1면을 따라 이동하다가 홀더 걸림턱(323n)에 걸린다(①부분 참조). 따라서 래치볼트/데드볼트(321)는 빗면까지만 브라켓(301) 밖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검출기(390)의 스위치(391)는 홀더 제3 가이드면(323g)에 의해 여전히 눌려 있는 상태로 잠금장치(300)가 현재 래치볼트 상태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유지한다.
도 14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10)를 닫으면 래치볼트/데드볼트(321)의 빗면이 도어 프레임(미도시)에 부딪혀 미끄러지면서 홀더 조립체(320)는 다시 브라켓(301) 안쪽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 타임락 걸림부(361)는 홀더 걸림턱(323n)에서 도 15의 ②와 같이 홀더 레일 걸림턱(323m)의 제2면을 따라 이동한다.
도어(10)가 완전히 닫히게 되면 래치볼트/데드볼트(321)는 도어 프레임의 구멍 위치에 정렬되고, 암 스프링(333)에 의해 홀더 조립체(320)는 다시 브라켓(301)의 바깥 방향으로 밀려 나가게 되면서, 타임락 걸림부(361)는 토션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홀더 레일 걸림턱(323m)을 넘지 못하고 도 15의 ③과 같이 움직이면서 도 10의 초기 상태로 돌아간다.
이때 암 조립체(330)의 암 걸림면(331b)은 다시 홀더 제1 걸림턱(323c)에 걸려 홀더 조립체(320)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멈춤(stopper) 역할을 수행하여 잠금장치(300)는 다시 데드볼트 상태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도어를 닫는 순간 잠금장치(300)는 래치볼트에서 데드볼트 상태로 자동 전환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 도어 100: 내기
101: 내기 레버 200: 외기
201: 외기 레버 230: 키 커플러
300: 잠금장치
301: 브라켓 302: 커버
303: 몸체 320: 홀더 조립체
330: 암 조립체 340: 슬라이더 조립체
350: 캠 조립체 390: 검출기

Claims (9)

  1. 삭제
  2. 레버의 키 커플러가 삽입되어 레버의 회전에 따라 움직이는 키 커플러에 의해 회전력을 받는 캠 조립체와,
    상기 캠 조립체의 회전력을 병진 운동으로 전환하는 슬라이더 조립체와,
    상기 슬라이더 조립체의 병진 운동에 의해 회전하는 암 조립체와,
    홀더에 볼트 부재가 체결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암 조립체의 회전 방향에 따라 홀더가 이동하면서 볼트 부재가 외부로 돌출되거나 내부로 들어가도록 하는 홀더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캠 조립체에는 타임락 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타임락 스프링은 토션 스프링의 복원력과 함께 상기 홀더 조립체를 누르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함으로써 상기 홀더의 레일에 접촉하여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 조립체의 걸림면이 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홀더의 제1 걸림턱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홀더 조립체에 잠금장치 내부로 삽입되는 힘이 작용하면 상기 암 조립체는 상기 홀더 조립체가 잠금장치 외부로 돌출되도록 힘을 작용하여 상기 홀더 조립체가 움직이지 못하는 데드볼트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회전에 따라 상기 캠 조립체가 회전하면 상기 슬라이더 조립체가 내부로 후퇴하면서 상기 암 조립체가 제1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암 조립체의 제1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암 조립체의 걸림면이 상기 홀더의 제1 걸림턱에서 떨어지면서 상기 암 조립체의 암 롤러가 상기 홀더의 제2 걸림턱을 밀어내어 상기 홀더 조립체가 내부로 이동하는 래치볼트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회전 후 상기 레버를 놓으면 상기 캠 조립체를 회전시킨 구동력이 없어지고 상기 슬라이더 조립체가 원 위치로 돌아오면서 상기 암 조립체가 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제1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암 조립체의 반대 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암 조립체의 걸림면이 상기 홀더의 제3 걸림턱을 밀어내어 상기 홀더 조립체가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락 스프링은 상기 홀더 조립체가 외부로 이동할 때 토션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홀더의 레일 경사면 단부에서 출발하여 상기 홀더의 레일 걸림턱에 걸린 후 레일 걸림턱의 제1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홀더의 걸림턱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조립체의 볼트 부재가 도어 프레임으로 들어가면서 상기 홀더 조립체가 내부로 이동하면 상기 홀더의 걸림턱에 걸린 상기 타임락 스프링이 상기 홀더의 레일 걸림턱의 제2면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홀더 조립체의 볼트 부재가 도어 프레임으로 완전히 들어가면 상기 홀더 조립체가 다시 외부로 이동하여 토션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타임락 스프링이 상기 홀더의 레일로 이동하여 데드볼트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8. 삭제
  9. 삭제
KR1020160052186A 2016-04-28 2016-04-28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 이중 기능을 갖는 좌우수문 겸용 상자형 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도어락 KR101840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186A KR101840848B1 (ko) 2016-04-28 2016-04-28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 이중 기능을 갖는 좌우수문 겸용 상자형 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도어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186A KR101840848B1 (ko) 2016-04-28 2016-04-28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 이중 기능을 갖는 좌우수문 겸용 상자형 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도어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043A KR20170123043A (ko) 2017-11-07
KR101840848B1 true KR101840848B1 (ko) 2018-03-21

Family

ID=60385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186A KR101840848B1 (ko) 2016-04-28 2016-04-28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 이중 기능을 갖는 좌우수문 겸용 상자형 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도어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08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5412B1 (ko) * 2018-09-21 2019-06-03 스마트이락 주식회사 다목적 도어락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025Y1 (ko) * 2004-03-04 2004-06-02 주식회사 T4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
KR100756673B1 (ko) * 2006-11-30 2007-09-07 주식회사 케이코하이텍 도어록킹장치
KR100887995B1 (ko) * 2007-06-25 2009-03-10 우창정기 주식회사 전자식 도어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025Y1 (ko) * 2004-03-04 2004-06-02 주식회사 T4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
KR100756673B1 (ko) * 2006-11-30 2007-09-07 주식회사 케이코하이텍 도어록킹장치
KR100887995B1 (ko) * 2007-06-25 2009-03-10 우창정기 주식회사 전자식 도어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5412B1 (ko) * 2018-09-21 2019-06-03 스마트이락 주식회사 다목적 도어락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043A (ko) 201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90762B2 (ja) ロック装置
RU2435013C2 (ru) Вспомогательный охранный модуль для дверей, оснащенных открывающим устройством "анти-паника"
KR101163461B1 (ko)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핸들 조립 장치
US20090235767A1 (en) Rotary Pawl Latch
US9702167B2 (en) Electric lock for doors
US9850687B2 (en) Integrated mechanical lock and motorized lock mechanism
US7475922B2 (en) Lock for a door of a motor vehicle
US20070290513A1 (en) Latch For Sliding Closures
US11680425B2 (en) Magnet responsive cabinet lock
TWI526139B (zh) 電子裝置及其門蓋機構
JP2019183492A (ja) 電気錠
WO2020114447A1 (zh) 机械联锁机构
KR101840848B1 (ko)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 이중 기능을 갖는 좌우수문 겸용 상자형 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도어락
US7731248B2 (en) Anti-panic control device for doors
JP5280040B2 (ja) 扉装置
KR101626120B1 (ko) 모티스
CN109826509B (zh) 一种锁合装置及彩票自助销售机
KR101467284B1 (ko)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
JP7059474B2 (ja) 引戸錠
CN212249607U (zh) 一种停位闭门器
CN218375870U (zh) 一种电子锁
JP5965623B2 (ja) ドアロック装置
CN108868390B (zh) 车辆用锁定装置
KR200342341Y1 (ko) 소화전함 도어용 개폐장치의 잠금구 구조
JP2004278251A (ja) 両開き式扉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