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2967B1 - 도어락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2967B1
KR101732967B1 KR1020150168368A KR20150168368A KR101732967B1 KR 101732967 B1 KR101732967 B1 KR 101732967B1 KR 1020150168368 A KR1020150168368 A KR 1020150168368A KR 20150168368 A KR20150168368 A KR 20150168368A KR 101732967 B1 KR101732967 B1 KR 101732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door
link members
motis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8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영
김승복
Original Assignee
(주)메타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타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메타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150168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29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2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2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006Devices for aligning wing and frame; Anti-rattl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에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도어의 잠금과 잠금 해제를 할 수 있도록 마련되고, 키홈이 형성되는 모티스와, 상기 도어의 외측 또는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모티스를 작동시키는 개폐부재 및 일측은 상기 개폐부재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모티스의 키홈에 삽입되는 키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개폐부재와 키홈 간의 상대적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중간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어락 장치 {DOOR LOCK DEVICE}
본 발명은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푸시풀형 레버 또는 회전형 레버에 의해 모티스의 잠금이나 잠금해제 동작을 수행하는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관문과 같은 도어에 장착되는 도어락은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어 잠금기능을 수행하는 모티스(Mortise)와, 모티스의 동작을 위해 도어의 실외측과 실내측에 각각 설치되어 모티스의 잠금이나 잠금해제의 동작을 구현하는 푸시풀형 레버 또는 회전형 레버를 구비한다. 통상의 모티스는 실외 또는 실내측에 위치하는 레버에 의해 작동하는 래치볼트(Latch Bolt), 도어의 잠금을 유지시키는 데드볼트(Dead Bolt), 데드볼트의 동작을 위한 전동 또는 수동식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모티스는 실외에서 도어를 개방할 때, 기계식 키, 비밀번호, 지문 등을 이용해 데드볼트를 동작시킴으로써 잠금을 해제한 후, 실외측의 레버를 동작시켜 래치볼트의 걸림을 해제함으로써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실내에서 도어를 개방할 때는 실내측에 마련된 개방스위치로 데드볼트를 동작시켜 잠금을 해제한 후 실내측 레버를 동작시켜 래치볼트의 걸림을 해제함으로써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도어락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어락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와, 이 본체(10)에 조립되는 키뭉치(20) 및 도어의 잠금과 잠금 해제를 수행하는 모티스(30)를 포함한다. 키뭉치(20)는 일측에 키뭉치돌기(21)를 구비하는데, 이 키뭉치돌기(21)가 모티스(30)의 키홈(31)에 끼워져 있고, 사용자가 열쇠(미도시)를 키뭉치(20)에 끼워 돌리면, 모티스(30)의 키홈(31)이 회전하면서 데드볼트(32)을 이송시켜 도어를 열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도어락 장치는 모티스(30)의 키홈(31)의 위치가 키뭉치(20)의 위치와 일치해야 하므로, 키뭉치(20)의 위치를 다른 곳으로 이동하고 싶어도 그 위치를 변경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도어락 장치는 모티스의 위치에 따라 키뭉치의 위치가 고정되므로 키뭉치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없는 구조적 또는 디자인적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모티스의 키홈의 위치에 상관없이 키뭉치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구조적 또는 디자인 변경이 용이한 도어락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도어에 설치되는 본체; 상기 도어의 잠금과 잠금 해제를 할 수 있도록 마련되고, 키홈이 형성되는 모티스; 상기 도어의 외측 또는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모티스를 작동시키는 개폐부재; 및 일측은 상기 개폐부재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모티스의 키홈에 삽입되는 키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개폐부재와 상기 모티스의 키홈 간의 상대적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중간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는 도어의 외측에 설치되는 키뭉치이거나,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는 섬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연결부재는 회동이 자유로운 다관절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연결부재는 복수개의 링크부재; 상기 링크부재를 서로 연결하여 회동하는 힌지부재; 상기 복수개의 링크부재 중 하나에 상기 키뭉치가 삽입되는 키뭉치 삽입공; 및 상기 복수개의 링크부재 중 다른 하나에 상기 모티스의 키홈에 삽입되는 키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링크부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복수개의 거리 조절공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재와 링크부재를 상기 거리 조절공을 통하여 서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키뭉치 삽입공과 상기 키돌기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링크부재는 일정한 거리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 링크부재; 상기 한 쌍의 측면 링크부재의 일단에 상기 힌지부재를 통하여 연결되는 상부 링크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측면 링크부재의 타단에 상기 힌지부재를 통하여 연결되는 하부 링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뭉치 삽입공은 상기 상부 링크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키돌기는 하부 링크부재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키뭉치와 모티스 사이에 중간 연결부재를 개재함으로써, 키뭉치와 모티스의 키홈 간의 거리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도어락 장치의 디자인 및 구조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복수개의 거리 조절공이 형성된 다관절의 중간 연결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도어락 장치의 설치시 키뭉치와 모티스의 키홈 간의 거리를 더욱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도어락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중간 연결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간 연결부재의 동작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 5는 중간 연결부재를 섬턴과 섬턴돌기 사이에 적용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중간 연결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간 연결부재의 동작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100)는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설치되어 열쇠(미도시)가 삽입되는 키뭉치(20)와, 도어의 잠금과 잠금 해제를 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모티스(30)와, 상기 본체(10)와 모티스(30)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 연결부재(40) 및 작동레버(50)를 포함한다.
본체(10)의 외측에는 작동자가 열쇠를 삽입할 수 있는 열쇠 삽입공(22)이 형성된 키뭉치(20)가 설치되어 있고, 키뭉치(20)의 일측으로 키뭉치 돌기(21)가 돌출형성되어 중간 연결부재(40)의 키뭉치 삽입공(46)에 삽입된다. 작동레버(50)는 작동자가 전후로 밀고 당기는 방식(푸쉬풀형) 또는 좌우로 회동시키는 방식(회전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모티스(30)는 중간 연결부재(40)의 키돌기(47)가 삽입되는 키홈(31)과, 키뭉치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데드볼트(32) 및 작동레버(50)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래치볼트(33)를 포함한다. 모티스(30)의 내부에는 데드볼트(32)와 래치볼트(33)를 작동하기 위한 다양한 공지의 기계적 또는 전기적인 메커니즘 구조가 설치될 수 있다.
중간 연결부재(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거리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측면 링크부재(41, 42)와, 제1 및 제2 측면 링크부재(41, 42)의 상단에 연결되는 상부 링크부재(43) 및 제1 및 제2 측면 링크부재(41, 42)의 하단에 연결되는 하부 링크부재(44)를 포함한다. 이러한 중간 연결부재(40)는 4개의 링크부재(41, 42, 43, 44)가 각각 힌지부재(45)로 연결되어 관절 회동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링크부재(41, 42, 43, 44)와 힌지부재(45)는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부 링크부재(43)에는 상기 키뭉치 돌기(21)가 삽입되는 키뭉치 삽입공(46)이 형성되고, 하부 링크부재(44)에는 모티스(30)의 키홈(31)에 삽입되는 키돌기(47)가 돌출되어 있다. 제1 및 제2 측면 링크부재(41, 42)에는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거리 조절공(48)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및 하부 링크부재(43, 44)가 제1 및 제2 측면 링크부재(41, 42)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나, 키뭉치 삽입공(46)과 키돌기(47) 간의 거리를 변경하려는 경우에는 상부 및 하부 링크부재(43, 44)를 제1 및 제2 측면 링크부재(41, 42)의 중간 부분에 형성된 거리 조절공(48)에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뭉치 삽입공(46)과 키돌기(47) 간의 거리를 더욱 가깝게 하려는 경우, 상부 또는 하부 링크부재(43, 44) 중 하나를 제1 및 제2 측면 링크부재(41, 42)에서 분리한 다음, 제1 및 제2 측면 링크부재(41, 42)의 복수개의 거리 조절공(48) 중 하나에 각각 힌지부재(45)를 이용하여 다시 연결하면 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측면 링크부재(41, 42)에 복수개의 거리 조절공(48)을 형성하여 키뭉치 삽입공(46)과 키돌기(47) 간의 거리를 다양하게 변경함으로써, 모티스(30)의 키홈(31)의 위치에 관계없이 키뭉치의 위치를 자유롭게 위치시킬 수 있어, 도어락 장치의 디자인 및 구조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중간 연결부재가 4개의 링크부재와 4개의 힌지부재를 구비하는 4절링크 구조로 이루어졌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링크부재와 힌지부재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또한 링크부재에 형성된 거리 조절공의 개수, 간격 등도 도어락 장치의 구성, 배열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중간 연결부재(40)의 동작을 살펴보면, 도 4의 (b)는 중간 연결부재(40)가 동작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4의 (c)는 작동자가 키뭉치(2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중간 연결부재(40)의 동작후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4의 (a)는 작동자가 키뭉치(2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중간 연결부재(40)의 동작후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a)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뭉치(20)가 삽입되는 상부 링크부재(43)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및 제2 측면 링크부재(41, 42)에 연결된 하부 링크부재(44)도 동일한 각도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키뭉치(20)의 회전동작이 중간 연결부재(40)를 통하여 모티스(30)의 키홈(31)에 그대로 전달된다.
다음으로, 도어락 장치(100)의 개폐작동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작동자가 열쇠를 키뭉치(20)의 열쇠 삽입공(22)에 삽입한 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키뭉치 돌기(21)가 삽입된 상부 링크부재(43)가 회동하게 되고, 이 회동은 제1 및 제2 측면 링크부재(41, 42)를 통하여 하부 링크부재(44)에 그대로 전달된다. 하부 링크부재(44)가 회전하면, 키돌기(47)도 회전하게 되어 모티스(30)의 키홈(31)을 회전시킨다. 키홈(31)이 회전하면 내부 작동 메커니즘에 의해 데드볼트(32)가 슬라이딩하여 모티스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그후, 작동자가 작동레버(50)를 회전 또는 푸시풀하게 되면, 래치볼트가 이동하여 도어를 밀어열수 있게 된다.
도 5는 중간 연결부재를 섬턴과 섬턴돌기 사이에 적용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연결부재(40)는 도어의 내측에서 섬턴(60)과 섬턴돌기(70) 사이에 적용되어 데드볼트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본체
20: 키뭉치
21: 키뭉치 돌기
22: 열쇠 삽입공
30: 모티스
31: 키홈
32: 데드볼트
33: 래치볼트
40: 중간 연결부재
41: 제1 측면 링크부재
42: 제2 측면 링크부재
43: 상부 링크부재
44: 하부 링크부재
45: 힌지부재
46: 키뭉치 삽입공
47: 키돌기
48: 거리 조절공
50: 작동레버
60: 섬턴
70: 섬턴돌기
100: 도어락 장치

Claims (7)

  1. 도어에 설치되는 본체;
    상기 도어의 잠금과 잠금 해제를 할 수 있도록 마련되고, 키홈이 형성되는 모티스;
    상기 도어의 외측 또는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모티스를 작동시키는 개폐부재; 및
    일측은 상기 개폐부재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모티스의 키홈에 삽입되는 키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개폐부재와 상기 모티스의 키홈 간의 상대적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중간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개폐부재는 도어의 외측에 설치되는 키뭉치이거나,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는 섬턴이며,
    상기 중간 연결부재는, 복수개의 링크부재; 상기 링크부재를 서로 연결하여 회동하는 힌지부재; 상기 복수개의 링크부재 중 하나에 상기 키뭉치가 삽입되는 키뭉치 삽입공; 및 상기 복수개의 링크부재 중 다른 하나에 상기 모티스의 키홈에 삽입되는 키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링크부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복수개의 거리 조절공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재와 링크부재를 상기 거리 조절공을 통하여 서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키뭉치 삽입공과 상기 키돌기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연결부재는 회동이 자유로운 다관절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링크부재는,
    일정한 거리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 링크부재;
    상기 한 쌍의 측면 링크부재의 일단에 상기 힌지부재를 통하여 연결되는 상부 링크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측면 링크부재의 타단에 상기 힌지부재를 통하여 연결되는 하부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키뭉치 삽입공은 상기 상부 링크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키돌기는 하부 링크부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





KR1020150168368A 2015-11-30 2015-11-30 도어락 장치 KR101732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368A KR101732967B1 (ko) 2015-11-30 2015-11-30 도어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368A KR101732967B1 (ko) 2015-11-30 2015-11-30 도어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2967B1 true KR101732967B1 (ko) 2017-05-08

Family

ID=60164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8368A KR101732967B1 (ko) 2015-11-30 2015-11-30 도어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29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130B1 (ko) 2017-11-22 2019-03-25 주식회사 한국자동제어 산업용 도어락의 도어 키 감지용 키 커버 및 그를 포함하는 도어 키 감지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769B1 (ko) * 2012-05-04 2013-08-08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도어락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769B1 (ko) * 2012-05-04 2013-08-08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도어락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130B1 (ko) 2017-11-22 2019-03-25 주식회사 한국자동제어 산업용 도어락의 도어 키 감지용 키 커버 및 그를 포함하는 도어 키 감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4383B2 (en) Cremone bolt operator
US11359408B2 (en) Indicator-type door lock
TW201529946A (zh) 具有可調整的鎖閂至門閂之間距的互連鎖具
EP0620341A1 (en) Device for adapting a panic-safe lock to the opening direction of a door, for presetting the lock to open only from one side, and for temporatily allowing to open it from the opposite side
NO20210745A1 (en) Door Lock arrangement
EP1335085A1 (en) Lock for a sliding door or gate
US20200056403A1 (en) Lock with a lockable push-through latch
US20230035156A1 (en) Field-handable gate latch
AU2019271986A1 (en) Lock assembly
EP1977062B1 (en) Multi point door lock assembly
WO2020114447A1 (zh) 机械联锁机构
KR101732967B1 (ko) 도어락 장치
US11851925B2 (en) Key override for electromechanical multi-point latching device
KR101898814B1 (ko) 도어 개폐용 도어록
US4290286A (en) Combination lock
KR100544963B1 (ko) 도어락 장치의 백셋
KR200399410Y1 (ko) 강화유리 도어용 잠금장치
KR101480507B1 (ko) 도어락 모티스
KR102302406B1 (ko) 조합식 잠금장치를 이용한 출구 장치 도깅
JP4344723B2 (ja) 開き戸の施解錠機構
US10533343B2 (en) Electronic and mechanical combination lock
KR101965532B1 (ko) 튜블러 래치형 도어락 장치
KR101962436B1 (ko) 클러치 구조를 갖는 모티스의 회전 조립체
KR200478346Y1 (ko) 래치볼트의 좌우수 전환 구조체
KR101983498B1 (ko) 튜블러 래치형 도어락의 이중 록킹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